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360Y1 -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60Y1
KR880002360Y1 KR2019850006118U KR850006118U KR880002360Y1 KR 880002360 Y1 KR880002360 Y1 KR 880002360Y1 KR 2019850006118 U KR2019850006118 U KR 2019850006118U KR 850006118 U KR850006118 U KR 850006118U KR 880002360 Y1 KR880002360 Y1 KR 880002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attery
resistor
charg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436U (ko
Inventor
백종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6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360Y1/ko
Publication of KR860015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제1(a)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전제어회로를 휴대용 VTR에 적용시킨 경우를 도시해 놓은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P : 전압비교기 PR : 포지스터(POSISTEOR)
BAT : 밧데리 LD1 : 발광다이오드
SW1 : 밧데리충전스위치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충전용 밧데리를 충전시켜 주는 한편 밧데리의 충전이 완료되게 되면 그 상태를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해 주면서 충전동작을 정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밧데리의 이상상태에 따라 충전동작을 제어해 주도록 된 밧데리의 충전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충전용 밧데리를 재충전시킬 경우 충전초기상태에서는 밧데리에 낮은 공급전류가 흐르게 되지만 밧데리의 충전이 완료되어 갈수록 그 전류치는 증가하게 되는 바, 여기서 충전중인 밧데리에 적정치의 전하가 충전되였음에도 전류가 계속 흘러서 밧데리가 적정치 이상으로 충전된 경우에는 고가의 충전용 밧데리 자체의 수명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과전류로 인해 충전장치까지도 손상시킬 우려가 있게 된다.
그 일례로 휴대용 VTR을 사용할 경우에는 AC전원이 아닌 내장된 충전용 밧데리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해서 녹화/재생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밧데리의 전원이 소모된 경우에는 이 소모된 밧데리를 재충전시켜 다시 휴대용 VTR을 사용하도록 되었는 바,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재충전시에 별도의 밧데리충전기를 사용해서 소모된 밧데리의 전원을 재충전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었으나 이러한 충전방법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사의 번거로움이 뒤따랐다. 또, 상기와 같은 밧데리충전기를 사용한다 해도 밧데리의 충전시에 사용자가 밧데리에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충전되는 밧데리에 충전용전류를 계속 인가하게 됨으로써 전류의 소모가 많게 됨은 물론 고가의 밧데리 또는 밧데리충전기가 파손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VTR에 내장시켜 충전용 밧데리를 충전시켜 주는 한편 밧데리의 충전완료상태를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해 주어 시각적으로 충전완료상태를 나타내면서 충전동작을 정지시켜 주고, 또 충전시 밧데리의 이상상태에 따라 밧데리의 충전동작을 제어해주어 밧데리 충전후에도 발생되는 과전압을 방지해 주므로써 편리하고 안전하게 밧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밧데리의 충전제어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충전용 밧데리(BAT)의 입력측에 저항(R12)을 매개로 해서 전압비교기(CP)의 (-)단자가 결속됨과 더불어 다이오드(D4)를 매개해서 저항(R10) 및 트랜지스터(TR7)의 콜렉터가 접속되고, 상기 전압 비교기(CP)의 (+)단자에 가변저항(R13)이 접속되는 한편 저항(R11)을 매개해서 B+단자와 열감지 저항인 포지스터(PR) 및 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가 접속되며, 상기 전압비교기(CP)의 출력단에 저항 (R14)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저항(R10)과 접지사이에 발광다이오드 (LD1)가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에 저항(R15)을 매개해서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가 접속됨과 더불어 포지스터(PR)가 베이스와 접속된 트랜지스터(TR6)의 에미터가 에미터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6)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는 상기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회로도이고, 이 회로를 휴대용 VTR에 적용시킨 예가 제2도에 도시해 놓은 회로도이다. 제2도에서는 교류전원이 트랜스포머를 통해 정류기에 공급되게 되면 정류기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이 부데크(SD)와 트랜지스터(TR1)(TR5) 및 밧데리충전스위치(SW1)에 각각 공급되게 되는 바, 이때 본 고안의 충전제어회로에 접속된 충전용 밧데리(BAT)를 충전시키ㅈ 않고 AC전원으로 사용할 때에는 밧데리충전스위치(SW1)를 오프상태로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틀내지스터(TR2)(TR3)의 베이스에 하이레벨이 각각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2)(TR3)가 각각 턴온되게 되고, 그에 따라 B+전압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인가되지 않게 되는 한편 정류기를 통과한 입력전압이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되어서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게 됨으로써 정류기를 통한 17V~18V의 주전원은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주데크(MD)로 공급되게 도니다(단 주데크의 정전압은 주전원 보다 낮으므로 12V 정전압 IC(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조절), 그러므로, 정류기를 통한 입력전압은 주데크(MD)와 부데크(SD)로 각각 공급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밧데리의 충전제어회로에 대해서는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4)가 턴오프되고 있어 트랜지스터(TR5)로 턴오프되게 됨으로써 주전원이 충전용 밧데리(BAT)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충전용 밧데리(BAT)를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밧데리충전스위치(SW1)를 온상태로 해 주게 되면 트랜지스터(TR2)(TR3)의 베어스에 각각 로우레벨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2)(TR3)가 각각 턴온되게 되고, 이어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게 됨으로써 주데크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그때 주데크(MD)의 콘덴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충전되어 있던 충전전압은 다이오드(D3)를 통해서 루우프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역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TR1)가 파괴되는 경우를 방지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TR3)는 밧데리충전스위치(SW1)가 온상태로 됨과 동시에 턴오프되게 됨으로써 B+전압이 저항(R6~R8)을 통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하이레벨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4)가 터온되게 됨으로써 저항(R9)(R10)에 의해 전압이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5)가 턴온됨에 따라 밧데리충전제어회로에 주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어, 본 고안인 밧데리의 충전제어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TR5)가 턴온상태로 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6)가 턴온되는 한편, 전압비교기(CP)의 (+)단자에는 저항(R11)(R13)에 의해 트랜지스터(TR5)를 통한 주전원이 분압되어 인가되게 되고, 또 전압비교기(CP)의 (-)단자에는 초기상태시 로우레벨이 인가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압비교기(CP)의 출력단으로 부터 하이레벨이 출력되어 틀내지스터(TR8)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된다. 이에 따라 틀내지스터(TR8)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전위를 로우레벨로 해 주게 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7)가 턴온되게 된다. 따라서, 틀내지스터(TR5)(TR6)(TR7)를 통한 전압(B+)이 저항(R10)을 통해 발광다이오드(LD1)를 점등시켜 줌과 더불어 밧데리 전압이 역으로 걸리는 것을 방지해 주는 다이오드(D4)를 통해 충전용 밧데리(BAT)에 공급되게 됨으로써 상기 충전용 밧데리(BAT)에 충전이 시작하게 된다.
이어, 충전용 밧데리(BAT)에 거의 충전이 이루어져서 상기 존압비교기(CP)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게 되는 밧데리(BAT)어 부터의 전압과 저항(R11. R13)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과의 차가 소정레벨 이하로 되게 되면 전압비교기(CP)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출력되고, 그로 부터 트랜지스터(TR8)와 트랜지스터(TR7)가 턴오프되게 됨으로써 충전표시용 발광다이오드(LD1)가 소등됨과 더불어 충전용 밧데리(BAT)로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충전표시용 발광다이오드(LD1)가 소등됨에 따라 충전용 밧데리(BAT)가 충전완료되었음을 알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시 과도현상등에 의해 충전용 밧데리(BAT)가 과열되는 경우에는 이 충전용 밧데리(BAT)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저항값이 증가하게 되는 열감지저항인 포지스터(PR)의 저항값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전류가 감소되어 이 트랜지스터(TR6)가 턴오프되게됨으로써 상기 동작과 마찬가지로 충전표시용 발광다이오드(LD1)가 소등됨과 더불어 충전용 밧데리(BAT)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내에 내장됨에 따라 별도의 밧데리충전기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또 전압비교기 및 열감지저항인 포지스터를 사용해서 밧데리의 충전완료 또는 과도현상의 발생과 동시에 충전용 전압을 자동적으로 차단해 줌과 더불어 충전표시용 발광다이오드로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밧데리의 충전제어회로를 실현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전압비교기(CP)의 제어를 받아서 B+단자로 부터 트랜지스터(TR7)와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충전용 밧데리(BAT)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밧데리 충전회로에 있어서, (+)입력단에 최대 충전 전압 설정용의 저항(R11) 및 가변저항(R13)이 병렬 접속됨과 더불어(-)입력단에 저항(R12)을 통해서 상기 충전용 밧데리(BAT)가 접속된 전압비교기(CP)의 출력단에는 상기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에 접속된 저항(R15) 접지사이에 그 컬렉터 ·에미터간의 전류통로가 직렬접속된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가 저항(R14)을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틀내지스터(TR7)의 컬렉터와 다이오드(D4)간의 접속점과 접지사이에 저항(R10) 및 충전표시용 발광다이오드(LD1)가 직렬 접속되며, 상기 B+단자와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사이에 트랜지스터(TR6)가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와 컬렉터사이에 포지스터(PR)가 접속되어져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의 충전제어회로.
KR2019850006118U 1985-05-24 1985-05-24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KR880002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118U KR880002360Y1 (ko) 1985-05-24 1985-05-24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118U KR880002360Y1 (ko) 1985-05-24 1985-05-24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436U KR860015436U (ko) 1986-12-30
KR880002360Y1 true KR880002360Y1 (ko) 1988-07-02

Family

ID=1924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118U KR880002360Y1 (ko) 1985-05-24 1985-05-24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3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436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3035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harging electric storage battery
US7439708B2 (en) Battery charger with control of two power supply circuits
JPH0720349B2 (ja) 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ー
US5663629A (en) Battery charger which detects the battery charging status
US7457141B2 (en) AC adaptor
KR880002360Y1 (ko)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JPS63316643A (ja) 充電回路
JP3096319B2 (ja) 急速充電器
JP3945563B2 (ja) 二次電池装置
KR100453883B1 (ko) 배터리 충전 장치
US4853606A (en) Secondary battery quick charging circuit
JPS62107641A (ja) 充電制御回路
KR930006830Y1 (ko) 밧데리 충전 제어장치
JPS6212734B2 (ko)
JPS61157238A (ja) 画像形成装置
KR910003266Y1 (ko) Vtr의 정전시 테이프 추출 회로
JP3165119B2 (ja) 充電回路
JPH0970145A (ja) 定電圧充電器
JPH0950827A (ja) 充電器の電池接続の有無を検出する装置
KR850001548Y1 (ko) 바테리의 충전 감지회로
JPH0353574Y2 (ko)
JPH047654Y2 (ko)
JPS61157240A (ja) 画像形成装置
JP2522713Y2 (ja) 充電器制御回路
JPH0717237Y2 (ja) 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