KR0126403B1 -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03B1
KR0126403B1 KR1019950031627A KR19950031627A KR0126403B1 KR 0126403 B1 KR0126403 B1 KR 0126403B1 KR 1019950031627 A KR1019950031627 A KR 1019950031627A KR 19950031627 A KR19950031627 A KR 19950031627A KR 0126403 B1 KR0126403 B1 KR 012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lider
crank
whee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956A (ko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3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03B1/ko
Priority to JP8142049A priority patent/JPH0985687A/ja
Priority to US08/665,102 priority patent/US5743160A/en
Priority to MYPI96002786A priority patent/MY111938A/en
Publication of KR97001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45With work-moving clamp ja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493Tool motion initiates work feed and vice vers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594Dwell caused by clamping or blocking work during continuous operation of feed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63Work-feed element contacts and moves with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음극선관의 스템부와 전자총의 각 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이드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또 절단속도를 빠르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과; 상기한 구동수단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크랭크 부재를 크랭크 운동시키고, 포크부재를 요동운동시키는 변위발생 구동수단과; 상기한 크랭크 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는 링크부재를 통하여 테이프 소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이 테이프 소재를 가압상태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이송수단과; 상기한 포크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아 승강운동으로 이송된 테이프 소재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변위발생 구동부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이송부의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커팅부의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테이프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휠의 각 영역별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휘일 8 : 구동수단
10 : 크랭크부재 12 : 포크부재
16 : 슬라이더 20 : 스크류
24 : 캠부재 26 : 커터
30 : 다이 32 : 링크부재
34 : 슬라이더 38 : 롤러군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과 스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이드(금속 테이프)를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는 테이프 소재를 클램핑 하여 이송하는 부분과 이 부분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절단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테이프 이송부분은 이송수단이 실린더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 절단수단도 실린더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의 위치규제가 어려워 테이프의 절단길이를 정확히 유지할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실린더가 후진작동하는 동안에는 아무런 일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절단길이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구동수단과; 상기한 구동수단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크랭크 부재를 크랭크 운동시키고, 포크부재를 요동운동시키는 변위발생 구동수단과; 상기한 크랭크 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는 링크부재를 통하여 테이프 소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이 테이프 소재를 가압상태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이송수단과; 상기한 포크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아 승강운동으로 이송된 테이프 소재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변위발생 구동수단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휘일과, 이 휘일의 일측면에 크랭크 운동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크랭크 부재와 연결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가 휘일의 위치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도록 이 슬라이더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테이프 이송수단은, 크랭크 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아 회전을 시작하면서 테이프 소재를 가압하는 링크부재와, 이 링크부재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테이프 커팅수단은, 포크부재에 연결된 커터와, 이 커터와 마주하는 자세로 고정되며 테이프 소재가 올려지는 다이를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테이프 이송수단은, 테이프 소재를 안내하며 편평하게 유지시켜 주는 다수개의 롤러들이 상하로 배치된 롤러군을 더욱 더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절단장치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평면도로서, 베이스 부재(2)에 수직부재(4)가 고정설치되는 외형을 갖는다.
상기한 수직부재(4)에는 휠부재(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8)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수단(8)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수직부재(4)의 뒷편에 견고히 고정되어 변위발생 구동수단(A)을 구성한다.
상기한 휠부재(6)는 대략 원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휠부재의 전면에는 크랭크 부재(10)가 연결되어 테이프 이송수단(B)으로 회전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휠부재(6)의 후면에는 포크부재(12)가 연결되어 테이프 커팅수단(7)으로 회전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변위발생 구동수단(A)의 휘일(6)은 전면에 슬라이드 홈(14)이 제공되어 이 홈으로 슬라이더(16)가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6)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재(18)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핀부재에 상기한 크랭크 부재(10)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슬라이더(16)는 그 중앙으로 스크류(20)가 나사결합으로 관통하고 있는데, 이 스크류(20)는 휘일(6)에 마련된 돌기부분(22)에 걸려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되며, 원주방향으로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은 스크류(20)가 회전시 슬라이더(16)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제4도에서 돌기부분(22)은 독립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휘일(6)의 슬라이드 홈(14) 근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변위발생 구동수단(A)은 휘일(6)이 회전하면 이곳에 위치한 슬라이더(16)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더(16)의 위치에 따라 크랭크 부재(10)의 크랭크 운동각은 변하게 된다.
즉 슬라이더(16)의 핀부재(18) 위치가 휘일(6)의 중심부근으로 이동할 수록 크랭크 각은 작아지고, 그 핀부재의 위치가 휘일의 외주변으로 가까워질수록 크랭크 각은 커진다.
상기한 휘일(6)의 후면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휘일의 중심과 어긋난 위치에 캠부재(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캠부재에 상기한 포크부재(12)가 연결된다.
이 포크부재(12)는 캠부재(24)와 연결되기 위하여 일측이 열려진 포크형상의 연결부를 갖는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일(6)과 포크부재(12)는 연결을 이루게 되므로 휘일이 회전을 시작하면 포크부재는 캠부재의 캠선도에 따라 요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 요동은 휘일(6)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하운동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요동운동은 포크부재(12)의 종단부가 수직부재(4)에 힌지결합됨으로서 실현가능하게된다.
제5도를 통하여 이해될 수 있듯이 포크부재(12)에는 커터(26)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커터(26)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28)에 안내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커터(26)의 하측단부는 수직부재(4)에 고정된 다이(30)와 면접촉으로 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다이(30) 위로는 테이프 소재(T)가 공급된다.
제6도는 상기한 테이프 이송수단(B)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크랭크 부재(10)의 일측단은 링크부재(32)를 통하여 슬라이더(34)와 연결된다.
이 링크부재(32)의 상단부는 크랭크 부재(10)와 힌지결합이 이루어지며, 링크부재의 하단부는 슬라이더(34)와 힌지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슬라이더(34)는 테이프 소재(T)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통로상에 상기한 링크부재(32)의 하단부가 위치하여 크랭크 부재(10)의 크랭크 운동에 따라 테이프 소재(T)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슬라이더(34)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재(4)에 고정된 가이드(36) 상면에 위치하여 좌우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크랭크 부재(10)가 크랭크 운동을 시작하면 링크부재(32)는 원운동을 시작하면서 테이프 소재를 누르게 되는데, 이 링크부재의 원주방향 변위는 작으므로 크랭크 운동을 흡수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크랭크 운동은 또다시 슬라이더(34)로 전달되면서 이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링크부재가 테이프 소재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테이프 소재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다시 링크부재가 테이프 소재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소재의 이동을 완료하고 후진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테이프 이송수단(B)의 좌측으로는 테이프 소재를 안내하며 소재를 평편하게 펴주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들로 이루어지는 롤러군(38)이 제공된다.
이 롤러군(38)의 첫번째 롤러(40)는 원주방향으로 V홈이 형성된 풀리와 같은 구성의 진입롤러이며, 그 두번째 이후의 롤러들은 상하로 엇갈린 상태로 배치되는 원통상의 롤러들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테이프 절단장치는, 먼저 테이프 소재(T)가 진입롤러(40)로 부터 진입이 되면서 롤러군(38)을 통과하여 테이프 이송수단(B)의 입구측까지 이송된 상태에서 구동수단(8)이 구동을 시작하므로서 다음과 같은 작용으로 테이프 이송 및 절단이 이루어지고 테이프의 이송량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구동수단(8)이 구동을 시작하게 되면 휘일(6)이 회전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 휘일(6)에는 슬라이더(16)를 통하여 크랭크 부재(10)가 연결되어 있고, 또 캠부재(24)를 통하여 포크부재(1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 크랭크 부재와 포크부재는 도면에서 수직부재(4)에 힌지결합된 좌측단을 중심으로 우측단이 상하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 부재(10)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은 링크부재(32)를 통하여 전달되면서 이 링크부재를 원주방향으로 운동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링크부재(32)의 하단부와 슬라이더(34)의 통로 사이에 상기한 테이프 소재의 선단부가 위치하여 있으므로 이 테이프 소재는 링크부재와 슬라이더(34) 사이에서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크랭크 부재(10)가 더욱 크랭크 각운동을 하게 되면 슬라이더(34)는 링크부재(32)를 통하여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력을 받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34)는 가이드(36)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테이프 소재(T)도 슬라이더의 이송량 만큼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휘일(6)의 회전운동으로 포크부재(12)는 수직부재(4)에 힌지결합된 좌측단을 중심으로 우측단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부재에 커터(26)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커터도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 커터(26)는 상기한 테이프 소재가 우측으로 이동시 상승된 상태이고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강을 하게 되므로 테이프 소재는 절단된다.
이러한 타이밍은 휘일(6)과 일체로 형성된 캠부재(24)의 캠선도와, 휘일(6)의 슬라이드 홈(14)에 결합된 슬라이더(16)의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인데, 대략 제7도와 같은 타이밍 선도를 갖는다.
테이프 소재(T)가 링크부재(32)에 의해 가압되는 시점은 원주방향의 변위로 볼 때 D구간에 해당하며, 소재의 가압이 완료된 후 E구간에서는 슬라이더(34)가 전체 이동되며, 이동이 완료된 후 F구간에서는 슬라이더(34)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커터(26)가 하강을 하여 테이프 소재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커터(26)가 하강을 시작하는 시간이 있으므로 슬라이더(34)가 후진을 시작한 후 얼마간 후에 커팅이 이루어지는 G구간이 존재하며 이 G구간은 순간적이므로 슬라이더(34)가 완전히 후진을 하기전에 다시 상승을 시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위발생 구동수단(A)의 휘일(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된 슬라이더(16)는 스크류(20)를 회전시킴으로서 휘일(6)과의 위치관계가 변하게 되는데, 이것은 크랭크 부재(10)의 크랭크 운동을 크게 또는 적게하는 것이므로 링크부재(32)를 통하여 연결된 슬라이더(34)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음극선관의 스템부로 부터 전자총의 각 전극으로 연결되는 리이드의 길이는 다르므로 적당한 길이의 리이드를 절단하는데 편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커팅장치는, 1개의 구동원으로 휘일을 회전시켜 이 휘일의 회전운동을 크랭크 운동으로 변환시켜 테이프 소재를 가압 및 이동시키고, 이동된 소재를 커터의 승강운동으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휘일이 1회전할 때 1개의 리이드를 절단하고 다음 리이드를 절단하기 위한 준비 단계를 완료하므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절단되는 리이드의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구동수단과; 상기한 구동수단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크랭크 부재를 크랭크 운동시키고, 포크부재를 요동운동시키는 변위발생 구동수단과; 상기한 크랭크 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는 링크부재를 통하여 테이프 소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이 테이프 소재를 가압상태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이송수단과; 상기한 포크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아 승강운동으로 이송된 테이프 소재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변위발생 구동수단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휘일과, 이 휘일의 일측면에 크랭크 운동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크랭크 부재와 연결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가 휘일의 위치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도록 이 슬라이더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이송수단은, 크랭크 부재로 부터 힘을 전달받아 회전을 시작하면서 테이프 소재를 가압하는 링크부재와, 이 링크부재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커팅수단은, 포크부재에 연결된 커터와, 이 커터와 마주하는 자세로 고정되며 테이프 소재가 올려지는 다이를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이송수단은 테이프 소재를 안내하며 편평하게 유지시켜 주는 다수개의 롤러들이 상하로 배치된 롤러군을 더욱 더 포함하는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KR1019950031627A 1995-09-25 1995-09-25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KR012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627A KR0126403B1 (ko) 1995-09-25 1995-09-25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JP8142049A JPH0985687A (ja) 1995-09-25 1996-06-05 切断装置
US08/665,102 US5743160A (en) 1995-09-25 1996-06-13 Metallic tape cutting device
MYPI96002786A MY111938A (en) 1995-09-25 1996-07-05 A metallic tape cu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627A KR0126403B1 (ko) 1995-09-25 1995-09-25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956A KR970014956A (ko) 1997-04-28
KR0126403B1 true KR0126403B1 (ko) 1999-05-01

Family

ID=1942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627A KR0126403B1 (ko) 1995-09-25 1995-09-25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43160A (ko)
JP (1) JPH0985687A (ko)
KR (1) KR0126403B1 (ko)
MY (1) MY1119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85Y1 (ko) * 2009-12-31 2012-03-23 재성정밀주식회사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59B1 (ko) * 2002-09-19 2008-08-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절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5744C1 (de) * 1984-12-14 1986-06-05 Nixdorf Computer Ag, 4790 Paderborn Vorrichtung zum wahlweisen Anschneiden oder Abschneiden eines Papierstreifens
US4753145A (en) * 1987-03-27 1988-06-28 Amp Incorporated Feeding and shearing apparatus for strip material
US4890524A (en) * 1988-08-31 1990-01-02 John Brown Inc. Trim press with counterbalance
JPH0698598B2 (ja) * 1989-03-02 1994-12-07 丸善株式会社 電動パン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85Y1 (ko) * 2009-12-31 2012-03-23 재성정밀주식회사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956A (ko) 1997-04-28
MY111938A (en) 2001-02-28
US5743160A (en) 1998-04-28
JPH0985687A (ja) 199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1109A (en) Tying machine
JPH0284227A (ja) 素材供給装置および鍛造機
US4792074A (en) Arrangement and the stepwise advance of band material with two oppositely driven feed rollers
KR0126403B1 (ko)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US5246533A (en) Apparatus for press-bonding tape onto edges of workpiece
EP0155976B1 (en)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material gaskets in stoppers comprising a cup, such as screw-on and crown caps
US4728767A (en) Welding gun apparatus
JP3945576B2 (ja) ストリップ形状物品のステップ状送り装置
US3182171A (en) Tube welding machine
JPH0757269B2 (ja) 巻枠を後に設けられる自動ミシン
US3223454A (en) Apparatus for making brushes
JP2869626B2 (ja) 直線切断機及び走間切断方法
JP2539408B2 (ja) コイル材の給送・位置決め装置
KR100512267B1 (ko) 장신용 체인의 면가공을 위한 프레스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56002Y2 (ko)
US5192391A (en) Apparatus for decorating articles having a conical surface
KR200327944Y1 (ko) 목재패널 에지밴딩기
JPH02145328A (ja) ビードエイペックスの貼付方法及び装置
KR0163614B1 (ko) 내공간부를 갖는 소재의 둘레면 성형장치
JPH0737791Y2 (ja) ワークの移し替え挿入装置
US5001797A (en) Device for guiding laminar elements for processing, particularly intended for hide and synthetic material folding machines
SU1268255A1 (ru) Цепной привод шаговой подачи заготовок в рабочую зону обрабатывающей машины
GB827629A (en) Binding machines
JP2981988B2 (ja) 手持式端子圧着具
KR0122791Y1 (ko) 프레스의 소재이송량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