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386B1 -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 Google Patents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86B1
KR880002386B1 KR1019850009844A KR850009844A KR880002386B1 KR 880002386 B1 KR880002386 B1 KR 880002386B1 KR 1019850009844 A KR1019850009844 A KR 1019850009844A KR 850009844 A KR850009844 A KR 850009844A KR 880002386 B1 KR880002386 B1 KR 88000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fade
flip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715A (ko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5000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386B1/ko
Publication of KR87000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3/04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3/10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페이더(fader)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기리세트회로 2 : 적분회로
PS1: 페이드아웃 스위치 PS2: 페이드인 스위치
AMP1: 음량증폭기 FF1-FF3: 플립플롭
OP1-OP3: 연산증폭기 CP1, CP2: 비교기
G1-G4: 앤드게이트 TR1-TR3: 트랜지스터
R1-R17: 저항 C1-C5: 콘덴서
D1-D8: 다이오드
본 발명은 음량증폭기의 음량을 서서히 크게하거나 서서히 작게하는 페어더(fader)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페이드 인 시간과 페이드 아웃 시간을 가지며,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동작중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해 다른 동작으로 변경되지 않아 오동작을 전혀 일으키지 않도록 한 오디오 증폭기의 페이더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페이더회로에 있어서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화기,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를 사용하여 페이더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이는 클럭신호의 누락으로 인한 잡음이 발생하기 쉽고, 제품 자체가 고가인 결점이 있었고, 특히, 페이드 인 시간과 페이드 아웃 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페이드 인 과 페이드 아웃시키는 시간이 항상 일정하고,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동작중에 사용자의 오조작으로 인해 페이드 아웃 또는 페이드 인 버튼을 누르더라도 페이드 아웃 또는 페이드 인 동작으로 변경되지 않아 사용자의 오조작으로 인한 오동작을 완전배제할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초기리세트회로(I)의 출력측을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플립플롭(FF2), (FF3)의 리세트단자(R)에 공통 접속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하여는 플립플롭(FF1)의 리세트단자자(R)에 접속하며, 저항(R2)을 통하여 전원(B+)에 접속된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는 플립플롭(FF2) (FF3)의 세트단자(S)에 공통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3)를 통해 플립플롭(FF1)의 세트단자(S)에 접속하며, 페이드인 스위치(PS2)는 다이오드(D4)를 통해 플리플롭(FF1)의 세트단자(S)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5)를 통하여 플립플롭(FF2), (FF3)의 리세트단자(R)에 공통접속하여, 플립플롭(FF1)의 리세트단자(R)에 공통 접속하여,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를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한 후 그의 콜렉터를 상기 저항(R2) 및 페이드 아웃, 인 스위치(PS1), (PS2)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1
를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한 후 그의 콜렉터를 상기 페이드 인 스위치(PS2) 및 다이오드(D4), (D5)의 접속점에 접속하며,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
Figure kpo00002
를 저항(R7), (R8)을 각기 통해 콘덴서(C4) 및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 베이스에 접속한 후 그 콘덴서(C4) 및 트랜지스터 (TR3)의 콜렉터 접속점을 다이오드(D6)를 통해 플립플롭(FF1)의 리세트단자에 접속한다.
한편, 상기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를 앤드게이트(G1), (G2)의 일측 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하고, 그의 타측단자는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
Figure kpo00003
에 각기 접속한 후 그의 출력단자를 앤드게이트(G3), (G4)의 일측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며, 이 앤드게이트(G3), (G4)의 출력단자를 저항(R9), (R11)을 각기 통해 연상증폭기(OP1), (OP2)의 비반전 및 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한 후 그의 출력측을 적분회로(2)를 통해 연상증폭기(OP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연산증폭기(OP4)의 출력측을 저항(R17)을 통해 전원(B+)에 접속된 저항(R16) 및 트레인 단자가 음량 증폭기(AMP1)의 압력측에 접속된 존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단자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적분회로(2)의 출력측을 비반전 및 반전 입력단자에 기준전압이 각기 입력되는 비교기(CP1), (CP2)의 반전 및 비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한 후 그의 출력단자를 다이오드(D7), (D8) 및 저항(R20) (R23)을 각기 통해 상기 앤드게이트 (G4), (G3)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B+, B-)이 인가되면, 그 전원(B+)은 저항(R1)을 통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되므로, 그 콘덴서(C1)의 충전압이 인버터(11)의 드레스 홀드 전압이 될 때 까지는 그의 출력측인 초기 리세트회로부(1)의 출력측에 고전위의 펄스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펄스 신호는 다이오드(D1)를 통해 플립플롭(FF2), (FF3)을 리세트시키고, 다이오드(D2)를 통해 플립플롭(FF1)을 리세트시키므로, 플립플롭(FF1-FF3)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4
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Q)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5
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을 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이때 페이드 인 스위치(PS2)를 눌러도 플립플롭(FF1-FF3)의 출력신호는 변하기 않게 된다. 이는 전원(B+-B-)을 인가한 상태에서 이미 페이드 인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페이드 인 스위치(PS2)에 의한 페이드 인 명령이 실행될 경우 펄스전위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때 입력단자(IP)로 입력된 음량신호는 저항(R15)을 통해 음량증폭기(AMP1)에서 증폭된 후 음량출력 단자(OP)로 출력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페이드 아웃을 시키기 위해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를 순간적으로 누르게 되면, 전원(B+)은 저항(R2) 및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를 통해 플립플롭(FF2), (FF3)을 세트시고 또한 다이오드(D3)를 통해 플립플롭(FF1)을 세트시키게 되므로, 플립플롭(FF1-FF3)의 출력단자(Q)에는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
Figure kpo00006
에는 모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때 트랜지스터(TR2)는 오프상태로 되므로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를 선택하고 난 이후에야 페이드 인 스위치(PS2)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런데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를 온시키므로, 이때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 또는 페이드 인 스위치(PS2)를 다시 눌러도 상기 플립플롭 (FF1-FF3)의 출력신호는 변경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페이드 아웃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페이드 아웃 기능 동작중에 페이드 인이 선택될 경우 발생되는 오동작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립플롭(FF1), (FF2)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앤드게이트(G1)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측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앤드게이트(G1)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는 기간은 저항(R7)과 콘덴서(C4)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즉,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저항(R7)을 통해 콘덴서(C4)에 서서히 충전되고, 이 콘덴서(C4)의 충전전압이 플립플롭(FF1)의 리세트단자(R) 드레스홀드전압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그 플릅플롭(FF1)은 리세트되어 그의 출력단자(Q)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그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7
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며, 이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8
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저항(R8)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을 온시키므로 콘덴서(C4)의 충전전압이 순간적으로 방전되고,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저전위 신호는 트랜지스터(TR1)를 오프시켜 다음 동작에 대비하게 된다. 이와같이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가 눌러진 후 저항(R7) 및 콘덴서(C4)의 시정 수동안 앤드게이트(G1)의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G3)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한 이때 적분회로(2)에서 적분이 일어나기 전 상태이어서 그의 출력측에 영전위가 출력되어 비교기(CP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한 그의 반전 입력단자d에는 저항(R21), (R22)에 의해 설정된 부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비교기의 출력측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며, 이 고전위 신호는 다이오드(D8) 및 저항(R23)을 통해 상기 앤드게이트(G3)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 고전위 신호는 저항(R9)을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측에 정전위의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며, 이 정전위의 고전위 신호는 적분회로(2)의 저항(R13) 및 콘덴서(C5), 연산증폭기(OP3)에서 적분되어 부전위로 점점 깊어지게 되며, 이와같이 적분회로(2)에서 출력된 신호는 연산증폭기(OP4) 및 저항(R17)를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에 인가 되므로, 상기 적분회로(2)의 출력신호가 부전위로 점점 깊어짐에 따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 전위도 점점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드레인-소오스간의 임피던스가 점차 감소하므로, 입력단자(IP)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저항(R15)을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로 점점 더 많이 흐르게 되어 페이드 아웃 기능을 실행하게 괴고, 이후 적분회로(2)에서 출력되는 부전위 신호가 어느 이상이 되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는 완전 도통되어 음량증폭기(AMP1)의 입력 측에 입력되는 음량신호는 없게 되고, 또한 이때 적분회로(2)에서 출력된 부전위 신호는 비교기(CP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부전위가 그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중 부전위보다 낮아지게 되는 시점에서 그의 출력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 신호는 앤드게이트(G3)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어 그의 출력신호를 저전위 상태로 만드므로, 이때 비로소 적분회로(2)는 적분동작을 중지하여 일정한 부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비교기(CP2)를 이용하여 적분회로(2)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은 일정한 페이드 아웃 시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고, 또한 오동작의 방위목적도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R7) 및 콘덴서(C4)의 시정수에 의한 앤드게이트(G1)의 고전위 유지시간은 상기 적분회로(2)의 동작시간보다 약간 길게 설정해야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페이드 인 동작을 시키기 위해 페이드 인 스위치(PS2)를 순간적으로 접속시켰다고 하면, 전원(B+)은 저항(R2) 및 페이드 인 스위치(PS2), 다이오드(D4)를 통해 플립플롭(FF1)을 세트시키므로 그의 출력단자(Q),
Figure kpo00009
에는 고전위 신호 및 저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되고, 또한 페이드 인 스위치(PS2)를 통한 전원(B+9은 다이오드(D5)를 통해 플립플롭(FF2), (FF3)을 리세트 시키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는 모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그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10
에는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와 동일하게 트랜지스터(TR1), (TR2)가 온 되므로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 또는 페이드 인 스위치(PS1)를 다시 눌러도 플립플롭(FF1-FF3)의 출력신호는 변경되지 않아 오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립플롭(FF1), (FF2)의 출력단자(Q),
Figure kpo00011
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앤드게이트(G2)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G4)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때 앤드게이트(G2)의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은 상기와 동일하게 저항(R7) 및 콘덴서(C4)의 시정수 동안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와 같이 적분회로(2)의 출력신호는 부전위 상태를 유지하여 비교기(CP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그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저항(R18), (R19)에 의해 설정된 영전위보다 약간 낮은 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다이오드(D7) 및 저항(R20)을 통해 앤드게이트(G4)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 앤드게이트(G4)의 출력단자에 고전 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 고전위 신호는 저항(R11)을 통해 연산 증폭기(OP2)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부전위 신호는 적분회로(2)의 저항(R14) 및 콘덴서(C5), 연산증폭기(OP3)에서 적분되어 서서히 부전위가 얕아지게 되고, 이에따라 연산 증폭기(OP4)의 출력신호도 부전위에서 점점 얕아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 전위는 점차 양전위로 증가하게 되므로 음량증폭기(AMP1)에 입력되는 음량신호는 서서히 증가되어 페이드 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동작하여 적분회로(2)에서 출력되는 부전위가 영전위로 접근하게 되는 시점에서 비교기(CP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보다 그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낮게되어 그의 출력 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따라서, 이때 비로소 앤드게이트(G4)의 출력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적분회로(2)의 동작을 중지시켜 그의 출력신호를 영전위로 유지하게 되고, 이와같이 적분회로(2)의 출력신호가 영전위로 되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는 완전 오프되어 페이드 인 기능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비교기(CP1)를 이용하여 적분회로(2)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은 페이드 인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페이드 인 기능을 수행한 후에 다시 페이드 아웃 스위치(PS1)를 순간적으로 접속시키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페이드 아웃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동작중에 페이드 아웃 또는 페이드 인 버튼을 누르더라도 오동작되지 않고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시키는 시간이 항상 일정하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매우 향상되며, 또한 그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게된다.

Claims (1)

  1. 페이드 아웃, 페이드인 스위치(PS1), (PS2)를 다이오드(D3), (D4)를 통해 플립플롭(FF1)의 세트단자(S)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Q)를 콜렉터가 상기 스위치(PS1, PS2)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측 및 앤드게이트(G1G2)의 일측 입력단자에 공통 접속과 아울러 저항(R7)을 통해 콘덴서(C4) 및 베이스 측이 그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12
    )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 접속하여 그 접속점 및 초기리세트회로(1)의 출력측을 다이오드(D6), (D2)를 통해 그의 리세트단자(R)에 접속하며, 상기 스위치(PS1)를 플립플롭(FF2, FF3)의 세트단자(S)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PS2) 및 상기 초기 리세트회로(1)의 출력측을 다이오드(D5), (D1) 를 통해 그 플립플롭(FF2, FF3) 의 리세트단자(R)에 공통접속하여 그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
    Figure kpo00013
    는 상기 앤드게이트(G1), (G2)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14
    는 콜렉터가 상기 스위치(PS2) 및 다이오드(D4, D5)의 접속점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측에 접속하며, 상기 앤드게이트(G1), (G2)의 출력단자를 앤드게이트(G3), (G4)의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들의 출력단자를 연산 증폭기(OP1), (OP2)의 비반전 및 반전 입력단자측에 각기 접속한 후 그들의 출력단자를 음량증폭기 (AMP1)의 입력측에 접속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 단자에 적분회로(2) 및 연산증폭기(OP4)를 통해 접속하며, 상기 적분회로(2)의 출력측을 비반전 및 반전 입력단자에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비교기(CP1), (CP2) 및 다이오드(D7), (D8)를 각기 통해 상기 앤드게이트(G3), (G4)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증폭기의 페어더회로.
KR1019850009844A 1985-12-27 1985-12-27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KR88000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844A KR880002386B1 (ko) 1985-12-27 1985-12-27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844A KR880002386B1 (ko) 1985-12-27 1985-12-27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715A KR870006715A (ko) 1987-07-14
KR880002386B1 true KR880002386B1 (ko) 1988-11-03

Family

ID=1924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844A KR880002386B1 (ko) 1985-12-27 1985-12-27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3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715A (ko) 198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184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eliminating turn-on and turn-off clicks in an amplifier
SE7907853L (sv) Omkopplingskrets
KR880002386B1 (ko) 음량증폭기의 페이더회로
JPH05183436A (ja) 集積回路装置
JPH0155762B2 (ko)
SU1088677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гласовани телеф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с линией
JPS5816763B2 (ja) 信号出力回路
SU581568A1 (ru) Мостовой уси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JPS6122345Y2 (ko)
JPS5936039Y2 (ja) スイッチング回路
SU1633486A1 (ru) Полевой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JPH0215379Y2 (ko)
EP0181752A3 (en) Extended range amplifier circuit
JPH0138976Y2 (ko)
RU1798709C (ru) Индикатор уровн напр жени
SU6574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напр жений
KR880001800B1 (ko) 뮤팅 회로를 내장한 소전력 증폭용 집적회로
JPS5811055Y2 (ja) オ−デイオミユ−テイング回路
SU490255A1 (ru) Регулируем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опротивлений
KR920003804Y1 (ko) 고출력증폭기의 동시출력회로
SU643903A1 (ru) Интег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910007623Y1 (ko)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레벨차를 감소하기 위한 회로
JPS5812251Y2 (ja) イニシャル・リセット回路
KR900005302B1 (ko)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JPS5921531Y2 (ja) 直接結合増幅器のミユ−テイング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