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017B1 -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017B1
KR880002017B1 KR8200945A KR820000945A KR880002017B1 KR 880002017 B1 KR880002017 B1 KR 880002017B1 KR 8200945 A KR8200945 A KR 8200945A KR 820000945 A KR820000945 A KR 820000945A KR 880002017 B1 KR880002017 B1 KR 880002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ocal coating
wheel
coating apparatus
electro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269A (ko
Inventor
크리스찬 피퍼스 해리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메코 아 퀴프 먼트 엔지니어즈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메코 아 퀴프 먼트 엔지니어즈 비. 브이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3000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1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plating method; means therefor, e.g. baths or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Contac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국부피복도금할 금속테이프의 예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국부피복도금할 다수개의 금속편을 테이프형으로 형성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의 바퀴를 발췌하여 확대한 일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화살표(V)에 따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간략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바퀴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일부절취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와 다른 방향에서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개략도로서 일부절취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장치중 요부확대도.
제12도는 제11의 나-나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바퀴 10: 호울더
12: 전해액 13: 분사기
14: 금속테이프 17: 보조벨트
19: 공급관 21,22: 링
23: 조각테 24: 통공
26: 유도핀 27: 테이프
29: 바퀴 30,31: 고리
38: 조각테 39: 통공
45: 바퀴 46: 분사기
49: 테이프 50: 링
53: 조각테 54: 패킹
55,56: 핀 57,58: 판체
59,60: 핀 62,63 : 치형 돌기
본 발명은 금속 또는 금속화 테이프를 안내하는 안내장치와 테이프 및 안내장치와 함께 연동되는 무한 차폐장치로 구성되고 소망의 국부피복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통로를 가진 금속 또는 금속화테이프의 국부전기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장치는 금속테이프에 고가인 귀금속을 부분적으로 피복시키는 전자산업분야에서 특히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피복은 예를 들면 반도체의 경우에 있어서, 차기 공정을 위한 생산품의 준비 또는 접점과 같은 전자부품의 표면 피복의 경우에 흔히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피복시킬 목적물에 소정의 피복을 형성 시키기 위하여는 피복시킬 목적물을 테이프의 형태로 정열시키고 피복장치를 통과시키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일부에만 피복시켜야 할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의 표면전체가 피복되기도 하고 심지어는 테이프의 앞뒤 양면이 피복되어 피복물질을 낭비하게 될뿐 아니라 특히 금,은 팔라듐과 같은 귀금속을 혼히 사용하는 피복물질을 다량으로 소비하게 되므로 최종생산품의 가격을 등귀시키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복될 물체의 적당한 부분에만 피복될 수 있는 장치가 안출된 것이다. 예를 들면 프린트된 회로를 제조하기 위하여 피복될 표면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절연체로된 차폐물로 가리는 사진 또는 인쇄술로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런데 전기도금으로서는 피복물질이 피복될 표면까지도 피복되므로 일단 피복시킨 후에도 피복된 피복층 중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너무 복잡하여 수많은 양의 테이프형 금속을 부분적으로 피복시키는 데에는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결점이 있을뿐 아니라 피복된 부분을 제거할 경우 제거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어 제품의 올바른 작동이 염려스러운 결점이 있다. 더우기 이 방법은 다량의 절연도료를 소비하게되어 제품가격을 등귀시키는 요인이 된다.
미국특허 제 4,090,928호의 공고명세서에는 테이프에 피복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프를 차폐장치의 두개의 직선부 사이에 장치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위의 직선 부중의 하나는 다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그 형태는 피복될 형태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반면 다른 직선부는 막혀있다.
각 개구부의 맞은편에는 스프레이가 배치되어 양극(+)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위의 발명에는 차폐장치에 끼워져 있는 테이프에 스프레이로부터 분사된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함실을 형성시켰다.
차폐장치에 협지된 테이프에 피복되는 금속의 두께가 소망한 정도로 피복될 만큼 충분한 시간 동안 뿌려지면 차폐장치가 개방되고 테이프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된다. 다음에 테이프는 차폐장치에서 다시 협지되고 테이프의 다음 부분에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작동이단속되므로(때때로 끊이므로)국부피복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피복 작업은 테이프의 교체시마다 중단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테이프형 소재에 금속을 피복하는 작업시간의 절반이상이 휴지시 간임을 발견했다.
이 장치의 더욱 중요한 결점은 동시에 실시되는 국소부분의 피복두께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피복의 두께와 질은 유체분사기에 크게 의존된다. 실제에 있어서 동시에 실시되는 국부피복작업에 있어서 피복되는 두께의 차이는 대략 피복두께의 4분지 1에 해당하는 정도에 이름을 발견하였다. 피복두께를 균등화시키려면 상단한량의 여분의 피복물질이 필요하게되며따라서 피복물질의 낭비를 초래하고 보다 많은 피복작업시간을 필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 7316244호는 전해액속에 장치되고 파지구(호울더)를 가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국부 부분을 피복시키기 위한 금속테이프를 바퀴의 둘레에 따라 통가시킨다. 위의 금속테이프파 함께 무한의 부도체로된 탄력성의 차폐벨트를 바퀴에 따라 회동시킨다. 이 차폐벨트는 바퀴와 떨어진쪽에서 금속테이프를 차폐시키고, 개구부는 차폐벨트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태는 금속 테이프에 형성될 모양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개구부들은 가능한한 국부피복층과 국부피복층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그리고 파지구는 바퀴의 회전축과 동심적으로 장착된 분사관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사관은 차폐벨트에 의해 차폐되지 아니한 부분에 전해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므로서 테이프가 이 장치를 통과하는 동안 연속적이고 또 효과적으로 전기도금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반면 전해액의 정기적인 교환으로 균등한 품질을 갖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심지어 부분적으로 분사기의 노즐이 폐색되더라도 제품의 균등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그리하며 이 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조작의 높은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위치의 정확성과 국부피복형태의 정확성에 대한 높은 요구 및 고가인 피복물질의 절약의 점에 있어서 위와 같은 장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탄력성 있는 차폐벨트는 금속 또는 금속화 테이프에 피복되는 국부피복금속의 정확한 위치를 담보하기에 충분하지 아니할뿐 아니라 탄력성 있는 벨트의 팽창계수와 금속 또는 금속화 테이프의 팽창계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금속테이프와 차폐벨트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모든 작업은 항온실에서 이루어져야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710404호는 외주에 홈을 형성시킨 바퀴로 구성되어 있다.
이홈의 크기와 위치는 테이프에 피복시킬 국부피복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프에 표면이 바퀴위주의 홈에 덮여지도록 테이프가 비퀴의 둘레를 지나게 된다.
그리고 바퀴는 금속테이프의 응답부분에을 통하여 전해액이 분사되도록 분사기에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테이프는 함성수지로된 바퀴의 올바른 위치에 장착되도록 바퀴에 지시침이나 돌기가 형성되고 테이프에는 감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치는 만족스럽게 작동되나 특히 복잡하고 연약한 제품 생산을 위하여 직경이 큰 바퀴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퀴의 외주에 있는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테이프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첫째, 하나의 테이프에 연합된 제품 생산의 오차, 둘째, 바퀴 제작에 있어서의 오차, 셋째, 온도의 차이에 따른 팽창차이 및 금속테이프와 바퀴의 팽창계수의 차이, 넷째, 금속 테이프와 바퀴에 걸린 기계적인 부하에 따른 변형 등의 원인에 기인한다.
예를 들면 바퀴를 퍼스팩스(방풍유리, 투시용의 유기유리)로 만들고 테이프를 니켈로 형성시켰을 경우 9.3디터의 길이를 갖는 테이프에 △T=50°K의 돌연한 온도변화가 생기게 되면 테이프이 길이 방향으로 1.10-3미터의 길이 변화가 생겨 국부피복위치를 일탈하게 된다.
금속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0.3m에 2.10-4m의 오차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금속테이프의 제조 오차는 탈선으로 부터 극복될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 만족한 품질의 제품을 얻으려면 단지 1.10-4m의 국부피복위치 오차가 허용된다.
이러한 차폐장치된 장치는 테이프의 길이가 약 0.3 미터 이상인 경우에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복부의 두께를 적절히 하기 위하여는 테이프의 진동률이 적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류의 장치가 갖는 제반의 결점을 제거하자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테장치를 수개의 독립된 부분으로 형성시키며 각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시키고 각 부분사이에 고착장치를 형성시켜 각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며 차폐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각 부분을 연동시키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을 사용하므로서 차폐장치의 각 부분은 다른 부분과 독립적으로 고정될수 있고 그리하여 각 부분이 정확한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연관된 테이프의 반대 부분에 고정되어 전기도금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소망하는 대로의 정확한 국부피복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피복을 해야할 금속 또는 금속화 테이프는 소정의 장소를 펀칭, 천공하여 이와 같은 테이프가 두개의 주연부(1)(2), 중간의 손가락모양부(3)(4), 손가락모양부(3)의 선단에 의해 둘러 싸이고 두 개의 연결편(6)(7)에 의해 주연부(1)(2)와 연결된 직사각형부(5)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부호(3)∼(7)의 부분은 단일체로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동일한 부분과 함께 테이프로부터 펀칭되어 하나로 붙어져 테이프형을 유지 시킨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 형성된 테이프에 있어서 제1도의 일점쇄선(A)으로 분획된 사각형의 범위내에서 국부피복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처리될 제품의 예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핀에 접하여지는 접편(8)이 리본 모양의 인결구(8A)에 의하여 테이프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편(8)에 일점쇄선(B)으로 분획된 사각형의 부분이 금속으로 피복된다. 이러한 금속피복은 제3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호울더(10)에 내장된 바퀴(9)로 구성되며 호울더(10)에는 유출관(11)이 장착되어 있고 그안에 전해액(12)이 들어 있다. 바퀴의 내부에는 분사기(13)가 장착되고 분사기(13)는 양극(+)의 역활을 한다.
음극(-)의 역할을 하는 금속테이프(14)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부터 공급되어 안내로울러(15)를 거쳐 바퀴(9)의 외주에 감겨 돌아가게하고 이어서 다른 안내로울러(16)를 거쳐 감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감겨진다. 바퀴(9)는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테이프(14)와 바퀴(9)의 외주사이가 충분히 접하여지도록 본 발명은 보조벨트(17)를 장착하였다. 보조벨트(7)는 탄력성있고 부드러운 물질로 형성시키며 두개의 안내로울러(18)를 거쳐 바퀴(9)를 커다른 호를 그리면서 감싸고 있는 금속 또는 금속화된 테이프(14)를 지지하게 한다.
분사기(13)로는 공급관(19)으로 부터 전해액이 압송되어진다. 바퀴(9)의 회전축은 수령을 이루든지 수직을 이루든지 상관이 없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일부인 바퀴(9)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바퀴(9)는 바퀴(9)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체(20)와 판체(20)의 외주에 결합된 서로 다른 수개의 가지(돌기)를 갖는 U자형의 링 (21)으로 구성되며 바퀴(9)에는 판체(20)로 부터 소정의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 다른 링(22)이 판체(20)와 링(21)에 견고히 고착되며 링(21)에는 링(21)쪽으로 개구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링(21)(22)에 형성된 홈에는 퍼스팩스와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로된 굴곡진 다수개의 조각테(23)를 연접 시킨다. 각각의 조각테(23)는 링(21)과 링 (22)사이에서 고착될수도 있고 서로 신축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조각테(23)에는 세개의 통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24)은 조각테(23)의 내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져 테이프에 형성시킬 국부피복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개의 조각테(23)는 구부러질 수 있는 연결구(25)로서 연결되어 있으며 또 각 조각테(23)에는 유도핀(26)이 장착되고 이 유도핀(26)은 처리될 금속 또는 금속화테이프의 유도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바퀴(9)에 감겨지는 테이프는 테이프(14)의 유도공에 조각테(23)의 유도핀(26)이 감입되므로 조각테(23)와 테이프(14)의 접촉 위치가 항상일정하게 되어 위치가 달라질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테이프(14)의 해당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조각테(23)는 다른조각테와는 관련됨이 없이 독립적으로 위치를 결정하게 되므로 테이프(14)와 다른 조각테(23)의 신축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테이프 각 부분이 바퀴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테이프는 해당조각테에 관련하여 정확한 위치를 잡게 되므로 팽창계수의 차이 또는 제작상의 오차등으로 인한 분일치의 염려가 없게되며 따라서 테이프에는 소기의 정확한 위치에 국부 피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장애도 없이 테이프가 바퀴의 외주를 따라 안내되므로 테이프에 전해액을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 테이프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킬수 있고 균등한 품질을 갖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요할만한 정도의 큰 직경을 갖는 바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테이프의 재질이나 바퀴부분의 신축에 따른 불일치로 인한 문제가 생기지 아니하게 된다. 테이프의 재질과 바퀴의 재질간의 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불일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는 링(21)(22)을 바퀴의 팽창으로 인한 일탈을 흡수할 수 있는 금속으로 만들 수 있으며 금속부분은 합성수지로 절연 피복시킨다. 이와 대신해서 바퀴의 여러부분을 합성수지로 형성시킬 수 도 있다.
고무와 같이 구부러질 수 있는 탄력성의 연결구(25)는 조각테(23)가 바퀴(9)에 따라 이동되면서 굴절되는 것을 허용할뿐 아니라 연접된 조각테(23)사이로 유체(전해액)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사기(13)에 의해 분사된 전해액이 테이프의 불필요한 부분에 피복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만 통공(24)을 통하여만 테이프에 국부피복이 이루어지게 한다.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테이프(27)를 상술한 본 발명의 첫번째 구성(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안내로울러(28)에 안내되어 바퀴(29)의 외주에 감겨지게하고 그리하여 테이프가 바퀴(29)의 외주에 접하여지게 한다. 제8도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9)에는 두 개의 ㄴ 자형 고리(30)(31)가 장착되어 있으며 고리(30)(31)는 세개의 지지로울러(32)(33)(34)로서 지지되어 있다. 각 로울러(32)(33)(34)의 양단부 가까이에는 요홈(35)이 형성되어 있어 고리(30)(31)의 외단주연이 감입되어 있다. 지지로울러(32)의 양요홈(35)의 거리는 지지로울러(33)의 요홈의 거리보다 작으며 지지 로울러(34)의 양요홈(35)의 거리는 지지로울러(32)의 양요홈(35)의 거리보다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벨트(36)는 지지로울러(32)(33)(34)에 안내되어 테이프(27)와 함께 바퀴(29)의 외주를 따라 회동하게 된다. 보조벨트(36)를 안내하기 위하여 지지로울러(32)(33)(34)에는 돌조(37)가 형성되어 있다.
L자형의 고리(30)(31)사이에는 바퀴의 외주를 형성하고 또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은 조각테(38)가 장착 되며 조각테(38)에는 통공(39)이 형성되어 있다. 각 조각테(38)에는 안내핀(40)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각테(38)의 양측에는 핀(41)(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41)(42)은 고리(30)(31)의 플렌지에 바퀴의회전축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형성된 원형홈(43)(44)에 끼워져 있다. 각 원형홈(43) (44)은 외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퀴(9)의 고리(30)(31)가 지지로울러(32)(33)(34)의 요홈(35)로 인하여 지지로울러(32)의 부분에서는 그 간격이 좁아지고 따라서 핀(41)(42)이 원형홈(43)(44)의 외단부에 지지되므로 핀(41)(42)이 래디알방향으로 이동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조각테(33)의 위치는 정확하게 정하여지고 또 조각테(38)의 안내핀(40)으로 인하여 테이프의 위치 가 정확히 결정되어 진다. 바퀴(29)가 더이상 회전하게되면 고리(30)(31)는 점점 서로 벌어지게 되며 따라서 핀(41)(42)은 원형홈(43)(44)내에서 어느 정도 래디알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유를 갖게된다. 그러나 바퀴 (29)를 따라 회동하는 테이프(27)가 전기도금되는 동안 테이프(27)가 접하여진 조각테(30)는 안내핀(40)으로 인하여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더라도 첫번째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접된 조각테(38)의 사이에 실시되는 누출방지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다. 조각테(38)사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다수개의 돌출된 주머니를 조각테(38)가 굴신하는데 지장을 받지 아니하도록 인접한 조각테(38)에 매달수도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의 실시예를 간략하게 한 것이다. 이 장치 또한 분사기(46)가 내장된 바퀴(4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국부 피복을 위한 금속 또는 금속화 테이프(9)를 지지하기 위한 무한의 지지벨트(48)가 안내로울러(47)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퀴는 구멍(51)이 천설된 연속된 림(50)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51)은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천설되어 있다. 바퀴(45)의 외주에는 I자형의 조각테 (53)가 장착되며 조각테(53)에는 구멍(51)에 대응하는 구멍(52)이 천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 서는 탄력성 있는 패킹(54)이 조각테(53)의 외주의 구멍(52)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49)는 패킹(54)에 접하여져 동반 회전된다.
조각테(53)의 양측에는 핀(55)(5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핀(55)(56)의 중심선은 바퀴의 회전축가 동심원을 이룬다. 바퀴(45)에는 판체(57)(58)가 림(50)과 함께 고착되어 있다.
판체(57)(58)는 림(50)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판체(57)(58)의 중앙부측에는 등거리로 핀(59)(60)을 장착하되 각핀(59)(60)의 중심선이 바르게 맞도록(회전축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도록)한다.
국부피복할 테이프(59)가 외주면에 접하여져 화살표(E)의 방향으로 회동하는 바퀴(45)의 테이프 접면부 가까이에 안내로울러(61)를 장착시켜 테이프(49)가 바퀴(45)에 밀착되게 한다. .
이 안내로울러(61)의 양측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돌기(62) (63)를 형성시키고 테이프(49)의 구멍에 끼워져 테이프의 위치를 일정케하는 유도판(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함)을 형성시킨다. 안내로울러(61)는 치형돌기(62)(63)와 핀(59)(60)에 의하여 바퀴(45)와 연동된다. 그리고 제12도에 도시되어 명백한 바와 같이 안내로울러(61)의 치형돌기(62)(63)는 핀(55)(56)에 교합되어 조각테(53)를 연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안내로울러(61)의 치형돌기(62)(63)는 바퀴(45)와 조각테(53)를 함께 연동시키게 된다. 동시에 이 위치로 이동되어온 테이프(49)의 위치는 안내로울러(61)에 형성시킨 안내핀과 테이프(49)에 형성된 구멍에 의하여 결정되어 진다.
바퀴(45)의 외주에 접하여지기 시작하는 진입부에서 소정의 조각테(53)는 소정의 테이프에 관련하여 매우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바퀴 (45)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안내로울러(61)의 치형돌기는 교합되었던 조각테(53)를 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조각테(53)가 그 진입부에서 비틈없이 감입안내되게 하면 국부피복할 테이프(49)와 조각테(53)사이의 마찰계수가 조각테(53)와 조각테(53)를 지지하는 림(50)사이의 마찰계수를 초과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장치에 대신해서 안내핀을 사용하므로서 조각테(53)를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기도금을 위하여 바퀴의 외주를 파라 테이프가 이동하는 동안 조각테(53)의 정확한 위치가 유지되며 그리하여 조각테는 바퀴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실시예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이점이 있다. 연접된 조각테(53)의 누출방지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같이하여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의 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바퀴 형태를 이용하므로서 장치를 극히 단순하게 구성시킬 수 있고 동시에 커다란 바퀴에도 국부피복할 파이프를 만족스럽게 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각테를 두개의 안내로울러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의 무한궤도 록된 벨트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제품의 피복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고 국부피복을 할 수 있는 모든 테이프형제품등에 이용될 수 있다. 더우기 화학적 환원법 또는 화학적 및 전기화학적 물질 제거법, 전기분해에 의해 부분적인 형태를 형성시키기보다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므로서 부분 부분적인 형태를 갖는 금속무늬를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물론이다.
통공(24)(39)의 개구부 주위에 탄력성있는 물질로된 고리형의 패킹을 장착하므로서 동반 회전하는 테이프와의 사이를 통하여 누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장치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테이프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병설시킬 수도 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숫자는 본 발명의 구성을 명백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 판단에 관한 제한을 의미한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금속 또는 금속화 테이프를 안내하는 안내장치와 테이프 및 안내장치와 함께 작동고 또 소기의 국부피복형태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어있으며, 무한궤도로된 차제장치로 구성된 전기도금에 의한 금속 또는 금속화테이프의 국부피복장치에 있어서, 차폐장치를 독립된 조각테로 형성시키고 각각의 조각테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시켰으며, 조각테사이에 누출방지장치를 장착하고 누출방지장치를 각각의 조각테가 차폐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서된 연결구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2.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것에 있어서, 경질의 물질로 형성된 조각테를 차폐장치로서 서로 격설시키고 차폐장치를 고무와 같은 탄력성있는 물질로 형성시켜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3.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것에 있어서, 경질의 물질로 형성시킨 조각테에 튀어나와 맞물린 누출방지장치를 부착하여서된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4. 상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각각의 것에 있어서, 차폐장치를 바퀴의 둘레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5.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각각의 것에 있어서, 조각테의 양측에 위치하고 바퀴를 구성하는 환형 고리나 판체에 형성된 원형홈에 조각테의 양측을 감설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6. 특허청구범위 제5항의 것에 있어서, 판체나 환형고리를 금속으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7.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각각의 것에 있어서, 바퀴의 일부로 구성되고 안내로울러에 의해 안내되는 관체의 원형홈에 조각테의 양측에 형성시킨 판을 감설하고 바퀴의 외주부중 테이프가 진입되는 부분에서 판체를 안내로울러로 근접되게 하고 이부분을 지나면 판체가 점점 벌어지며 핀을 감설하는 원형홈은 외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게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8.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각각의 것에 있어서, 각 조각테에 안태핀을 장착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9.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각각의 것에 있어서, 조각테의 적어도 한쪽과 바퀴의 대응부에 핀을 형성시키고, 이 핀을 교합되어 회전하는 안내로울러를 테이프가 공급(진입)되는 위치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0.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것에 있어서, 조각테의 양측에 위치하고 바퀴를 구성하는 환형 고리나 판체에 형성된 원형홈에 조각테의 양측을 감설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1. 특허청구범위 제11항의 것에 있어서, 판체나 환형 고리를 금속으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2.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것에 있어서, 바퀴의 일부로 구성되고 안내로울러에 의한 안내되는 판체의 원형홈에 조각테의 양측에 형성시키판을 감설하고 바퀴의 외주부중 테이프가 진입되는 부분에서 판체를 안내 로울러로 근접되게 하고 이부분을 지나며 판체가 점점 벌어지며 핀을 감설하는 원형홈은 외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게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의 의한 국부피복장치.
  13.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것에 있어서. 각 조각테에 안내핀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4.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각 조각테 안내핀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5. 특허청구범위 제6항의 것에 있어서, 각 조각테에 안내핀을 장작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6. 특허청구범위 제7항이 것에 있어서, 각 조각테에 안내핀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7. 특허청구범위 제11항의 것에 있어서, 각 조각테에 안내핀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8. 특허청구범위 제12항의 것에 있어서, 각 조각테에 안내핀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19. 특허청구범위 제13항의 것에 있어서, 각 조각테에 안내핀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
  20.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것에 있어서, 조각테의 적어도 한쪽과 바퀴의 대응부에 핀을 형성시키고, 이 핀에 교합되어 회전하는 안내로울러를 테이프가 공급(진입)되는 위치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에의 의한 국부피복장치.
KR8200945A 1981-03-07 1982-03-05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KR880002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101106 1981-03-07
NL8101106A NL8101106A (nl) 1981-03-07 1981-03-07 Inrichting voor het galvanisch aanbrengen van vlekvormige bedekki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269A KR830009269A (ko) 1983-12-19
KR880002017B1 true KR880002017B1 (ko) 1988-10-12

Family

ID=1983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945A KR880002017B1 (ko) 1981-03-07 1982-03-05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493757A (ko)
EP (1) EP0060591B1 (ko)
JP (1) JPS57203790A (ko)
KR (1) KR880002017B1 (ko)
AT (1) ATE11058T1 (ko)
BR (1) BR8201224A (ko)
DE (1) DE3261736D1 (ko)
HK (1) HK51986A (ko)
MY (1) MY8600527A (ko)
NL (1) NL8101106A (ko)
PH (1) PH20617A (ko)
SG (1) SG4786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947A (ja) * 1982-08-27 1984-03-05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デユアルフユエル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S5954567U (ja) * 1982-09-30 1984-04-10 日本エレクトロプレイテイング・エンジニヤ−ス株式会社 帯状メツキ物の部分メツキ装置
DE3708779A1 (de) * 1986-11-22 1988-06-01 Schempp & Decker Maschinenbau Vorrichtung zum galvanischen beschichten eines elektrisch leitenden gegenstandes
GB2214930A (en) * 1988-02-11 1989-09-13 Twickenham Plating & Enamellin Mask for use in electriplating on elongate substrate
NL9100640A (nl) * 1991-04-12 1992-11-02 Meco Equip Eng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vlekvormige bedekkingen.
NL9300174A (nl) * 1993-01-28 1994-08-16 Meco Equip Eng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langs electrolytische weg plaatselijk aanbrengen van metaalbedekkingen op van openingen voorziene metalen of gemetalliseerde producten.
US7282240B1 (en) 1998-04-21 2007-10-1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Elastomeric mask and use in fabrication of devices
WO2001070389A2 (en) * 2000-03-17 2001-09-2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ell patterning technique
JP3845343B2 (ja) * 2002-07-18 2006-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鍍金装置
JP5788218B2 (ja) * 2011-05-23 2015-09-30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スポットめっき装置及びスポットめっき装置用バックアップ部材
JP5914083B2 (ja) * 2011-10-19 2016-05-11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部分めっき装置及び部分めっき方法
EP3928114A1 (en) 2019-03-25 2021-12-29 Assa Abloy Ab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with localization-based intent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82014A (en) * 1944-04-13 1946-11-01 Brassert & Co Improvements relating to apparatus for handling and treating flexible metallic sheets
US3746630A (en) * 1970-12-08 1973-07-17 Auric Corp Apparatus for selective electroplating of strips
NL170027C (nl) * 1971-05-25 1982-09-16 Galentan Ag Verbetering van een om een vaste as draaibare elektrolyt-verdeelinrichting.
CH594067A5 (ko) * 1973-10-04 1977-12-30 Galentan Ag
US4132617A (en) * 1973-10-04 1979-01-02 Galentan, A.G. Apparatus for continuous application of strip-, ribbon- or patch-shaped coatings to a metal tape
US4003805A (en) * 1975-10-20 1977-01-18 Uop Inc. System for electroplating a sequence of moving plate members
JPS5250936A (en) * 1975-10-21 1977-04-23 Noge Denki Kogyo Kk Continuous partial plating apparatus
US4033844A (en) * 1975-11-03 1977-07-0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for selectively plating lead frames
US4155815A (en) * 1978-04-03 1979-05-22 Francis William L Method of continuous electroplating and continuous electroplating machine for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s
US4186062A (en) * 1978-07-13 1980-01-29 Micro-Plate, Inc. Continuous tab plater and method
DE3165132D1 (en) * 1980-12-23 1984-08-30 Owen S 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lective pl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20617A (en) 1987-03-06
NL8101106A (nl) 1982-10-01
ATE11058T1 (de) 1985-01-15
MY8600527A (en) 1986-12-31
HK51986A (en) 1986-07-11
DE3261736D1 (en) 1985-02-14
JPS625237B2 (ko) 1987-02-03
BR8201224A (pt) 1983-01-18
EP0060591B1 (en) 1985-01-02
KR830009269A (ko) 1983-12-19
JPS57203790A (en) 1982-12-14
EP0060591A1 (en) 1982-09-22
SG4786G (en) 1987-03-27
US4493757A (en) 198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017B1 (ko) 전기도금에 의한 국부피복장치
US4264416A (en) Method for continuous application of strip ribbon or patch-shaped coatings to a metal tape
US3819502A (en) Line- and spotplating machine
US7655117B2 (en) Continuous plating system and method with mask registration
US8900425B2 (en) Contact ring for an electrochemical processor
US3866565A (en) Vapor deposition apparatus with rotating drum mask
US33148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hode sputtering using a cylindrical cathode
JPS6318095A (ja) 連結された金属部品および/または金属被覆製品に金属堆積層を電解メツキする方法および装置
CA1056761A (en) Methods of providing contact between two members normally separable by an intervening member
KR101420779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JP2645201B2 (ja) 点状被覆形成装置および被覆された部材
EP01594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lytically applying a metal coating selectively on metal objects
GB2117404A (en) Device for applying blot-shaped coverings by electro-plating
US4036725A (en) Wheel selective jet plating system
KR20130112238A (ko) 금속판재의 포인트 금도금 방법 및 장치
KR20200025253A (ko) 금속판재의 부분 금도금 방법 및 장치
JPS61124594A (ja) 帯状メツキ物の部分メツキ装置
KR20140140170A (ko) 금속판재의 도금 장치
CS270231B2 (en) Device for conductive article's electroplated coating
US4687555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plating electrical terminals
US4895632A (en) Device for providing a stripe shaped coating on an elongated conductive strip by an electrolytic process
JPS6217195A (ja) 帯状長尺体への部分的メツキ法
US4388157A (en) Method of applying coverings in the form of completely or not completely closed loops
EP0154795B1 (en) Electroplating device for locally applying a metal deposit to an elongate metal tape or the like
JPH09279392A (ja) 金属ストリップの連続電気めっ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