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60Y1 -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 Google Patents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60Y1
KR880001760Y1 KR2019830008200U KR830008200U KR880001760Y1 KR 880001760 Y1 KR880001760 Y1 KR 880001760Y1 KR 2019830008200 U KR2019830008200 U KR 2019830008200U KR 830008200 U KR830008200 U KR 830008200U KR 880001760 Y1 KR880001760 Y1 KR 880001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button
wall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542U (ko
Inventor
황병환
Original Assignee
황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환 filed Critical 황병환
Priority to KR201983000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760Y1/ko
Publication of KR850002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03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제한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 지지체의 내부를 보인 중앙부를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 지지체의 내부 안내홈을 예시한 전개도.
제6(a)도 제6(b)도 제6(c)도 제6(d)도 제6(e)도는 본 고안 작동상태를 예시한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 2 : 지지체
3 : 수직안내홈 3' : 경사안내홈
4 : 버튼 4' : 압압봉
5 : 스프링 6 : 피니언
7 : 기어 8 : 축
8' : 보울트 9, 10 : 렉
9', 10' : 안내공 11, 11' : 사각너트
14 : 안내판 14' : 치홈
15 : 스탬프A: 수납함.
본 고안은 고무인이나 인장등을 수납하는 수납함의 내부에 스탬프나 혹은 인주등을 내장하여 버튼 하나로서 스탬프를 사용할 때는 수납함으로부터 스탬프를 인출하고 사용후에는 수납함 내부로 스탬프를 몰입할 수 있도록된 스탬프의 자동 출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직장의 사무실에서는 회사의 명판이나 결재인등 고무인이나 인장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후 고무인이나 인장등을 보관하는 수납함을 필요로 하며 또한 별도의 스탬프나 인주등의 분리 보관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을 점유하게 되며 별도의 수납함이 없을 경우에는 사용한 후에 고문인이나 인장에 남아 있는 잉크나 인주등이 주위환경을 불결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수납함과 스탬프나 인주등의 분리 보관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사용에 편리함을 얻고저 수납함의 내부에 피니언(pinion)을 중심으로 2개의 랙(rack)을 대향 설치하여 누름버튼의 승강에 따라 랙을 회동시켜 이에 연동되는 피니언 및 기어(gear)의 작동으로 스탬프나 인주등을 수납함의 내부로부터 인출 및 몰입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납함(A) 일측벽(1) 상부에 원통형의 지지체(2)가 벽(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체(2)의 내면에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수직 안내홈(3)과 경사 안내홈(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지지체(2)의 상부에는 하단부의 편심위치에 압압봉(4')이 형성되며 하부의 양측면 소정된 위치에 안내돌기(4'')가 돌설된 버튼(4)을 지지체(2)에 스프링(5)으로 탄설하되 버튼(4) 양측면의 안내돌기(4'')가 상기 지지체(2) 내면의 수직안내홈(3)과 결합되어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버튼(4)이 하강시에는 수직안내홈(3)을 따라 직선으로 하강하며 스프링(5)의 힘으로 상승할 때는 경사안내홈(3')을 따라 상승함으로서 버튼이 180도 회전되어 하강, 상승의 1동작에 버튼이 180도씩 회전하도록 지지체(2)에 내삽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2) 하부의 소정된 위치에는 피니언(6) 및 기어(7)가 축(8)으로 연결되어 벽(1) 및 격벽(1')의 하부에 천설된 축공(1'')에 축설되어 있으며 격벽(1')의 내부로 연장된 축(8)에는 후술하는 수탬프(15)를 수납함(A) 내부로 몰입시 스탬프뚜껑(15')을 닫을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보울트(8')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피니언(6)을 중심으로 안내공(9')(10')이 형성된 2개의 랙(9)(10)을 대향 결합하되 벽(1)에 고착된 사각너트(11)(11')에 안내공(9')(10')을 결합하여 사각너트(11)(11')를 중심으로 랙(9)(10)이 상, 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와셔(12) 및 보울트(13)를 사용하여 유착되게 하였으며 또한 상기 양 랙(9)(10)은 상하동작이 서로 엇갈려서 작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두고 피니언(6)과 결함되어 있다.
그리고 벽(1)의 하단 양측에는 수납함(A)의 후면까지 연장된 안내홈(1a)을 형성하여 그 홈(1a)에 스탬프(15)가 고착된 안내판(14)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안내판(14)의 일측상면에는 전기한 기어(7)와 교합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의 치홈(14')을 형성하여 치홈(14')과 기어(7)가 교합되어 있고, 이 기어(7)의 회전방향에 따라 안내판(14)이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탬프(15)에는 스탬프 자체의 축에 비틀림 코일스프링(15a)을 설치하여 스탬프(15)를 수납함(A)외부로 인출시 스프링(15a)의 탄성으로 뚜껑(15')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스탬프(15)를 수납함(A) 내부로 몰입시에는 전기한 피니언(6)과 연동되는 축(8)의 일단에 고착된 보울트(8')로 인하여 축(8)의 회전과 함께 보울트(8')도 회전하면서 뚜껑(15')을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6)는 스탬프(15)를 안내판(14)에 고착하기 위한 보울트이고 (17)는 버튼(4)이 벽(1) 상부로 이탈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6(a)도는 스탬프 안내판(14)이 수납함(A)의 내부로 몰입되고 있고 따라서 버튼(4)이 상승하여 있는 상태로 도시하였다. 제6(a)도와 같은 상태에서 스탬프(15)를 수납함(A)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자할 때는 제6(b)도의 화살표(가)의 방향으로 버튼(4)를 누르게되면 버튼(4)의 양측면에 돌설된 안내돌기(4'')는 지지체(2) 내면 벽에 형성된 수직안내홈(3)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버튼(4) 하부에 버튼(4)과 일체로 형성된 압압봉(4')이 하강하면서 랙(9)을 압압하여 랙(9)이 하강하게 되면 이 랙(9)의 하강에 따라 피니언(6)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축(8)으로 연동된 기어(7)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기어(7)가 회전하게 되면 안내판(14)일측에 형성된 홈(14')이 기어(7)와 교합되어 있으므로 안내판(14)이 화살표 (나)의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따라서 이 안내판(14)에 고착된 스탬프(15)도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스탬프(15)는 전술한 바와같은 비틀림 코일스프링(15a)의 작용으로 뚜껑(15')의 후단부가 수납함(A)밖으로 인출되는 순간 뚜껑(15')은 자동으로 열려 스탬프(15)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4)을 놓게되면 제6(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랙(9)(10), 피니언(6), 안내판(14)은 제6(b)도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프링(5)의 탄성으로 버튼(4)만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버튼(4)이 상승할 때는 버튼(4) 하부의 양측면 소정된 위치에 돌설된 안내돌기(4'')는 지지체(2) 내면의 경사안내홈(3')을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버튼(4)은 화살표(다)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되어 이에따라 버튼(4) 단부의 편심위치에 형성된 압압봉(4')도 180도 회전하여 제6(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 랙(10)을 압압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스탬프(15)를 수납함(A) 내부로 몰입시키고자할 때는 제6(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버튼(4)을 화살표(라)의 방향으로 누르게되면 버튼(4)에 형성된 안내돌기(4'')는 제6(b)도와 같이 지지체(2) 내부의 수직안내홈(3)을 따라 하강하면서 압압봉(4')은 랙(10)을 압압하여 하강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피니언(6)은 제6(b)도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 피니언(6)에 축(8)으로 연결된 기어(7)역시 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에 연동된 안내판(14) 역시 화살표(마)의 방향으로 후진하게되므로 이 안내판(14)에 고착된 스탬프(15) 역시 후진하면서 수납함(A) 내부로 몰입되는 것이다. 이때 스탬프(15)의 뚜껑(15')은 수납함(A) 내부로 몰입됨과 동시에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납함(A)의 격벽(1') 내부로 연장된 피니언(6) 및 기어(7)를 연결하는 축(8)의 소정된 위치에 돌출 고착된 보울트(8')가 피니언(6)과 같이 회전하면서 뚜껑(15')을 압압하여 닫게 되므로 스탬프(15)를 사용 후 스탬프(15) 잉크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은 고무인이나 인장등을 보관하는 수납함의 내부에 스탬프를 내장하여 버튼하나로서 스탬프를 인출 혹은 몰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극히 편리할뿐만 아니라 스탬프를 고무인이나 인장등과 분리 보관함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축(8)으로 연결된 피니언(6) 및 기어(7)를 벽(1) 및 수직격벽(1')의 하부에 형성된 축공(1'')에 축설하고, 격벽(1) 내부로 연장된 축(8)의 소정된 위치에는 보울트(8')를 고착하며, 상기 피니언(6)을 중심으로 안내홈(9')(10')이 형성된 랙(9)(10)을 대향 설치하되 벽(1)에 고착된 사각너트(11)(11')에 안내공(9')(10')을 결합하여 상, 하로 랙(9)(10)이 움직일 수 있도록 보울트(13) 및 와샤(12)로 유착하며 양랙(9)(10)의 상부에는 내면에 수직안내홈(3) 및 경사안내홈(3')이 형성된 원통형 지지체(2)를 벽(1)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지지체(2)의 상부에는 하단의 편심위치에 압압봉(4')이 형성된 버튼(4)을 스프링(5)으로 탄설하였으며 벽(1)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안내홈(1a)과 일측 상면에 치홈(14')이 형성되며 스탬프(15)가 고착된 안내판(14)을 결합하되 치홈(14')을 상기한 기어(7)와 교합하여서된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KR2019830008200U 1983-09-22 1983-09-22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KR880001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200U KR880001760Y1 (ko) 1983-09-22 1983-09-22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200U KR880001760Y1 (ko) 1983-09-22 1983-09-22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42U KR850002542U (ko) 1985-05-22
KR880001760Y1 true KR880001760Y1 (ko) 1988-05-11

Family

ID=1923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8200U KR880001760Y1 (ko) 1983-09-22 1983-09-22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7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21B1 (ko) * 2013-04-19 2014-11-26 유용석 도장 인주 찌꺼기 제거장치
WO2021221469A1 (ko) * 2020-04-29 2021-11-04 Ji Eun Ju 소화기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알림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21B1 (ko) * 2013-04-19 2014-11-26 유용석 도장 인주 찌꺼기 제거장치
WO2021221469A1 (ko) * 2020-04-29 2021-11-04 Ji Eun Ju 소화기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알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42U (ko) 198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30373T2 (de) Messstreifenspenderanordnung
DE3701404A1 (de) Vorrichtung zur zugabe von pulverfoermigen reinigungsmitteln und fluessigen klarspuelern bei waschmaschinen, insbesondere bei geschirrspuelmaschinen
DE4429662A1 (de) Behälter
DE2401486B2 (de) Anzeigegerät
KR880001760Y1 (ko) 스탬프 자동 출몰장치
CH654545A5 (de) Gebinde fuer zweikomponentensysteme.
DE60123084T2 (de) Flexibler Behälter zum Gebrauch in einem Flüssigkeisspender
DE20002290U1 (de) Ascher für Fahrzeuge o.dgl.
DE4300998A1 (de) Vorrichtung mit einem Abfallbehälter, einem Deckel dafür und einem Deckel-Öffnungsmechanismus für Haushalts- und Sanitärzwecke
DE3535330A1 (de) Vorrichtung zum feuchten von papierbahnen
US4811842A (en) Case for storing spare leads
DE7004221U (de) Einteilig geformter verschliessbarer karton.
DE3512477C2 (de) Gehäuse für eine Compact Disc
US5826506A (en) Structure of a stamp
EP0143145A2 (de) Regal zur Aufnahme von Lackdosen
DE2528951C3 (de) VerschluBdeckel für den Dosenkasten einer Unterflurgerätedose
DE19544773C1 (de) Sauggerät
DE20011147U1 (de) Blumentopf mit automatischer Wasserversorgung und Wassermangelanzeige
JPH0310884Y2 (ko)
DE2635023C3 (de) Vorrichtung zum Anzeigen des pH-Wertes von Aquariumwasser
EP0074933A2 (en) Table sponge with adjustable moistness
AT40048B (de) Meßgefäß.
DE7729405U1 (de) Etui fuer elektrische Kleingeraete
DE57004C (de) Münzenbehälter
KR960005062Y1 (ko) 차량의 엔진오일 게이지의 오일닦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