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45B1 - 선박의 화물 안내 유닛 - Google Patents

선박의 화물 안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45B1
KR880002145B1 KR8200819A KR820000819A KR880002145B1 KR 880002145 B1 KR880002145 B1 KR 880002145B1 KR 8200819 A KR8200819 A KR 8200819A KR 820000819 A KR820000819 A KR 820000819A KR 880002145 B1 KR880002145 B1 KR 88000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guide
ship
unit accord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884A (ko
Inventor
해이 해인즈-허베르트
Original Assignee
게르드 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드 브스 filed Critical 게르드 브스
Publication of KR83000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박의 화물 안내 유닛
제1도는 안내 시스템을 가진 선체의 절개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절단선 II-II에 따른 선체의 횡단면도.
제3도는 2개의 인접해 있는 중간벽 사이에 중간 부재를 가진 다른 선체의 횡단면도.
제4도는 배의 2중 바닥의 절개평면도.
제5도는 배의 저부(低部) 횡재(橫材)의 측면도.
제6도는 배의 저부 횡재의 평면도.
제7도는 2중 저면내에 고정된 포켓의 횡단면도.
제8도는 다른 2중 저면도내에 고정된 포켓의 횡단면도.
제9도는 힌지 고정부의 평면도.
제10도는 힌지 고정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24 : 횡재
3 : 선체 4, 5 : 내벽
6 : 2중바닥 7 : 갑판
8 : 내실 9, 26 : 판
10 : 종축선 11 : 콘테이너
12 : 단벽판 안내부 13 : 측판 안내부
14 : 단벽판 15 : 측판
16 : 지지부재 17 : 보강 부재
18 : 입각 공간 19, 20, 30, 31 : 안내 유닛
21, 22 : 중간벽 23 : 지주
25 : 힌지기구 27 : 회동점
28 : 요동간격 29 : 적화창
32 : 리브 33 : 내측면
35 : 중간 공간 36, 37, 38, 39 : 단부
40 : 안내 돌기부 41 : 안내 형재
42 : 볼트 43, 53 : 요공
44 : 보강부 46 : 지주
47 : 횡부재 48 : 요동링크부
49 : 지승부 51, 52 : 단부
54, 55 : 점 50, 70 : 포켓
51, 57 : 빗장공 58, 59 : 상대공
60 : 횡재 61, 62 : 변
64 : 돌기 65 : 간격
67 : 실린더 68 : 레버
71 : 내벽 72 : 미끄럼푸시
73 : 윗쪽 단부 74 : 카라
82, 83 : 공 88 : 마개
89 : 언더커트부 90 : 중간 부재
91, 92 : 단부 93 : 중간 공간
94 : 힘작용점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횡재(橫材)가 선박의 횡축선(橫軸線) 방향으로 향해 있으며 또한 선박의 종축선(縱軸線)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주(支柱)로 서로 결합해 있는 선체내의 공간에 콘테이너를 안내하고 보지(保持)하게 하기 위한 안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안내 유닛은 종래 실제의 사용에 있어 그 유용성이 증명되고 있다. 일련의 기술적인 개발에 있어서 안내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시간이 좀더 단축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임이 명백하다. 더우기 개개의 안내 유닛을 선체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체내에 실릴 무포장적 재화물을 위해 장소를 비워야 하는데, 안내 유닛을 보지체에서 해체하여 순서대로 갑판의 하단에 포개어 쌓지 않으면 안될 경우에는 난점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무포장적 재화물을 적재할 때, 무포장적 재화물이 선박내벽(內壁)의 영역내(領域內)에 격납되어 있는 안내 유닛을 꽉 누루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이때 무포장 적재화물이 안내 유닛에 압력을 가하여 이 안내 유닛을 비틀게 되며 따라서 후에 맞붙어 조립할 때 사용될 수 없을 정도로 파손시킨다. 즉 개개의 안내 유닛은 신중하게 격납하는 작업이, 안내 유닛은 필요하지 않는 무포장 적재화물의 수송을 위해 필요하다. 안내 유닛의 격납은 시간을 요하며, 또한 이에 따른 비용도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선박이 콘테이너 전용선으로서 혹은 무포장 적재화물 전용선으로 취행하든지 선택에 따라 모든 조작을 신속, 정확히 취급할 수 있게끔 안내 유닛을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이 과제를 본 발명에 따라 안내 유닛을 선체내에 요동 가능케 고정시키므로서 해결된다.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안내 유닛은 2중의 잇점을 가지고 있다. 이 안내 유닛은 바깥쪽으로 요동된 상태에 있어서 전 시스템을 보강하여 보지하며, 따라서 콘테이너는 선박의 어느 운동에 의해 선박의 횡축선 방향으로 또는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 생기는 엇갈림에 대해서 확실히 보호된다. 또한 요동 격납되는 안내 유닛은 선박 내벽에 대해, 평행 위치를 두고 안내 시스템의 모든 해체 가능한 부분을 순서대로 격납할 수 있는 적화창(艙)을 형성한다. 이 적화창은 선박으로 운반되는 무포장 적재화물이 선적시예도 보호된다. 왜냐하면 이들 안내 유닛은 판(板)을 가지고 있고 이 판은 틈이 없이 서로 접속되어 있어 이것으로 해서 적화창내에는 여타 물체의 침입이 저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판은 안내 유닛의 전고(全高)에 따라서 뻗어 있는 보강재로 보강되어 있다. 이들 보강재는 무포장 적화물에서 안내 유닛에 비교적 높은 압력이 가해져도 이 안내 유닛이 손상을 받지 않게 한다. 적화창은 2개의 인접한 안내편 사이에 뻗어있는 중간벽 때문에 이 적화창 내에서 보다 큰 장소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이와 같이 해서 선내벽부와 분리 가능케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중간벽을 위한 장소가 각기 1개의 콘테이너 길이분의 간격을 두고 이들 안내 유닛 사이에서 얻어진다. 각기 2개의 콘테이너 길이분에 대해 단지 2개의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중간벽은 선내벽부에서 분리한 후 간단한 격납하여 안내 유닛을 선내벽부에 대해 평행하도록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들 안내 유닛은 요동 가능케 힌지(hinge) 기구내에 지승(支承)되어 있고, 이 힌지기구는 서로 인접해 있는 최대 2개의 횡재분(橫材分)의 간격으로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선박 내벽부와 결합되어 있다. 이들 힌지기구는 선박종축선 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한 지점(支點)을 형성하고 있다. 안내 유닛은 이들 힌지기구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며 또한 이 경우 이들 안내 유닛은 평형상태를 잃는 일도 없고 또 기울어지는 일도 없다. 안내 유닛의 이동은 크레인으로 하고 이 크레인은 이들 안내 유닛을 들어올려 간단히 요동 시킨다. 안내 유닛이 콘테이너를 안내하는 목적으로 바깥쪽으로 요동할 경우 먼저 안내 유닛을 이들을 고정한 안내부로부터 빗장을 풀어주지 않으면 안된다. 안내 유닛을 로울러 위에 지승하고 이들 안내 유닛이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요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안내 유닛은 기본적으로 지주(1)와 횡재(2)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은 기본적으로 서로 직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지주(1)는 선체(3)의 중축선에 따라 뻗어 있고 선체는 그 안내 유닛에 면한 안쪽이 내벽(4, 5)으로 구획되어 있다.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는 내벽(4, 5)의 사이에는 선체(3)의 아래쪽 부분을 형성하는 2중바닥(6)이 장설되어 있다. 이 2중바닥의 상대편에는 갑판(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갑판은 내벽(4, 5)과 2중바닥(6)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선박의 내실(8)은 윗쪽을 구획하고 있다.
안내 유닛의 지주(1)와, 횡재(2)는 판(9)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 판은 지주(1)와 횡재(2)와의 사이에 형성된 면에 장설된다. 이 판(9)은 지주(1)와 횡재(2)와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폭이 좁은 4각형이며 내열성(耐熱性)이 높은 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체(3)의 종축선(1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장설된다. 지주(1) 상호간의 간격은 콘테이너(11)의 폭에 상당한다. 이 콘테이너는 그 단벽판(端璧板)(14)이 지주(1)의 단벽판 안내부(12)을 따르고 그 측판(側板)(15)은 지주(1)의 측판 안내부(13)를 따르게 안내된다.
횡재(12)는 각기 콘테이너(11)의 높이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선체(3)의 종축선(10)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횡재(2)의 영역내의 지주(1) 위에는 보강 요소(17)를 수용하는데 쓰이는 지지요소(16)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보강 요소(17)은 안내 유닛이 요동 전개된 상태에서는 서로 인접되어 있는 안내 유닛 사이에 뻗어 있다. 이들 보강 요소 콘네이너(11)의 입각(立脚) 공간(18)를 그 종측으로 구획하고, 이와 같이 하여 다수의 안내 유닛으로 구성된 안내 시스템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안내 시스템은 2개의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19, 20) 이외에 2개의 떼어내기 가능한 중간벽(21, 22)을 가지고 있다. 이들 중간벽은 안내 유닛과 같이 지주(23)와 횡재(24)로 조립되어 있다.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19, 20)을 이들 중간벽의 간격은 부재(20')와 콘테이너(11)의 길이에 상당한다.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19, 20)에 있어서와 같이 지주(23)는 선박의 횡축선 방향에서 콘테이너(11)의 안내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지주는 이 목적을 위한 단벽판 안내부(12)와 측판 안내부(13)를 가지고 있다.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19, 20)은 내벽(4, 5)에 힌지기구(25)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다. 이들 힌지기구(25)는 판(26)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판은 선박의 종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한 수평 요동면내에서 내벽(4, 5)과 굳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점(回動點)(27)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다. 이들 판에 의해 선박의 전향축선(轉向軸線)에 대해 수직으로 요동되는 안내 유닛(19, 20)은 선체(3)내에서 스스로에 관해 평행 이등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이 섭동(攝動)이 뜻하는 것은 안내 유닛(19, 20)이 이것들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 시스템이 여러가지 콘테이너의 크기에 적합하는데 필요한 간격 65분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다는 것이다. 이 간격 65분은 서로 늘어선 2개의 부재(20'-콘테이너의 길이)와 연장부(40'-콘테이너의 길이의 차)가 이 간격에 의해 평균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서로 늘어서 있는 2개의 멤버(20')와 콘테이너는 연장부(40')와 콘테이너 보다는 간격 65분만큼 짧다.
제9도와 제7도에서, 판(26)은 그 내벽(4, 5)과는 반대측의 단부(端部)에 요공(凹孔)(53)을 가지고 있다. 이 요공을 통해 힌지기구(25)를 형성하는 볼트(74)가 돌출해 있다. 이 볼트(74)는 그 상대하고 있는 단부를 가지고 안내 유닛(19, 20)과 굳게 결합되어 있는 힌지 부분(75)내에 고정되어 있다. 이 힌지 부분(75)은 안내유닛(19, 20)에 면해서 판(26)의 단부(76)을 U자형의 모양으로 포용하고 있고 이 U자형의 부재(部材)의 양 각다리에 볼트(74)가 고정되어 있다.
판(26)은 그 요공(53)(제9, 10도)에 상대하고 있는 연부(緣部)(77)(제9도)에 있어 공(78)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공을 통해 볼트(79)가 돌출해 있으며 이 볼트는 횡재(60)내에 고정되어 있다. 이 횡재(60)는 내벽(4, 5)과 굳게 결합되어 있다. 구멍(78)은 판(26)의 요동 중심인 회동점(27)을 형성하고 있다. 회동점(27)의 양측에는 빗장공(56, 5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공에 의해 판(26)은 어느 것이든 한개의 요동 위치에 있어서 횡재(60)와 빗장이 채워질 수 있다. 이들 빗장공(56, 57)은 회동링(27)의 양측의 길이가 같은 연부(77)끝에서 구멍(53)의 방향으로 뻗어있는 2개의 변(邊)(61, 6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뾰쪽부(80, 81)내에 설치되어 있다. 횡재(60)내에 형성된 상대공(58, 59)은 빗장공(56, 57)과 일치한다. 판(26)의 선택된 요동 위치에 따라 볼트(79)은 빗장공(56)과 이것에 상응하는 상대공(58)을 통해, 혹은 빗장공(57)과 이것에 상당하는 상대공(59)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판(26)이 이 판의 후방에서 직접 인접하여 연장한 평탄한 내벽(4, 5)에 관해서 요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회동점(27)은 연부(77)의 돌기(64) 영역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64)는 공(53)과는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빗장공(56, 57)은 대개 같은 변을 가진 3각형의 저면에 존재한다. 이 3각형의 바닥을 마주보는 선단에는 회동점(27)이 형성된다. 공(53)을 한쪽의 점(54)에서 다른 쪽의 점(55)으로 운동시키기 위해 판(26)이 요동되는 비교적 적은 요동 각도에 관해서 돌기(64)는 회동점(27)의 영역내에서 비교적 약한 각도를 가지고 있다.
점(54, 55)은 공(53)의 최종 위치에 있다. 이들 점(54, 55)은 내벽(4, 5)의 긴쪽 방향에 대해 평행한 가상선(假想線)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판(26)의 요동에 의해 안내 유닛(19, 20)과 내벽(4, 5) 사이의 간격은 변치 않는다. 이러한 범위에서 판(26)을 요동시키는 경우 내벽(4, 5)의 평행섭동(攝動)이 이루어 진다. 이것은 판(26)의 특별한 기하학적(幾何學的) 형상에 의해 가능해 진다. 이 기하학적 형상은 요공(53)과 회동점(27)이 맞붙은 두개의 이등변 3각형이 각 꼭지점상에 존재하고, 각 삼각형의 맞붙은 두 밑변 각 꼭지에 빗장공(56)과 빗장공(57)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이등변 3각형은 공(53)과 회동점(27)사이를 뻗는 공통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대칭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한쪽의 상대공(58)과 회동점(27)사이의 간격이 다른 쪽의 상대공(59)과 회동점(27) 사이의 간격과 같은 크기라는 조건이 유지된다. 판(26)의 이 조건으로부터 도출(導出)되는 형상은 이등변 3각형이 되는 것은 명백한 것이고, 이 3각형의 변(61, 62)은 한편 의서는 요공(53)과 빗장공(56)을 내벽(4, 5)으로부터 풀어냈을 경우 이들 중간벽(21, 22)을 수용하는데 소용된다.
또한 적화창(29)내에는 안내 유닛(19, 20)이 안쪽으로 내벽(4, 5)의 방향으로 요동되기 이전에 다른 부속품이 내장된다. 이 부속품에는 특히 보강요소(17)가 거론된다. 이 보강요소(17) 및 중간벽(21, 22) 까지도 적화창(29)내에 수납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요동 간격(28)은 그 내경이 전 부속품을 수납할 수 있는데 충분하리만큼의 크기로 선정된다. 보강요소(17)는 관재(管材)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관재는 취급이 용이하고 작업이 확실하게 지지요소(16)내에 끼우는 것이 가능한다. 이들 안내 부재는 예컨데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지승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지승면내에 보강요소(17)가 윗쪽으로부터 2중바닥 6방향으로 끼워진다. 끼워진 후 보강요소(17)는 빠져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지지요소(16)내에 보지 된다. 이 경우 보강 요소(17)가 긴쪽 방향으로 이 지지요소(16)내를 요동 가능하도록 하여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보강 요소(17)는 가령 선체(3)가 거친 바다에서 심한 변형력(變形力)을 받더라도 선체(3)는 여하한 비틀림에 유연하게 적응한다.
요동 가능한 2개의 안내 유닛(19, 20)과 2개의 중간벽(21, 22)으로 되어 있는 안내 시스템의 경우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19, 20)을 다른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응해서 이들 안내 유닛은 바깥쪽으로 요동된 상태에서 다른 정도로 선체(3)내에 돌출한다. 상대하고 있는 내벽(5)에 고정된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30, 31)은 그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각기 한쪽의 내벽(4) 또는 (5)에 있어서 긴쪽의 안내 유닛(19) 또는 (31)이 다른 쪽의 내벽(5) 또는 (4)에는 짧은 쪽의 안내 유닛(30) 또는 (20)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한쪽의 내벽(4)에서 다른 쪽의 내벽(5)에 이르는 전 안내 시스템의 상호 보강된 상태가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바람직한 가요성 이외에도 높은 강도가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이 안내 시스템에 격납된 콘테이너(11)를 그때 그때마다 바람직한 위치에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벽(21, 22)은 보강 요소(17)를 통하여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19, 20 : 30, 31)과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안내 시스템은 비틀림에 대해 강하고 또 현저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강도는 우선 먼저 안내 유닛(19, 20 : 30, 31)을 보강하는 판(9)에 의해 얻어진다. 게다가 안내 유닛(19, 20 : 30, 31)은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 이 안내 유닛(19, 20 : 30, 31)을 지나 뻗어 있는 리브(32)에 의해 보강된다. 이들 리브(32)는 지주(1)에 대해 거의 평행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이들 지주(1)가 콘테이너(11)에 면한 안내 유닛(19, 20 : 30, 31)의 내측면(32) 쪽으로 뻗어 있으나 한쪽 리브(32)는 내측면(33)과는 반대쪽의 안내 유닛(19, 20 : 30, 31)의 외측면(34)쪽으로 연장한다. 안쪽으로 요동된 상태에서 이들 외측면(34)은 내실(8)내에 저장된 무포장 적재물질 쪽으로 대면한다. 이들 외측면(34)은 안내 유닛(19, 20 : 30, 31))에 이들에 작용하는 무포장 물질의 압력에 대항하는 강도를 준다.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는 내벽(4, 5)에 고정된 안내 유닛(19, 20 : 30, 31) 사이에 중간 공간(35)이 설치된다. 이 중간 공간의 폭은 콘테이너(11)의 폭과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중간 공간(35)은 콘테이너 적재 공간을 형성한다. 마주 보고 설치된 안내 유닛(19, 20 : 30, 31)은 그의 목적 때문에 그들의 단부(36, 37 : 38, 39)에 안내 돌기부(40)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돌기부는 이들 중간에 수용되는 콘테이너(11)를 그 단벽판(14)에서 누르는데 적합하다.
리브(32)는 4각형 형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 형재는 외측면(34)에서 내측면(33)의 반대쪽 방향으로 사다리꼴로 끝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지주(1)가 안내 유닛(19, 20 : 30, 31)에 걸치거나 또 중간벽(21, 22)에 걸치거나 같은 모양으로 배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호 인접해 있는 2개의 지주(1) 사이에 안내 유닛(19, 20 : 30, 31)의 내측면(33) 위에 또는 중간벽(21, 22)의 마주보고 있는 측면상에 안내 형재(41)만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안내 형재(41)는 선체(3)의 종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고 콘테이너(119가 안내되는 단벽판 안내부(12) 또는 측판 안내부(13)를 형성한다. 안내 형재(41)의 영역내에는 보강요소(17)에 의한 안내 시스템을 위한 보강 구조를 마련하기 가능하다.
안내 유닛(19, 20 : 30, 31) 및 중간벽(21, 22)은 그들의 2중바닥에 면한 아랫쪽 횡재(2)에 볼트(42)를 설비하고 있으며, 이들 볼트는 지주(1)의 연장부에서 2중바닥(6)의 방향으로 이 아랫쪽 횡재(2)에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들 볼트(42)는 2중바닥(6)내에 설치된 요공(43)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해서 중간벽(21, 22)과 안내 유닛(19, 20)은 2중바닥(6)내에 일체로 고착 설치된다. 2중바닥이 이 위치에서 약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 2중바닥은 이 넘어 세배의 종축선(1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강부(44)(제4도)를 가지고 있다. 이 보강부(44)내에는 포켓(70) 양식의 요공(43)이 형성되어 있다(제5도).
볼트(42)가 횡재(2)의 영역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승되어 있으며 이횡재에서 한쪽은 리브(32)가 다른 쪽은 안내 형재(41)가 횡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우리하다.
안내 유닛(19, 20 : 30, 31)이 힌지기구(25)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기 전에 볼트(42)는 이 포켓(70)에서 빠져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볼트(42)는 아랫쪽 횡재(2)를 관통하여 돌출해 있다. 이 목적 때문에 아랫쪽 횡재(2)내에는 공(82, 8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공의 영역내에서 볼트(42)는 안내부(84, 85)내에서 섭동 가능토록 지승되어 있다(제5도).
볼트(42)가 횡재(2)의 영역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이 볼트는 그 포켓(70)과는 반대쪽 상단부의 회동점(87)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한 레버(68)와 조합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 회동점(87)은 리브(32) 또는 안내형재(4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유리하다. 이 회동점(87)과는 반대쪽의 자유단(69)에서 레버(68)는 힌들을 가지고 있다. 레버(68)를 이동시키므로서 볼트(42)가 쉽게 포켓(70)을 향하여 하강하든지, 그로부터 빠지든지할 수 있다. 볼트(42)가 빠져 있는 상태에서는 포켓(70)를 향한 횡재(2)의 하연부(下緣部)와 같은 높이의 위치에 온다.
포켓(70)은 항아리 모양의 삽입부로 형성되며 2중바닥(6)에 용접되어 있다. 이들 포켓(70)은 U자형의 횡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벽(71)은 포켓(70)내에 하강하는 볼트(42)를 안내하도록 한다. 포켓은 강주물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포켓은 필요한 경우 마개(88)를 막아도 좋다. 이 마개(88)는 오물이 포켓(70)내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마개(88)는 포켓(70)의 윗쪽에서 렌즈모양으로 융기된다. 마개는 한편으로는 포켓(70)에서 손쉽게 빼낼 수 있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포켓(70)에서 손쉽게 빼낼 수 있어야 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저면에 현저한 장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미끄럼 푸시(72)가 내벽(71) 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미끄럼 푸시는 볼트(42) 및 마개(88)의 빼냄과 찔러 넣기를 용이하게 한다. 이 미끄럼 푸시(72)는 미끄럼이 좋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 위에 이 미끄럼푸시(72)는 아랫쪽 횡재(2)를 마주보는 그 윗쪽 단부(73)의 영역내에 칼라(74)를 가지고 있으며 이 칼라의 아랫쪽에는 언더커트부(8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언더커트부는 마개(88)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언더커트부(89)는 마개(88)의 한쪽의 측면과 미끄럼푸시(72) 사이의 접촉면을 감소시켜 철의 녹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소용된다. 이 경우 포켓(70)내에 강하하는 볼트(42)도 단지 칼라(74)의 영역내에서만 안내된다. 따라서 볼트(42)는 용이하게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선체(3)를 콘테이너선으로 구조 변경하기 위해 요동 가능한 안내 유닛(19, 20 : 30, 31)은 그 내벽(4, 5)에 대해 평행한 위치에서 이들이 선체(3)의 종축선(1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행하도록 요동된다. 이 목적을 위해 이들 안내 유닛(19, 20 : 30, 31)을 예를 들어, 단부(36, 37 : 38, 39)에서 크레인으로 잡고, 들어 올려지고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요동된다. 크레인 대신에, 예를 들어 포크리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안내 유닛(19, 20 : 30, 31)을 로울러 모양으로 지승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깥쪽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안내 유닛(19, 20 : 30, 31)은 그들의 볼트(42)로 공(43)내에 걸어 넣는다.
여기서 중간벽(21, 22)은 예컨데 크레인 또는 다른 이송수단으로 적화창(29)에서, 들어내어 선박의 종축선(1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각기 1개의 콘테이너(11)의 안내 유닛(19, 20 : 30, 31)에서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들 중간벽(21, 22)도 그들의 볼트(42)로 2중바닥(6)의 상당하는 공(43)내에 도입된다. 여기서 안내 유닛(19, 20 : 30, 31)은 세로 종축선(10)를 사이에 두고 중간벽(21, 22)과 결합된다. 이들의 중간벽은 지지요소(16)내에 들어가고 그 안에서 빗장 채워진다. 여기서 안내 유닛(19, 20 : 30, 31)은 안내 시스템을 형성하고 이 안내 시스템 중에 콘테이너(11)를 격납할 수 있다.
마주보고 설치된 내벽(4, 5)에 설치된 중간벽(21, 22)은 그들의 정하고 있는 단부(91, 92)의 영역내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들 중간 부재(90)는 적어도 한개의 지주(46)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지주에는 가로 부재(42)가 요동링크부(48)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다. 바깥쪽으로 요동하는 상태에서 횡 부재(47)는 중간벽(21, 22)에 인접해 있는 횡재(2)의 방향을 향한다. 안쪽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횡 부재(47)는 대략 지주(46)와 평행으로 된다. 횡 부재(47)는 그 횡재(2) 단부에 면한 단부에 지승부(49)를 가지고 있으며, 이 지승부(49)는 횡 부재(47)가 그 바깥쪽으로 요동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상응하게 형성된 포켓(50)내에 걸려 있는다. 마주 보게설치된 단부(51, 52)에 의해 이루어지는 운동에 상응하게 포켓(50)의 각 하나가 2중바닥(6)의 방향으로 열려 있으며 다른 단부(52)에 소속된 포켓(50)은 갑판(70)의 방향으로 열려 있다. 이들의 포켓(50)은 횡재(2)의 영역내에서 지주(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지주는 안내 유닛(19, 20 : 30, 31)의 각의 단부(36, 37 : 38, 39)를 형성한다.
지주(46)는 그 2중바닥(6)에 면한 아랫쪽 단부에서 2중바닥(6)에 상당해서 형성된 요공(43)내에 걸치게 되는 볼트(42)를 가지고 있다. 지주(46)의 삽입후 횡 부재(47)는 요동된다. 따라서 이들 횡 부재는 포켓(50)내에 일체로 고착 지승된다. 이들 포켓(50)내에 횡 부재가 빗장 채워진다. 중간 부재(90)는 중간 공간(93)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간 공간은 중간벽(21, 22)이 단부(91, 92) 사이에 존재하고 거의 2개의 콘테이너의 폭을 가지고 있다. 중간벽(21, 22)의 길이는 중간실(93)이 2개의 인접해 있는 중간벽(21, 22)의 단부(91, 9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칫수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벽(21, 22)의 조립 및 해체가 이 칫수에 의해 중간벽(21, 22)이 각각 선박 중앙부까지 뻗어 있는 칫수의 경우와 비교해서 현저하게 경감된다.
일반적으로는 각각 2개의 안내 유닛(19, 20 : 30, 31)에서 안내 시스템이 구성되고 이 안내 시스템의 전장(全長)은 3개의 서로 전후에서 설치되는 콘테이너의 수납을 허용한다. 이 때문에 2개의 안내 유닛(19, 20) 사이에 2개의 중간벽(21, 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간벽 사이는 안내 유닛(19, 20) 또는 인접해서 있는 중간벽(21, 22)에서 각기 콘테이너의 길이분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각기 한개의 안내 유닛(19)과 인접한 중간벽(21)과의 사이에 한줄의 콘테이너(11)를 격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안내 시스템의 중앙에는 3개의 콘테이너(11)가 한줄로 서로 전후해서 줄지어 선다. 이들의 줄중에, 예를 들어 4개의 줄은 배측면에서 평행으로 줄지어 있다.
이 안내 시스템을 적재화물로 바꾸기 위해서는 우선 먼저 적어도 1개의 중간벽(21)이 철거되어 적화창(29)의 영역내에 격납된다. 다음에 지지요소(16)가 판(26) 옆의 배의 종축선의 방향으로 섭동된다. 이 목적 때문에 판(26)의 중심내에 회동점(27)을 중심으로 판(26)을 요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힘 작용점(94)이 형성된다. 이 힘은 어떠한 임의의 다른 점에서도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물론 이 힘은 요동 방향이 다르면 다른 크기가 아니면 안된다. 판(26)의 중심은 거의 회동점(27)과 공(53) 사이에 존재하는 구간의 반쯤에 존재한다. 중심내에서는 요동 지승부(66)가 설치되어 있다.
힘은 예컨데 유압(油壓) 혹은 공압식(工壓)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실린더(67)에 의해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판(26)을 요동시키는데 전기적 힘도 사용할 수 있다. 작업실린더(67)는 예컨데 피스톤(95)을 사이에 두고 요동 지승부(66)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 적당한다. 피스톤(67)에 의해 힘이 판(26)에 작용되며, 이것에 의해, 판이 인접해 있는 중간벽(22)의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중간벽(22)과 안내 유닛(19) 사이의 간격이 연장부와 콘테이너가 마주보고 있는 머리 부분에서 한쪽에서는 안내 유닛(19)으로 다른 쪽은 중간벽(22)에 의해 안내되는 정도의 칫수로 단축된다 안내 시스템이 2개의 안내 유닛(19, 20 : 30, 31)및 2개의 중간벽(21, 22)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 간격(65)은 연장부와 콘테이너의 길이와 부재와 콘테이너(11)의 길이 사이에 생기는 차의 4배 정도의 길이로 선택된다.
개개의 판(26)이 지주(1)의 긴쪽 방향으로 뻗어 판을 둘러싸는 구성 대신 선체(3)의 종축선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하는 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들의 판은 개개의 횡재(2)와 용접된다.

Claims (50)

  1. 수평 방향으로 시설된 횡재(橫材)가 선박의 횡축선 방향으로 향하여 있고 또한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주로 서로 결합해 있는 선체의 공간내에 콘테너를 안내하고 보지하기 위한 안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이 요동 가능하게 선체(3)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물 안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이 최대 2개의 서로 인접해 있는 횡재(2)분의 간격으로 선박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벽(4, 5)과 결합되어 있는 힌지기구(25)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승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힌지기구(25)가 소정의 요동 간격(28)분만큼 내벽(4, 5)에서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이 안쪽으로 요동된 상태에서 내벽(4, 5)에 대해 충분히 평행한 상태가 되고 안쪽으로 요동된 상태에서 이 내벽에 면하는 내측면(33)과 내벽과의 사이에 적화창(29)이 형성되고, 이 적화창의 내경이 요동 간격(28)에 상당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서로 인접해 있는 내측면(33) 사이에서 선박의 횡축선내에서 적어도 1개의 콘테이너의 폭분의 상호 간격을 보지하는 보강 요소(17)이 설치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이 종방향으로 서로 전후해서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콘테이너(11)의 간격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이들 콘테이너 사이에 내벽(4, 5)에 해체가 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각벽(21, 22)이 시설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보강 요소(17)이 내측면(33)과 중간벽(21, 22) 사이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보강 요소(17)이 관재(管材)로 되어 있고 이들 관재가 횡재(2)의 영역내에서 내측면(33)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요소(16)내에 걸쳐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9. 제 6 항에 있어서, 중간벽(21, 22)이 횡재(2)에 대해 평행으로 뻗는 중간 횡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간횡재가 서로 인접해 있는 내측면(33)에 면한 측면에 지지요소(1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0. 제 7 항에 있어서, 보강 요소(17)이 선박저부(低部)에서는 콘테이너(11)의 높이만큼의 상호 간격으로 떨어져 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길이의 2개의 안내 유닛이 서로 인접해서 시설되어 있으며 각기 비교적 짧은 쪽의 안내 유닛이 마주하고 있는 선박 내벽(4, 5)에 고정되어 있는 비교적 긴쪽의 안내 유닛에 마주해서 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의 힌지기구(25)에 마주하여 있는 단부(단부)(36, 38)와 마주해서 시설되어 있는 내벽(4, 5)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 유닛(19, 20 : 30, 31)의 상응하는 단부(37,38) 사이에 한개의 콘테이너의 폭분만큼의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내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단부(36, 38 : 37, 39)가 2개의 마주하고 있는 안내 유닛(19, 20 : 30, 31)의 단부(36, 38 : 37, 39)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콘테이너(11)를 안내하는 일을 하는 안내 돌기부(4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4.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이 그 내측면(33)에 마주해서 있는 외측변(34)에서 보강 부재(44)로 강도를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내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보강 부재(44)가 선박의 종축 방향으로 외측면(34)을 넘어서 뻗어 있는 4각형 형재를 가진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4각형 형재가 외측면(34)에서 바깥쪽으로 향해 사다리꼴로 끝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7. 제 1 항에 있어서, 내측면(33)상에서 콘테이너(11)를 그 종연에 따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형재(41)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안내 형재(41)가 2개의 서로 인접해서 보강 요소(17) 사이에 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안내 형재(41)가 중간벽(21, 22)의 양측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0. 제1항에 있어서, 중간벽(21, 22)이 마주하고 있는 내벽(4, 5)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콘테이너의 폭만큼 안내 유닛(19, 20 : 30, 31)보다 짧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1. 제19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이 그 선박의 종축선 방향에서 제일 아래쪽 횡재(2)에서 선체(3)를 아랫쪽에서 닫고 있는 2중바닥(6)내에 설치되어 있는 요공(43)내로 돌출하는 볼트(42)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2. 제21항에 있어서, 볼트(42)가 지주(1)의 영역내에서 가장 아래쪽의 횡재(2)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3.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벽(21, 22)이 그 2중바닥(6)에 면한 가장 아랫쪽의 횡재(2)의 영역내에서 볼트(4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볼트가 이 목적을 위해 2중바닥(6)내에 설치되어 있는 요공(43)내에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4. 제23항에 있어서, 2중바닥(6)이 요공(43)의 영역내에서 보강 부재(44)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5.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이 판(9)으로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바깥 쪽으로 요동되는 상태에서 판(9)이 종방향으로 선박의 종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을 향해서 지주(1)를 서로 결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7. 제26항에 있어서, 판(9)이 전체적으로 같은 높이로 다음 판과 접속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8. 제25항에 있어서, 판(9)의 세로방향이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29. 제 2 항에 있어서, 힌지기구(25)가 판(26)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판이 선박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향하여 있는 수평한 요동면내에서 내벽(4, 5)과 굳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점(27)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케 지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0. 제29항에 있어서, 힌지(25)의 볼트가 관통 돌출하여 있고 또한 판(26)이 회동점(27)을 중심으로 요동되었을 때 내벽(4, 5)의 긴쪽 방향에 대해, 2개의 점(54, 55)의 가상결선이 평행하게 위치되는 선상에 최종 위치를 점하는 요공(53)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1. 제30항에 있어서, 판(26)이 이 판의 요동 위치에 따라 내벽(4, 5)과 결합하여 있는 횡재(60)의 상응하는 상대공(58, 59)과 빗장 채울 때 합치되는 2개의 빗장공(56, 57)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횡재(60)가 수평 위치로 내벽(4, 5)을 따라 뻗어 있는 평강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평강재 위에 회동점(27)이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동점의 양측에, 이 회동점에서 거의 같은 간격으로 상대공(58, 5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3. 제29항에 있어서, 판(26)이 실제 두개의 이등변 3각형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3각형이 각각 하나의 변(61, 62)이 구멍(62)과 양 빗장공(56, 57)의 각각 하나 사이에 뻗어 있는 가상선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상기 3각형의 제3변(63)이 양 빗장공(56, 57) 사이에 뻗어 있어 회동점(27)의 영역내에서 요공(53)으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되어 있는 돌기(64)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4. 제33항에 있어서, 회동점(27)과 점(54, 55) 중 한쪽의 점과의 사이의 간격의 투영(投影)이 회동점(27)과 점(54, 55)중의 다른 쪽 점과의 사이의 간격의 투영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5. 제34항에 있어서, 한쪽에 있어 회동점(27)과 요공(53)과의 사이의 간격이 다른 쪽에 있어 이 요공(53)과 빗장공(56, 57)의 각가 하나와의 사이의 간격이 이등변 3각형의 변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3각형의 제3변이 회동점과 각기의 빗장공(56, 57)과의 사이의 간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공(54)의 위치(54, 55)와의 사이에 간격(65)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간격의 길이가 하나의 40'-콘테이너의 길이와 2개의 20'콘테이너의 길이 사이에 생기는 차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7. 제36항에 있어서, 안내 시스템이 개의 안내 유닛(19, 20 : 30, 31)과 2개의 중간벽(21, 22)으로 되는 경우, 간격(65)이 40' 콘테이너의 길이와 20'콘테이너의 길이와의 사이에 생기는 차의 4배 정도의 길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8. 제29항에 있어서, 판(26)의 중심에 회동점(27)을 중심으로 요동운동을 위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39. 제38항에 있어서, 중심(重心)이 회동점(27)과 공(53)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구간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고 이 중심내에 요동운동은 전달하는 요동 지승부(6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0. 제39항에 있어서, 요동 지승부(66)와 피스톤(67)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1. 제 1 항에 있어서, 선체(3)의 상대하는 내벽(4, 5)에 고정되어 있는 중간벽(21, 22)의 서로 인접되어 있는 단부(端部) 사이에서 이들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중간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2. 제41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지주(46)로 되어 있으며 이 지주에 인접해 있는 중간벽(21, 22)의 횡재(2)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는 요동 가능한 횡 부재(47)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3. 제42항에 있어서, 횡 부재(47)가 바깥쪽으로 요동된 상태에서 횡재(2)의 영역내에서 그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포켓(50)내에 연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4. 제41항에 있어서, 중간벽(21, 23)과 중간 부재가 적화장(29)내에 장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5. 제21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의 볼트(42)가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 요동 가능케 지승되어 있으며 또한 2중바닥(6)과의 반대측의 윗쪽의 위치에서 그 2중바닥(6)에 면하여 볼트(42)가 그 아랫쪽 위치에서 요공(43)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단부에서 가장 아랫쪽의 횡 부재(2)와 평탄하게 되도록 끝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6. 제45항에 있어서, 볼트(42)가 그 상단부에서 인접하고 있는 지주(1)와 요동 가능케 결합되어 있는 레버-(68)에 구착(柩着)되어 있으며 이 레버의 자유단(69)에 선박의 종축선 방향으로 요동 운동을 일으키게 하는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7. 제45항에 있어서, 공(43)이 2중바닥(6)이 용접되어 있는 항아리형의 포켓(70)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8. 제47항에 있어서, 포켓(70)이 U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벽(71)이 강하 되는 볼트(42)를 안내하는 일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49. 제48항에 있어서, 내벽(71)에 볼트(42)를 안내하기 위하여 미끄럼 푸시(72)가 설치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50. 제49항에 있어서, 미끄럼 푸시(72)가 그 횡재(2)에 면한 상단부(73)에 안내 칼라(74)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유닛.
KR8200819A 1981-02-24 1982-02-24 선박의 화물 안내 유닛 KR880002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3106751 DE3106751A1 (de) 1981-02-24 1981-02-24 Fuehrungseinheit
DEP3106751.4 1981-02-24
DE3106751 1981-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884A KR830008884A (ko) 1983-12-16
KR880002145B1 true KR880002145B1 (ko) 1988-10-17

Family

ID=612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819A KR880002145B1 (ko) 1981-02-24 1982-02-24 선박의 화물 안내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33799A (ko)
EP (1) EP0058830B1 (ko)
JP (1) JPS57172891A (ko)
KR (1) KR880002145B1 (ko)
AR (1) AR229691A1 (ko)
BR (1) BR8200934A (ko)
DE (1) DE3106751A1 (ko)
ES (1) ES8303215A1 (ko)
IN (1) IN1567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357B1 (ko) * 2006-08-31 2007-10-18 박재욱 선적 컨테이너의 고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6925C2 (de) * 1982-10-06 1994-01-27 Buss Gerd Fa Führungseinheit
DE4101238A1 (de) * 1991-01-17 1992-07-23 Ship S Equipment Centre B V Ladebereich, insbesondere decksladebereich eines frachtschiffes
DK0696980T3 (da) * 1994-03-03 1999-08-30 Westfalia Wst Systemtechnik Pallereollager til eller i et skib, fortrinsvis et køleskib
EP2207747B1 (en) * 2007-10-24 2013-05-15 M-I Llc Boat installation frame for transportation tanks
US8955448B1 (en) 2012-03-06 2015-02-17 Minyan Marine LLC Method and vessel for shipping hazardous chemicals
CN113636014B (zh) * 2021-08-30 2023-10-20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错层式水面舰船特种装备舱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0857A (en) * 1951-06-29 1955-10-18 Boland Machine & Mfg Company I Ship's hold stanchion assembly
US2725589A (en) * 1953-01-09 1955-12-06 Louis F Papesh Door hinge
US3352257A (en) * 1965-02-09 1967-11-14 Evans Prod Co Adjustable bulkhead
FR1583614A (ko) * 1966-09-05 1969-11-21
GB1147368A (en) * 1966-11-04 1969-04-02 Mitsui Shipbuilding Eng A freight container stowing apparatus for a cargo ship
US3463110A (en) * 1967-12-07 1969-08-26 Mitsui Shipbuilding Eng Shifting board setting apparatus for container ship
GB1244865A (en) * 1968-11-19 1971-09-02 Cargospeed Equip Improvements in container ships
US3680518A (en) * 1969-05-14 1972-08-01 Mitsui Shipbuilding Eng Apparatus for fixing containers in the ship
US3583350A (en) * 1969-09-22 1971-06-08 Jerome L Goldman Shipboard cargo stowage construction
DD95330A1 (ko) * 1972-02-16 1973-01-22
PL84215B1 (ko) * 1973-03-05 1976-03-31 Politechnika Gdanskapo
US3799101A (en) * 1973-06-29 1974-03-26 Johnson Rubber Co Bearing for articulated barge or the like
DE2823782A1 (de) * 1978-05-31 1979-12-06 Orenstein & Koppel Ag Container- und/oder stueckgutfrachtschif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357B1 (ko) * 2006-08-31 2007-10-18 박재욱 선적 컨테이너의 고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58830B1 (de) 1987-11-19
EP0058830A1 (de) 1982-09-01
ES509863A0 (es) 1983-02-01
DE3106751C2 (ko) 1992-01-23
US4633799A (en) 1987-01-06
DE3106751A1 (de) 1982-09-09
AR229691A1 (es) 1983-10-31
KR830008884A (ko) 1983-12-16
IN156723B (ko) 1985-10-19
ES8303215A1 (es) 1983-02-01
BR8200934A (pt) 1982-12-28
JPS57172891A (en) 198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5001A1 (en) Intermodal container,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US4754709A (en) Railroad car for containers having guides for the containers
KR880002145B1 (ko) 선박의 화물 안내 유닛
PL176481B1 (pl) Kontener transportowy dużej pojemności
US4905608A (en) Railroad well car
KR940007559B1 (ko) 하물(荷物) 적재대
WO2012103593A1 (en) An improved container, container construction,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USRE24118E (en) Cross bar support for vehicles
AU2024200742A1 (en) An improved container, container construction,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US3161151A (en) Flat cars and cradles therefor
GB2045698A (en) Nestable wheeled container
US20120163926A1 (en) Gob shield for shield suppor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3752299A (en) Conveyor trough for scraper-chain conveyors
US3211493A (en) Bulkhead structure
AU2021218002A1 (en) An improved container, container construction,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US2091721A (en) End gate for railway cars
CN220949469U (en) Open top container
CN113911512B (zh) 包装箱的固定结构及其包装箱
CN212048827U (zh) 一种集装箱
US4348149A (en) Mobile transporter for mines
US1793966A (en) Sectional box car
BR102017012884A2 (pt) conjunto de "spreader" e "containers" basculantes para logística de granéis
JP3225458B2 (ja) 鋼製箱形パレット
WO2024040312A1 (pt) Aperfeiçoamento em conjunto de "spreader" e "containers" basculantes para logística de granéis
JP2023172026A (ja) バケ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