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937B1 - 반경성원료판지(半硬性原料板紙)를 사용하는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반경성원료판지(半硬性原料板紙)를 사용하는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1937B1 KR880001937B1 KR1019850003022A KR850003022A KR880001937B1 KR 880001937 B1 KR880001937 B1 KR 880001937B1 KR 1019850003022 A KR1019850003022 A KR 1019850003022A KR 850003022 A KR850003022 A KR 850003022A KR 880001937 B1 KR880001937 B1 KR 880001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board
- tool
- container
- matrix
- cav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and interconnecting sid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B65B43/10—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by folding the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93/00—Manufacturing container or tube from paper; or other manufacturing from a sheet or web
- Y10S493/916—Pliable container
- Y10S493/927—Reclosable
- Y10S493/929—Reclosable with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 방법 및 장치로서 용기로 변환시킬 수 있는 직사각형 원료판지의 평면도.
제2도는 최종 용기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도시한 용기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실시태양으로서의 1개 장치의 부분 정면 및 부분 입면도.
제5도는 제4도 장치내의 원료판지 변환유닛의 2개 공구를 각각 이들의 제1 및 제2단부위치에 도시한 원료판지 변환유닛의 확대 입면도.
제6도는 하부공구가 제1단부 위치에 있는 제5도 구조의 도면.
제7도는 상부공구가 제2단부 위치로 향하며 또 원료판지의 일부가 이상부공구 주위로 들어져 있는 제6도의 구조의 도면.
제8도는 변형된 원료판지가 매트릭스 공동에 위치한 제7도 구조의 도면.
제9도는 변형된 원료판지가 이송장치의 1개 리셉터클 내로 유입되고 또 공구들이 제5도 위치로 복귀한 제8도 구조의 도면.
제10도는 원료판지 변환유닛, 이송장치의 1개 리셉터클, 제5도 또는 제9도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도시된 공구와 이 매트릭스와 상부공구 사이에 점선으로 표시한 원료판지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매트릭스의 공동을 구분짓는 면은 물론 2개 공구의 주변 및 원료판지 처리면을 설계하는 현실적으로 바람직한 모우드를 설명한 도면.
제12도는 제11도의 좌측면에서 본 도면.
제13도는 제11도의 도시된 물건의 평면도.
제14도는 제4도의 A-A선으로 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 수평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용기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평면의 반경성 원료판지, 특히 라미네이트 판지 또는 그 유사체로 구성되는 원료판지로 부터 용기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밖에도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볼록형 외측면을 갖는 2개의 거울 대칭형 결합측벽 : 과 오목형 외측면을 갖는 단부벽 또는 하부벽 ; 을 갖고 또 측벽의 인접부분과 결합되는 형태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개략 기술한 특징의 용기들은 예를 들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3303112. 3호는 물론 유럽특허 제0041924호와 동 제007847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같은 용기들의 제법은 주로 또는 상당한 정도가 원료판지 물질의 특성에서 유래되는 수 많은 문제점들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원료판지들은 신장될 수 없는 반경성종이 또는 판지의 중심층, 알미늄박막으로 피복한 외부층과 합성 열가소성재질(예 : 폴리에틸렌)층을 입한 내부면으로 통상 구성되었다. 그러나 용기의 단부벽과 측벽간의 일정한 경계부를 설정하기 위해서 구부리거나 굽혀주는 경우에 이들 부위 각각에서 그 강성을 전부 또는 일부 상실하게 됨으로서 반경성층 물질은 굽혀지는 대역에서 파열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공지된 방법들은 단지 최종 용기의 모서리부 처리만을 다루고 있을뿐으로 그 이유는 기타 부위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응하는 벽들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전술한 반강성 재료의 성질은 이같은 용기들을 2개의 반대면에서 상호 결합되는 2개의 중첩판넬을 사용해서 예를 들어 공고된 프랑스 특허원 제2,181,620호 및 동 2,351,870호에 기재된 방식에 따라 빽에 하부벽 또는 단부벽을 형성할 목적으로 이들 판넬 사이로 램을 투입시켜 연신시켜서 평면빽 형태로 조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이들 프랑스 특허출원에 기재된 장치로는 측벽과 단부벽 또는 하부벽 간의 명확한 경계부를 갖는 빽을 제조한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아주 명확한 경계부는 최종 제품 형태의 불필요한 변화를 방지하는 등, 용기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어 바람직하다.
프랑스 특허원의 장치들은 각개 용기의 하단벽 또는 단부벽이 중심부 위치 접지선에 의해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벽을 형성하는 2개의 반부엽들이 마치 경첩과 같은 작용을 함으로서 단부벽이 접촉하고 있는 측벽을 서로 떨어지게 유지할 수 없거나 또는 이들 측벽이 서로 가깝게 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단부벽과 전체 용기의 안정성을 크게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금 언급된 장치는 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소모성 탄성체 빽 또는 유사한 다소 평면인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만 유용될 수 있다.
벨기에 특허 제538,036호에는 상부공구가 원래 평면인 원료판지를 매트릭스 개구로 투입시켜 이 원료판지의 특정부분인 용기의 측면으로 변환되도록 설계된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 다음 단계에서, 제2공구가 하부로 부터 매트릭스로 유입되어 원료판지에 하단벽 또는 단부벽을 형성한다. 이 2개의 공구는 계속해서 이같이 수득된 용기의 모서리부를 용접용구 사이로 이송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1개 측벽의 전체 모서리부를 다른 1개 측벽의 상응 모서리부에 접착시킨다. 수득용기는 매트릭스에서 하방향으로 배출되며, 그후 하부공구는 매트릭스 내부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방금 언급된 방법(용기의 측벽이 단부벽 또는 하단벽 보다 앞서 형성된다)은 측벽과 단부벽이 동시에 형성되어야만 하며 또 단부벽과 각각의 이들 측벽 사이에 아주 확실하고 또 명확한 연속상 경계부가 형성되어야만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실용적이 될 수 없다.
또한 이 방법의 다른 단점으로는 원료판지를 변형시키기 위해 사용된 공구가 또한 이 변형원료판지를 접착대역으로 이송시키며 또 측벽의 모서리부를 서로 용접하는 기간동안 원료판지를 잡고 있는 역할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1개 순환공정이 측벽의 모서리부가 서로 접착된 시점에서 비로서 종료됨으로서 1개 순환공정의 종료간격이 너무 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방법은 외측이 오목형인 단부벽 또는 하단벽과 연결되는 외측이 볼록형인 측벽을 갖는 용기의 대량 생산용으로는 적합치 못하다.
전술한 벨기에 특허에 기재된 장치는 공동을 구비한 매트릭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공동의 윤곽은 그 안에서 제조하고저 하는 용기의 윤곽과 일치된다. 공동의 입구단부를 구분하는 모서리는 원형으로 되어 있어서 원료판지가 매트릭스 내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이들 경계부를 최종 제품의 외관 및 안정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다소 우발적인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 등 용기의 측벽과 단부벽 간의 아주 명확한 경계부를 설정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다음에 이어지는 단계에서 매트릭스로 유입된 하부공구는 상부공구에 의해 원료판지가 매트릭스 공동으로 강하게 유입되는 동안에 변형이 이루어진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이 부분 변형된 원료판지가 추가 변형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몇개의 경계부(1차는 상부공구와 매트릭스에 의해 그 후에 하부공구에 의해 형성된)를 형성함으로서 최종 용기의 의관을 떨어트리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부공구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원료판지가 매트릭스 공동 내로 강하게 유입된 결과로 진행된 다소 우발적으로 형성된 경계부는 차후의 하부공구를 상승시켜 원료판지를 변형시키는 공정기간 동안에도 지워지지 않는다. 환언하면, 이 특허 장치로는 용기가 탁월한 안전도를 나타내야 하는 부위, 즉 측벽과 단부벽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된 부위가 약해지기 쉽게 되어 있다.
벨기에 특허에 기재된 장치는 이밖에도 원료판지를 매트릭스의 공동 내부로 투입시키는 동안에 측벽의 모서리 부위를 유도하는 수단이 없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측벽 모서리부에 알직선 유지에 다소 차질은 초래해서 결과적으로 수득용기를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을 소모하게 되는 트리밍 장치에서의 2차 처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측벽이 일정량 이상의 상대적인 전이가 측벽 모서리부를 서로 접착하는 동안은 물론 접착하기 직전에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다.
최종 용기의 트리밍으로 추가비용 및 추가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 장치는 또한 제거된 물질을 수거해서 배출시키는데 필요한 장치를 구비해야만 한다. 이 벨기에 특허 장치에서 용기 모서리부에 대한 가로방향 유도장치는 원료판지가 하강하는 상부공구와 매트릭스의 인접부분에 의해 정해지는 방향으로 강제 이동 되기 때문에 이 가로방향 유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2개 측벽이 전개되는 과정에 있는 원료판지의 측벽의 모서리부 유도장치는 이들 측벽 모서리부가 상대적으로 일정량 이상 가로방향 전이를 일으키는 경우에도 이를 방지할 수 없게 됨으로서 실제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전혀 얻을 수가 없는 장치이다.
이밖에 2개 측벽과 1개 단부벽을 갖는 용기의 제조장치가 프랑스 특허 제1,186,975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장치는 제1공구와 체인에 부착된 추가공구의 전지로 구성된다.
이 장치는 이 밖에 돌저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또 용기벽 사이에서 경계부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는 원료판지부분을 마주보는 벽부위를 갖는 연결된 매트릭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 장치는 아주 복잡하고, 고가이며 또 기능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또한 이 장치는 많은 수의 가동부품을 함유하는 관계로 마멸되기 쉽다. 이밖에 이같은 장치는 측벽과 단부벽 사이에 활모양 경계부와/또는 외측으로 볼록형인 측벽을 갖는 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이밖에 최종용기의 모서리는 트리밍 처리를 행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1개 측벽의 모서리부를 다른 측벽의 모서리부와 일치시키는 것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득된 용기의 분진과 조각은 용기를 오염시키게 되며 또 이들 용기는 추가비용을 들여 배기처리 해야만 한다. 용기내부의 원료판지조각과/또는 분진은 폐기물처리 문제를 야기시켜서 특히 이들 용기에 특정형태의 충진물(식용물)을 충진하는 경우에 부수적인 처리를 행해주어야만 한다. 이밖에도 최종용기는 자동적으로 폐쇄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예 : 내용적이 감소된다) 충진전에 용기를 열어줄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체인에는 수많은 추가공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복합형 매트릭스 내부를 향해 상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없으며, 매트릭스 및/또는 기타부분품이 공구상 또는 그 사이에서 용기를 향해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하며 또 성가신 방법일 뿐이다.
탄성변형 가능 용기와/또는 인접벽 사이에 직선 경계부를 갖는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는 Vogt에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382,644호, Winternitz에 허여된 영국특허 제548,474호, Waters에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2,432,462호, F " t-1 " hr에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2,947,653호, Moorse에 특허된 미합중국특허 제3,145,630호, Doyen에 특허된 미합중국특허 제2,502,521호, Dunlap에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2,209,448호, Weckesser에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2,691,259호, Danielzig에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041,947호, I.D.Plastic에 허여된 프랑스특허 제1,052,490호, Wifor에 허여된 스위스 특허 제 603,423호 및 프랑스특허 제 1,186,975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류판지가 인접벽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만 명확한 경계부를 갖게 되는 방식으로 용기를 제조하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시간당 많은 수의 동일형태 용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 최종제품의 트리밍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밖의 목적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피복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종이 또는 판지와 같은 반경성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포함하는 원료판지로 부터 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측벽의 모서리부를 정확히 일치시킨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목적은 선행방법에 따라 유사한 용기를 제조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이내에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에서 개략 기술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밖의 목적은 평면 또는 거의 평면인 반강성 재질의 원료판지를 사용해서 볼록형 외부면을 갖는 1쌍의 측벽과 오목형 외부면을 갖는 1개의 단부벽을 또는 하단벽을 갖는 용기를 제조하는 신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판지를 변환대역으로 이송시키고 또 완성 또는 부분완성 용기를 이 변환대역으로 부터 다른 곳으로 이송하는 신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목적은 반경성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함유하는 원료판지를 지금까지 공지된 장치보다 아주 탁월한 예측도와 재생도를 갖고 처리할 수 있고 또 각개 처리단계에서 원료판지 부분을 정확히 유도 위치시킴으로서 최종제품의 트리밍이 필요없으며 또/또는 부정확한 유도 및/또는 이송을 상쇄시키기 위해 조작할 필요가 없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밖의 목적은 부분완성 용기의 부분을 서로 계속해서 접착하는 개량된 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판지와 용기를 소중하게 다루고 또 제품상에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자욱이나 또는 강도에 영향을 주는 자욱을 전혀 남기지 않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목적은 판지 또는 그 유사체 등의 평면 원료판지를 사용 2개의 외부 블록형 측벽과 1개의 외부 오목형 단부벽을 갖는 부분완성 용기로 신속하게 예측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개량된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변형 가능한 시이트 형태의 원료판지 (특히 라미네이트화 판지 등의 반경성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함유하는 원료판지)를 사용해서 적어도 일부가 볼록형 외부면을 갖는 2개 측벽, 인접한 제1의 길이방향 모서리부, 인접한 제2의 길이방향 모서리부 및 인접한 횡방향 모서리부가 이 횡방향 모서리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또 오목형 외부면을 갖는 단부벽과 연결되며 또 경계부(활모양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활모양일 필요는 없다) 를 형성하는 형태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방법은 2개의 원료판지 외측부 사이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거의 렌즈형태 또는 타원형의 바랍직하다) 원료 판지의 제1부분의 양면에 제1 및 제2변형공구의 보조 오목형 및 볼록형 면과 대향시켜 필요한 압력을 가해주어 이 제1부분을 용기의 단부벽으로 변환시키고 ; 이와 동시에 이같이 수득된 단부벽과 원료판의 외측부 사이에 경계부를 형성하며 ; 또 이와 동시 또는 그 직후에 바로 원료판지의 외측부를 각개 경계부를 따라 접어줌으로서 이들 원료판지의 외측부를 용기 측벽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접지단계는 변형공구들 사이에 맞물려 있는 원료판지의 변환된 제1부분을 원료판지의 외측부가 제1공구(예 : 오목면을 갖는 공구)를 따라 접지될 수 있는 방향으로 주형 또는 매트릭스 공동내로 유입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이밖에 원료판지를 단부벽 형성과 함께 거의 직선통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공정(예 : 원료판지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부벽은 변형, 원료판지의 하단부에 위치한다)을 포함해서 원료판지를 매트릭스 공동으로 부터 축출하는 단계와 그 후에 축출된 원료판지를 외측, 즉 이후 공정대역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밖에 원료판지의 제1부분에 개구를 바람직하게는 변환단계 이전에 구비하고 또 그 후에 이 원료판지 제1부분의 중앙개구를 사용해서 변형공구들과 매트릭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원료판지의 중심을 맞추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밖에 1장씩 구분되는 (쌓아올린) 원료판지의 공급원을 축조해서 이 공급원으로 부터 변형공구 사이의 공간으로 원료판지를 1장씩 계속해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다르게, 이 방법은 일련의 동질성 원료판지(예 : 로울)를 축조하여, 잔유된 일련의 원료판지로 부터 원료판지를 1장씩 계속해서 분리(예 : 분할)하고 또 이 분리된 원료판지를 변형공구들 사이로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또한 1개 측벽의 모서리부를 다른 측벽의 상응 모서리부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 이같은 접착단계의 예로는 가열접착, 전기용접(고주파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등을 들 수가 있다.
접착단계는 몇개의 소단계로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단계에서 2개 측벽의 일부 모서리부(예 : 길이방향으로 뻗는 모서리부)를 서로 밀봉 고착시키고 또 제2단계에서 2개 측벽의 잔유 모서리부(횡방향)를 서로 밀봉 고착시킬 수 있다. 제1밀봉 고착단계 종료후에 잔유 모서리부는 그 자신이 개구를 형성하며 또 이 방법은 제2밀봉고착단계 이전에 이 개구를 통해 용기를 충진물(예 : 유동성 식용물질 또는 기타 물질)로 충진시키는 추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변형 가능한 시이트 형태 원료판지, 특히 라미네이트화 판지 또는 그 유사체로 구성되는 반경성 원료판지를 볼록형 외부면을 갖고 또 주위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벽이 오목형 외부벽을 갖는 단부벽과 연결되며 또 다소 명확한 경계부를 형성하게 되는 형태의 용기로 전환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장치는 제1부분이 원료판지의 2개 외측부와 접하게 되는 원료판지(예 : 종이와/또는 판지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긴 직사각형 원료판지)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 제1부분의 양면에 대해 각각 보조적 오목형 및 볼록형면으로 대향하게 되는 바람직하게는 동심축인 제1 및 제2변형공구를 갖는 원료판지 변형유닛을 1개 이상 포함하고 있다. 이 장치는 원료판지의 제1부분을 용기단부벽으로 변환시키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제1 및 제2공구의 오목면 및 볼록면이 각각 이같이 수득한 단부벽의 오목한 외부면과 볼록한 반대면 또는 내부면과 일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및 제2공구는 이밖에 각개 면들을 형성하거나 또는 구분하는 제1 및 제2모서리를 가질 수 있으며, 또 원료판지 변환유닛은 이밖에 이들 2개 공구가 통과하는 통로인 공동을 갖는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공동의 외곽은 2개 공구 사이에 협지된 원료판지의 변형된 제1부분의 외곽과 일치하며 또 이 매트릭스는 이밖에 공동의 1단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구분하며 또 공구들 사이에 협지된 원료판지의 변형된 제1부분과 외측부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2개 공구의 모서리 (또는 1개 이상 공구의 모서리)와 공동으로 작용하는 모서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계부의 형성은 제1공구가 공동으로 침투되면서 진행된다. 매트릭스의 모서리는 이밖에도 이들 공구중 1개 공구(통상 제1공구)를 따라 2개 공구 사이의 원료판지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의 접지를 개시 시키거나 접지를 진행시킨다. 이 장치는 이밖에 이들 공구를 매트릭스에 대해 미리 정한 방향, 즉 2개 공구의 공동측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오목면 및 볼록면은 동일 반경을 갖는 실린더형 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릭스 공동과 2개 공구는 거의 렌즈 형태의 단면 외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개 모서리는 서로가 2개의 예각을 이루는 2개의 활모양 부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이 매트릭스는 공동의 1단부에 인접해 있는 길게 횡방향으로 뻗은 거의 V-형태 리세스 또는 절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매트릭스 1단부에서 2개 모서리부에 의해 결정되는 예각은 리세스의 가장 심층부분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의 공동은 거의 렌즈 형태 단면 외곽을 갖고 또 이 공동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또 일정공간을 두고 떨어져서 위치하는 2개의 가장 좁은 부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매트릭스는 이밖에 공동의 가장 좁은 부위과 연통되며 또 제1공구를 공동내부로 침투시켜서 원료판지의 2개 외측부가 강제로 공동내부로 투입시키는 경우에 제1부분이 이들 2개 공구면 사이에 협지된 원료판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모서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서로 평행인 긴홈을 구비해줌으로서 이들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모서리부가 매트릭스의 각개 홈으로 투입되게 할 수 있다. 이들 2개 홈 둘레에서의 매트릭스 내부면은 제1공구가 공동으로 투입되는 동안 변형된 원료판지의 2개 외측부의 길이방향 모서리부 각각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개 공구 각각의 주변면은 2개의 거울대칭 또는 거의 거울대칭의 볼록형 반부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이같은 볼록형 반부체 각각의 곡률반경은 전술한 오목 및 볼록 원료판지-변형면의 곡륙반경과 동일 또는 근접된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릭스의 내부면(예 : 공동의 주변면) 또한 2개의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실리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의 거울대칭 반부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동일 실린더면의 축은 2개 공구의 공동축에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들 축은 통상 각개 공구의 오목면 및 볼록면을 구성하는 실린더 면 부위의 축들이 된다.
변형을 가해, 공구와 매트릭스의 모서리를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선으로 구성된 면을 구비한 다각형 외곽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부벽이 다각형 외곽을 갖는 용기를 제조하게 되며 이는 적재시 편이성 또는 관상용 목적의 관점에서 매우 바람직하고 또 유리하다.
이 장치는 이밖에 부분안성된 용기를 원료판지 빈형유닛으로 부터 이송시킬 수 있는 수단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이송장치는 공구들의 공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뻗은 통로를 따라 또 매트릭스내 공동의 다른 반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1개의 이상의 리셉타클(예 : 그 내부에 완성된 단부벽과 부분완성 또는 거의 완성된 측벽을 갖는 부분완성 원료판지를 수용할 수 있는 통로를 갖는 거의 볼록형태의 몸체를 갖는다)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은 1개의 공구(통상은 그 전방면이 오목면으로 되어 있는 제1공구)를 사용 메트릭스 공동으로부터 변형된 원료판지를 꺼냄과 동시에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열시키고 또 운송장치는 이밖에 이들 리셉터클을 미리 설정한 방향과 거의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무한 궤도를 따라 운반할 수 있는 수단(예 : 리셉터클 밧데리에 연결된 연결구를 갖는 체인)을 포함한다. 운반수단은 이 리셉터클 또는 리셉터클들을 미리 정한 통로(예 : 전술한 무한 통로)를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설계하거나 또는 설계할 수 있으며, 또 이 장치는 이 미리 정해진 통로에 인접 위치하며, 또 리셉터클에 의해 이 위치로 운반되는 변형된 원료판지를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1개 이상의 추가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추가유닛에는 변형된 원료판지 외부 모서리부를 서로 접착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유닛(또는 몇개 추가유닛 중 하나)은 각개 변형된 원료판지 내부로 충진제물질(예 ; 유동성 음식물)을 장입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개 추가유닛은 리셉터클로 부터 변형된 원료판지를 분리하는 수단 과/또는 리셉터클로 이같은 원료판지를 재장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추가유닛에서는 재장입수단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데 그 이유는 최종용기는 리셉터클 또는 몇개 리셉터클 중 1개 내로 재장입하지 않고(예 : 적합한 수우트를 사용) 수거대역으로 방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료판지 변형유닛의 공구를 구동시키는 수단에는 제1공구의 모서리가 매트릭스 공동의 1단부 모서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새로운 원료판지를 제1공구와 매트릭스 사이에 전술한 원료판지의 제1부분이 공동의 1단부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제1위치와 제1공구가 공동내부로 진행함으로서 제1공구가 삽입된 원료판지(예 : 공동의 제1단부와 중첩되어 있는 원료판지)의 제1부분을 매트릭스 내부로 진행시킨 제2위치 사이로 제1공구를 구동시키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구동수단은 이밖에 제2공구의 모서리가 매트릭스 모서리에 인접하게 되는 제1위치와 제1공구가 공동내부로 침투됨으로서 2개 공구 사이의 원료판지 제1부분이 이들 공구의 오목면 및 볼록면 사이에 맞물리게 되는 제2위치 사이로 제2공구를 구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매트릭스에는 제1공구가 공동으로 침투하는 동안 원료판지의 외측부를 제1공구의 주면을 따라 제2공구와는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전개시킴으로서 제1부분이 2개 공구의 볼록면과 오목면 사이에 맞물리게된 원료판지의 외측부를 접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한쌍의 접지면(특히 공동의 1단부에서 매트릭스내에 전술한 V-형태 리세스를 형성하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공구를 구동시키는 수단은 이 제1공구가 그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함으로서 즉, 제1공구가 바람직하게는 고정 매트릭스의 공동내로 침투됨으로서 제2공구가 그 제1위치로 부터 이동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위치로 부터 제2위치까지의 제1공구의 행정길이는 제1공구가 제2위치에 도달할때 변형된 전체원료판지가 공동 외부에 위치함으로서 따라서 축출된 새로이 변형된 원료판지가 다음 유닛으로 이송 즉 공동과 공구들과 선상을 이룬 위치로 부터는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는 길이어야 한다. 따라서, 1개 공구에 대한 구동수단은 중간의 1개 공구를 통해 공동으로 부터 변형된 원료판지를 축출하는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포함하고 있고 또 전술한 이송장치는 이어서 매트릭스의 공동과 일치하는 위치(예 : 원표판지 변형유닛의 반대편)로 부터 연속해서 축출되는 원료판지들을 다음 유닛, 즉 변형된 원료판지의 외측 모서리부를 찝어주는 역할을 하는 1쌍의 조오를 포함하는 전술한 접착 유닛 등으로 진행시켜서 여기서 1개 외측부의 모서리부 또는 특정 모서리부가 다른 외측부의 모서리부 또는 특정 모서리부와 중첩시킨다고 말할 수가 있다.
접착유닛은 이밖에 변형된 원료판지의 외측부 모서리부를 유도하는 한쌍의 유도수단과 그 외곽이 변형된 원표판지 외곽과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하는 챔버를 갖는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은 챔버는 변형된 원료판지를 수용하는 한편 가열 또는 기타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들 원료판지의 모서리부를 서로 접착시킨다.
제2공구의 볼록면은 이 제2공구를 제2단부위치에 유지시키는 경우 매트릭스 상단부면 내의 V-형태 리세스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리세스는 거의 90℃의 각도를 이루는 2개의 접합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사료되는 신규한 사항들은 특별히 청구범위에 기재하였다. 그러나 개량된 장치는 첨부도면에 따른 특정 실시태양으로 행한 다음의 상세 설명을 음독함으로서 그 구조 및 조작 모우드 모두가 부수적인 특징 장점과 함께 명백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도를 보면 평면 직사각형의 시이트상 또는 판넬상 원료판지(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형태의 용기(31)로 변환시킬 수가 있다.
원료판지(100)는 2개의 상상의 경계부(1) 및 (2)사이에서 거의 렌즈형(양 볼록렌즈) 모양을 갖는 중앙부 위치 제1부분(6')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제1부분(6')은 2개의 거울대칭 외측부(8') 및 (9')로 부터 구분된다.
원료판지(100)의 제1부분(6')에는 중앙부에 위치한 중심 개구(90)가 형성되며 또 이같은 개구에는 밀봉가능 니플(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해서 완전조립된 용기(31)의 내용물을 분배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경계부(1) 및 (2)는 동일 직경을 갖는 원의 일부를 구성한다.
원료판지(100)의 중앙부 위치 제1부분(6')은 이들 경계 현을 서로 나란히 위치시켜 2개 세그멘트를 조립한 본체를 닮게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제1도에서 참고번호(52)는 원료판지(100)를 용기(31)로 완전변환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일부가 상호 결합해야만 하는 외측부(8') 및 (9')의 2개의 거울대칭 스트립 형태 부위를 의미한다(이같은 개구를 기왕에 구비하는 경우는 개구(90)를 보존한다).
스트립(52)의 좌측반 전체를 우측반 전체에 반드시 결합시킬 필요는 없다. 외측부(8') 및 (9')가 2개의 완전 평행인 종방향으로 뻗은 주변부(10), (11)과 횡방향으로 뻗은 주변부(12)를 포함해서 비교적 좁은 선형주변부를 따라서만 서로 결합하는 정도로 충분하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제2도 및 제3도의 용기(31)는 원료판지(100)의 제1부분(6')이 변환된 단부벽(6)과 원료판지(100)의 외측부(8') 및 (9')가 변환된 2개의 측벽(8) 및 (9)를 갖는다. 단부벽(6)은 용기(31)의 선상으로 뻗어 함께 결합된 횡방향 모서리부(12)에 반대되는 것에 위치하며 또 오목한 외면을 갖는다. 측벽(8) 및 (9)은 볼록한 외면을 갖게 되며 또 모서리부(10), (11) 및 (12)의 결합쌍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서로 거울대칭을 이룬다.
참고번호(3) 및 (4)는 렌즈 형상의 제1부분(6')의 2개 정점과 단부벽(6)의 정점을 나타낸다. 경계부(1) 및 (2)는 제1부분(6') 위 단부벽(6)으로의 변환에 따라 확실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합리적으로 구분되며 또 외측부(8') 및 (9')가 각각 측벽(8) 및 (9)로 변환됨으로서 보다 확실히 구분된다. 정점(3) 및 (4)은 원료판지(100)가 용기(31)로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변환될때 측벽(8) 및 (9)의 가장 가까운 주변부(10)(11)에 각각 인접하게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1개 실시태양에 따라 원료판지(100)를 용기(31)로 변환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101)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장치(101)는 원료판지 변형유닛(70) ; 변형된 원료판지의 외측부(8')의 모서리부(10)및 (11)를 외측부(9')의 상응 모서리부(10) 및 (11)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1첨가유닛(71) ; 용기(변형된 원료판지 ; 31) 측벽(8), (9)의 아직 접착시키지 않은 횡방향 모서리부(12) 사이의 개구(95)를 통하여 충진물(예 ; 액체, 분말, 입상 또는 페이스트상 음식물)의 계측된 양을 유입시키는데 사용되는 제2첨가유닛(72) ; 상기 유닛(72)으로서 충진된 물질이 각개 용기 내부에 알맞게 보존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용기(31)의 횡방향 모서리부(12)를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을 함유하는 제3첨가유닛(73) ; 으로 구성된다.
제4도는 이밖에 원료판지(100)를 연속해서 공급원(92)으로 부터 원료판지 변형유닛(70)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회전 가능 푸시어(71)를 갖는 무한 밴드 또는 벨트 콘베야(16)(또는 이밖의 적합한 콘베야)의 수평 또는 거의 수평인 통로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서 차례로 쌓아올린 1개씩 구분되는 원료판지(100)의 공급원(92)을 도시하고 있다. 이 콘베야(16)는 차례로 쌓아올린 원료판지(100)의 최하부 시이트를 계속해서 하부로 당겨줄 수 있는 수직 왕복식 흡입컵(14)을 갖는 흡입력 발생장치와 협동해서 이같이 하부로 당겨져서 작동되는 푸시어(17)의 이동통로에 위치한 원료판지(100)는 계속해서 원료판지 변형유닛(70)으로 이송된다.
이 흡입컵(14)대신에 또는 이 흡입컵(14)에 부가해서 원료판지 변형유닛(70)으로 원료판지(100)를 공급하는 수단을 분할 또는 분리대역(94)에서의 고정칼날 및 이동칼날(이 2개 칼날은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사이의 간격을 통해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동질성 원료판지(100)(예 ; 로울)로 구성할 수 있다.
로울(93)의 원료판지(100)가 타공선(打孔線)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 분리대역(94)에서의 분할수단을 최선단 원료판지와 바로 그 다음 원료판지 사이의 잔유결합을 파괴시키는데 충분한 힘으로 로울(93)의 최선단 원료판지를 진행방향으로 계속해서 당겨주는 수단(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전진로울을 예로 들 수 있다)으로 대치할 수 있다. 원료판지(100)를 공곱하는 수단의 정확한 구조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은 원료판지 변형유닛(70)이 원료판지(100)를 적당한 주기 및 필요로 하는 간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만 보증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원료판지 변형유닛(70)의 상세는 제5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하였다.
이 유닛은 2개의 동축변형공구(21) 및 (22) ; 미리 정한 제1 및 제2단부위치 사이에서 이들 공구(21) 및 (22)을 이동시키는 수단(121) 및 (122) ; 과 상부의 공구(21)가 제4도, 제5도, 제6도, 제9도 및 10도의 제1 또는 상부 단부위치를 유지한 경우 이 상부의 공구(21) 하부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형 주형 또는 매트릭스(19) ; 로 구성된다. 이 매트릭스(19)와 하부의 공구(22)는 숫주형(상부공구, 21)과 협동하는 2개 편의 암주형의 고정성분 및 이동성분을 각각 구성한다.
매트릭스(19)는 부분변형 원료판지(100)(예 ; 부분적으로 완성된 용기(31))의 이송장치(50) 상부높이에 설치된다. 이송장치(50)는 각각 그 내부에 부분변형 원료판지(100)의 통로 또는 챔버를 구비하고 있는 일련의 부연결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블럭 형태 리셉터클(20)로 구성된다. 이 리셉터클(20)은 화살표 Pfl로 도시된 연결체인과 같은 적합한 콘베야에 의해 무한통로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셉터클(20)은 변형원료판지(100)을 유닛(70)으로 부터 유닛(71), 그 다음은 유닛(72) 또 이어 유닛(73)으로 계속해서 이동시키며, 유닛(73)에서 수득된 최종용기(31)는 적당한 경사 슈우트(41)를 따라 미끌어트려서 진공실에서 진공처리한다.
리셉터클(20)의 통로는 이 통로를 통과하는 공구(21) 및 (22)는 물론 변형원료판지(100)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와 배열을 유지하고 있다 [제8도를 보면 상부공구(21)의 대부분과 {변형원료판지(100)(예 ; 부분완성용기, 31)의 대부분은 물론}하부공구(22)의 일부가 각각 리셉터클(20)의 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제10도는 매트릭스(19)의 공동(共洞 : 46), 상부의 공구(21) 및 하부의 공구(22)가 원료판지(100)의 중앙위치 제1부분(6')의 윤곽과 일치하거나 또는 거의 근접하는 렌즈 형상의 단면 윤곽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상부공구를 제10도의 제1단부위치에 유지시킨 경우).
상부공구(21) 밑면에서의 오목면(54)과 대향하는 공동(46)의 단부는 고정 매트릭스(19)의 상부 단부면에서 기계가공하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형성된 횡방향으로 전개되는 긴 V-모양 노치 또는 리세스(44)의 최심층 부위에 위치하는 2개의 예각을 결정하고 2개의 거울대칭 활모양 부위(59)로 구성되는 모서리로서 결정된다.
리세스(44)는 90°각 (용기(31)의 모양이 설명하는 모양과 상당히 차이지는 경우에 이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을 갖는 2개의 평면 또는 거의 평평한 면(43)으로 결정된다.
공구(21) 하부면에서의 오목면(54)은 하부공구(22) 상부에서의 볼록면(56)을 보조하며 또 용기(31)의 단부벽(6)의 오목한 외부와 동일하다. 환언하면, 원료판지(100)의 제1부분(6')이 공구(21) 및 (22)사이에 위치하고 또 이중 한 공구가 다른 공구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오목면(54) 및 볼록면(56)은 제1부분(6')의 양측면에 각각 작용해서 이를 단부벽(6)으로 변환시킨다.
부분변형 원료판지(100)가 제7도의 위치를 유지한 경우 변형된 제1부분(6')[단부벽(6)]의 정점(3)및 (4)의 리세스(44)의 최심층부에 위치하도록 리세스(44)의 위치와 깊이를 선정한다. 매트릭스(19)에는 2개의 평행 직립홈(48)이 형성되며, 이들은 공동(46)의 인접한 가장 좁은 부위[동공(46)의 상부단부의 활모양 모서리부위 (59)가 전술한 예각을 이루는 부위]와 연통하게 되며 또 부분변형 원료판지가 공동(46)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제7도 위치에서 제8도 위치로 향하는 도중에) 단부벽(6)의 정점(3) 및 (4)를 수용하게 된다. 이들 홈(48)은 이밖에 원료판지가 공동(46)을 통해 제8도의 하단부 위치 즉 레지스터 리셉터클(20)의 통로로 이동하는 공정에서 이 원료판지의 변형된 (굽어지거나 또는 굴곡진) 외측부(8') 및 (9')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모서리부(10) 및 (11)를 수용하게 된다. 이들 홈(48)의 상단부 부분 또는 입구를 참고번호(47)로 표시하였다.
공동(46)의 상단부의 활모양 모서리부위(59)는 용기(31)의 단부벽(6)과 측벽(8),(9) 사이에 경계부(1) 및 (2)와 일치하며 또 하부공구(22)의 블록면(56) 주위의 거울대칭 모서리부위(58)는 물론 상부공구(21)의 오목면(54) 주위의 2개의 거울대칭 모서리부위(57)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용기(31)의 단부벽(6)과 측벽(8) 및 (9) 간의 경계부(1) 및 (2)는 공구(22)를 처음에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상부 또는 제1단부위치에 유지하고 작동수단(121)으로서 상부공구(21)를 제5도 및 제6도의 상부 또는 제1단부 위치로 부터 제7도의 중간부 위치를 지나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공구 (21)의 거울대칭 모서리부위(57)와 공구(22)의 거울대칭 모서리부위(58)와 함께 매트릭스(19) 상의 활모양 모서리부위(59)에 의해 형성된다. 제6도 및 제7도에서 하부공구(22)의 볼록면(56) 주위의 2개의 모서리부위(58)는 매트릭스(19) 내공동(46) 상부단에서의 상응 모서리부위(59)와 바로 인접하게 된다. 모서리부위(57)의 길이와 곡률은 상응 모서리부위(59) 및 (58)의 길이 및 곡률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이 사실은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물론 제10도에서 쉽게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3개의 모서리가 합동으로 원료판지(100)의 경계부(1)및 (2)를 형성하게 되며 이로서 각각 단부벽(6)이 한정되며 또 최종 또는 부분적으로 종료된 용기(31)의 단부벽(6)과 각개 측벽(8), (9) 간의 접힘선을 구성하게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원료판지(100)를 용기(31)로 변환시키는 제1단계에는 하부공구(22)를 제5도의 하단부 위치에 체류시키거나 이 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으로 상부공구(21)를 (제4도 및 제5도, 제6도, 제9도 및 제10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제1 또는 상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같이 함으로서, 콘베야(16)와 그 푸시어(17)중 1개가 전술한 원료판지(100)를 우측방향으로 진행시키게 되고 또 이는 매트릭스(19)의 상단을 지나 상방향으로 뻗어있는 적합한 정지구(19a)에 의해 정지하게 된다.
이어 상응하는 푸시어(17)는 제4도 또는 제6도 평면에 대해 직각방향 평면내에서 회전시킨다. 정지구(19a)는 원료판지(100)를 이같은 판지의 제1부분(6')이 매트릭스(19) 내 공동(46)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최적의 위치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때를 같이 해서 하부공구(22)를 제6도의 상부 또는 제1단부 위치에 유지시켜서 모서리부위(58)가 공동(46) 상당부에서 모서리부위(59)와 인접되게 한다. 이같이 해서 매트릭스(19)와 하부공구(122)는 암놈 주형을 구성하며 이는 숫놈 주형[공구 (21)]과 바로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매트릭스(19) 상부에 위치시킨 원료판지(100)를 부분적으로 완성된 용기(31)로 실제 변환시키는 상태는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하강공구(21)의 오목면(54)은 원료판지(100) 제1부분(6')의 노출면에 작용해서 또 제1부분(6')의 다른쪽면이 공구(22)의 볼록면(56)에 접하도록 힘을 가해준다. 그 결과로서 제1부분(6')이 용기의 단부벽(6)으로 변환되며 또 이와 동시에, 매트릭스(19) 리세스(44)와 연결되는 면(43)은 원료판지의 외측부(8'),(9')를 하강공구(21)의 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접어준다. 외측부(8'),(9')의 접힘은 정확히 수득되는 부분완성 용기(31)의 단부벽(6)과 측벽(8),(9)간의 경계부(1) 및 (2)를 따라 진행된다.
공구(21),(31)는 1개 유닛으로 제7도 위치로 부터 제8도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용기(31)는 고정 매트릭스(19)의 공동(46)내로 투입되어 그 내부를 거쳐 하방향으로 이동 이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최종단부벽(6)은 계속해서 하강공구들의 면(54) 및 (56) 사이에 물려있기 때문에 원료판지(100)의 위치를 변결시킨수가 없다.
제7도와 제8도를 비교해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료판지(100)가 공동(46) 내부로 보다 깊이 침투됨으로서 측벽(8) 및 (9) 형성을 위한 상호 접힘이 더 많이 진행하게 된다.
상부공구(21)가 제8도의 하부 또는 제2단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용기(31)는 매트릭스(19) 하부의 레지스터 리셉터클(20)의 통로로 투입된다. 이동형 정지구(45)는 이어 측벽(8),(9)의 횡방향 모서리부(12)의 상부로 이동해서 공구(21)가 그 상부 또는 제1단부 위치로 상승 복귀하면서 용기(31)는 강제로 상응 리셉터클(20) 통로에 잔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부공구(22)는 제9도의 하부 또는 제2단부위치로 이동하며 또 상부공구(21)는 제9도의 상부 또는 제1단부위치로 상승 복귀된다. 이같이 함으로서 리셉터클(20)은 용기(31)를 다음 대역, 즉 유닛(71)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로 운송 가능하게 된다. 실제로, 용기(31)는 마찰력에 의해서 각개 리셉터클(20) 통로에 존재하거나 또는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구(22)를 리셉터클(20) 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시키고 또 공구(21)를 이동형 정지구(45)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시켜 이들 공구를 철수시킴과 동시에 이송장치(50)로 리셉터클(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공구(22)의 상부 또는 제1단부위치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위치가 바람직한바, 즉 이때 볼록면(56)과 연결되는 모서리부위(58)는 매트릭스(19)내 공동(46)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각개 모서리부위(59)와 바로 인접하게 된다. 이같은 시점에서 상부공구(21)가 제5도 및 제6도의 상단부 위치로 부터 하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용기(31)의 연속제조속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하부공구(22)를 제6도의상단부 위치로 진행시키는 한편으로 콘베야(16)가 장업원료판지(100)의 상부면이 하강공구(21)와 접촉되는 일이 없이 이 원료판지(100)를 매트릭스(19)상으로 진행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갖는 상태에서 상부공구(21)를 제7도의 중간위치로 진행시킨다.
각개 공구(21),(22)의 구동수단(121), (122)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수단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이같은 구동력 부여수단은 구동수단(121)의 상단부와 구동수단(122)의 하단부에서 연결된 수단과 협동하는 캠들로 구성될 수 있다. 공구(21)는 제7도의 중간위치로 부터 제8도의 하단부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하부공구(22)를 하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 이같이 함으로서 단부벽(6)의 면(54) 및 (56) 사이에서의 확고한 물림을 보증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하강공구(21)의 작용에 따른 공구(22)의 하방향 이동시 1개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 또는 이 유사체에 의해서 억제되는 경우에 특히 이를 확고히 할 수 있다.
공구(21) 및 (22)가 각개 그 상단부 또는 하단부 위치로 복귀하는 행정(行程)은 용기(31)의 연속제조시에 필요로 하는 간격을 단축시키기 위해 매우 신속히 완결시킬 수 있다.
체인(화살표 Pf1)에 고착시키는 대신으로 이송장치(50)의 리셉터클(20)을 필요로 하는 시간간격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회전 테이블상에 설치하여 이들 리셉터클(20)을 연속해서 유닛(70)(71)(72)(73)은 물론 필요하다면 이들 레셉터클이 매트릭스(19)의 레지스터로 복귀하기 이전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유닛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로서 연성(延性)이 없으며 또 신장(伸長) 되지않는 라미네이트화 판지와 같은 반경성(半硬性) 재질로 구성되는 원료판지를 탁월하게 처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원료판지(100) 제1부분(6')의 오목-볼록형 단부벽(6)으로의 변환과 원료판지(100)의 외측부(8'),(9')의 오목-볼록형 측벽(8),(9)로의 변환은 반경성 재질의 아무 파손없이 경계부(1) 및 (2)를 따라 진행된다.
즉, 공구 (21),(22)의 면(54) 및 (55)가 각개 제1부분(6')의 양측에 대해 이들 부분(6')을 오목형 외부면을 갖는 훌륭한 형태의 단부벽(6)으로 변환시키기에 아주 충분한 압력을 가해주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원료판지의 재료가 측벽(8),(9)이 단부벽(6)과 결합되는 부위에서 파손될 정도로 경계부(1),(2) 대역에서의 신장응력 및 압착응력이 심각하지는 않았다.
이같은 원료판지(100)를 부분완성 용기(31)로 변환시키는 동안 원료판지(100) 물질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보다 훨씬 줄이기 위해서 각개 쌍의 활모양 부위(57),(58) 및 (59)를 포함하는 모서리 대역에서 공구(21),(22)및 매트릭스(19)를 다소 경사지게 해줄 필요성이 충분히 있다.
제9도 위치에 도달된 용기(31)[각개 리셉터클(20) 통로안에 존재함]는 이어 다음 단계인 제4도의 접착유닛(71) 위치로 진행된다. 이 용기(31)는 2개의 협동 푸시어(27),(28)[짧게 변형시킨 공구(21) 및 (22)와 유사함]로서 리셉터클(20)로 부터 꺼내서 이 용기를 제4도 위치 즉, 각개 리셉터클(20)의 상부위치이고 또 유닛(72)대역에서 그 내부로 충진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미리 용기(31)를 부분접착시키기 위해서 측벽(8)의 종방향으로 뻗은 모서리부(10),(11)를 상응하는 측벽(9)의 종방향으로 뻗은 모서리부에 접착시키는 기능을 갖는 가열접착장치의 2개의 조오(30 ; Jaws) 사이에 유지시킨다. 접착유닛(71)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축조할 수 있다.
이후 푸시어(27),(28)은 용기(31)를 조오(30) 사이 공간으로 부터 레지스터 리셉터클(20)의 통로로 복귀시킨 후에 이송장치(50)를 재차 가동시켜서 리셉터클(20)과 그 내부의 용기(31)를 충진유닛(72) 대역으로 진행시킨다. 푸시이(34)는 용기(31)를 리셉터클(20)의 외부로 들어올려 제4도 위치로 유지하여, 아직 접착시키지 않은 측벽(8),(9)의 횡방향 모서리부(12) 사이의 개구(95)를 용기(31) 내부로 충진물을 충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주입장치(32)의 출구 바로 하부 또는 근접된 하부에 위치시킨다(이 시점에서 용기의 개구(90)를 예를 들어 이송장치(50)에 의해 정해지는 통로의 편리하게 취할 수 있는 부위에서 이 개구로 삽입되는 전술한 니플 등으로 밀봉시켜야만 한다).
충진물 장입이 종료된 시점에서 주입장치(32)를 본래 위치로 부터 이동시키고 또 중진용기를 하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푸시어(35)로서 고체해준다. 푸시어(35)의 사용은 임의적인 것으로 이는 제4도 물질주입장치(32) 하부에 도시된 높이로 유지한 경우라 하더라도 새로이 충진된 용기(32)를 포함하는 리셉터클(20)은 다음 대역(유닛 73)으로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유닛(73) 대역에서, 푸시어(38)는 하강하게 되며 또 이는 충진용기(31)를 리셉터클(20)로 부터 전진후퇴가 가능한 지지구(39) 상으로 밀어낸 후 이 지지구로서 단부벽(6)의 오목형 외부면을 받쳐줌과 동시에 충진용기(31) 측벽(8)(9)의 횡방향 모서리부(12)를 접착 또는 밀봉장치의 조오(40) 사이에 위치시켜 용기(31)의 접착을 종료시킨다. 그 후에 지지구(39)를 철수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본래위치에서 이동시킴으로서 충진한 후 밀봉시킨 용기(31)를 슈우트(41)로 떨어트려주어서 이들 용기를 수거대역이나 또는 기타 목적지로 운반한다.
제10도는 원료판지(100)의 외측부(8') 및 (9')가 V형태 리세스(44)의 양측에서 매트릭스(19)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원료판지(100)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44)의 측면을 구성하는 접합면(43)들은 약90°각도를 이룬다.
이들 면들은 상부공구(21)가 공동(46) 내로 투입되기 시작하자마자 외측부(8'),(9')를 부분완성 용기(31)의 측벽 (8) 및 (9)으로 변환시킨다는 사실을 예견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전개되는 측벽(8),(9)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모서리부(10),(11)는 매트릭스(19)의 각개 홈(48)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 리셉터클(20)은 이것이 제10도 위치(이같은 리셉터클의 통로가 공동(46)과 공구(21),(22)와 일직선을 이루는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언제나 메트릭스(19)의 홈(48)과 연결되는 홈(51)을 수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홈(51)(보다 상세히는 이들 홈 주위의 면들)의 구비목적은 원료판지변형유닛(70)으로 부터 유닛(71)으로 운반되는 부분완성용기(31)가 열리거나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우선 측벽(8),(9)의 종방향 모서리부(10),(11)의 최저부위가 매트릭스(19) 홈(48)으로, 그 후에 매트릭스 하부의 리셉터클(20)의 상응홈(51)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홈(48)의 상단부(47)와 홈(51)의 상단부가 일치하며 둥근면을 갖는(도시하지 않음) 매트릭스(19)와 각개 리셉터클(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공구(21) 상의 모서리부위(57)의 배열 및 길이는 하부 공구(22) 상의 상응 모서리부위(58)와 매트릭스(19) 공동(46)의 상단부에서의 상응 모서리부위(59)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일치된다. 공구(21) 및 (22)의 주변면은 물론 공동(46)을 구비하는 모서리 및 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하였다. 이들 도면은 그 축이 평행하고 또 상호 부분중첩되는 2개의 상상의 실린더(62)와 (63)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상의 실린더(62)면의 활모양 부위(66)는 경계부(1)의 곡률 및 측벽(8)이 용기(31)의 단부벽(6)과 만나는 대역에서 측벽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지며 또 상상의 실린더(63)면의 활모양 부위(66)는 경계부(2)의 곡률 및 측벽(9)이 단부벽(6)과 만나는 대역에서 측벽의 외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갖는다. 실린더(62)(63)의 직경은 동일하다.
즉, 경계부(1)의 곡률은 경계부(2)의 곡률과 일치된다. 실린더(62),(63)의 축간거리는 이들 중 1개 실린더 직경보다 작다.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밖의 상상의 실린더(65)면이 실린더(62),(63)면에 직각방향으로 뻗어 이들 실린더면과 교차하고 있다. 실린더(65) 면의 반경은 실린더(62)(63)면의 반경과 동일하고 또 용기(31) 단부벽(6)의 노출된 오목면의 곡률반경과 일치된다. 실린더(65)의 축은 실린더(62),(63)의 축들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면(54) 및 (56)의 곡률반경은 신린더(65)의 반경과 일치하거나 근접된다. 상부공구(21) 주변면의 볼록형 반부(53)의 곡률반경과 하부공구(22)의 주변면의 볼록형 반부(55)의 곡률반경 또한 실린더(62),(63) 또는 (65)의 반경과 일치된다.
제14도에는 현실적으로 바람직한 접착유닛(71)의 상세를 도시하였다. 조오(30)의 각각은 2개의 가지 또는 아-암(69)을 갖는 완전 U 모양 본체로서 측벽(8)(9)을 2개편의 리셉터클(67)의 챔버(167)내에 위치시키는 한편 이들 측벽의 모서리부(10)(11)를 이들 아암(69)으로 접착하도록 되어 있다. 2부분으로 된 리셉터클(67)의 오목형 내면은 용기(31)의 각개 측벽(8),(9)이 쌍화살표 Pf2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측면 모서리면이 유닛(71)의 각개 고정유도장치(68)에 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같이 함으로서 챔버(167) 내에서 조오(30)의 아-암(69)이 서로 전방 이동해서 이들 모서리부를 서로 접착시키기 이전에 측벽(8)의 종방향으로 뻗은 모서리부(10),(11)를 정확하게 측벽(9)의 상응하는 모서리부(10),(11)와 일치시킬 수가 있다.
조오(30)을 가열하는 대신에 또한 이들 조오의 구성 부품으로서 초음파용접장치 또는 고주파용접(전기용접)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조오(30)의 가지 또는 아-암(69)은 리셉터클(67)의 단부 인접부위와 상응하는 유도장치(68) 사이 공간으로 뻗을 수 있다. 유도장치(68)는 리셉터클(67)의 오목형 내면부와 공동으로 실제로 밀봉 또는 접착 조작이 시작하기 이전에 챔버(167) 내에서 측벽(8)의 모서리부(10),(11)가 측벽(9)의 모서리부와 정확히 일치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같은 유도장치를 구비해줌으로서 측벽(8)의 모서리부(10),(11)가 측벽(9)의 모서리부(10),(11)와 일치하지않는 상태에서 가열 또는 기타 적합한 방법을 사용해서 이들 모서리부를 상호 접착시키는 경우에 최종용기(31)의 외관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트리밍유닛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장치(101)는 리셉터클(20)의 이동통로에 인접해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추가용기 처리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장치는 용기(31)의 세척 및/또는 살균유닛 ; (예를 들어, 유닛(70),(71) 또는 (71),(72)간의 대역에서), 용기(31) 개구(90)에 연속해서 캡을 씌우거나 또는 니플을 끼우는 유닛 ; 충진 전후를 포함해서 연속제조용기(31)의 형태 및/또는 기타 특성을 감시하는 장치를 구비한 유닛 ; 각개 완성용기(31)에 팜프렛을 부착하는 유닛 ; 각개용기(31)에 하부벽을 부착하는 유닛 ; 과/또는 용기의 제조, 용기내 물질충진, 용기검사, 용기내용물의 증명과/또는 용기에 도장하거나 또는 부착해야만 하는 기타 정보와 관련해서 필요로 하게 되는 기타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종 유닛의 수 와/또는 특성은 용기내용물의 특성과 특정지방, 국가 또는 행정부에서의 법률 및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들 갖종 유닛은 리셉터클(20) 통로의 상부 와/또는 하부높이에 설치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70),(71) 및 (72)은 이송장치(50)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20)의 통로 상부에 위치하고 또 유닛(73)은 그 하부에 위치하여 있다. 이송장치(50)는 장치의 필요로 하는 결과에 따라서 1개의 리셉터클(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련의 상호 연결된 또는 독립이동이 가능한 리셉터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 은 일정간격으로 회전하도록 설정한 회전테이블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밖에 각개 용기의 단부벽(6)과 측벽(8),(9) 간의 경개벽(1) 및 (2)가 활모양이 아니고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완전 직선으로 된 일련의 부면으로 구성되는 다각형이 되도록 원료판지 변형유닛(70)을 변조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동과 연결되는 면의 배열과 매특릭스 공동의 상단부 모서리 배열에 적합한 변경은 물론 원료판지 변형유닛(70)내의 2개의 공구의 모서리와 주변면의 배열을 변형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본 발명 방법 및 장치의 중요한 장점은 단부벽(6)의 형성이 원료판지(100)의 외측부(8'),(9')의 접힘조작과 동시에 또는 바로 직전에 진행된다는 점으로서 이의 접힘조작은 새로이 형성된 단부벽(6)이 매트릭스(19) 공동(46)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진행된다. 이같은 점은 원료판지의 부분을 단부벽 또는 하단벽으로 변환시키기 이전에 측벽을 형성할 목적으로 원료판지를 매트릭스 공동으로 도입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는 선행 기술과는 대조적인 점이다. 결과적으로, 경계부(1)과 (2)는 단부벽(6)의 형성시점에서 형성되며 이는 경계부(1) 및 (2)의 위치에 해당하는 대역 이외의 대역에서 원료판지가 변형될 가능성이 간단하지만 아주 효과적인 방법으로 완전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한 장점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료판지(100)의 외측부(8') 및(9')는 상부공구(21)의 오목면(54)으로서 중앙위치 제1부분(6')을 압착함과 동시에 서로 대향해서 이동하기 시작하며 또 이같은 상호 대향한 외측부(8') 및 (9')의 공구(21)의 주변면의 각개 반부(53)를 따른 이동은 공구(21)의 투입공정에 따라 리세스(44) 및 공동(46)내부로 계속된다. 본 발명 방법 및 장치는 이밖에 측벽(8)의 모서리부를 측벽(9)의 상응 모서리부에 접착시키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용기(31)의 공구(21)가 공동(46)으로 투입되기 시작한 직후에 완성되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용기(31)를 완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단부벽(6)은 제1단계 조작에서 완성되며 또 원료판지(100)의 외측부(8')(9')가 서로 대향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은 제1부분(6')이 단부벽(6')으로 변형 완료된 시점이거나 그 이전이 된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제1부분(6')이 단부벽(6)으로 변환되는 즉시로 공구(21)(22)가 그 사이에 원료판지를 물고 있기 때문의 원료판지(100)의 배향에 변경이 있을 수 없으며 또 그밖에도 이송장치(50)의 리셉터클(20)은 물론 매트릭스(19) (및 접착유닛(71)까지)가 전술한 유도장치(홈(48) 및(51)을 연결하는 면과 장치(68))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최종유닛(73)으로 부터 수득한 용기를 트리밍 처리하거나 또는 그 유사한 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외에도 연속되는 리셉터클(20)을 새로이 변형된 원료판지(100)(부분완성용기 ; 31)를 수용하는 고정 매트릭스(19)의 공동(46)과 정확히 연결되도록 위치시킴으로서 새로이 제조된 용기(31)를 매트릭스(19) 하부의 리셉터클(20) 통로로 이송하기 위해 공구(21) 및 (22)를 하방향으로 이동(이는 원료판지(100)를 공동(46)으로 투입하는데 필요한 이동이다) 시키는데 아무 문제도 야기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같은 장점으로 용기 제작에 필요한 시간간격을 단축시킬 수 있다.
각개 원료판지(100) 제1부분(6')중에 개구(90)를 구비해줌으로서 이들 개구에 니플이나 마개를 끼워주거나 또는 매틀릭스(19)의 공동(46)을 통해 이송하는 동안 원료판지(100)의 중심을 고수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제10도에 도시될 바와 같이, 하부공구(22)의 볼록면(56)에는 돌기(91)가 구비되며, 이 돌기(91)는 상부공구(21)이 제7도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매트릭스(19)의 상단면에 중첩되는 원료판지(100)의 개구(90)내로 투입됨으로서 원료판지(100)가 공구(21)의 오목면(54)과 처음 접촉할 때 위치변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이같은 오목면상에는 이들 2개 공구가 1개 유닛이 되어 제7도 위치로부터 제8도 위치로 하강하는 동안에 하부공구(22)의 돌기(91)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개구단부벽을 갖는 용기와 이같은 개구에 삽입된 니플에 대한 참고문헌으로는 본 출원인이 공유하고 있는 전술한 유럽특허 제0,041,924호와 사응하는 미합중국특허 제4,394,936호를 들 수 있다. 니플은 원료판지를 용기로 변환시키기 이전 또는 이후에 개구에 삽입할수가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구(90)와/또는 이같은 개구중의 니플은 각개 원료판지의 중심을 잘 맞출 수 있도록 해줌으로서 최종수득용기의 추가 트리밍 처리를 필요없게 하여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점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장치는 또한 2개 또는 그 이상의 원료판지 변형유닛(70)과 각개 원료판지유닛에 대해 1개의 별도 접착유닛(71), 충진유닛(72) 및 밀봉유닛(73)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면(43)은 연속상의 면일 필요가 없다
즉, 이들 면은 하강하는 원료판지(100)의 외측부(8')(9')를 적당히 접어줌으로서 이들 외측부를 전개하는 용기(31)의 측면(8) 및 (9)로 변환시킬 수만 있다면 복수개의 비교적 소형부분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공구(21)(2)의 모서리가 변환공정이 바로 시작되는 시점에서 매트릭스(19)의 모서리와 협동한다는 특징으로 매트릭스(19) 위에 중첩된 원료판지(100)가 변형을 개시하는 순간에 필요로 하는 정도(精度)의 경계부(1) 및 (2)를 형성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원료판지를 매트릭스(19) 공동(46)으로 침투시키는 경우에도 제품의 외관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부당하게 약화시킬 수 있는 경계부를 추가로 형성하지 않음을 보증할 수 있다. 추가의 접지선(즉, 경계부(1) 및 (2)를 구성하는 접지선이외의 접지선)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한쪽에는 측벽(8)과 단부벽(6)의 인접부를 다른 한쪽에는 측벽(9)과 단부벽(6)의 인접부를 갖게 되는 최종수득용기의 이 부분에서의 안정성을 고려해서 최소한의 접지선 또는 경계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또 다른 관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상부공구(21)가 오목면(54)을 갖고 또 매트릭스(19)가 횡방향으로 뻗은 리세스(44)를 구비한다는 특징은 면(54)의 2개의 가장 좁은 부위가 리세스(44)의 가장 깊은 부위로 뻗을 수 있는 한편으로 면(54)의 중앙 부위가 1개의 가장 좁은 부위로부터 다른 가장 좁은 부위를 향해 아아치형을 이루게 된다는 또다른 관점에서 유익하고 또 바람직하다. 이같은 사실로서 원료판지를 용기로 변환시키는 바로 그 순간에 새로이 형성된 단부벽(6)과 각개 원료판지(100)의 인접 외측부(8')(9') 사이에 가상의 경계부(1) 및 (2)를 형성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로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공구(21)(22)의 원료판지 접촉 전방면 및 주변면의 형성과 매트릭스(19) 내부면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공구와 매트릭스를 단순화 한다는 면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장점이 된다. 이밖에 매트릭스(19)와 공동으로 이같은 공구에 의해 제조된 용기는 매끈한 아아크 형상의 단부벽(6)과 매끈한 아아크 형상의 측벽(8)(9)를 구비함으로서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된다.
본 발명 장치의 부수적인 장점은 추가유닛의 각종 푸시어 및 기타 공구는 물론 유닛(70)의 공구(21), (22)가 캠과 피동차, 랙과 피니언드라이브 또는 그 유사체와 같은 비교적 간단하고 또 저렴한 장치로서 작동된다는 점에 있다. 공구(21), (22)의 속도는 일정할 필요가 없다.
즉, 이들의 어떤 상방향 및/또는 하방향 작동은 본 발명장치의 생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른 단계에서 보다 고속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첨가유닛의 하나를 공기를 배기시키거나 또는 용기 내부에 연속적으로 충진물을 미리 충진할 수 있는 유닛 등의 배기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34)
- 변형 가능한 시이트 형태 원료판지, 특히 라미네이트 판지와 같은 반경성(半경硬性) 물질로 구성되는 원료판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볼록형 외부면을 갖는 2개 측벽과 그 주변 모서리부가 오목형 외부면을 갖는 단부벽과 결합되고 또 경계부를 결정하는 형태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2개의 원료판지 외측부 사이에서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부분의 양면에 2개의 변형공구의 보조적 오목면 및 볼록면을 대치시켜 가압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 제1부분을 용기의 단부벽으로 전환시키며 ; 이와 동시에 수득된 단부벽과 원료판지의 외측부사이의 경계부를 압착하고 ; 또 이들 각개 경계부를 따라 원료판지의 외측부를 접지시켜 이들 외측부를 용기의 측벽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접지단계에서 변경공구 사이에서 변형된 원료판지의 제1부분을 이 원료판지의 외측부가 오목면을 갖는 공구를 따라 접지되는 방향으로 매트릭스 공동 내부로 유입시키는 용기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거의 직선통로를 따라 단부벽을 밀어서 이동시킴으로서 원료판지를 매트릭스 공동으로부터 축출하고 또 이어 이 원료판지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변형단계를 진행시키기 이전에 원료판지의 제1부분에 개구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원료판지 제1부분 내의 개구를 통해서 변형공구에 대한 원료판지의 중심을 맞춰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변형단계 이전에 원료판지가 평면형태이고 또 추가로 1장마다 분리 가능한 원료판지의 공급원을 축조하고 또 이 공급원으로부터 원료판지를 1장씩 변형공구 사이로 계속해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일련의 동질성 원료판지를 축조하며, 일련의 잔유원료판지로부터 원료판지를 계속해서 분리시키고 또 이 분리된 원료판지를 변형공구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1개 측벽의 모서리부를 다른 측벽의 상응 모서리부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접착단계에서 가열방법을 사용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접착단계에서 측벽의 모서리부를 서로 초음파 용접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접착단계가 전기용접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접착단계가 제1단계로 2개 측벽의 일부 모서리부를 서로 밀봉 접착하고 또 제2단계로 2개의 측벽의 잔유 모서리부를 서로 밀봉 접착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용기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제1단계 접착후 제2단계 접착 이전에 측벽의 잔유 모서리부가 개구를 형성하며 또 추가로 제2단계 접착 이전에 이 개구를 사용해서 용기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 변형 가능한 시이트 형태 원료판지, 특히 라미네이트판지로 구성되는 반경성 원료판지로부터 볼록형 외부면을 갖는 2개 측벽과 그 주변모서리부가 오목형 외부면을 갖는 단부벽과 결합하며 또 명확한 경계부를 형성하는 형태의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 원료판지 2개의 외측부와 연결되는 원료판지 거의 중앙에 위치한 제1부분의 양면에 대해 대향 배열시킴으로서 이 원료판지 제1부분을 용기의 단부벽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보조적 오목면 및 볼록면을 갖고 있으며, 이때 오목면 및 볼록면은 각각 이같이 형성된 용기 단부벽의 오목형 외부면과 볼록형 반대면에 각각 일치되며, 또 추가로 각개 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모서리를 갖고 있는 제1및 2변형공구를 각각 포함하며 ; 또 이밖에 이들 공구 사이의 원료판지의 변형된 제1부분의 외곽과 일치하는 외곽을 갖고 있으며, 이들 공구의 통로로 사용되는 공동을 구비하고 또 이밖에 이공동의 일단부를 구분하며 또 1개 이상의 이들 공구 모서리와 협동으로 이 공동내로 제1공구가 침투함에 따라 이들 공구 사이에 협지된 원료판지의 변형된 제1부분과 외측부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함은 물론 이 1개 공구를 따라 이들 공구 사이의 원료판지 외측부를 적어도 일부 접지하게 하는 모서리부를 갖고 있는 매트릭스 ; 와 이 매트릭스에 대해 이들 공구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원료판지 변형유닛으로 구성된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오목면 및 볼록면이 실린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공동과 공구가 거의 렌즈형 단면외곽을 갖는 용기 제조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이들 모서리의 각각이 서로 2개의 예각을 이루는 2개의 거의 활모양 부위를 포함하며, 매트릭스는 이 공동의 1단부에 인접하여 긴 모양의 거의 V형태 횡방향으로 리세스를 갖고 있으며, 또 이 매트릭스의 모서리들로 정해지는 예각은 이 레시스의 가장 깊은 부위에 위치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공동은 서로 반대방향에서 일정공간을 두고 떨어져 위치한 2개의 가장 좁은 부위에 의해 거의 렌즈 형태의 단면부 외각을 갖고 있으며, 매트릭스는 이 공동의 가장 좁은 부위와 연통해서 제1공구가 이 공동 내부로 침투할 경우 이들 공구 사이에 제1부분이 협지된 원료판지의 외측 모서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시킨 2개의 평행구를 갖는 용기 제조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홈을 구비한 내면을 갖고 또 제1공구가 공동 내부로 침투되는 동안 각개 모서리부를 유도하도록 배열된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이들 공구 각각이 2개의 거울 대칭 볼록형 반부체로 구성되는 주변면을 갖고 있으며 또 이 볼록형 반부체 각각의 곡률반경이 오목면 및 볼록면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이들 공구와 매트릭스의 모서리가 거의 직선으로 그어진 면을 갖는 다각형 외각을 갖는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 공동의 다른 단부에 인접해서 이같이 변형된 원료판지가 1개 공구에 의해서 축출될 때 이 매트릭스로부터 배출된 변형원료판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1개 이상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완성된 용기의 이송장치와 또 이들 리셉터클을 거의 횡방향의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운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미리 정해진 통로를 따라 리셉터클을 단계적으로 운반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또 추가로 이 미리 정해진 통로에 인접한 1개 이상의 추가 유닛과 리셉터클에 의해 이를 유닛대역으로 운반된 변형원료판지를 처리하는 수단을 갖는 용기 제조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추가유닛이 변형된 원료판지의 외측 모서리부를 서로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추가유닛이 변형된 원료판지의 내부에 충진물을 유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추가유닛이 변형된 원료판지를 리셉터클로부터 제거하는 수단과 이들 원료판지를 리셉터클내로 재장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원료판지의 제1부분이 공동의 1단부에 중첩되는 위치로 원료판지를 매트릭스와 제1공구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 공구모서리가 매트릭스 모서리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제1위치와 제1공구가 이 공동내로 진행함으로서 이 제1공구가 공동의 제1단부에 중첩된 원료판지의 제1부분을 매트릭스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제1공구를 구동하는 수단 ; 과 이밖에 제2공구 모서리가 매트릭스 모서리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이 제1공구가 이 공동 내부로 투입된 경우의 제2위치 사이에서 제2공구를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그 모서리부에 인접하고 또 원료판지의 외측부를 접지할 수 있도록 배열된 한쌍의 접지면을 구비함으로서 원료판지의 제1부분을 제1 및 제2공구면 사이에 협지시키는 한편 제1공구를 공동내부로 투입함으로서 이들 원료판지의 외측부가 제1공구 주면을 따라 전개시킬 수 있는 용기제조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이들 공구가 동일축으로 구성되고 또 제1공구의 구동수단을 제1공구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안 제2공구를 제1위치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열하며, 제1공구의 오목면과 변형된 전체원료판지가 제1공구의 제2위치에서 공동의 외측에 위치함으로서 이같이 축출된 변형원료판지를 공동과 이들 공구와 일직선이 되는 위치로부터 이송시킬 수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이들 공구의 하나를 사용해서 공동으로부터 변형된 원료판지를 축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또 추가로 변형유닛으로부터 접착유닛으로 축출된 원료판지를 이송하는 장치와 접착유닛으로 구성되며 또 접착유닛이 변형된 원료판지의 외측모서리를 서로 고정하도록 배열된 한쌍의 조오(jaws)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접착유닛이 추가로 변형된 원료판지의 외측모서리부를 유도하는 한쌍의 유도수단 ; 과 그 외곽이 변형된 원료판지의 외곽과 일치하거나, 또는 유사하며 또 이들 원료판지의 외측모서리를 서로 접착하는 동안 이 변형 원료판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공동 1단부에 근접하는 단부면과 이 단부면 내에 횡방향으로 뻗은 거의 V형태 리세스를 가지며, 구동수단이 제2공구의 볼록면이 리세스에 위치하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 제2공구를 구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제조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리세스가 거의 90°의 각을 이루는 2개면에 의해 구성되는 용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05079.2 | 1984-05-03 | ||
EP84105079A EP0162119B1 (de) | 1984-05-05 | 1984-05-05 |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Behälters aus einem flachen Zuschnitt |
CH84-105079.2 | 1984-05-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8293A KR850008293A (ko) | 1985-12-16 |
KR880001937B1 true KR880001937B1 (ko) | 1988-10-04 |
Family
ID=819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3022A KR880001937B1 (ko) | 1984-05-03 | 1985-05-03 | 반경성원료판지(半硬性原料板紙)를 사용하는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4669253A (ko) |
EP (1) | EP0162119B1 (ko) |
JP (1) | JPS60244528A (ko) |
KR (1) | KR880001937B1 (ko) |
AT (1) | AT398744B (ko) |
CA (1) | CA1234505A (ko) |
DE (1) | DE3464877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8157A (en) * | 1991-05-24 | 1993-08-24 | Aliseo Gentile | Squeezeable container and integral cap formed from a laminated flat blank |
US5152736A (en) * | 1991-10-28 | 1992-10-06 | Elopak Systems A.G. | Concave shaped container bottom end clos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
WO1993021070A1 (en) * | 1992-04-09 | 1993-10-28 | Aliseo Gentile | Multiple package forming and filling machine |
US5313767A (en) * | 1992-04-09 | 1994-05-24 | Aliseo Gentile | Multiple package forming and filling machine |
US5353573A (en) * | 1992-09-16 | 1994-10-11 | Unique Packaging,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illing and sealing closed individual pinch pouches |
US5694746A (en) * | 1994-12-20 | 1997-12-09 | Chung; Yun H. | Paperboard packag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US5762595A (en) * | 1996-10-01 | 1998-06-09 | Elopak Systems Ag | Flat-sitting container bottom end closure and mechanism for forming same |
EP1036006B1 (en) * | 1997-12-04 | 2003-04-23 | Xela Pack, Inc. | Tooling for forming packaging from unitary blanks |
US6471629B1 (en) | 1998-12-03 | 2002-10-29 | Aliseo Gentile | Tooling for forming packaging from unitary blanks |
IT1311107B1 (it) * | 1999-10-22 | 2002-02-28 | Ohg Natalino Corazza S P A | Apparecchio per il confezionamento di un prodotto alimentare, inparticolare un prodotto alimentare pastoso. |
US20020119223A1 (en) * | 2000-05-08 | 2002-08-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Container bottom and methods |
US20080197181A1 (en) * | 2007-02-19 | 2008-08-21 | Ritter Karl M | Container for shipping a produc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EP2485954B1 (en) * | 2009-10-08 | 2017-12-20 | Illinois Tool Works Inc. | Carton with plastic reclosable header |
US20130092312A1 (en) * | 2011-10-14 | 2013-04-18 | Kellogg Company | Methods for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
CN103434190B (zh) * | 2013-08-15 | 2016-01-20 | 深圳劲嘉彩印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包装盒的底盒制作设备及方法 |
WO2017050540A1 (en) * | 2015-09-23 | 2017-03-30 | Unilever N.V. | Apparatu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a packaging sachet |
US11414222B2 (en) * | 2019-10-23 | 2022-08-16 | Create Technologies, Inc. | Automated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a liner and envelope |
WO2022022900A1 (en) * | 2020-07-30 | 2022-02-03 |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 A process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sachet |
AU2021317766A1 (en) * | 2020-07-30 | 2023-01-19 |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 An improved flexible package for food or beverage preparation having a rigid part |
CN118047107B (zh) * | 2024-04-12 | 2024-08-09 | 常州市飞利达医用制品有限公司 | 用于医疗包装袋的环形输送批量消毒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547082A (ko) * | ||||
BE538036A (ko) * | ||||
US2209448A (en) * | 1938-05-03 | 1940-07-30 | Sonoco Products Co | Container |
GB548474A (en) * | 1941-07-28 | 1942-10-12 | Leo Winternitz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llapsible tubes |
US2432462A (en) * | 1942-04-09 | 1947-12-09 | Harry F Waters | Dispensing tube |
US2691259A (en) * | 1946-11-13 | 1954-10-12 | Norwich Pharma Co |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materials |
US2679966A (en) * | 1950-10-14 | 1954-06-01 | Diced Cream Of America Co | Ice cream packaging machine |
FR1052490A (fr) * | 1952-03-15 | 1954-01-25 | I D Plastic |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 tubes de conditionnement en matière plastique |
CH340046A (de) * | 1956-05-28 | 1959-07-31 | Oerlikon Buehrle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ub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
FR1186975A (fr) * | 1957-04-17 | 1959-09-04 | Machine pour la fabrication d'emballages,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comprenantune telle machine | |
US3041941A (en) * | 1957-07-25 | 1962-07-03 | Habra Werk Ott Kg | Manufacture of containers or the like |
US3145630A (en) * | 1962-10-18 | 1964-08-25 | Moore George Arlington | Apparatus for making containers |
US3382644A (en) * | 1963-12-30 | 1968-05-14 | Clarence W. Vogt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inuously forming and filling bags |
FR1473132A (fr) * | 1966-01-14 | 1967-03-17 | Sfim | Dispositif détecteur d'obstacle pour mobile se déplaçant sur une voie ferrée |
NL6612697A (ko) * | 1966-09-08 | 1968-03-11 | ||
US3513618A (en) * | 1967-01-19 | 1970-05-26 | Gen Foods Corp | Packaging apparatus and process |
FR2181620A1 (en) * | 1972-04-28 | 1973-12-07 | Flax V | Squeeze tubes mfr - using reverse curvature ends to keep the tube walls apart |
FR2351870A1 (fr) * | 1974-06-26 | 1977-12-16 | Thimonnier & Cie | Emballage soup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
US4010676A (en) * | 1975-04-04 | 1977-03-08 | International Paper Company | Apparatus for forming articles such as carton blanks |
US4252052A (en) * | 1979-03-14 | 1981-02-24 | American Can Company | Paperboard pouch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
CH649964A5 (de) * | 1980-06-06 | 1985-06-28 | Henri Shavit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formierbaren behaelters und deformierbarer behaelter. |
US4394936A (en) * | 1981-10-14 | 1983-07-26 | Henri Shavit | Deformable container and a flat piece for making a container |
DE3143671A1 (de) * | 1981-11-04 | 1983-05-11 | Brogli, Werner, 4202 Duggingen | "auspressbarer behaelter" |
DE3308112C2 (de) * | 1983-03-08 | 1986-01-16 | Brogli, Werner, Duggingen | Behälter aus kaschiertem Karton od. dgl. insbesondere für fließfähiges Gut |
-
1984
- 1984-05-05 DE DE8484105079T patent/DE3464877D1/de not_active Expired
- 1984-05-05 EP EP84105079A patent/EP0162119B1/de not_active Expired
-
1985
- 1985-04-19 AT AT0117585A patent/AT398744B/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5-05-02 US US06/729,802 patent/US466925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5-05-03 CA CA000480679A patent/CA1234505A/en not_active Expired
- 1985-05-03 KR KR1019850003022A patent/KR8800019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5-05-07 JP JP60095713A patent/JPS60244528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398744B (de) | 1995-01-25 |
JPS60244528A (ja) | 1985-12-04 |
EP0162119A1 (de) | 1985-11-27 |
EP0162119B1 (de) | 1987-07-22 |
US4669253A (en) | 1987-06-02 |
DE3464877D1 (en) | 1987-08-27 |
CA1234505A (en) | 1988-03-29 |
KR850008293A (ko) | 1985-12-16 |
ATA117585A (de) | 1994-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80001937B1 (ko) | 반경성원료판지(半硬性原料板紙)를 사용하는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KR100193341B1 (ko) | 포장기 | |
US328053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filling and closing of liquidtight containers | |
US4085568A (en) | Foldable blanks for making packets for rod-shaped articles | |
AU719745B2 (en) | Flat-top container with an opening fitment | |
KR100306359B1 (ko) | 단열용기 | |
US5651235A (en) |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 |
KR20160042074A (ko) | 판지 패키징 절단체 상에 보강부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및 대응 패키징 | |
CA1194719A (en) | Mechanism and method for assembling tapered, nestable containers | |
US419444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rum-shaped cardboard containers | |
US4509312A (en) | Automatic carton packing machine | |
US4448013A (en) | Automatic carton packing machine | |
US4646507A (en) | Machine for making packs for flowing material | |
JP2632748B2 (ja) | 複数の構成部分を有する平坦なブランクを用いた蝶番式蓋つきの箱またはケースに製品一般を密封シールで包装する高速包装機のための製造ライン構造 | |
AU620433B2 (en) | A method of and a device for raising flattened parallelepipedic blanks | |
WO2023084407A1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isposable inhaler | |
EP0249264B1 (en) | A mandrel for forming a bottom in a packaging container | |
CN214354476U (zh) | 一种用于盒体和盒盖的连接部件 | |
US3035382A (en) | Packaging apparatus | |
CN1008257B (zh) | 把半刚性坯料转变成容器的方法和装置 | |
US4516382A (en) | Automatic carton packing machine | |
US4516381A (en) | Automatic carton packing machine | |
CN214354475U (zh) | 一种纸质包装盒盒体的流转设备 | |
WO2003099667A1 (en) | Box erecting machine and method | |
US3709114A (en) | Container form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100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