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615B1 - 수성액상 염료조성물, 그의 제조법 및 그의 염색법 - Google Patents

수성액상 염료조성물, 그의 제조법 및 그의 염색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615B1
KR880001615B1 KR1019810005077A KR810005077A KR880001615B1 KR 880001615 B1 KR880001615 B1 KR 880001615B1 KR 1019810005077 A KR1019810005077 A KR 1019810005077A KR 810005077 A KR810005077 A KR 810005077A KR 880001615 B1 KR880001615 B1 KR 88000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dye
weight
sodium
potas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52A (ko
Inventor
나오끼 하라다
사다하루 아베따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히지가따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히지가따 다께시 filed Critical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8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reactiv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72Preparations with anionic dyes or reactive dyes
    • C09B67/0073Preparations of acid or reactive dyes in liquid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00Bleaching and dyeing; fluid treatm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textiles and fibers
    • Y10S8/916Natural fiber dyeing
    • Y10S8/918Cellulose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성액상 염료조성물, 그의 제조법 및 그의 염색법
본 발명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반응성 염료의 수성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즈 섬유물을 염색하는데 사용이 되어온 β-술페이토 에틸술폰, 모노클로로트리아진, 모노플루오로트리아진, 디클로로퀴녹살린, 디클로로트리아진, 디플루오로피리미딘, 디플루오로클로로피리미딘 및 트리클로로피리미딘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제136314/75호에 기재된 이유 때문에 수성염료 조성물로 제형된다. 또한, 근래의 석유 자원의 현저한 감소 및 석유가의 인상에 의해, 염색 업계에서도 에너지 절약이 해결해야할 가장 심각한 문제로 고려되고 있다. 또한, 셀룰로오즈 섬유를 반응성 염료로 염색하는데 있어서도, 열에너지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일욕 패드 배치법(one-bathpad-batch methed)의 사용이 상당히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분말염료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경우, 분말염료를 더운 물에 용해 시킨 다음 염료액을 실온으로 냉각 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및 조작면에 있어 매우 비합리적이다. 따라서, 분말염료의 그와 같은 결점을 보완키 위하여, 반응성 염료의 수성액상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액상 염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장기간 보존에 의해 또는 비교적 고온에서 쉽게 분해가 되어, 조성물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보존후의 액상 염료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색에 사용하는 경우, 조제 직후의 액상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염색물이 생산된다.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136314/75호에는 술폰산 및 반응기를 갖는 염료 5~35중량% 및 완충제 1~5중량%를 함유하고, pH가 3~7인 반응성 염료의 수성액상 조성물이 발표되고 있다. 이 방법으로 보존 안정성이 어느 정도 개량된 수성액상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으나, 알칼리 액과 혼합한 후 2~3분에 침전물이 생기므로, 셀룰로오즈 섬유에 대해 염료를 균일하게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발색 수율도 극히 낮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 보존 또는 비교적 고온에 대하여 좀더 안정하고, 셀룰로오즈 섬유를 공지의 어느 염색법에 의해서도 짙게 염색할 수 있는 반응성 염료의 수성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계속한 결과, 수성반응 염료액에 환원방지제를 혼합함으로써 장기간 보존 또는 비교적 고온에서의 조성물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증진됨을 발견해 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5~35중량%의 반응성 염료, 0.05~30중량%의 환원방지제 및 물을 함유하는 수성액상 염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하기에 좀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응성 염료에는, β- 술페이토에틸술폰, 모노클로로트리아진, 모노플루오로트리아진, 디클로로퀴녹살린, 디클로로트리아진, 디플루오로피리미딘, 디플루오로클로로피리미딘 또는 트리클로로피리미딘기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반응기와 같은 반응기를 갖는, 모노아조 염료 및 디아조, 트리아조와 같은 폴리아조 염료와, 같거나 다를 수 있는 상기 반응기를 복수로 갖는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10188/63호에 기재한 반응성 염료가 포함된다. 반응성 염료의 예로는 C. I. 반응성 옐로우 2, C. I. 반응성 옐로우 14, C. I. 반응성 오렌지 16, C. I. 반응성 레드, 22, C. I. 반응성 블루 43, C. I. 반응성 블루 100, C. I. 반응성 브라운 21, C. I. 반응성 블랙 5등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하기식의 유리산으로 나타내는 C. I. 반응성 블랙 5가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1
이들 반응성 염료는 각각 따로 또는 2개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수성 액상 염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반응성 염료의 최소한 1종을 5~35중량%의 양으로 물에 용해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환원 방지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보통 메타-니트로벤젠술폰산 나트륨 또는 칼륨, 아질산 나트륨 또는 칼륨, 염소산 나트륨 또는 칼륨, 과염소산 나트륨 또는 칼륨, 과탄산나트륨 또는 칼륨등을 각각 따로 또는 2개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소한 이들 환원 방지제 중의 1종을 상기 수성 염료액에 0.05~30중량% 만큼 혼합할 수 있다.
혼합되는 방지제의 양은 메타-니트로벤젠술폰산나트륨 같이 약한 효과를 가지는 것은 5~30중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아질산나트륨 및 염소산나트륨 같은 강한 효과의 것은 0.05~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응성 염료의 수성 액상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좀더 개선키 위해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칼륨, 옥살산나트륨 또는 칼륨, 인산의 산성나트륨 또는 산성칼륨, 인산의 각종 나트륨 또는 칼륨염, 이들의 혼합물 또는 붕산나트륨 같은 완충제를 조성물에 혼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수성 염료 조성물은 실온에서 수개월간, 예를 들어 12개월간 또는 60℃의 분위기 중에서 수 주간, 예를 들어 4주간 보존한 후에도 제조 직후와 같은 칼러 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색조의 변화가 없는 염색물 및 날염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액상 염료조성물의 제조법 및 반응성 염료의 보존방법에는 제한이 전혀 없다.
공업적으로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염료 및 환원방지제 같은 기타 물질을 각각 물에 용해시킨 다음, 수용액을 서로 혼합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로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C. I. 반응성 블랙 5를 20중량% 함유하고 pH가 6.0인 선명한 염료 수용액의 200중량부에, 메타니트로벤젠술폰산나트륨 30중량부를 가하여, 염료 함량이 17.4 중량%이고 pH가 6.3인 수성 액상 염료조성물을 수득한다.
염료조성물 2부씩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침염 배드(dip dyeing bath), 패딩(padding) 배드 및 날염풀(printing paste)로서 면의 염색 및 날염을 종래의 방법대로 수행하여, 흑색 또는 회색조로 염색 또는 날염된 제품을 각각 수득한다.
상기에서 수득한 염료조성물을 밀폐용기에 각각 담아, 실온에서 12개월간 또는 60℃에서 4주일간 보관한 후, 이들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날염을 수행한다. 결과로서, 상기와 동일한 칼러 농도 및 색조의 제품이 수득된다.
[실시예 2]
C. I. 반응성 블랙 5를 20중량% 함유하고, pH가 6.0인 선명한 염료 수용액의 200중량부에, 아세트산나트륨 1중량부 및 아질산나트륨 0.5중량부를 가하여, 염료 함량이 19.9중량%이고 pH가 6.3인 수성 액상 염료조성물을 수득한다.
염료조성물 2부을 각각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침염배드, 패딩배드 및 날염풀로서 면의 염색 및 날염을 종래의 방법대로 수행하여, 흑색 또는 회색조로 염색 또는 날염된 각각의 제품을 수득한다.
상기에서 수득한 염료조성물을 실온에서 12개월간 또는 60℃에서 4주간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한 후 이들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날염을 수행한다.
결과로서, 상기와 같은 칼러 농도 및 색조의 제품이 수득된다.
[실시예 3]
C. I. 반응성 레드 22를 15중량% 함유하고 pH가 5.6인 선명한 염료수용액 200중량부에, 0.5중량부의 염소산나트륨을 가하여, 염료 함량이 14.9중량%이고 pH가 5.8인 수성 액상 염료 조성물을 수득한다.
염료 조성물을 각2부씩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침염배드, 패딩배드 및 날염풀로서 면의 염색 및 날염을 종래의 방법과 같이 수행하여, 적색조로 염색 또는 날염된 각각의 제품을 수득한다.
상기의 염료조성물을 실온에서 12개월간 또는 60℃에서 4주간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한 후, 이들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날염을 수행한다.
결과로서, 상기와 같은 칼러농도 및 색조의 제품이 각각 수득된다.
[실시예 4]
C. I. 반응성 옐로우 14를 15중량% 함유하고, pH가 5.4인 선명한 염료수용액 200중량부에, 메타니트로벤젠술폰산나트륨 15중량부 및 아질산나트륨 0.2중량부를 가하여, 염료 함량이 13.9중량%이고 pH가 6.0인 수성액상 염료조성물을 수득한다.
염료조성물을 각 2부씩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침염배드, 패딩배드 및 날염풀로서 면의 염색 및 날염은 종래의 방법대로 수행하여, 각각 황색조로 염색 또는 날염된 제품을 수득한다.
상기에서 수득한 염료조성물을 실온에서 12개월간 또는 60℃에서 4주간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한 후, 이들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날염을 수행한다.
결과로서, 상기와 같은 칼러농도 및 색조의 제품이 수득된다.
[비교예 1]
C. I. 반응성 블랙 5를 20중량% 함유하고 pH가 6.0인 선명한 염료수용액 2중량부을 사용하여, 침염배드, 패딩배드 및 날염풀을 통상의 방법대로 제조한다. 면의 염색 및 날염을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하여, 흑색 또는 회색조로 염색 또는 날염된 제품을 각각 수득한다.
한편, 상기에서 제조한 수성 액상 조성물을 밀폐용기에 담아 실온에서 12개월간 또는 60℃에서 4주간 보관한 다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염색 및 날염에 사용한다. 수득된 염색제품 및 날염제품은 발색수율의 현저한 저하를 나타내었고, 이들의 색은 눈에 띄게 갈색으로 변색되었다.
[비교예 2]
C. I. 반응성 블랙 5를 20중량% 함유하고 pH가 6.0인 선명한 염료수용액에 5부의 아세트산나트륨을 가하여, 염료함량이 19.5중량%이고, pH가 6.0인 수성 액상 염료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용액 2중량부를 사용하여, 침염배드, 패딩배드 및 날염풀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종래의 방법대로 면을 염색 및 날염하여, 흑색 또는 회색조로 염색 및 날염된 제품을 수득한다.
한편, 상기에서 제조한 액상조성물을 밀폐용기에 담아서 실온에서 12개월간 또는 60℃에서 4주간 보관한 다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날염 하는데 사용한다. 수득된 염색 제품 및 날염제품은 발색수율의 현저한 저하를 나타내었고, 이들의 색은 갈색으로 변색되었다.

Claims (8)

  1. 5~35중량%의 반응성 염료, 0.05~30중량%의 환원방지제 및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액상 염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성 염료는 C. I. 반응성 옐로우2, C. I. 반응성 옐로우 14, C. I. 반응성 오렌지 16, C. I. 반응성 레드 22, C. I. 반응성 블루 43, C. I. 반응성 블루 100, C. I. 반응성 브라운 21 및 C. I. 반응성 블랙 5로부터 적어도 1종이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성 염료는 C. I. 반응성 블랙 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환원방지제는 m-니트로벤젠술폰산나트륨 또는 칼륨, 아질산나틀륨 또는 칼륨, 염소산나트륨 또는 칼륨, 과염소산나트륨 또는 칼륨 및 과탄산나트륨 또는 칼륨 중에서 적어도 1종이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옥살산나트륨, 옥살산칼륨, 인산산성나트륨, 인산산성칼륨, 인산의 나트륨염, 인산의 칼륨염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붕산나트륨 같은 완충제로 구성된 군에서 택한 화합물도 하나를 또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반응성 염료를 물에 용해시켜서 5~35중량%의 수용액을 만들고, 0.05~30중량%의 환원방지제를 이 수용액에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수성액상 염료조성물의 제조방법.
  7. 반응성 염료를 물에 용해시켜서 5~35중량%의 수용액을 만들고, 0.05~30중량%의 환원방지제를 이 수용액에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염료의 보존법.
  8. 5~35중량%의 반응성 염료의 수용액 및 0.05~30중량%의 환원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성액상 염료조성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즈 섬유물의 염색방법.
KR1019810005077A 1980-12-22 1981-12-22 수성액상 염료조성물, 그의 제조법 및 그의 염색법 KR880001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2408 1980-12-22
JP182408/80 1980-12-22
JP55182408A JPS57105459A (en) 1980-12-22 1980-12-22 Liquid composition of reactive dy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52A KR830007952A (ko) 1983-11-09
KR880001615B1 true KR880001615B1 (ko) 1988-08-25

Family

ID=1611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077A KR880001615B1 (ko) 1980-12-22 1981-12-22 수성액상 염료조성물, 그의 제조법 및 그의 염색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439205A (ko)
EP (1) EP0057789B1 (ko)
JP (1) JPS57105459A (ko)
KR (1) KR880001615B1 (ko)
DE (1) DE3169892D1 (ko)
PT (1) PT741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6808A (zh) * 2011-10-28 2012-06-27 浙江瑞华化工有限公司 一种活性黑染料的合成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8583A (en) * 1983-02-22 1984-05-15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Stable aqueous liquid composition of reactive dyes containing β-sulfatoethylsulfonyl groups
JP2517220B2 (ja) * 1985-07-17 1996-07-24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液状反応染料組成物
GB9514386D0 (en) * 1995-07-13 1995-09-13 Zeneca Ltd Stabilised dye composition
CN1426441A (zh) 2000-04-20 2003-06-25 宝洁公司 硫化染料保护体系和组合物和使用它们的方法
JP4931862B2 (ja) * 2008-06-04 2012-05-16 中国電力株式会社 除塵機におけるシャーピン取替後の再起動方法
CN114907703B (zh) * 2022-05-30 2023-11-07 浙江亿得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少染料在储存过程中损失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01246A (ko) * 1960-03-11
DE1152381B (de) * 1961-03-15 1963-08-08 Basf Ag Verfahren zum Bedrucken von Textilgut mit Kuepen- und/oder Schwefelfarbstoffen und mit Reaktivfarbstoffen
CH1371667A4 (de) * 1966-10-12 1970-08-31 Mitsubishi Chem Ind Reaktivfarbstoffhaltige Klotz- oder Färbeflotte bzw. Druckpaste für Textilmaterialien
DE2003363A1 (de) * 1969-01-30 1970-08-06 Ciba Geigy Verfahren zum Faerben und Bedrucken von Textilien mit Kuepen- und Reaktivfarbstoffen
GB1506207A (en) * 1974-04-09 1978-04-05 Hoechst Ag Liquid preparations of reactive dyestuffs
IN143734B (ko) * 1974-04-09 1978-01-21 Hoechst Ag
US4149850A (en) * 1974-04-09 1979-04-17 Hoechst Aktiengesellschaft Liquid preparations of reactive dyestuffs
AR207270A1 (es) * 1974-11-20 1976-09-22 Hoechst Ag Preparaciones liquidas acuosas de colorantes procedentes de colorantes reactivos que son 1-(4"-sulfofenil)-3-metil-5-pirazol-5-ona-4-il-azo-(2'-metoxi-5'metil-(4"-sulfofenil)-3-metil-5-pira-4'-(beta-sulfatoetil))-benceno y 1-zol-5-ona-4-il-azo-(2',5'-dimetoxi-4'-(beta-sulfatoetil))-benc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6808A (zh) * 2011-10-28 2012-06-27 浙江瑞华化工有限公司 一种活性黑染料的合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57789A1 (en) 1982-08-18
US4439205A (en) 1984-03-27
JPS6261624B2 (ko) 1987-12-22
PT74159A (en) 1982-01-01
DE3169892D1 (en) 1985-05-15
JPS57105459A (en) 1982-06-30
EP0057789B1 (en) 1985-04-10
PT74159B (en) 1983-05-18
KR830007952A (ko) 198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7586B1 (en) Aqueous liquid dye composition
KR880001615B1 (ko) 수성액상 염료조성물, 그의 제조법 및 그의 염색법
US4264323A (en) Aqueous concentrates of cold-dyeing fibre reactive dyes
US2745788A (en) Dyeing with quinones or hydroquinones and borohydrides and compositions therefor
US3288552A (en) Ice color composition
DE3029699C2 (ko)
JPS595150B2 (ja) ハンノウセイセンリヨウノエキジヨウセンリヨウチヨウセイブツ
US4088441A (en) Dyestuff composition for the dyeing or printing of cellulose fiber materials
KR930010511B1 (ko) 수성 액체 반응성 염료조성물
US4120648A (en) Dye preparation
CH616953A5 (ko)
DE2854517A1 (de) Azo reaktivfarbstoffverbindungen
US2939759A (en) Dyeing polyacrylonitrile fibers with the aid of cuprous complexes
SU730902A1 (ru) Препарат дл крашени целлюло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S63256659A (ja) 繊維反応性アゾ染料のリチウム塩の製法
EP0059876A1 (de) Verfahren zum Kolorieren von Mischmaterialien aus Polyester- und Keratinfasern
DE3835724A1 (de) Faserreaktive metallisierte monoazoverbindungen
JPH0354141B2 (ko)
EP0422237A1 (en) Liquid composition and method of dyeing therewith
US1329117A (en) Production of black upon vegetable textile fibers, silk fibers, or mixtures of the same
US2683646A (en) High-temperature vat dyeing baths using manganese compounds
US2803516A (en) High temperature vat dyeing process using magnesium compounds in the dye bath and compositions therefor
KR910008343B1 (ko) 반응성 흑색염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753239A (en) Process for fixing dyestuffs
JP2590498B2 (ja) 反応染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繊維材料の染色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