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302B1 -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 Google Patents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302B1
KR900005302B1 KR1019870014891A KR870014891A KR900005302B1 KR 900005302 B1 KR900005302 B1 KR 900005302B1 KR 1019870014891 A KR1019870014891 A KR 1019870014891A KR 870014891 A KR870014891 A KR 870014891A KR 900005302 B1 KR900005302 B1 KR 900005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output
section
current sourc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198A (ko
Inventor
신영호
정덕영
연상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302B1/ko
Publication of KR89001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음성 증폭부 B : 바이어스 유지부
C : 비교 선택 및 전류원부 Q1- Q13: 트랜지스터
R1- R6: 저항
본 발명은 음성증폭회로의 바이어스 유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드(Mode)전환에 따라 음성증폭회로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될때 급작스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시간적 손실없이 출력을 내보낼 수 있는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의 출력단 증폭기나 기타 음성 증폭기에서, 외부스위치의 전환에 따라 동작 모드가 바뀌게 될때 오프상태의 증폭기가 정상 바이어스 상태에 이를때까지는 출력이 나타나지 않거나 팝(POP) 노이즈가 발생된다.
따라서 모드 전환에 따른 초기전원 인가시의 음성증폭 회로에서의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뮤팅회로가 사용되는데, 이 뮤팅회로는 음성 증폭기가 정상 바이어스 상태로 이르게 될때까지 상기 음성 증폭기의 출력을 오프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시간적 손실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음성 증폭회로에 그의 바이어스 유지회로를 추가하여 줌으로써 동작모드의 전환에 따른 급작스런 입력신호에 즉각 대응하게 하여, 시간적 손실을 가지지 않는 출력을 내보낼 수 있는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모드 전환 출력 전압을 비교 검출하는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의 출력이 음성 증폭부와 바이어스 유지부로 인가되게 연결하여,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오프 모드시, 바이어스유지부의 동작으로 음성증폭부의 동작점 바이어스가 항상 유지되게 함으로써 시간적 지연을 가지지 않은 음성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데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외부스위치(도시생략)의 모드 전환에 따라 바뀌게되는 모드전환 출력전압(V1, V2)을 비교 검출하는 비교 선택 및 전류원부(C)의 출력에 따라 음성증폭부(A) 또는 바이어스 유지부(B)가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연결하고, 바이어스 유지부(B)의 출력에 의해 음성증폭부(A)가 바이어스되게 연결구성한다.
한편 상기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는 전류원(I1)의 전류가 모드전환 출력전압(V1, V2)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 또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각각 트랜지스터(Q6, Q3) 및 저항(R3, R5)으로 구성되는 커런트미터회로 또는 트랜지스터(Q5, Q4) 및 저항(R4, R6)으로 구성되는 커런트미터회로로 인가되게 연결 구성하고, 상기 바이어스 유지부(B)는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의 출력이 기준전압(Vref)과 궤환저항(R1, R2)에 의한 궤환전압으로 바이어스되는 트랜지스터(AQ11, Q12)를 통하여 음성증폭부(A)의 트랜지스터(Q9, Q10, Q13)의 베이스로 인가되게 연결구성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외부스위치 전환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오프 모드시에서는 모드전환 출력전압(V1, V2)이 V1〉V2으로되어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의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로 입력되므로 트랜지스터(Q2)가 온 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출력 전류는 커런트미터회로로 구성되는 트랜지스터(Q4, Q5)의 각 베이스로 입력되므로 이들 트랜지스터(Q4, Q5)가 온되어, 궤환전합(Vref) 및 궤환저항(R1, R2)에 의한 바이어스 전압이 베이스로 인가되고 있는 트랜지스터(Q11, Q12)를 온시켜, 트랜지스터(Q9, Q10, Q1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외부스위치의 전환으로 오디오 시스템이 동작모드로 되면,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의 모드 전환출력 전압(V1, V2)이 V1〈 V2으로되어 트랜지스터(Q1, Q6)가 턴온되므로 커런트미터에 의한 트랜지스터(Q3)도 온된다.
따라서 음성증폭부(A)는 바이어스 유지부(B)에 의해 동작점으로 바이어스 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입력단(Vin)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즉각적인 출력을 출력단(V0ut)으로 내보내게 된다.
이때,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의 트랜지스터(Q2, Q5)는 턴오프 되므로 커런트미터에 의한 트랜지스터(Q4)도 턴오프되어 바이어스 유지부(B)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동작하게 되는 본 발명은 동작모드 변경으로 인한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뮤팅회로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출력단에서의 뮤팅을 위한 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므로 음향기기의 고급화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모드전환 출력전압(V1, V2)을 비교 검출하는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의 출력에 따라 음성증폭부(A) 또는 바이어스 유지부(B)가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연결하고, 바이어스 유지부(B)의 출력에 의해 음성증폭부(A)가 바이어스되게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또는 Q2)를 통한 전류원(I1)의 전류가 각각 트랜지스터(Q6, Q3) 및 저항(R3, R5) 또는 트랜지스터(Q5, Q4) 및 저항(R4, R6)의 커런트미터회로로 인가되도록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비교선택 및 전류원부(C)의 출력이 기준전압(Vref)과 궤환저항(R1, R2)에 의한 궤환전압으로 바이어스되는 트랜지스터(AQ11, Q12)를 통하여 음성증폭부(A)에 바이어스를 제공하도록 바이어스 유지부(B)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KR1019870014891A 1987-12-24 1987-12-24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KR900005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891A KR900005302B1 (ko) 1987-12-24 1987-12-24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891A KR900005302B1 (ko) 1987-12-24 1987-12-24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198A KR890011198A (ko) 1989-08-14
KR900005302B1 true KR900005302B1 (ko) 1990-07-27

Family

ID=1926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891A KR900005302B1 (ko) 1987-12-24 1987-12-24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3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198A (ko) 198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2357B1 (en) Current output circuit with controlled holdover capacitors
KR920011053A (ko) 단일 피이드를 가진 두개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고효율 파워 오디오 증폭기
KR960706223A (ko) 트랜스콘덕턴스 증폭기, 가변 이득 스테이지 및 자동 이득 제어 회로(Trans-conductance amplifier having a digitally variable transconductance as well as a variable gain stage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comprising such a variable gain stage)
US4063185A (en) Direct coupling type power amplifier circuit
WO1982002128A1 (en) Driver circuit having reduced cross-over distortion
KR850004674A (ko) 곱셈 회로
JPH0546571B2 (ko)
KR880010561A (ko) 음성출력증폭기
KR900005302B1 (ko)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US6211730B1 (en) Pre-amplifier circuit
EP0323059A2 (en) Amplifier circuit
KR970055268A (ko) 오디오신호 증폭회로
JP3039265B2 (ja) 電圧電流発生装置
JPH02177724A (ja) 出力バッファ回路
EP0028229B1 (en) A balanced amplifier output stage
JP3115612B2 (ja) 増幅回路
KR920002129Y1 (ko) 녹음 및 재생용 오디오증폭기
JPH1075126A (ja) カスコード接続回路
KR0129910Y1 (ko) 궤환 바이어스 회로
JP3343833B2 (ja) 電力増幅器
JP3261590B2 (ja) アナログ信号入力装置
KR900015440A (ko) 차동 증폭기
KR860003483Y1 (ko) 전원개폐시의 충격 잡음 제거회로
JPH0241973Y2 (ko)
JP3925373B2 (ja) 多値出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