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33B1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33B1
KR880001833B1 KR8201422A KR820001422A KR880001833B1 KR 880001833 B1 KR880001833 B1 KR 880001833B1 KR 8201422 A KR8201422 A KR 8201422A KR 820001422 A KR820001422 A KR 820001422A KR 880001833 B1 KR880001833 B1 KR 88000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contact
movable
fixe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631A (ko
Inventor
마사유끼 요시다
모토 후미오 다쓰
시게하루 오오쓰카
Original Assignee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ublication of KR83000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86Means for introduc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between the initia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0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01H47/1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by switching-in or -out impedance external to the relay wi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lay Circuit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Break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접촉기
제1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조작코일 여자회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주회로 투입시와 주회로 개방시에 양철심간의 거리와 철심흡인력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전자접촉기의 반단면 측면도.
제6도는 가동철심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구동제어장치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제8도는 구동제어장치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구동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절환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제4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전기 회로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절환스위치의 작동 설명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주회로 투입시 및 주회로 개방시 양철심간의 거리와 철심흡인력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조작코일 여자회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에 제4실시예를 나타낸 조작코일 여자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가동접점 8 : 크로스바
11 : 고정접점 14 : 베이스
18 : 가동철심 20 : 고정철심
22 : 조작 코일 37 : 절환스위치
106 : 교류전원 107, 114 : 정류회로
108 : 저항체 109 : 유지회로
112 : 콘덴서 113 : 변압기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 특히 양접점이 폐로된 후에 오프 동작하고 양접점이 개로된 후에는 온 동작하는 절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종류의 전자접촉기로서 제1도에 보인 장치가 사용되었다.
도면에서 전자접촉기 보네를 설치반등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설치판(32)이 설치되고 설치판(32)에 설치된 여러개의 설치공(33)을 통하여 전자접촉기 본체가 설치반에 나사로 고착되어 있다.
설치반(32)에는 절연재로 형성된 베이스(11)가 나사(28)에 의해 고정되고, 베이스(11)에는 주회로에 접속된 단자판(12)이 고정되며, 또 단자판(12)에는 고정접점(14)을 구비한 고정접촉자(13)가 단자판(12)과 도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에는 절연재로 형성된 크로스바(4)가 제1도에서 상하로 작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크로스바(4)는 그 크로스바(4)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받이(100)와 설치판(11) 사이에 압압된 트립스프링(31)에 의해 제1도에서 상방향으로 탄력이 가세된다.
그리고, 이 크로스바(4)에 설치된 유지공(4a)에는 고정접점(14)와 대향배치된 가동접점(6)을 구비한 가동접촉자(8)가 설치되고, 가동접촉자(8)은 크로스바(4)에 설치된 스프링받이(101)와 스프링지지대(102)사이에 압축상태로 장착된 접촉자스프링(9)에 의해 제1도에서 하방향으로 탄력이 가세되어 있다.
다음에, 가동접점(6)을 구동시켜 고정접점(14)과의 협동으로 접점개폐작용을 하기 때문에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설치판(32)상에는 규소강판이 적층된 고정철심(20)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철심(20)에는 여러개의 핀(24)이 삽입되고 이 핀(24)의 양단부에 완충고무(25)가 장착됨과 동시에 완충고무(25)와 설치판(32) 사이에 완충스프링(103)이 설치되어 있다.
또, 크로스바(4) 하단에는 핀(19)으로 가동철심(18)이 고정되고 가동철심(18)은 고정철심(20)에 대하여 소정간극을 띄워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철심(20)에 전자력을 주어 가동철심을 흡인하기 위해 고정철심(20)에 장착된 코일유지프레임(104)에는 조작코일(22)이 권회되어 있고, 조작코일(22)과 코일단자(36)는 리드선(43)에 접속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로 소호시키기 위하여 베이스(11)에는 내열성재료로 된 아크상자(1)가 나사(105)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아크상자(1) 내에서 자성금속으로 되고 가동접점(6) 및 고정접점(14)을 포위하도록 형성된 그리드(2)가 설치되어 있고, 이 그리드(2)에 의해 아크가 유도되어 소호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조작코일(22)의 여자전압을 상황높게 유지할 필요가 없고, 주회로 투입후 작은 여자전압을 공급하면 됨으로 조작코일(22)의 여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로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교류전원(106)에 의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조작코일(22)에 여자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류회로(107)가 설치되고, 정류회로(107)에는 조작코일(22)의 여자전압 분압용 저항체(108)을 가진 유지회로(109)가 직렬로 접속되어있다.
또, 유지회로(109)에는 투입완료 스위치(11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투입완료스위치(110)는 주회로 투입시에 양접점(14)(6)이 닫쳐지는 시기에 OFF 작동을 하고, 조작코일(22)에 가하여진 전압이 저하할때에는 양접점(14)(6)이 개로되는 시기에 ON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코일(22)의 여자조직을 하기 위해 교류전원(106)에는 스위치(111)가 접속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접촉기는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어서 그 작동을 설명한다.
양접점(14)(6)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111)를 투입하면 투입완료후 스위치(110)가 ON 작동을 하고 있으므로, 교류전원(106)에 의한 교류전압은 정류회로(107)에 의해 정류되고, 조작코일(22)에 큰용량의 여자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코일(22)이 발생하는 자속에 의해 고정철심(20)과 가동철심(18) 사이20)에 전자흡인력이 발생하며, 가동철심(18)이 트립스프링(31)에 대향하여 고정철심(20)에 흡인된다.
이에따라, 가동철심(18)에 연결된 크로스바(4)가 고정철심(20) 측으로 이동하여 크로스바(4)에 지지된 가동접촉자(8)의 가동접점(6)이 고정접촉자(13)의 고정접점(14)과 맞닿는다.
이때,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14) 사이의 점점캡 보다도 가동철심(18)과 고정철심(20) 사이의 철심캡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철심이 닫칠때에는 크로스바(4)가 위접점의 접촉 위치 보다도 고정철심(20)측으로 더욱 이동한다. 이때문에, 접촉자스프링(9)이 압축 변형하여 그 스프링 압력이 스프링지지대(102)를 통하여 가동접촉자(8)에 전달되고, 소정의 접촉 압력을 얻어 접점 사이를 폐로케 한다.
위에서 언급한 양접점(14)(6)의 폐로상태에서 투입완료스위치(110)는 OFF 작동을 하고 있으므로 교류전원(106)에 의한 교류전압을 유지회로(109)에서 분압된후 정류회로(107)에 의해 정류되어 조작코일(22)에 작은 여자전류가 공급된다.
조작코일(22)에 인가되어 있던 구동전압을 제시하면, 고정철심(20)과 가동철심(18) 사이의 전자흡인력은 소멸되고, 크로스바(4)는 압축되어 있는 트립스프링(31)의 탄력에 의해 반고정철심 측으로 이동되어 각 접점간이 개리한다.
이때,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14)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나, 이 아크는 접점 부분을 포워하는 그리드(2)내로 흡인되어, 냉각, 분단되어서 소호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는, 위에서와 같이 투입완료스위치(110)가 주회로투입시에는 양접점(14)(6)이 닫쳐지는 시기에 OFF 작동하여 조작코일(22)에 가해지는 전압이 저하되었을때는 양접점(14)(6)이 개로되는 시기에 ON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투입완료스위치(110)의 ON, OFF 작동시기에 근소한 오차가 있어도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제3(a)도 및 제3(b)도에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주회로투입시 및 조작코일(22)에 가한 전압이 저하될때 양철심(20)(18) 사이의 거리와 철심흡인력간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각 도면에서 트립스프링(31)의 탄력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접촉자스프링(9)의 탄력은 1점쇄선으로 표시되며 그리고 실선으로 나타내어 있다.
주회로 개방상태에서 스위치(111)를 투입한 경우, 제3(a)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철심흡인력은 잠차로 증가하며, 이에따라 양철심(20)(18) 사이의 거리는 H1에 점차로 감소하고 있다.
또 가령 투입완료스위치(110)의 OFF 작동시기가 양접점(14)(6) 폐로시 전에 오차가 있었다면, 양철심(20)(18) 사이의 거리가 H2로 된 곳에서 투입완료스위치(110)가 OFF 동작을 하며, 철심흡인력이 F1에서 F2까지 감소하고 다시 증가한다. 그러나, 양철심(20)(18) 사이의 거리가 H3, 즉 양접점(14)(6) 사이가 폐로되는 시점에 있어서 철심흡인력 F3은 트립스프링(31)의 탄력과 접촉자 스프링(9)의 탄력의 합 F4보다도 약하므로 양철심(20)(18) 사이의 거리가 H3로 된 위치에서 가동철심(18)의 이동이 일단 정지한다.
그리고, 양철심(20)(18)간의 거리를 H3로 유지하면서 철심흡인력은 차차 증가하며 철심흡인력은 트립스프링(31)의 탄력과 접촉자스프링(9)의 탄력의 합 F4보다도 강하게 된 곳에서 다시 가동철심이 이동하여 양철심(20)(18)이 흡착된다.
따라서, 위체서 언급한 가동철심(18)의 이동정지에 의해 양접점(14)(6) 사이에는 소정의 접촉압력을 얻지 못하며 양접점(14)(6)이 용착되기도 하고 조작코일(22)을 소손(燒損)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주회로투입 상태에서 조작코일(22)에 가한 전압이 저하된 경우, 제3도에서와 같이 철심흡인력은 F3에서 점차 감소하며 이에따라 양철심(20)(18)간의 거리는 차차 증가한다. 그리고, 가령 투입완료스위치(110)의 ON 작동시기가 양접점(14)(6)이 개리전에 오차가 있었다고 하면 양철심(20)(18)간의 거리가 H4로된 곳에서 투입완료스위치(110)가 ON 작동을 하여 철심 흡인력이 F6에서 F7까지 증가하여 다시 감소한다. 그러나, 양철심(20)(18) 사이의 거리가 H3, 즉 양접점(14)(6) 사이가 떨어지는 싯점에서 철심흡인력 F3는 트립스프링(31)의 탄력 보다도 강하므로 양철심(20)(18) 사이의 거리가 H3로 된 위치에서 가동철심(18)의 이동이 일단 정지한다.
그리고, 양철심(20)(18)간의 거리를 H3로 유지하면서 철심흡인력은 차차 감소하고, 철심흡인력이 트립스프링(31)의 탄력 F9보다도 약하게 된 곳에서 양철심(20)(18)이 떨어진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가동철심(18)의 이동정지에 의해 양접점(14)(6) 사이에는 소정의 접촉압력을 얻지 못하여 양접점(14)(6)이 용착되고 조작코일(22)을 소소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특히 사고 등에 의해 조작코일(22)에 가해지는 전압이 철심흡인력을 F6-F9로 하는 전압까지 저하하였을 경우, 상술한 가동철심(18)의 이동정지가 계속됨으로써 양접점(14)(6)이 용착 및 조작코일(2)의 소손 등이 심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동키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로를 개폐제어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폐로시는 물론 조작코일에 가해지는 전압이 저하한 경우도 위 접점 사이에 헌팅(hunting) 현상이 발생함이 없으며, 따라서 접점사이의 융착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접점이 장착된 베이스에 활(滑) 동 자재하게 설치되고 위 고정접점과 협동하여 주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이 장착된 크로스바와, 크로스바에 장착되어 고정철심과 협동하여 가동접점을 이동케하는 가동철심과, 고정철심에 조합되어 소정의 여자력을 발생시키는 조작코일과, 위 가동철심을 흡인할때 교류전원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조작코일에 공급하는 가동회로와, 위 가동철심 유지서에 위 전원으로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소용량의 전류로 변환하는 수단을 통하여 위 조작코일에 공급하는 유지회로로 절환시키는 절환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환스위치는 주회로 투입시에는 위 양 접점이 폐로된 후에 OFF 작동을 하며, 상기 조작코일에 가해진 전압이 저하한때에는 위 양접점이 개리한 후 ON 작동을 하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상술한 종래의 이에 해당한 부재에는 동일한 보호를 붙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면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며, 제5도는 동반단면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4도, 제5도에 있어서 1은 내열성 재료로 된 아크소호용 아크상자를 나타내며 저성금속으로 된 그리드(2) 및 전류판(轉流板)(3)이 개폐하는 전로(電路)의 상수(相數)에 대응하여 배치 고정되어 있다.
4는 크로스바, 5는 가동 접촉자, 6은 가동접촉자(5)의 양단에 붙혀진 가동접점, 7은 가동접촉자 압압부재, 8은 압압스프링 지지대, 9는 접촉자스프링, 10은 스토퍼(stooper)이다.
위 접촉자스프링(9)를 스토퍼(10) 하부와 압압스프링지지대(8)의 하단부 사이에 압축 고정되어 있고, 압압스프링지지대(8)의 상단부와 가동접촉자 압압부재(7) 상면 및 가동접촉자(5) 상면과 가동접촉자 압압부재(7) 하면이 접촉하여 조립되어 있다. 또, 스토퍼(10)는 크로스바(4)의 스토퍼 구멍(4a)에 삽입되어 있다.
11은 베이스를 나타내며, 제6도의 분해사시도에서와 같이 저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 후술하는 전자구동장치의 인출용 개구부(11a)를 측면에 갖고 있다.
12는 베이스(11) 상부에 고정된 단자, 13은 단자(12) 상면에 나사로 고착된 ㄷ자 형상의 고정접촉자로서, 그 상면에는 고정접점(14)이 설치되어 있다.
15는 고정접촉자(13)에 고정된 아아크런너, 16은 절연장볍으로서 단자(12)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하며, 아크상자(1)와 베이스(11)에 설치된 홈(도시생략)에 그 1부를 삽입하여 양자 사이에 끼어 고정되어 있다.
17은 가동완충고무, 18은 가동철심으로서, 가동철심핀(19)에 의해 크로스바(4) 하부에 연결시켜 고정되어 있다. (20)은 고정철심을 나타내며, 가동철심(18)에 소정의 공극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21은 전자구동제어장치(이하 구동제어장치라 함)를 나타내며 고정철심(20)에 관통된 배치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전자 코일 등의 조작코일(22)을 포함하고 있다.
제7도의 구동제어장치(21)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에서와 같이 ㄷ자형 요부(21a)를 형성하기 위한 레일계합편(21b)이 구비되어 있다. 또 21c는 관통공으로서, 상기 고정철심(20)이 삽입되는 것이다. 23은 고정완충스프링으로서, 고정철심(20) 하부에 장착되어 주로 전자접촉기 투입시 설치반면(도시생략)에의 충격을 경감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24는 고정철심편을 나타내며, 제5도,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철심(20) 하부를 관통시켜 설치되어 있고, 그 양단은 고정철심(20)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철심편(24) 양단에는 각각 고정완충고무(25)가 관통 장착되고, 다시 고정완충고무(25)를 에워싸서 가이드(26)가 장치되어 있다.
가이드(26)은 마찰절항이 적은 재료로 되어 있고 고정완충고무(25)의 외경에 거의 같은 가이드의 요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27은 레일판을 나타내며, 그 중앙부분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ㄷ자형상 레일(2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레일의 안쪽 단부에는 레일스토퍼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판(27)은 위 베이스(11)에 나사(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구동제어장치(21)는 제4도, 제7도에 나타낸 레칫(29)이 조립되어 있다. 레칫(29)는 구동제어장치(21)의 종방향 철부(
Figure kpo00001
)(21d)에, 레칫요부, (29a)를 상하 작동자재하게 지지되고, 또 복귀스프링(30)에 의해 하방으로 탄력이 가세된다.
레칫(29)의 하부에는 계합돌기(2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레일판(27)에 설치된 계합공(27c)에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1은 트립스프링을 나타내며, 크로스바(4) 하단과 레일판(27)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크로스바(4)를 상방으로 탄력을 가세하고 있다.
32는 설치판으로서, 전자접촉기를 설치반면(도시생략)에 붙이기 위한 설치공(33)이 있으며 레일판(27)하측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34는 보조접점부분을 나타내며, 베이스(11)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아크상자(1)는 베이스(11)에 나사로 고정되고, 크로스바(4)는 상하운동자재하게 베이스(11) 내벽에 의해 지지안내되어 있다.
위 구동제어장치(21)를 제8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22는 자속을 발생시켜 가동철심(18)을 고정철심 (20)에 흡인시켜, 지지시킨 조작코일, 35는 조작코일(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조작코일(22)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36은 전원에서 교류전압을 제어회로부(35)에 인가하는 코일단자, 37은 흡인할때와 유지할때 조작코일(22)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기 위해 제어회로를 절환시키는 절환스위치, 38은 조작코일(22), 제어회로부(35), 코일단자(36), 절환스위치(37)을 수납하고 레일판(27)에 고정되는 코일케이스, 39는 코일케이스(38)의 상면을 덮으며 절연, 방진을 위한 코일덮개, 40은 조작코일(22), 제어회로부(35), 절환스위치(37)를 코일케이스(38)에 수납한 다음 고정하는 주형모울드이다.
그리고, 구동제어장치(21)를 전개한 제9도에서와 같이 제어회로부(35)는 프린트기판(41)과 회로소자(42)로 구성되며 리드선(43)에 의해 코일단자(36), 절환스위치(37), 조작코일(3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환스위치(37)은 제10도에서 그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며, 전자접촉기의 본제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베이스(44)는 상면중앙부가 요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요부의 저벽부에는 고정접점(45)이 고정되어 있고, 또 그 저벽부의 다른 곳에는 스프링받이(4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 베이스(44) 일단상면에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탄성접점을 장착하는 장착용구멍(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 베이스(44) 측면에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위치덮개 계합용홈(48)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접점(49)은 기부(基部)(50)와 이기부(50)에서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는 탄성편(51) 및 접점편(52)을 갖고 있으며 위기부(50)에는 설치편(53)이 돌설되어 있으며 설치편(53)은 스위치베이스(44)의 장착용구멍(47)에 장착되고 고정되어 있다.
위기부(50)에서는 탄성력(51)이 돌출형성되고, 또 기부(50)에는 탄성편(51)을 둘서싼 접점편(52)이 돌설되어 있다. 접점편(52) 선단부에는 스위치베이스(44)에서의 고정접점(45)과 접촉, 개리하는 접점(54)이 설치되어 있다. 또 탄성편(51) 및 접점편(52)의 각 자유단 대항위치에는 계합편(55a)(55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계합편(55a)(55b)에는 클릭스프링(56)이 계합장착되어 있다. 즉 클럭스프링(56)은 판상의 스프링을 U자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어있으며 양선단부에는 상기 계합편(55a)(55b)와 계합하는 계합공(57a)(57b)이 형성되며, 상기 클립스프링(56)은 압축변경된 상태로 상기 계합편(55a)(55b)에 계합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탄성접점(49)과 고정접점(45)의 ON.OFF 작동을 하기 위해 압압봉(58)이 설치되어 있다.
위 압압봉(58) 상단부에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가이드통 내부를 아래위로 활동부(59)가 형성되며, 하반부에는 상술한 탄성편(51)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압압 변형하는 2개의 작동암(60a)(60b)이 탄성편(51) 상면 및 하단에 대향되게 돌출되며, 또 위 작동암(60a)의 기부에는 스프링 받아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봉(58)의 일단은 전자접촉기에 있어서의 가동철심(18)에 계합고정되어 있고, 가동철심(18)의 상항운동에 따라 압압봉(58)의 상하운동이 달성되고 탄성접점(49)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위 압압봉(58)과 위 스위치베이스(51) 사이에는 스프링(62)이 개재되어 있다.
즉, 스프링(62)의 일단은 스위치베이스(44)의 스프링받이(46)에 계합되고 타단은 압압봉(58)의 스프링받이들기(61)에 계합되며, 압압봉(58)은 항상 상방으로 힘이부가 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스위치베이스(44)에는 스위치덮개(63)가 장착되어 있다.
즉, 스위치덮개(63)에는 압압봉활동 가이드통(64)이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덮개(63)의 측면에는 계합편(6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통(64)에 압압봉(58)의 활동부를 삽입하며 또한 계합편(65)을 스위치베이스(44)의 계합용홈(48)에 계합함으로써 스위치덮개(63)의 스위치베이스(44)도 장착이 실현된다.
위 절환스위치(37)에서 나온 리드선(43a)은 코일케이스(38)의 절결홈(66)을 통하여 제어회로부(35)의 프린트기판(41)에 납땜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코일단자(36)는 코일케이스(38)에 압압고정되어 있으며 코일단자(36)에서 나온 리드선(43b)은 코일케이스(38)의 절결홈(66)을 통과하여 제어회로부(35)의 프린트기판(41)에 납땜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주행로울드(40)는 프린트기판(41)의 상면까지 위치하여 프린트기판(41)의 패턴(pattern)간 및 어스(eaeth)간의 절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조작코일(22)에서의 발열이나 회로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에 효율적으로 방열함과 동시에 방습역할을 한다. 위 코일덮개(39)는 코일케이스(38)의 돌기(67)에 끼워맞추는 계합부를 갖고 있으며, 코일케이스(38)에 고정됨과 동시에 주형에 의해 고정되는 매립용돌기(69)에 의해 주형시킨 후 주형로울드(40)가 굳으면 주형모울드(40)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코일덮개(39)는 제어회로부(35)나 조작코일(43)에 대하여 방진역할을 하며 주형모울드(40)만으로 불완전한 경우 전기적절연 역활도 한다. 또, 위 구동제어장치(21)의 전기회로도는 제11도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1도에서, 37은 절환스위치를 나타내며, 기타의 것은 제2도의 회로부품에서와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자접촉기는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 제5도에 있어서, 구동제어장치(21)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구동제어장치(21)가 발생하는 자속에 의해 가동철심(18)에 연결된 크로스바(4)는 트립스프링(31)에 대향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며,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4)이 접촉한다.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14) 사이의 접점캡 보다도 가동철심(18)과 고정철심(20) 사이의 철심캡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로스바(4)는 위접점 접촉위치 보다 더 하망으로 이동하며 철심이 폐로된다.
이 때문에 접촉자스프링(9)는 압축변형이며, 이 스프링압력은 압압스프링지지대(8), 가동접촉자 압압부(7)를 통하여 가동접촉차(5)에 전달되고, 소정의 접촉압력으로서, 단자(12)와 동일전로를 형성하는 반대측단자(12)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구종제어장치(21)에 인가되어 있던 구동전압을 제거하면 가동철심(18)과 고정철심(20) 사이의 전자흡인력은 소멸되고, 크로스바(4)는 압축된 트립스프링(31)의 탄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접점간이 개리한다.
이때,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14)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나, 이 아크는 가동접점(6)에서 전류판(3)으로, 또 고정접점(14)에서 아크런너(15)로 각각 전위하며, 또 한 아크전류와 접촉자 전류에 의한 전자반발력에 의해 그리드(2) 내에 흡인되어 냉각, 분된되어 소호한다.
위와 같이 구동제어장치(21)의 구동전압을 개폐함으로서 단자(12)(12) 사이에 접속된 전로의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또, 위 절환스위치(37)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제12도 내지 제14도는 전로 개방상태에서 폐로 상태에 이르는 절환스위치(37)의 동작을 나타내며, 구중 제12도는 전로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 즉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서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탄성접점(49)은 클릭스프링(56)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부가세되고, 탄성접점(49)이 고정접점(21)으로 압점되어 있다.
스위치(111)에 의해 전원(106)이 ON되면 조작코일(34)에는 큰 용량의 여자전류가 공급되고 가동철심(18)은 고정철심(20)에 흡인되어 크로스바(4)의 하강에 따라 압압봉(58)이 스프링(62)의 상방으로 탄력에 대향하여 하강하며, 탄성편(51)은 작동암(60d)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 변경된다.
이때 클릭스프링(56)은 압축 변형되어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탄성편(51)이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점(死點) 위치로 변형될때까지는 탄성접점(49)과 고정접점(45)의 접촉상태는 유지되지만, 탄성접점(49)의 변형이 사점을 초과할때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 흡인접촉되어 전로가 폐로 된다.
그리고 제14도에서와 같이 클릭스프링(56)의 압축변형이 해제되어 클릭스프링(56)이 넓혀지므로써 접점편(52)이 상방으로 변형되고 상기 탄성접점(49)과 고정접점(45)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며 그 결과 전원전압은 저항체(70)에 의해 분압되고 소용량의 전류가 정류회로(107)에 공급된다.
전로의 폐로 상태로 부터 개방상태에 이르는 절환스위치(37)의 동작은 상술한 전로의 개방상태에서 폐로상태에 이를는 동작의 역순으로 달성된다. 이때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과 충분하게 떨어진 후 탄성접점(49)과 고정접점(45)이 개방이 되며, 고장 등에 의해 조작코일(22)에 가한 전압이 저하하여도 이른바 헌팅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주회로에서의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14)간의 용작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절환스위치(37)의 작용에 대하여 다른 관점에서 다시설명한다.
제15(a)도에서는 위의 주회로 투입시 양철심(20)(18)간의 거리와 철심흡인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스위치(111)의 투입에 의해 철심흡인력은 차차 증가하고 이에따라 양철심(20)(18)간의 거리는 H1에서 차차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양접점(14)(6)이 닫쳐진 후, 즉 양철심(20)(18)간의 거리가 H3로 된 곳에서 절환스위치(37)가 OFF 작동을 하므로 철심흡인력은 F10에서 F11로 감소하며, 재차 증가하여 소정의 흡인력 F12에서 양철심(20)(18)은 흡착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환스위치(37)의 OFF 작동시기가 양접점(14)(6)이 폐로된 후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절환스위치(37)가 OFF 작동을 할때 항상 철심흡인력 F11이 트립스프링(31)의 탄력과 접촉자스프링(9)의 합 F12보다도 다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 따라서 조작코일(22)로의 구동전압절환 공급조작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제15(b)도에는 위에서 설명한 조작코일(22)에 가하여진 전압이 저하될때 양철심(20)(18)간의 거리와 철심흡인력의 관계를 나타내며, 조작코일(22)에 가한 전압이 저하됨으로써 철심흡인력은 차차 감소하고 이에 따라 양철심(20)(18)간의 거리는 차차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양접점(14)(6)이 떨어진 후, 즉 양철심(20)(18)간의 거리가 H으로 된 곳에서 절환스위치(37)가 ON 작동을 하므로 철심흡인력은 F13에서 F14로 증가하여 다시 감소하여 양철심(20)(18)이 개리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절환스위치(37)의 ON 작동시기가 양접점(14)(6)이 떨어진 후에 설정되므로 절환스위치(37)가 ON 동작을 할때 항상 철심흡인력 F14이 트립스프링(31)의 탄력 F15보다 더 약한 힘을 가진다. 따라서, 조작코일(22)로의 구도전압절환 공급조작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또, 위에서 언급하 바와 같이 절환스위치(37)는 가동철심(18)의 구동으로 스위치가 작동됨으로 스위치작동용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 절환조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절환스위치(37)는 조작코일(22)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코일(22)의 착탈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16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제2실시예가 표시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나타내며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환스위치(37)가 크로스바(4)와 구동으로 스위치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작동용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 스위치 작용에 의한 절환스위치(37)의 마모를 적게할 수 있다. 또, 제17도는 가동철심(18)이 흡인된 후 조작코일(22)에 교류전원(106)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소용량의 전류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으로서 콘덴서(112)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전자접촉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환수단으로서 콘덴서(112)를 사용한 것이므로 변환수단으로서 저항체(108)를 사용한 제1실시예에 비하여 절환스위치(37)가 작동 후인 조작코일(22)의 유지시의 전압강하가 없어져, 소비전력이 격감될 수 있다.
또, 제18도는 상기 변환수단을, 교류전원(106)의 전압을 강압하는 변환기(113)와, 변압기(113)의 소용량 출력을 정류시켜 조작코일(22)에 공급하는 정류회로(114)로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전자접촉기의 제4실시예를 나나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18도에서 조작코일(22)로 교류전원(106)에서 대용량의 전류 및 소용량의 전류가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이 때문에 2계열의 공급도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대용량 전류로는 기동용 정류회로(107)를 포함하며, 전원전압이 절환스위치(37)를 통하여 공급되고 이것이 대용량의 직류전류에 정류된 후 상기 조작코일(22)에 공급된다. 또, 상기 절환스위치(37)에는 서지(surge) 흡수기(115)가 병렬접속되고, 스위치(37)의 개폐에 따르는 서지 전압이 흡수 와화된다. 한편, 제2의 소용량의 전류경로는 유지용정류회로(114)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류회로(114)에 강압된 교류출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전압을 강압하는 단상변압기(1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코일(22)은 다음에 설명하는 작용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가동철심(18)ㅇ틔 흡인동작 완료후, 즉 고정접점(14)과 가동접점(6)이 닫혀진 후에는 변압기(113)에 의해 강압된 소용량 전류에 의해 확실한 유지작용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것은 전원전압의 강압이 단상변압기(113)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때문에 본 실시예 장치에서는 위 실시예 장치와 달리 위 2개의 정류회로(107)(114)가 설치되어 가동철심(18)의 고정철심(20)으로의 접촉 기동과 접촉 유지가 각각 별개의 정류회로에서 공급되는 여자 전류에 의해 행하여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로의 폐로 작동, 즉 가동철심(18)의 고정철심(20)으로의 흡인작동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 흡인개시될때에는 절환스위치(37)가 폐로되어 있으며, 교류전원(106)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교류전류는 기동용 정류회로(107)로 공급되고, 교류전류는 전파 정류되어 조작코일(22)에 공급된다.
그결과 고정철심(20)은 전자석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며, 고정철심(18)이 위 고정철심(20)에 흡인 접촉된다.
이때 가동철심(18)에 연접(連接)되는 가동접점(6)이 전자접촉기의 베이스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고정접점(14)에 접촉되어 전로가 폐로된다.
위와 같이, 가동철심(18)의 고정철심(20)으로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용량의 여자전류로 충분하며, 소비전력의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 접촉된 후 절환스위치(37)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결과 가동접점(18)이 고정첨심(20)에 접촉상태에 있을때 전원(106)의 전압은 단상변압기(113)에 의해 분압된 소용량의 교류전류로 된다. 그리고 위 유지용 전류회로(14)에 의해 정류된 소용량의 직류여자전류가 조작코일(22)에 공급되고, 고정철심(20)의 전자석작용에 의해 가동철심(18)의 고정철심(20)으로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전로의 폐로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위와 같이, 조작코일(22)로 여자전류가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철심(18)이 흡인 후의 전원전압의 분압은 단상변압기(113)에 의하여 행하며, 전로의 폐로상태를 유지하는 여자전류는 소용량의 전류로 충분하므로, 위 단산변압기(113)는 수 VA의 소형변압기로 족하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전압접촉기의 본체내에 내장할 수 있다.
또 단상변압기(113)는 콘덴서에 비교하여 내열성이 우수하며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전자접촉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며에 의하면 조작코일의 유지회로에 설치되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접촉한 후 조작코일에 전원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소용량의 전류로 변환하는 교환수단에 병렬좁속된 절환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환스위치는 주회로 투입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닫혀지 후 OFF 작동을 하며, 조작코일에 가한 전압이 저하될 때에는 위양접점이 떨어진 다음 ON 작동을 하는 히스테리시스특성이 있으므로 그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폐로시는 물론 조작코일에 가하는 전압이 저하될때에도 위 접점간에 헌팅현상을 발생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접점간의 용착이 방지될 수 있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고정접점(14)이 장착된 베이스(11)에 활동자재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협동하여 주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6)이 장작된 크로스바(4)와, 크로스바(4)에 장착되어 고정철심(20)과 협동하여 가동접점(6)을 이동케 하는 가동철심(18)과, 고정철심(20)에 조합되어 소정의 여자력을 발생시키는 조작코일(22)과, 상기 가동철심(18)이 흡인할때 교류전원(106)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조작코일에 공급하는 기동회로와, 상기 가동철심(18)이 유지할때 전원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소용량의 전류로 변환시키는 수단(108)을 통하여 상기 조작코일(22)에 공급하는 유지회로(109)와, 상기 조작코일의 여자전류공급원을 기동회로에서 유지회로로 절환하는 절환스위치(37)를 구비시킨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을 콘덴서(112)로 구성되고, 상기 절환스위치(37)에는 상기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 흡인될때 그 가동철심(18)에 의하여 압압됨과 동시에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서 떨어졌을때 복귀하는 압압봉(58)과, 이 압압봉(58)에 의하여 조작됨과 동시에 상기 양 접점(6),(14)에 폐로된 후에 오프 작동하며 상기 양접점(6),(14)이 개로된 후에는 온 동작을 하도록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진 탄성접점(49)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환스위치(37)는 조작코일(22)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3. 고정접접(14)이 장착되된 베이스(11)에 활동자재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협동하여 주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6)이 장착된 크로스바(4)와, 크로스바(4)에 장착되어 고정철심(20)과 협동하여 가동접점(6)을 이동케 하는 가동철심(18)과, 고정철심(20)에 조합되어 소정의 여자력을 발생시키는 조작코일(22)과, 상기 가동철심(18)이 흡인할때 교류전원(106)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조작코일에 공급하는 기동회로와, 상기 가동철심(18)이 유지할때 전원으로 부터의 대용량의 전류를 소용량의 전류로 변환시키는 수단(108)을 통하여 상기 조작코일(22)에 공급하는 유지회로(109)와, 상기 조작코일의 여자전류공급원을 기동회로에서 유지회로로 절환하는 절환스위치(37)를 구비시킨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교류전원의 전압을 강압시키는 변압기(113)와, 상기 변압기(113)의 소용량 출력을 정류하여 조작코일에 공급하는 정류회로(114)로 구성되고 상기 절환스위치(37)에는 상기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 흡인될때 그 가동철심(18)에 의하여 압압됨과 동시에 가동철심(18)이 고정철심(20)에서 떨어졌을때 복귀하는 압압봉(58)과, 이 압압봉(58)에 의하여 조작됨과 동시에 상기 양접점(6),(14)이 폐로된 후에 오프 작동하며 상기 양접점(6)(14)이 개로된 후에는 온 동작을 하도록 히스테리시스특성을 가진 탄성접점(49)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KR8201422A 1981-09-24 1982-03-31 전자 접촉기 KR880001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51258 1981-09-24
JP56151258A JPS5853130A (ja) 1981-09-24 1981-09-24 電磁接触器
JP151258 1981-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631A KR830009631A (ko) 1983-12-22
KR880001833B1 true KR880001833B1 (ko) 1988-09-20

Family

ID=1551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422A KR880001833B1 (ko) 1981-09-24 1982-03-31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81555A (ko)
JP (1) JPS5853130A (ko)
KR (1) KR880001833B1 (ko)
DE (1) DE3232173A1 (ko)
GB (1) GB2109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1661A1 (en) * 1982-10-15 1984-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omagnetic contactor
GB8425120D0 (en) * 1984-10-04 1984-11-07 Vent Axia Ltd Dc solenoid circuits
US5040089A (en) * 1986-11-26 1991-08-13 Kabushiki Kaisha Toshiba D.C. relay with power reducing function
JP3653131B2 (ja) * 1995-12-28 2005-05-25 日本発条株式会社 導電性接触子
DE19814410C2 (de) * 1998-03-31 2000-03-23 Moeller Gmbh Anordnung zur Festkontaktbefestigung für elektrische Schaltgeräte
US20040166284A1 (en) * 2002-02-28 2004-08-26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Ceramic packing element for mass transfer applications
KR20040072759A (ko) * 2003-02-10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 제어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DE10348092B4 (de) 2003-10-16 2006-01-26 Moeller Gmbh Anordnung zur Stromschienenbefestigung für mehrphasige Schaltgeräte
CN102623250B (zh) * 2012-04-19 2015-11-25 上海诺雅克电气有限公司 一种电磁开关装置
CN103008862B (zh) * 2012-12-13 2014-03-19 苏州瑞浦勒自动化系统有限公司 铁芯顶杆的焊接装置
KR101529588B1 (ko) 2013-10-18 2015-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RU2636656C1 (ru) * 2013-11-12 2017-11-27 Абб Текнолоджи Лтд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онтакт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JP1623421S (ko) * 2018-05-18 2020-01-27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02716A (ko) * 1934-04-19 1934-05-31
GB448549A (en) * 1934-12-12 1936-06-10 Ver Eisenbahn Signalwerke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omagnetic relays operated at a low potential
GB539343A (en) * 1940-06-17 1941-09-05 William Anselm Coates Improvements in the control means of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electric switches or circuit breakers
GB565614A (en) * 1943-06-03 1944-11-17 Partridge Wilson And Company 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ic contactors or switches of the change-over and simple on-off types
GB584880A (en) * 1945-01-31 1947-01-24 Crabtree & Co Ltd J A Improvements in starting switches for electric motors
GB877036A (en) * 1958-10-16 1961-09-13 Crabtree & Co Ltd J A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electric contactors
DE1126284B (de) * 1960-02-13 1962-03-22 Priesemuth W Elektromagnetisches Rundrelais mit pneumatischer Hubverzoegerung fuer Blinksignalgeber
BE623441A (ko) * 1961-10-13
NL290638A (ko) * 1963-03-25 1965-06-25
US3943416A (en) * 1974-12-18 1976-03-09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energizing circuit
DE2834780A1 (de) * 1978-08-09 1980-02-21 Ritter Ag Schaltungsanordnung zur ansteuerung eines mit gleichstrom gespeisten elektromagne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53130A (ja) 1983-03-29
JPH0143972B2 (ko) 1989-09-25
GB2109164A (en) 1983-05-25
US4481555A (en) 1984-11-06
DE3232173C2 (ko) 1987-06-04
DE3232173A1 (de) 1983-03-31
KR830009631A (ko) 1983-12-22
GB2109164B (en) 1985-07-31
US4481555B1 (ko) 198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833B1 (ko) 전자 접촉기
US3733568A (en) Push button relay
WO2021237878A1 (zh) 一种具备高可靠性和高抗振性能的继电器
US2597559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mechanism using resonance effects
US2773948A (en) Contact arrangement for control relay
US4149131A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100066604A (ko) 고압용 릴레이 구조
JPH0131650B2 (ko)
CN220382014U (zh) 扁平化大电流继电器
CN220367856U (zh) 继电器
GB2118368A (en) Electric power switch with slotted commutation end plate
JP2004221037A (ja) 電磁開閉器
KR870002569Y1 (ko) 전력개폐장치
CN213366487U (zh) 一种直流接触器
KR870000780Y1 (ko) 전자 접촉기 보조 접점 케이스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CN220796595U (zh) 电磁继电器及电力设备
JPH0329847Y2 (ko)
JPH0243076Y2 (ko)
JP4364723B2 (ja) 電磁接触器
JPH0226327B2 (ko)
KR200183435Y1 (ko) 래치형 전자접촉기
KR880000626B1 (ko) 전자(電磁) 접촉기
JPS6342448Y2 (ko)
JPS5850585Y2 (ja) 回路遮断器の可動片取付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