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02B1 -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02B1
KR880001802B1 KR8202566A KR820002566A KR880001802B1 KR 880001802 B1 KR880001802 B1 KR 880001802B1 KR 8202566 A KR8202566 A KR 8202566A KR 820002566 A KR820002566 A KR 820002566A KR 880001802 B1 KR880001802 B1 KR 88000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er
circuit board
pickers
shutt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049A (ko
Inventor
루이스 롸이트 헨리
밴듀러 비털리
웨인 우드맨 쥬니어 대니엘
Original Assignee
죤 디이 델 폰티
엠하아트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디이 델 폰티, 엠하아트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죤 디이 델 폰티
Publication of KR84000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29/53061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83Multilea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부착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명료한 도시를 위해 장치의 프레임 일부가 제거되어 도시된 상기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기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픽커 선택 수단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5도-제9도는 전방 픽커 기구 및 관련 부품들의 작동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10도-제14도는 후방 픽커 기구 및 관련 부품들의 작동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15도는 본 장치의 셔틀기구의 평면도.
제16도-제19도는 제15도의 셔틀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가진 12,14 : 픽커
13,15 : 수용기 18 : 도선 조절장치
20 : 활강로 24 : 드러스터
28 : 핑커 29 : 그립퍼
32 : 도선 절단-구부림장치
36 : 플런저 38,50 : 캐리어
44 : 레버 45,52 : 가이드
60 : 채널 부재 68 : 실린더
69,84 : 클램프 72 : 셔틀
74,85 : 게이트 90 : 게이트
92 : 캐리어 108 : 실린더
110 : 클램프 111 : 슬라이드
본 발명은 인쇄 회로기판에 예를 들어 다도선(Multi-lead) DIP 소자들로 통상 알려진 타입의 전자 부품들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열의 부품 호울더들로 부터 프로그램된 컴퓨터의 제어하에 미리 정해진 순서로 선택되는 각기 다른 전기적 특성들의 연속적인 부품들을 회로판에 고속으로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판에 다도선 DIP 소자와 같은 전자 부품들을 삽입하는 자동장치들이 미국특허 제3,591,040호 및 제3,550,238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 특허들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그 부품들은, 필요한 경우 그 부품의 도선들을 직선으로 편후 삽입수단에 의해 매가진(magazine)을 이동시켜 그 부품들을 하나씩 배출함으로써 삽입 기구와 선택적으로 정렬된다.
각종의 부품들을 위해 대용량의 메가진들이 제안되었다.
그 메가진들은 고정적으로 유지되고 이동 가능한 수단이 미국특허 제3,727,28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일의 부품을 선택하여 배치하도록 설치되어있다. 미국특허 제4,063,347호는, 컴퓨터 제어 픽커(picker) 기구에 의해 다수의 메가진들로 부터 각종 DIP 소자들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소자들을 도선 직선화 장치로 보낸 다음, 그의 삽입을 위한 회로판으로 보내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그 미국특허 제4,063,34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일의 픽커가 일열의 메가진을 따라 이동되어, 한번에 하나씩 도선 조절장치로 이송하기 위해 특정 소자들을 선택한다. 이 미국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는 종래 장치보다 효율이 향상되고 제어의 신뢰성이 높으며 생산량이 증진되었으나, 소자들을 더 고속으로 선택 및 삽입할 수 있는 자동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전술한 미국특허 명세서들에 기술된 장치들에 의해 제공되는 것 보다 더 높은 속도록 부품을 회로판에 부착할 수 있는 개량된 전자부품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형태의 부품을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메가진들이 일 통로를 따라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픽커 기구가 도선 조절(conditioning) 장치로의 송출을 위한 부품을 선택하도록 서로 방해되지 않게 상기 통로의 양측을 따라 이동되는 개량된 전자부품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라. 다수의 부품 호울더들의 출구들이 일열로 되게 그 호울더들을 지지하는 수단, 연속적인 부품들을 수용하여 그들을 회로판에 부착하기 위해 부착 위치에 있는 수단, 부착 위치와 호울더 출구들 사이에서 그 출구들의 열에 평행한 별도의 통로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캐리지 상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픽커 및 캐리지들을 그들의 통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픽커들이 선택된 호울더 출구로 부터 받은 부품들을 부착위치의 상기 수단에 교대로 보내도록 상기 픽커들을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커들은, 캐리지들이 정지한 때 픽커들이 호울더 출구들 또는 부착위치의 상기 수단들중 하나와 일치되는 전진 위치와 캐리지들이 이동할 때 픽커들이 차지하는 후퇴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캐리지상에 설치되는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픽커들중 하나가 부착위치의 상기 수단에 이미 선택된 부품을 보내는 동안 다른 픽커가 선택된 호울더와 정렬되어 그 호울더로 부터 부품을 받게 하도록 배치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장치는 호울더들의 출구가 일열로 배열된채 그 호울더들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픽커 캐리지들은 호울더 출구들의 열의 양측부에 하나씩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부품들이 호울더 출구들 위에 수직으로 중첩되어 정렬되는 메가진 형태를 갖는 호울더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가진 내 최하측 부품은, 메가진의 출구로 부터 부품을 수집하도록 하나 또는 다른 픽커의 접근에 의해 상기 출구 열의 양측으로 부터 작동가능한 배출기구에 의해 메가진내에 보유된다. 부착위치는 메가진의 열을 따라 중간위치, 즉 절반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부착위치에서 연속적인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부품의 도선들이 회로판의 구멍에의 삽입을 위해 정확히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도선 직선화 수단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도선상태 조절수단으로 부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삽입될 전자부품들은 2개의 평행한 열의 도선들을 가지는 다도선 DIP 소자들로 알려진 부품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회로판의 구멍들에 부품의 도선들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장치로 부품들을 도선 직선화 수단으로 부터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각 픽커가 한번에 오직 하나의 부품을 부착위치의 상기 수단으로 보내도록 하고 그러한 부품의 이송후 각 픽커가 다른 부품을 수집하도록 선택된 호울더 출구로 주행하게 하는 프로그램된 컴퓨터의 제어하에 작동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부품들이 상기 픽커들과, 상기 도선 직선화 수단들과, 상기 이송 수단 및 상기 삽입 장치내에서 동시에 제어될 수 있고, 그리하여 다수의 부품들을 동시에 취급함에 의해, 그리고이미 송출된 부품들의 도선이 조절되어 회로판의 구멍들내에 삽입된 때 픽커가 또 다른 부품들을 선택된 호울더 출구로 부터 수집하도록 배치함에 의해, 장치의 생산성이 전술한 특허 명세서들에 기술된 장치의 경우보다 크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픽커들은 호울더의 열을 따라 어디에서나 선택된 호울더 출구로 부터 부품들을 수집하기 위해 주행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이 장치는 단지 예로서 기술된 것이고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제1도-제4도에서, 본 발명의 장치는 미국특허 제4,063,347호에 기술된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한 다수의 메가진(10)을 구비하고 있고, 그 메가진들은 일열로 배치되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며, 그 통로의 양측부를 따라 전방 픽커(12)와 후방 픽커(14)가 서로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후로 이동한다. 그 픽커들은 컴퓨터 또는 테이프 판독기와 같은 제어장치(8)에 의해 제어되어 각 메가진의 선택된 레이스 채널(16)로 부터 각개 부품들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부품을 도선 조절장치(18)로의 이송을 위한 셔틀(shuttle)(72)(제2도)로 보낸다. 그 도선 조절장치(18)는 각부품의 양측부로 부터 연장하는 도선들을 성형 또는 직선화시킨다. 그 도선 조절장치(18)는 상기 미국특허 제4,063,347호에 기술된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한다.
부품의 도선들이 조절, 즉 성형 또는 직선화 된후, 그 부품은 활강로(chute)(20)(제2도 및 제3도)에 의해 이송 맨드렐(mandrel)(22)로 보내지고 적절한 시간에 드러스터(thruster)(24)에 의해 정확한 위치 설정을 위한 정지 부재(26)로 이동된다. 다음, 그 부품은 홈들이 파여진 1쌍의 핑커(28)에 의해 붙잡힌다. 그 핑거(28)들은 인접한 부품 도선들을 떨어지게 하고 그 도선들을 내측으로 구부려, 부품들이 부착될 회로판(B)의 구멍들의 간격과 일치되게 한다. 그 핑거(28)들은 부품을 회로판 쪽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핑거들이 부품을 해방시키도록 개방되어 있는 동안 푸서(pusher)(30)가 그 부품을 회로판 상에 눌러 앉혀 보유시킨다. 회로판 하측에 도선 절단-구부림 장치(32)가 배치되어 도선의 끝은 절단하고 그 도선들을 회로판의 하측면쪽으로 구부린다.
각 메가진(10)은 손잡이(11)(제1도 및 제2도)을 가진 볼트에 의해 브라켓트(34)에 부착되어 있고, 그 브라켓트는 테이블(T)로 부터 직립하여 있는 1쌍의 지주(31)들을 가진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각 메가진은 2개의 핀(3)을 가지고 있고, 그 핀들중 하나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가. 그 핀들은 브라켓트의 위치결정 구멍(33)들 내에 수용된다. 또한 각 핀은 스위치(35)와 협동하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다. 각 메가진은 다수의 레이스 채널(16)을 가지고 있고, 각 레이스 채널은 예를 들어 7.62㎜(0.300"), 10.16㎜(0.400"), 또는 15.24㎜(0.600")의 특정 중심간 간격을 가지고 외측 하방으로 연장하는 도선들을 가진 부품들을 수용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가 도선의 중심간 간격이 모두 동일한 부품들을 각각 수용하는 7개의 메가진(10)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메가진의 수가 그보다 많거나 또는 적을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중심간 간격이 이용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각 메가진의 2개의 위치결정 핀들은 메가진의 레이스 체널들내 부품들의 도선들의 중심간 간격에 특유한 방식으로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는데 적합하게 되어있다. 그리하여, 각 메가진은 그 메가진내 부품들의 도선들의 중심간 간격에 따라 독특한 패턴의 짧고 긴 위치결정 핀들을 가진다. 그 핀들은 부품의 중심간 간격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는데 적합하게 되어있다.
예를 들어,
메가진 좌측 스위치 우측 스위치
부품들의 중심간간격
7.62㎜(0.300") 온(on) 온
10.16㎜(0.400") 온 오프(off)
15.24㎜(0.600") 오프 온
메가진 없음 오프 오프
또한, 채널들 사이의 간격은 부품 도선들의 중심간 간격에 따라 메가진마다 다르다. 그리하여, 픽커들이 소망의 채널로 정확히 이동하여 일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 7개 위치들 각각에서의 메가진 형태의 식별이 필요하다. 위치결정 핀들과 스위치들의 배치되는 오직 바람직한 예로서 나타낸 것으로, 도선의 중심간 간격외의 부품 부속물들을 나타낼 수 있고 다른 유형의 표시 및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4도에서, 각 메가진들은 유사한 부품들을 수직으로 열지어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다수의 레이스 채널(16)들을 가지고 있다. 각 채널은 수직의 봉을 내외에 위치시키는 2개의 편심 휘일들을 조정함에 의해 부품 두께의 변동에 적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상기 미국특허 제4,063,347호에 도시된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각 채널은 부품 배출을 조절하도록 전방 픽커(12) 또는 후방 픽커(14)에 의해 메가진의 양측부로 부터 작동 가능한 배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각 채널에 있는 배출기구는 채널내 최하측 부품을 위한 정지 부재로 작용하는 플런저(plunger)(36)(제2도)와, 그 플런저(36)가 최하측 부품을 배출시키도록 철회될 때 두번째 부품을 낙하하지 못하게 유지하는 1쌍의 그립퍼(gripper)(2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까지 설명된 배출기구의 구조는 미국특허 제4,149,641호에 기술된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그 배출기구는 상기 미국특허 제4,149,641호에 기술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작동된다.
전방 픽커(12)는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철회위치로 부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레이스 채널과 일치되는 내측 위치로 왕복동하는데 적합하게된 수용기(13)를 구비하고 있다. 그 수용기(13)는 캐리어(38)상에서 왕복동하는데 적합하게된 브라켓트(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 브라켓트(37)은 작동기 스터드(stud)(39)(제2도)를 가지고 있고, 그 작동기 스터드(39)는 내측으로의 이동시 핀(40)에 결합하여 그 핀을 눌러 레버(41)를 제2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레버의 두갈래진 꼬리부분(27)은 그러한 회동시 플런저(36)를 철회시켜 최하측 부품을 배출하도록 작용하며, 그 최하측 부품은 자신의 중력에 의해 하측의 수용기(13)내로 낙하한다(제7도 참조). 이때 레버(41)의 플랩(flap)이 그립퍼(29)들은 작동시켜 채널내 다음번 부품을 낙하하지 못하게 보유하게 한다. 후방 픽커(14)는 스터드(42)를 가지고 있고, 그 스터드(42) 역시, 후방 픽커가 내측으로 이동할때 레버(41)의 아암(43)과 결합하여 그 레버(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부품을 후방 픽커의 수용기(15)내로 배출시킨다. 부품이 픽커의 수용기(13) 또는 (15)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낙하할때 광원 및 검출 포토셀(73A)(제3도)이 그러한 낙하를 감지하여 제어장치(8)에 신호를 보내고, 그리하여 그 수용기를 철회시키고 셔틀(72)쪽으로의 픽커의 이동을 시작하게 한다.
도시된 장치의 전후방 픽커(12) 및 (14)는 제어장치(8)의 제어하에 선택된 메가진 채널들과 셔틀(72)사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된다. 전방 픽커의 캐리어(38)는 가이드(45)상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분할 슬리이브 베어링(44)을 가지고 있고, 그 가이드(45)는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판(46)에 의해 지탱되어 있다. 그 캐리어(38)는 그의 부가적인 안내를 위해, 판(46)에 설치된 안내통로(48)내에서 주행하는 로울(47)을 가지고 있다. 톱니벨트(49)의 하부부분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8)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고 그 톱니벨트의 상부부분은 개방부(53)을 통하여 자유롭게 통과한다. 그 벨트는 장치의 일단에서는 폴리(55)(제4도)위를 통과하고 장치의 타단에서는 제어장치(8)의 제어하에 가역 모우터(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된다. 이점에서 픽커 구동은 이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되는 전술한 미국특허 제4,063,347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후방 픽커의 캐리어(50)는 전방 픽커의 캐리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가이드(5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톱니벨트(49)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톱니벨트(51)에 의해 구동된다.
도시된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제어장치(8)는 픽커들(12,14)이 가이드(45) 및 (52)를 따라 7개의 메가진들중 하나의 선택된 레이스 채널(16)로 이동하게 하여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회로판에 부착될 특정 부품을 선택하게 한다. 그러한 이동중, 픽커의 수용기, 예를 들면 전방픽커(12)의 수용기(13)가 제3도,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회된다. 이러한 철회된 위치에서, 양 픽커들의 수용기(13) 및 (15)는 그 수용기들중 적어도 하나가 철회된 위치에 있는 동안 가이드(45) 및 (52)를 따라서 픽커들의 이동을 방해함이 없이 통과할 수 있다. 수용기(13)를 그의 철회된 위치로 부터 선택된 메가진 채널과 일치되는 전진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브라켓트(37)가 캐리어(38)의 안내통로(54)(제2도)내에서 왕복동하도록 설치된다.
그 브라켓트(37)에 부착되고 캐리어(38)의 하측에 배치된 판(56)은 일단에 러그(lug)(58)를 가지고 있고, 그 러그(58)는 채널 부재(60)의 내벽(59)내에 배치된다. 그 채널 부재(60)는 또한 2개의 변형 가능한 봉(62)에 결합하는데 적합하게 된 또다른 직립벽(61)을 가지고 있다. 이 장치는 그의 전방을 따라 연장하는 2개의 채널 부재(60)를 구비하고 있고, 그 채널 부재들 각각의 양단부에 러그(64)(제2도)를 가지고 있으며, 그 러그(64)로 부터 봉(65)이 연장하여 있다. 각 러그(65)은 베어링(66) 내에 왕복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러그(64)는 실린더(68)로 부터 연장하는 피스톤 로드(67)에 연결되어 있다. 그 실린더(68)는 일단에서 장치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제1도 참조).
채널 부재(60)의 양단부에서 실린더들(68)을 동시에 작동시킴에 의해, 그 채널 부재는 내측으로 이동되어 판(56), 수용기(13) 및 브라켓트(37)를 선택된 메가진 레이스 채널 쪽으로 이동시킨다. 제5도-제8도에, 전방 픽커(12)의 작동 순서가 도시되어 있고, 이때 수용기(13)는 선택된 메가진 레이스 채널과 일치하도록 이동되고 클램프(clamp)(69)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회된다. 그러한 운동시, 메가진의 배출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트(37)상의 스터드(39)에 의해 작동되어 플린저(36)를 철회시켜 최하측 부품(C)이 그 자신의 중력에 의해 메가진으로 부터 수용기(13) 내 게이트(gate)(74)상으로 낙하되게 한다. 그때 다음번의 부품은 미국특허 제4,149,641호에 상세히 기술된 방식으로 핑거들에 의해 보유된다. 실린더(68)를 역전시키면 수용기(13)는 채널 부재의 벽(61)이 리미트 스위치(70)(제2도)를 작동시킬 때까지 철회되고 벨트작동 모우터는 전방 픽커의 톱니벨트(49)와 전방 픽커의 수용기(13)를 셔틀(72)과 정렬되게 메가진들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다시 실린더(68)가 제어장치(8)의 제어하에 작동되어, 픽커의 수용기를 셔틀(72)과 일치될 때까지 다시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한 운동중, 클램프(69)는 잡았던 부품을 놓고 게이트(74)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회되어 그 부품이 중력에 의해 셔틀 용기(76)내로 낙하하게 한다. 광원 및 검출 포토셀(73B)(제3도)이 픽커로 부터 셔틀 내로 부품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한다.
후방 픽커(14)는 후방 픽커가 메가진의 반대측 측부에서 주행하고 레버(43)에 대하여 직접 작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방 픽커와 약간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를 위해, 수용기(15)가 브라켓트(80)에 부착된 판(78)(제2도, 제10도-제14도)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브라켓트(80)는 전방 픽커의 브라켓트(37)를 위한 안내통로(54)와 유사한 캐리어(50)상의 안내통로(도시안됨)내에 설치되어 있다. 판(78)은 러그(82)와 변형 가능한 봉(79)들을 가지고 있고, 그 봉들은 채널부재(83)은 벽들사이에 수용된다. 그 채널부재(83)는 전방 픽커를 위한 채널부재(60)와 유사하고 그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 및 작동된다. 본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후방 픽커의 수용기(15)는 선택된 메가진 채널과 일치되도록 이동된다. 그러한 이동시, 후방 픽커의 브라켓트(80)상의 스터드(42)(제2도)는 레버(41)을 회동시켜 플런저(36)를 철회시킴으로써, 최하측 부품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기(15)내로 낙하하게 한다. 또한 그러한 운동중, 클램프(84)는, 제10도-제13도에 도시된 후방픽커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들에 나타내어진 각종 부품들의 위치들을 비교함에 의해 상세히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부품의 낙하 통로에서 벗어나 이동된다. 이때 수용기(15)하측의 게이트(85)가 부품을 지지한다. 그후, 후방 픽커는 메가진으로 부터 그 메가진에 평행히 이동되어 셔틀용기(76)와 정렬되어 일치되고 게이트(85)는 전방 픽커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장치(8)의 제어하에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회되어 부품이 그 셔틀용기내로 낙하한다. 후방 픽커로부터 셔틀 내로 부품이 통과하는 것을 광원 및 검출포토셀(73B)이 검출하여, 차기 작동을 위해 제어장치(8)에 신호를 보낸다.
셔틀(72)(제2도,제3도 및 제15도)은, 메가진 채널로 부터 선택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기(13) 및 (15)들 중 하나로 부터 배출된 어떤 크기의 부품을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용기(76)를 가지고 있다. 수용위치에서 셔틀은 픽커들 중 하나로 부터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2도에 도시된 중앙 위치에 있게 된다.'
그 용기(76)하측의 게이트(90)는 픽커로 부터 부품이 처음 수용된 때 그 부품이 그 용기를 통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광원 및 검출 포토셀(73B)이 셔틀 내로의 부품의 통과를 검출하고 제어장치(8)를 통해 셔틀이 그의 수용위치로 부터 도선 조절장치(18)의 개방부와 일치된 배출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그 셔틀(72)은 브라켓트(96)에 고정된 봉(94)상에 왕복동하도록 설치된 캐리어(92)(제15도)를 가지고 있다. 브라켓트(96)는 장치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그 봉(94)상의 하나의 정지부재(98)가 셔틀의 부품 수용위치를 결정하고 또 하나의 정지부재(100)는 도선 조절장치(18)와 일치되도록 셔틀을 위치결정시킨다. 캐리어(92)에 있는 로울(99)은 캐리어의 또 다른 지지를 위해 안내통로 내에서 주행한다. 봉(102)은 핀-슬로트 연결부(104)에 의해 제한되는 만큼 축방향 운동가능하게 캐리어(92)의 구멍내에 설치되고, 캐리어(92) 내 압축 스프링(107)에 접하여 있다. 그 봉(102)의 타단은 브라켓트(96)에 부착된 실린더(108)로 부터 연장하는 피스톤 로드(106)에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92)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드(111)로 부터 연장하는 클램프(110)는 제15 및 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 배치되어 픽커로 부터 셔틀용기내로 부품(C)이 들어갈 수 있게 한다. 부품이 셔틀내로 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광원 및 검출 포토셀(73B)로부터 발생되면 실린더(108)는 셔틀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제16도-제17도에서, 봉(102)의 초기 운동시 스프링(107)이 셔틀을 그의 초기 위치에 보유한채 슬라이드(111)가 제17도에 도시된 위치로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볼 수 있다.(제16도 및 제17도 비교참조). 슬라이드(111)의 그러한 운동에 의해 클램프(110)가 스프링(112)에 의해 셔틀 용기내 부품(C)을 핀-슬로트 연결부(104)의 제한 점까지 압박하게 된다(제17도 참조).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이 계속 이동할때, 브라켓트(96)에 지지된 정지부재(113)가 슬라이드(114)(그에 게이트(90)가 설치됨)를 유지시킨채 셔틀은 정지부재(100)와 결합하도록 우측으로 계속 이동한다(제18도 및 제19도 비교참조). 그리하여 게이트(90)의 개방부(115)(제3도)가 셔틀용기(76)의 저부의 개방부(77)와 일치된다. 셔틀의 캐리어(92) 및 셔틀용기(76)의 계속적인 이동중, 클램프(110) 및 게이트(90)는 이동하지 못하게 유지되어 부품이 셔틀(72)로 부터 도선 조절장치(19)의 개방부를 통해 게이트(117)(제2도 및 제3도)상으로 낙하되게 한다. 이때 광원 및 검출 포토셀(116)이 도선 조절장치(18)내로의 부품의 통과를 검출한다.
제2도에 도시된 도선 조절장치(18)는 후속 작동에서 회로판의 구멍들내에서 부품이 잘못 배치되거나 잘못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부품을 도선들을 직선화시키거나 성형한다. 도선의 그러한 직선화 또는 성형후, 그 부품의 배출되고, 활강로(20)의 상단에 피봇된 게이트(117)가 실린더(160)의 작용에 의해 작동되어 그 부품이 활강로(20)내로 낙하된다. 광원 및 검출 포토셀(200)이 정지부재(26) 및 이송 맨드렐(22)에 부품이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그때 광원 및 검출 포토셀(200)은 제어장치(8)에 신호를 보내어 드러스터(24)가 부품을 정지부재(26)를 지나 이동시켜 또다른 정지부재(26)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그 후자의 정지부재(26)는 홈들이 파여진 1쌍의 핑거(28)들에 결합할 수 있게 부품 도선들을 위치 결정시킨다. 그 핑거들은 부품의 도선들에 대해 폐쇄되어 부품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도선들을 회로판(B)의 구멍들 내에 삽입하도록 한다. 도선 절단-구부림 장치(32)가 도선의 끝을 절단하고 회로판(B)의 하측면에 대해 그 도선을 구부려 붙인다. 대표적인 도선 조절장치(18) 및 이송 밴드렐(22)이 상기한 미국특허 제4,063,347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 도선 조절장치는 부품들에 대하여 도선 직선화 작동외의 작동을 이행하는 유니트로 대치될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도선 절단-구부림 장치(32)가 미국특허 출원 제271,835호(미국특허 번호 제4,450,619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대표적인 핑거(28)가 미국특허 제3,550,238호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 장치의 세부적인 구조 및 작동의 설명이 요구되는 경우 그 특허 명세서들 내의 해당 설명이 참고로 여기에 인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선택된 메가진(10)과 도선 조절장치(18)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로 이동 가능한 픽커 기구를 가지고 메가진들(10)로 부터 개별적으로 선택된 전자부품들(C)을 회로판(B)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커 기구는 메가진들이 배치되는 통로의 양측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픽커들(12,14)을 포함하고, 각 픽커는 소정의 메가진(10)으로 부터 선택된 상기 부품을 받아들이기 위해 철회된 위치와 전진된 위치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수용기(13,15)를 가지고 있으며, 그 픽커들(12,14)은 상기 수용기들(13,15)중 적어도 하나가 철회된 위치에 있을때 도선 조절장치(18)와 메가진(10) 사이에서 서로 방해없이 통과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메가진(10)은 상기 통로의 내외로 이동하는 상기 수용기들중 하나에 의해 그 통로의 양측으로 부터 작동 가능한 배출기구(29,36)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레이스 채널(16)을 가지는,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각 부품을 상기 픽커의 양 수용기(13,15)로 부터 받아들이고, 그 부품을 도선 조절장치(18)로 인도한 후 복귀하여 상기 픽커들중 어느 하나로 부터 다른 부품을 수용하도록 이동 가능한 셔틀(72)이 설치되는,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픽커들(12,14)이 메가진의 통로의 양측부에서 그 통로에 평행히 가이드들(45,5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가진의 통로가 상기 셔틀(72)의 이동로에 교차되는 직선상에서 연장하여 있는,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KR8202566A 1981-06-09 1982-06-08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KR880001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271,836 US4387506A (en) 1981-06-09 1981-06-09 Component inserting machine
US271836 1994-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049A KR840001049A (ko) 1984-03-26
KR880001802B1 true KR880001802B1 (ko) 1988-09-17

Family

ID=2303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566A KR880001802B1 (ko) 1981-06-09 1982-06-08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387506A (ko)
JP (1) JPS5840891A (ko)
KR (1) KR880001802B1 (ko)
BE (1) BE893463A (ko)
CA (1) CA1184670A (ko)
DE (1) DE3221808A1 (ko)
FR (1) FR2507428B1 (ko)
GB (1) GB2101013B (ko)
IT (1) IT1151610B (ko)
MX (1) MX152358A (ko)
NL (1) NL8202323A (ko)
SE (1) SE4479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8427A (en) * 1983-12-27 1987-10-20 Usm Corporation Placement head for micro-component assembly machine
JPS60189291A (ja) * 1984-03-09 1985-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部品の自動插入装置
US4910859A (en) * 1984-04-06 1990-03-27 Holcomb Gregory W Circuit assembly system
GB2162448B (en) * 1984-06-07 1988-01-06 Tdk Corp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ttedly mounting special-type chips on substrate
CA1250371A (en) * 1985-02-25 1989-02-21 Hisashi Fujita Inclined feed apparatus for inserting electronic components
DE59202101D1 (de) * 1991-01-28 1995-06-14 Siemens Ag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Leiterplatten.
DE59202991D1 (de) * 1991-01-28 1995-08-31 Siemens Ag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Leiterplatten.
JPH0549491U (ja) * 1991-12-09 1993-06-29 清 為我井 自動車間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JPH0678081U (ja) * 1993-04-20 1994-11-01 憲昭 沖本 ドライバーメッセージ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車両
US5777886A (en) * 1994-07-14 1998-07-07 Semiconductor Technologies & Instruments, Inc. Programmable lead conditioner
SE505133C2 (sv) 1994-10-12 1997-06-30 Mydata Automation Ab Plockhuvud för komponentmonteringsmaskin
KR101709135B1 (ko) 2015-11-02 2017-02-22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샘플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238A (en) * 1968-03-28 1970-12-29 Usm Corp Multi-lead component inserter
US3591040A (en) * 1969-02-14 1971-07-06 Usm Corp Mechanism for sequentially supplying component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ources
US3727284A (en) * 1971-11-03 1973-04-17 Universal Instruments Corp Apparatus for selecting and inserting dual in-line components
US4063347A (en) * 1976-10-01 1977-12-20 Usm Corporation Machine for inserting multi-lead components sequentially
US4149641A (en) * 1977-04-22 1979-04-17 Usm Corporation Component feed mechanism
US4327483A (en) * 1979-06-07 1982-05-04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Apparatus for selecting, transporting, and inserting single in-line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40891A (ja) 1983-03-09
DE3221808C2 (ko) 1993-09-02
KR840001049A (ko) 1984-03-26
MX152358A (es) 1985-07-02
DE3221808A1 (de) 1982-12-30
BE893463A (fr) 1982-10-01
SE8203511L (sv) 1982-12-10
NL8202323A (nl) 1983-01-03
GB2101013A (en) 1983-01-12
IT8221780A0 (it) 1982-06-09
FR2507428B1 (fr) 1986-04-18
SE447951B (sv) 1986-12-22
FR2507428A1 (fr) 1982-12-10
IT1151610B (it) 1986-12-24
US4387506A (en) 1983-06-14
JPH0213839B2 (ko) 1990-04-05
CA1184670A (en) 1985-03-26
GB2101013B (en) 198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802B1 (ko)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US4063347A (en) Machine for inserting multi-lead components sequentially
US3687172A (en) Lead straightener and method
US4293998A (en) Automatic apparatus for inserting electric components
US3727284A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d inserting dual in-line components
US4551893A (en) Wire processing apparatus
KR880001821B1 (ko) 회로판에의 전자부품 부착장치
US4612700A (en) Component insertion apparatus
US4615089A (en) Machine for inserting multi-lead components
US4670977A (en) Inserter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s
EP0498394B1 (en)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from tube magazines
US6053301A (en) Apparatus for feeding connectors to a harness-making system
EP0415293B1 (en) Apparatus for storing slide fastener sliders
CA1233433A (en) Wire sorting
US5246328A (en)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from tube magazines
CA1182988A (en) Electronic component insertion machine
US4434913A (en) Cyclical mechanical dispensing mechanism
JPS6334047A (ja) 部品供給装置
CA1089637A (en) Machine for inserting multi-lead components sequentially
JPH0214236Y2 (ko)
JPH0717667A (ja) 給糸体の交換装置
JPS6163095A (ja) 異形電子部品の自動插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