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278Y1 -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 Google Patents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278Y1
KR880002278Y1 KR2019840011510U KR840011510U KR880002278Y1 KR 880002278 Y1 KR880002278 Y1 KR 880002278Y1 KR 2019840011510 U KR2019840011510 U KR 2019840011510U KR 840011510 U KR840011510 U KR 840011510U KR 880002278 Y1 KR880002278 Y1 KR 880002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il
chamber
piston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551U (ko
Inventor
요시노부 미즈사끼
Original Assignee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야시다 유끼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52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3260U/ja
Priority claimed from JP35662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47570U/ja
Application filed by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야시다 유끼가즈 filed Critical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9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being integral with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5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brake fluid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제 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마스터 실린더의 종단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밸브장치 주변의 확대 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마스터 실린더의 종단면도.
제 4도는 제 3도에서의 밸브장치 주변의 확대 단면도.
제 5도는 제 4도에서의 III화살표 방향에서 본 원통 형상 밸브체의 끝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실린더 본체 R : 오일통
1 : 실린더 구멍 1a : 작은 직경부
1b : 큼 직경부 2a' : 앞쪽 피스턴
2b' : 뒤쪽 피스턴 2a : 작은 직경의 피스턴부
2b : 큰 직경의 피스턴부 3a : 앞쪽 유압실
3b : 뒤쪽 유압실 4a,4b : 출력 포오트
5a,5b : 피스턴 캡 6a : 앞쪽 보급 오일실
6b : 뒤쪽 보급 오일실 7a,7b : 오일 구멍
8a,8b : 리턴 스프링 9 : 피스턴 간격 규제장치
10 : 워셔 11 : 보울트
12 : 고정 시이트 13 : 가동 시이트판
14 : 보조 오일통 15 : 주 오일통
16 : 유량 감소 경보장치 17 : 자석 부착 플로우트
18 : 리이드 스위치 19 : 간막이벽
20a : 앞쪽 오일 저장실 20b : 뒤쪽 오일 저장실
21a,21b : 릴리이프 포오트 22a,22b : 공급 포오트
23 : 관통 오일 통로 24 : 바깥쪽 개구부
25 : 밸브실 26 : 플러그
27 : 밸브장치 28 : 원통 형상 밸브체
29 : 돌기부 30 : 스프링 수용부
31 : 밸브 스프링 32 : 밸브 시이트
33 : 한쪽 방향 밸브 34 : 밸브 시이트
35 : 고리 형상체 36 : 보올 형상 밸브체
37 : 밸브 스프링 38 : 압력 응력 동작 밸브
39 : 오리피스(Orifice) 40 : 리브
41 : 간격 42 : 바이패스
221b : 릴리이프 포오트 222b : 공급 포오트
223 : 관통 오일 통로 224 : 바깥쪽 개구부
225 : 밸브실 226 : 플러그
227 : 밸브장치 228 : 원통 형상 밸브체
231 : 밸브 스프링 232 : 밸브 시이트
233 : 한쪽 방향 밸브 234 : 밸브 시이트
235 : 밸브 시이트 부재 236 : 보올 형상 밸브체
237 : 밸브 시이트 238 : 압력 응력 동작 밸브
246 : 보올 형상부 242 : 바이패스
247 : 원통 형상부 248 : 단턱부
249 : 연결 통로 250 : 돌기부
251 : 단턱부 252 : 미세홈
a : 밸브 시이트쪽 공간 b : 원통 형상부쪽 공간
본 고안은, 피스턴의 최초 움직임시에 유압실에 압력 오일을 급속하게 충전하여, 차륜 브레이크등의 작동 기기의 헛놀음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마스터 실린더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번호 : 실개소 57-13545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에 앞의 작은 직경부와 뒤의 큰 직경부로 되는 단턱이 있는 실린더 구멍을 형성하고, 이 실린더 구멍에, 상기 작은 직경부 및 큰 직경부에 각각 대응하는 작은 직경 피스턴부 및 큰 직경 피스턴부를 가지는 피스턴을 미끄럼 맞춤하고, 이 피스턴의 소정의 후퇴위치에서 상기 작은 직경 피스턴부 전방에 형성되는 유압실로 개구하는 릴리이프 포오트와, 상기 작은 직경 피스턴부 및 큰 직경 피스턴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급 오일실로 개구하는 공급 포오터와를, 실린더 본체에 그것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관통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오일통에 연결되어 통하게 하고, 이 관통 오일 통로에는 밸브장치를 사이에 형성하고, 이밸브장치는, 상기 보급오일실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한때에 열리는 압력 응력 동작 밸브와, 상기 오일통으로 부터 상기 보급 오일실로의 한쪽 방향으로만 오일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쪽 방향 밸브와, 압력 응력 동작 밸브 및 한쪽 방향 밸브를 우회하고, 오일통과 보급 오일실과의 사이를 연결하여 통하는 유통로 저항이 큰 바이패스와를 구비하여 되는 것이 종래에 알려져 있지만, 이것에 있어서는 실린더 본체에, 밸브장치의 밸브실을 관통 오일통로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뚫어 형성하고, 그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압력 응력 동작 밸브 및 한쪽 방향 밸브가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양쪽 밸브를 밸브실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장치가 대형화 됨과 동시에, 오일의 흐름이 스므스하지 못하며, 또한 밸브실 및 관통 오일통로의 실린더 본체 바깥면에 개구하는 개구부를 각각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들 플러그의 붙임 고정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또한 부품수가 많게 되어 비경제적인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불합리한 점을 해소한 간단하고 유효한 상기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한쪽 방향 밸브의 유밀성을 양호하게 하여 급속 충전 조작을 확실하게 행하고 또한 한쪽 방향밸브 및 압력 응력 동작 밸브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그들의 양쪽 밸브의 작동을 항상 원할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관통 오일 통로를 실린더 본체에 그뒤 끝단면으로 부터 뚫어 형성하여, 관통 오일 통로내의 바깥쪽 개근부 근방에 밸브실을 형성하고, 이 밸브실에는 그의 안쪽 끝단면에 형성한 밸브 시이트에 대향하는 원통 형상 밸브체와, 원통 형상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이트쪽으로 힘을 가하는 밸브 스프링으로써 구성하는 한쪽 방향 밸브 및 상기 원통 형상체내에 형성한 압력 응력 동작 밸브를 그들이 관통 오일 통로의 중심선 방향으로 개폐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밸브실의 끝단벽으로서 플러그를 관통 오일 통로의 바깥개구부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통 형상 밸브체는 상기 밸브 시이트쪽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실에 회전 및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끼워 맞춤되는 보올 형상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 1도의 마스터 실린더는 2계통식 유압 브레이크용인 탠덤식(Tandem Type)으로서, 그 실린더 본체(M)의 실린더 구멍(1)에는 앞쪽 피스턴(2a') 및 뒤쪽 피스턴(2b')이 직렬로 미끄럼 맞춤되고, 앞쪽 피스턴(2a')과 시린더 구멍(1)의 앞쪽 끝단벽 사이에 앞쪽 유압실(3a)이, 또 양쪽 피스턴(2a'),(2b')사이에 뒤쪽 유압실(3b)이 각각 구획형성되고, 그들 유압실(3a),(3b)의 출력 포오트(4a),(4b)에 2계통의 브레이크 유압회로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피스턴(2a'),(2b')은 앞끝단에 탄성의 피스턴 캡(5a),(5b)을 붙임 고정하고, 또 각 피스턴(2a'),(2b')의 중간부에 고리형상의 홈을 가져서, 이들의 홈이 실린더 구멍(1)내에 앞, 뒤쪽 보급 오일실(6a),(6b)을 구획형성한다.
이들 보급 오일실(6a),(6b)을 피스턴 캡(5a),(5b)의 뒤쪽으로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오일 구멍(7a),(7b)이 각 피스턴(2a'),(2b')에 형성되어 있다.
앞쪽 유압실(3a)에는 앞쪽 피스턴(2a')을 후퇴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8a)이 수용되고, 앞쪽 피스턴(2a')의 후퇴 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피스턴 간격 규제장치(9)가 앞,뒤쪽 피스턴(2a'),(2b')사이에 형성되고, 뒤쪽 피스턴(2b')의 후퇴한도는 그것이 실린더 구멍(1)의 내벽에 걸린 워셔(10)와의 맞닿음에 의하여 결정된다.
피스턴 간격 규제장치(9)는, 뒤쪽 피스턴(2b')의 앞끝단에 보울트(11)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 사이트판(12)과, 상기 보울트(11)위를 제한된 행정 범위에서 앞뒤로 미끄럼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동 시이트판(13)과, 양쪽 시이트판(12)(13)사이에 압축 설치된 리턴 스프링(8b)이 형성되며, 그 리턴 스프링(8b)은 세트 하중이 상기 앞쪽 피스턴(2a')의 리턴 스프링(8a)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8b)은 통상 양쪽 시이트판(12),(13)의 간격을 최대로 벌리고, 또한 리턴 스프링(8a)과의 협동에 의하여 양쪽 피스턴(2a'),(2b')을 각각 소정의 후퇴한도로 유지시킨다.
실린더 본체(M)의 위쪽에는 앞쪽 유압실(3a)에 인접하여 원통 형상의 보조 오일통(14)이 일체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그 상단부에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주 오일통(15)이 연결 설치되어, 이들에 의하여 오일통(R)이 구성된다.
주 오일통(15)에는 공지의 플로우트식 유량 감소 경보장치(16)가 형성되고, 그것은 주 오일통(15)내의 오일면이 규정 레벨이하로 저하된 때에 자석부착 플로우트(17)가 그것에 따라 음직여서 리이드스위치(18)를 접속시키어, 도시되지 않은 경보 램프를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보조 오일통(14)은, 실린더 본체(M)와 일체인 간막이벽(19)에 의하여, 앞, 뒤쪽 오일 저장실(20a),(20b)로 구분 되어 있고, 각 피스턴(2a'),(2b')이 소정의 후퇴한도에 위치할때, 앞쪽 오일 저장실(20a)이 릴리이프 포오트(21a)및 공급 포오트(22a)를 사이에 두고 앞쪽 유압실(3a) 및 앞쪽 보급 오일실(6a)에 각각 연결되어 통하고, 또 뒤쪽 오일 저장실(20b)로 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실린더 본체(M)의 긴몸체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 오일통로(23)가 릴리이프 포오트(21b) 및 공급 포오트(22b)를 사이에 두고, 뒤쪽 유압실(3b) 및 뒤쪽 보급 오일실(6b)로 각각 연결되어 통한다.
뒤쪽 피스턴(2b')은 뒤쪽 보급 오일실(6b)을 사이에 두고 앞, 뒤로 병렬한 작은 직경의 피스턴부(2a)와 큰 직경의 피스턴부(2b)를 가지며, 상기 피스턴 캡(5b) 및 오일 구멍(7b)은 작은 직경의 피스턴부(2a)에 설치되어 있다.
그들 피스턴부(2a),(2b)에 대응하여 실린더 구멍(1)의 뒤부분도 작은 직경부(1a)와 큰 직경부(1b)를 가지도록 단턱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 오일 통로(23)는, 실린더 본체(M)에 그 뒤끝 단면쪽으로 부터 뚫려 형성된 것으로, 이 관통 오일 통로(23)내의 바깥쪽 개구부(24) 근방에는 원통 형상의 밸브실(25)이 형성된다.
관통 오일 통로(23)의 바깥쪽 개구부(24)는, 그것에 나사식 붙임한 프러그(26)에 의하여 폐쇄된다.
따라서, 이 프러그(26)는 밸브실(25)의 끝단벽으로서도 기능을 한다.
밸브실(25)내에는, 뒤쪽 오일 저장실(20b)과 뒤쪽 보급 오일실(6b)사이가 연결되어 통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장치(27)가 형성된다.
이 밸브장치(27)는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끝단을 개구한 속이빈 원통 형상 밸브체(28)를 가지며, 이 원통 형상 밸브체(28)는, 바깥둘레면에 돌출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돌기부(29)를 사이에 두고 밸브실(25)내에 관통 오일 통로(23)의 중심선 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끼워 맞춤된다.
원통 형상 밸브체(28)와 플러그(26)사이의 스프링 수용부(30)에는 상기 공급 포오트(22b)가 연결되어 통하고, 이 수용부(30)에 밸브 스프링(31)이 압축 설치되며, 그 밸브 스프링(31)의 탄발력에 의하여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반구(半球)형상 끝단면이 뒤쪽 오일 정장실(20b)쪽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구멍 입구 둘레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밸브 시이트(32)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원통 형상 밸브체(28)와, 밸브 시이트(32) 및 밸브 스프링(31)은 뒤쪽 오일 저장실(20b)로 부터 뒤쪽 보급 오일실(6b)로의 한쪽 방향으로만 오일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쪽 방향 밸브(33)를 구성한다.
상기 릴리이프 포오트(21b)는,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바깥 둘레에 있어서 밸브실(25)에 연결되어 통한다.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스프링 수용부(30)에 개구하는 개구부 안쪽 둘레면에는, 밸브시이트(34)를 가지는 고리 형상체(35)가 끼워 붙임되고, 또한 원통 형상 밸브체(28)내에는 밸브 시이트(34)와 대향하는 보올 형상 밸브체(36)와, 그 밸브체(36)를 밸브 시이트(34)쪽으로 탄성력을 갖는 밸브 스프링(37)이 형성되어, 이들의 보올 형상 밸브체(36)와, 밸브 시이트(34) 및 밸브 스프링(37)은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한 때에 열리는 압력 응력 동작 밸브(38)를 구성한다.
또한, 밸브실(25)의 밸브 시이트(32) 근방의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원주벽에는, 오리피스(39)가 형성되고, 그 오리피스(39) 및 원통 형상 밸브체(28) 안쪽 둘레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40) 사이의 간격(41)을 사이에 두고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바깥 둘레와 안쪽 둘레가 연결되어 통한다.
이들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안쪽, 바깥 둘레 및 오리피스(39)는, 한쪽 방향 밸브(33) 및 압력 응력 동작 밸브(38)를 우회하고, 뒤쪽 오일 저장실(20b)과 릴리이프 포오트(21b)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통하는 유로 저항이 큰 바이패스(42)를 구성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여 뒤쪽 피스턴(2a')을 제 1도에서 후퇴 위치로 부터 전진시키면 양쪽 피스턴(2a'),(2b')은 리턴 스프링(8a),(8b)을 각각 압축하면서 전진하여, 각 피스턴 캡(5a),(5b)이 릴리이프 포오트(21a),(21b)를 닫고나서 각 피스턴(2a'),(2b')의 전진량에 따라 각 유압실(3a),(3b)에 유압을 발생시키고, 이들 유압을 출력 포오트(4a),(4b)로 부터 출력시켜서 각각 대응하는 차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동안에, 특히 뒤쪽 피스턴(2b')의 큰 직경의 피스턴부(2b)의 전진에 따라서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용적이 축소되기 때문에, 이 보급 오일실(6b)로 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오리피스(39)의 큰 유로저항과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반구 형상 끝단면이 테이퍼 형상의 밸브 시이트(32)에 자리잡고 있음으로 확실한 유밀성에 의하여 관통 오일 통로(23)쪽으로 거의 되돌아가지 못하고, 오일 구멍(7b)을 통하여 피스턴 캡(5b)의 바깥 둘레를 앞쪽으로 굽히면서 뒤쪽 유압실(3b)로 압송된다.
따라서, 뒤쪽 유압실(3b)에는 압력 오일의 급속 충전이 행하여지고, 그 결과 각 출력 포오트(4a),(4b)에는 조기에 출력 유압이 발생하여 각 차륜 브레이크의 헛놀음이 신속하게 제거되고, 이들을 시간의 지체없이 작동시킬 수 있다.
뒤쪽 유압실(3b)의 승압에 의하여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유압이 압력 응력 동작 밸브(38)의 규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보올 형상 밸브체(36)를 밸브 스프링(37)의 힘에 저항하여 제 2도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압력 응력 동작 밸브(38)를 열림 상태로 하기 때문에, 뒤쪽 보급 오일실(6b)로 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공급 포오트(22b), 압력 응력동작 밸브(38) 및 관통 오일 통로(23)를 통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에로 반송되고, 이리하여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과도한 압력 상승이 억제되기 때문에 뒤쪽 피스턴(2b')의 전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브레이크 페달에 의한 조작력을 해제하면, 양쪽 피스턴(2a'),(2b')은 각각 리턴스프링(8a),(8b)의 복원력에 의하여 소정의 후퇴한도로 돌아가고, 그 복원 과정에서 앞, 뒤쪽 유압실(3a),(3b)이 감압되고, 피스턴 캡(5a),(5b)의 바깥둘레부는 그 앞, 뒤의 압력차에 의하여 앞쪽으로 굽혀져서 실린더 구멍(1)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그 결과 앞쪽 오일 저장실(20a)의 오일이 공급 포오트(22a), 앞쪽 보급 오일실(6a)및 오일구멍(7a)을 거쳐서 앞쪽 유압실(3a)로 보급되고, 또한 스프링 수용부(30)의 기름이 공급 포오트(22b), 뒤쪽 보급 오일실(6b) 및 오일 구멍(7b)를 거쳐서 뒤쪽 유압실(3b)로 보급되며, 이에 수반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의 오일은 원통 형상 밸브체(28)를 밸브 스프링(31)의 힘에 저항하여 제 2도 우측으로 이동시켜 한쪽 방향 밸브(33)를 열림 상태로 하기 때문에, 그 오일은 관통 오일 통로(23), 원통 형상 밸브체(28)의 바깥 둘레를 스므스하게 통과하여 효율좋게 스프링 수용부(30)로 흘러든다.
각 피스턴(2a'),(2b')이 소정의 후퇴 위치에 되돌아 가면, 릴리이프 포오트(21a),(21b)가 유압실(3a),(3b)에 각각 개구하기 때문에, 앞쪽 유압실(3a)의 기름의 과잉 공급분은 릴리이프 포오트(21a) 및 바이패스(42)를 통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로 방출된다.(제 2도에서의 화살표 참조).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탠덤식 마스터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피스턴식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2]
제 3도, 제 4도 및 제 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장치 이외는 실시예 1의 구성과 거의 마찬가지이고, 본 실시예 2의 구성중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에서 관통 오일 통로(223)는, 시린더 본체(M)에 그 뒤끝단면쪽으로 부터 뚫어 형성한 것으로, 이 관통 오일 통로 (223)내의 바깥 개구부(224) 근방에는 원통 형상 밸브실(225)이 형성된다.
관통 오일 통로(223)의 바깥 개구부(224)는, 그것에 나사식 붙임 고정한 플러그(226)에 의하여 폐쇄되며, 따라서 이 플러그 (226)는 밸브식(225)의 끝단벽으로서도 기능을 한다.
이 밸브식(225)에 릴리이프 포오트(221b) 및 공급 포오트(222b)가 개구되어 있다.
밸브실(225)내에는, 뒤쪽 오일 저장실(20b)과 뒤쪽 보급 오일실(6b)사이의 연결되어 통함을 제어하는 밸브장치(227)가 형성된다.
이 밸브장치(227)는 제 3도 및 제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 오일 저장실(20b)로 부터 뒤쪽 보급 오일실(6b)로의 한쪽 방향으로만 오일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쪽 방향 밸브(233)와, 그 한쪽 방향 밸브(233)내에 넣어 조립되고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한 때에 열리는 압력 응력 동작 밸브(238)와, 양밸브(233),(238)를 우회하고 뒤쪽 오일 저장실(20b)과 릴리이프 포오트(221b)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통하는 유로저항이 큰 바이패스(242)와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 방향 밸브(233)는, 밸브실(225)의 뒤쪽 오일 저장실(20b)쪽에 위치하는 안쪽 끝단면에 형성된 밸브 시이트(232)와, 밸브 시이트(232)와 대향하는 원통 형상 밸브체(228)와, 원통 형상 밸브체(228)를 밸브 시이트(232)쪽으로 힘을 가하는 밸브 스프링(231)으로 구성된다.
원통 형상 밸브체(228)는, 밸브 시이트(232)쪽에 위치되어 밸브실(225)에 회전 및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끔 끼워 맞춤되는 보올 형상부(246)와, 그 보올 형상부(246)에 연결되어 그것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 형상부(247)로 이루어진다. 원통 형상부(247)의 플러그(226)쪽의 끝단면에는 단턱부(248)가 형성되고 그 단턱부(248)와 플러그(246)사이에 상기 밸브 스프링(231)이 압축 설치되며, 통상은 밸브 스프링(231)의 탄발력으로 보올 형상부(246)를 밸브 시이트(232)에 자리잡게 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을 뒤쪽 보급 오일실(6b)에 대하여 차단하고 있다.
보울 형상부(246)에는, 밸브실(225)내의 밸브 시이트쪽 공간(a)과 원통 형상부쪽 공간(b)을 연결하여 통하는 4개의 절결 형상 연결 통로(249) 및 돌기부(250)가 제 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혀성되어, 보올 형상부(246)가 밸브 시이트(232)로 부터 떨어지면 관통 오일 통로(223)의 밸브실(225)보다도 상류부의 오일이 각 연결통로(249)를 거쳐서 원통 형상부쪽 공간(b)으로 흘러든다.
원통 형상부(247)에서의 플러그(226)쪽 개구부에는 밸브 시이트 부재(235)가 장착된다.
상기 압력 응력 동작 밸브(238)는, 밸브 시이트 부재(235)의 안쪽 끝단면에 형성된 밸브 시이트(234)와, 그 밸브 시이트(234)에 대향하는 보올 형상 밸브체(236)와, 보올 형상 밸브체(236)와 보올 형상부(246)내의 단턱부 (251) 사이에 압축 설치되어 그 보올 형상 밸브체 (236)를 밸브 시이트(234)쪽으로 세력을 가하는 밸브 스프링(237)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은 밸브 스프링(237)의 탄발력으로 보올 형상 밸브체(236)를 밸브 시이트(234)에 자리잡게하여 뒤쪽 보급 오일실(6b)을 뒤쪽 오일 저장실(20b)에 대하여 차단하고 있다.
상기 바이패스(242)는, 밸브실(225)의 원통 형상부쪽 공간(b), 각 연결통로(249), 밸브실(225)의 밸브 시이트쪽 공간(a) 및 보올 형상부(246)의 앞끝단면에 형성된 미세홈(252)으로 이루어지며, 그 미세홈(252)은 항상 관통 오일 통로(223)와 밸브실(225)의 밸브 시이트쪽 공간(a)과를 연결하여 통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함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폐달을 조작하여 뒤쪽 피스턴(2b')을 제 3도에서 후퇴 위치로 부터 전진시키면 양 피스턴 (2a'),(2b')은 리턴 스프링(8a),(8b)를 각각 압축하면서 전진하여, 각 피스턴 캡(5a),(5b)이 릴리이프 포오트(21a),(21b)를 닫고나서 각 피스턴(2a'),(2b')의 전진량에 따라 각 유압실(3a),(3b)에 유압을 발생시키고, 이들 유압을 출력 포오트(4a),(4b)로 부터 출력시켜서 각각 대응하는 차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동안에, 특히 뒤쪽 피스턴(2b')의 큰 직경의 피스턴부(2b)의 전진에 따라서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용적이 축소되기 때문에, 이 보급 오일실(6b)로 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미세홈(252)의 큰 유로 저항과 한쪽 방향 밸 밸브(233)에서의 보올 형상부(246)가 둥근 면을 이루어 밸브 시이트(232)에 자리잡고 있음으로 확실한 유밀성에 의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쪽으로는 거의 되돌아가지 못하고, 오일 구멍(7b)을 통하여 피스턴 캡(5b)의 바깥둘레부를 전방으로 굽히면서 뒤쪽 유압실(3b)로 압송된다.
따라서 뒤쪽 유압실(3b)에는 압력유의 급속 충전이 행하여지고 그 결과 각 출력 포오트(4a),(4b)에는 조기에 출력 유압이 발생하여 각 차륜 브레이크의 헛놀음이 신속하게 제거되고, 이들을 시간지체 없이 작동시킬수 있다.
뒤쪽 유압실(3b)의 승압에 의하여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유압이 압력 응력 동작 밸브(238)의 규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보올 형상 밸브체(236)를 밸브 스프링(237)의 힘에 저항하여 제 4도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압력 응력 동작 밸브(238)를 열림 상태로 하기 때문에,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공급 포오트(222b)로 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압력 응력 동작 밸브(238)로 부터 관통 오일 통로(223)의 상류측을 통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로 반송되고, 이리하여 뒤쪽 보급 오일실(6b)의 과도한 압력 상승이 억제되기 때문에 뒤쪽 피스턴(2b')의 전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브레이크 폐달에 의한 조작력을 해제하면, 양 피스턴(2a'),(2b')은 각각 리턴 스프링(8a),(8b)의 복원력에 의하여 소정의 후퇴한도로 되돌아가고, 그 복원 과정에서 앞, 뒤쪽 유압실(3a),(3b)이 감압되고, 피스턴 캡(5a),(5b)의 바깥 둘레는 그 앞, 뒤의 압력차에 의하여 앞쪽으로 굽혀져 실린더 구멍(1)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그 결과 앞쪽 유압실(3a)로 보급되고, 또한 밸브실(225)의 원통 형상부쪽 공간(b)의 오일이 공급 포오트(222b), 뒤쪽 보급 오일실(6b) 및 오일 구멍(7b)을 거쳐서 뒤쪽 유압실(3b)로 보급되며, 이에 수반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의 기름은 원통 형상 밸브체(228)를 밸브 스프링(231)의 힘에 저항하여 제 4도 우측으로 이동시켜 한쪽 방향 배브(223)를 열림 상태로 하기 때문에, 그 오일은 관통 오일 통로(223)의 상류측으로 부터 밸브실(225)의 원통 형상부쪽 공간(b)으로 효율좋게 흘러 든다.
이 경우 한쪽 방향 밸브(233)에서의 보올 형상부(246)는 밸브실(225) 안쪽면에 선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원통 형상 밸브체(228)의 미끄럼 동작 저항이 작아서 원통 형상 밸브체(228)의 작동은 원활하고도 안정되게 행하여 진다.
각 피스턴(2a'),(2b')이 소정의 후퇴 위치에 되돌아가면, 릴리이프 포오트(21a),(221b)가 유압실(3a),(3b)에 각각 개구하기 때문에, 앞 유압실(3a)의 오일의 과잉 공급분은 릴리이프 포오트(21a)로 부터 앞쪽 오일 저장실(20a)로 방출되고, 또한 뒤쪽 유압실(3b)의 과잉 공급분은 릴리이프 포오트(221b) 및 바이패스(242)를 통하여 뒤쪽 오일 저장실(20b)로 방출된다.(제 4도에서의 가는 화살표 참조)
상기 각부의 작용시에 있어서 원통 형상 밸브체(228)가 제 4도에서의 2점쇄선으로 나타냄 바와 같이 기울더라도, 한쪽 방향 밸브 (223)에 있어서는 그 보올 형상부(246)가 둥근면을 이루어 밸브 시이트(232)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보올 형상부(246)와 밸브 시이트(232)사이의 유밀성이 확실하게 행하여 지고, 또한 원통형상 밸브체(228)의 기울어짐은 압력 응력 동작밸브(238)의 작동에 하등의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압력 응력 동작 밸브(238)의 작동을 항상 원할하고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이패스(242)의 미세홈(252)은 원통 형상 밸브체(228)의 원통 형상부(247) 원주벽을 관통하는 오리피스에 대신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탠덤식 마스터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피스턴식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업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관통 오일 통로(23),(223)내에 밸브실(25),(225)를 형성하고, 그 밸브실(25),(225)에 형성된 압력 응력 동작 밸브(38),(238) 및 한쪽 방향 밸브(33),(233)를 관통 오일 통로(23),(223)의 중심선 방향으로 개폐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밸브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므스하게 오일의 흐름을 형성하여 오일의 보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밸브실의 끝단벽으로서 관통 오일 통로의 플러그를 겸용하기 때문에, 플러그의 조립 공수를 상기한 종래의 것에 비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쪽 밸브에 있어서는 그 원통 형상 밸브체의 보올형 상부를 둥근면을 이루어 밸브 시이트에 자리잡게 하였기 때문에, 원통 형상 밸브체와 밸브 시이트사이의 유밀성을, 비록 원통 형상 밸브체가 기울더러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급속 충전 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한쪽 방향 밸브의 원통 형상 밸브체내에 압력 응력 동작 밸브를 넣어 조립하여 양 밸브를 유니트화하고, 나아가 보올 형상부를 밸브실 내주면에 끼워 맞춤하는 것만으로 원통 형상 밸브체를 소정위치에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에, 양 밸브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원통 형상 밸브체는 그 보올 형상부를 밸브실에 회전 및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끼워 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보올 형상부와 밸브실이 선접촉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원통 형상 밸브체에 대한 미끄럼 동작 저항을 작게하여 한쪽 방향 밸브의 작동을 항상 원활하고도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으며, 또한 원통 형상 밸브체가 비록 기울더라도 그 기울어짐은 압력 응력 동작 밸브의 작동에 하등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압력 응력 동작 밸브의 작동을 한쪽 방향 밸브와 마찬가지로 항상 원활하고도 안정되게 행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실린더 본체에 앞의 작은 직경부와 뒤의 큰 직경부로 이루어지는 단턱이 있는 실린더 구멍을 형성하고, 이 실린더 구멍에, 상기 작은 직경부 및 큰 직경부에 각각 대응하는 작은 직경의 피스턴부 및 큰 직겨의 피스턴부를 가지는 피스턴을 미끄럼 맞춤하고, 이 피스턴의 소정의 후퇴 위치에서 상기 작은 직경의 피스턴부 전방에 형성되는 유압실로 개구하는 릴리이프 포오트와, 상기 작은 직경의 피스턴부 및 큰 직경 피스턴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급 오일실에 개구하는 공급 포오트와를, 상기 실린더 본체에 그것의 긴 몸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 오일 통로를 사이에 두고 오일통에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상기 관통 오일 통로에는 밸브장치를 장치하고,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보급 오일실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한 때에 열리는 압력 응력 동작 밸브와, 상기 오일통으로 부터 상기 보급 오일실로의 한쪽 방향에만 오일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쪽 방향 밸브와, 상기 압력 응력 동작 밸브 및 상기 한쪽 방향 밸브를 우회하고 상기 오일통과 상기 릴리이프 포오트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통하는 유로 저항이 큰 바이패스와를 구비하여 되는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오일 통로(23),(223)를 상기 실린더 본체(M)의 뒤끝단면으로 부터 뚫어 형성하여, 상기 관통 오일 통로(23),(223)내의 바깥쪽 개구부(24),(224) 근방에 밸브실(25),(225)을 형성하고, 이 밸브실(25),(225)에는 그의 안쪽 끝단면에 형성한 밸브 시이트(32),(232)에 대향하는 원통 형상 밸브체(28),(228)와, 원통 형상 밸브체(28),(228)를 상기 밸브 시이트(32),(232)쪽으로 힘을 가하는 밸브 스프링(31),(231)으로써 구성하는 한쪽 방향 밸브(33),(233) 및 상기 원통 형상 밸브체(28),(228)내에 형성한 압력 응력 동작 밸브(38),(238)를 그들이 상기 관통 오일 통로(23),(223)의 중심선 방향으로 개폐 동작 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밸브실(25),(225)의 끝단벽으로서 플러그(26),(226)를 상기 관통 오일 통로 (23),(223)의 바깥쪽 개구부(24),(224)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원통 형상 밸브체(28),(228)는 상기 밸브 시이트(32),(232)쪽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실(25),(225)에 회전 및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끔 끼워 맞춤되는 보올 형상부(246)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KR2019840011510U 1984-01-09 1984-11-14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KR8800022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284U JPS60113260U (ja) 1984-01-09 1984-01-09 急速充填型マスタシリンダ
JP59-1052 1984-01-09
JP3566284U JPS60147570U (ja) 1984-03-13 1984-03-13 急速充填型マスタシリンダ
JP59-35662 1984-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551U KR850009551U (ko) 1985-12-05
KR880002278Y1 true KR880002278Y1 (ko) 1988-06-25

Family

ID=2633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510U KR880002278Y1 (ko) 1984-01-09 1984-11-14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67466A (ko)
KR (1) KR880002278Y1 (ko)
GB (1) GB21551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0289A1 (de) * 1985-08-24 1987-02-26 Teves Gmbh Alfred Schlupfgeregelte bremsanlage
DE3723842A1 (de) * 1987-07-18 1989-02-02 Daimler Benz Ag Bremsgeraet
DE8805017U1 (ko) * 1988-04-15 1989-08-10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Gb
US5101631A (en) * 1991-02-06 1992-04-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l reservoir seal of a master cylinder
KR20030006669A (ko) * 2001-07-14 2003-01-23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실린더
DE102006013626A1 (de) * 2005-03-23 2006-10-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hydraulische Bremsanlage mit Fahrdynamikregelung
JP5000411B2 (ja) * 2006-08-31 2012-08-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22125A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US10610868B2 (en) * 2014-06-11 2020-04-07 McCloskey International Limited Hydraulic cylinder system for rock crushers
IT201600130787A1 (it) * 2016-12-23 2018-06-23 Freni Brembo Spa Pompa freno e/o frizione per veicoli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41981A (en) * 1975-12-05 1978-11-07 Ron Woronowicz Valve
JPS54118960A (en) * 1978-03-07 1979-09-14 Toyota Motor Corp Stepped master cylinder
JPS5686850A (en) * 1979-12-18 1981-07-15 Nissin Kogyo Kk Tandem-type master cylinder
JPS57172869A (en) * 1981-04-14 1982-10-23 Akebono Brake Ind Co Ltd Differential master cylinder
CA1194522A (en) * 1981-05-14 1985-10-01 Robert F. Gaiser Master cylinder
JPS599384B2 (ja) * 1981-05-26 1984-03-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US4373333A (en) * 1981-08-27 1983-02-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take-up master cylinder with check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55128A (en) 1985-09-18
KR850009551U (ko) 1985-12-05
US4667466A (en) 1987-05-26
GB2155128B (en) 1987-09-23
GB8500349D0 (en) 198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278Y1 (ko) 급속 충전형 마스터 실린더
US4428567A (en) Combined shock absorbent and suspension for vehicle
EP0896174B1 (en) Piston ring arrangement for shock absorber
CN101808869A (zh) 杯形密封件和使用它的主缸
US4093002A (en) Control device of a large hydraulic distributor, in particular for public works appliances
JP5855762B2 (ja) 液圧制御式貯留室弁
US6141963A (en) Master cylinder
US3800539A (en) Tandem master cylinder
CN111022554B (zh) 一种螺纹阻尼活塞
US6637201B2 (en) Master cylinder
US5150643A (en) Reciprocating actuator
US5431014A (en) Master cylinder
KR900006600B1 (ko) 텐덤형 마스터 실린더
US5732557A (en) Master cylinder with simplified adjustment
CN216951408U (zh) 增压总泵
US3800665A (en) Fluid pressure operated reciprocatory motor
US3158167A (en) Directional control and relief valves
CN216861423U (zh) 增压总泵
US3403517A (en) Vortex valve control for master cylinder
US4354526A (en) Control valves
JPH0225736Y2 (ko)
DE4209034A1 (de) Mehrkreis-schutzventil
JPH04102737A (ja) 油圧緩衝器
RU2006684C1 (ru) Пневмоцилиндр
CN212177944U (zh) 一种先导阀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