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536Y1 - 개폐기 - Google Patents
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1536Y1 KR880001536Y1 KR2019830009413U KR830009413U KR880001536Y1 KR 880001536 Y1 KR880001536 Y1 KR 880001536Y1 KR 2019830009413 U KR2019830009413 U KR 2019830009413U KR 830009413 U KR830009413 U KR 830009413U KR 880001536 Y1 KR880001536 Y1 KR 8800015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c plate
- metal arc
- arc
- fixed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개폐기의 부분 단면도.
제2도은 종래개폐기의 접점 구성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관한 개폐기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기의 요부 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기의 소호동작 설명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제2의 금속 소호판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소호 동작 설명도.
제8도는 제3도의 소호실의 전체 설명도.
제9도는 소호실의 변형예를 표시한 일부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소호동작 설명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호실 전체구성도.
제12도는 제 11도의 소호실의 부분적으로 변형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1도 실시예의 소호동작설명도.
제14도는 제11도 실시예에 의한 소호실의 요부 확대도.
제15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호실의 요부 확대도.
제16도는 제 15도 실시예에 의한 부분 변형예의 사시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소호실에서 아크 이동상태의 요부확대도.
제19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소호판의 사시도.
제20도는 제 19도의 실시예에 의한 소호동작 설명도.
제21도, 제22도, 제23도 및 제24도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소호판의 사시도.
제25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소호판의 사시도.
제26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소호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설치대 2 : 고정철심
3 : 가동철심 4 : 조작코일
5 : 크로스바 6 : 가동접촉자
8 : 고정접촉자 12 : 아크
13 : 제1금속소호판 14 : 제2금속소호판
본 고안은 전류를 개폐하는 개폐기의 소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적용하는 주된 개폐기로서는 전자접촉기나 배선용 차단기를 예로 들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제1도에 따라서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설치대, 2는 설치대상에 규소강판으로 적층된 고정철심, 3은 고정철심(2)에 대향하게 설치된 규소강판으로 적층된 가동철심, 4는 가동철심(3)과 고정철심(2)를 트립스프링(도시없음)에 대항하여 흡착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조작코일, 5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4각창구가 있는 크로스바로서, 이 하단에는 가동철심(3)를 지지하고 있다.
6은 상기 크로스바(5)의 4각창구에 삽입되어압축스프림(7)에 의하여 압압지지되어있는 가동접촉자, 6A는 가동접촉자(6)에 설치된가동접점, 8은 가동접촉자(6)과 대향 설치되어 전류를 도통시키는 고정접촉자, 8A는 고정접촉자(8)에 설치된 고정접점, (8C)는 마찬가지로 고정접촉자(8)의 단자부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9는 전자접촉기 본체를 외부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나사, 10은 고정접촉자(8)을 설치하는 베이스, (11)은 전자접촉자 상면을 덮는 커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조작코일(4)을 소자(消磁)하면 도시 되어있지 않은 트립스프링에 의하여 가동철심(3)이 고정철심(2)에서 개리하고 크로스바(5)도 제1도에 표시한 상태가 되어 고정철심(8A)와 가동철심 (6A)가 개리하여 고정접점(8A)와 가동접점(6A)간에 아크(12)가 생기지만, 이 아크(12)는 전류영점에서 소호되어 전류가 차단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아크(12)는 가동접촉자(6)의 도통전류 I가 형성하는 자계에 의한 구동력 F2와, 고정접촉자(8)의 도통전류 I가 형성하는 자계에 의한 구동력 F1, 을 받게 되지만, 이들 F1과 F2의 크기가 대략 동일하며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아크(12)는 가동접점(6A)와 고정접점(8A)상에서 교착(膠着)하게 된다.
이와같이 아크(12)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는 양호한 차단성능을 얻지 못하고, 또한 아크의 뿌리가 접점밖으로 전이되지 않기 때문에 접점 소모가 많게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을 개선하고저, 아크의 신속한 전이에 의하여 소호를 촉진하는 소호기구를 제안하고, 이로인한 접점소모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차단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특징으로하는 점은 고정접촉자에 접합된 고정접점, 고정접점에 대향하고 가동접촉자에 접합하게 설치된 가동접점, ㄷ자형수직벽으로 되어 개방부를 고정접촉자 선단에 향하여서 상기 고정접점을 포위하여 설치된 제1의 금속소호판 및 제1의 금속소호판의 각 접점에서 먼측에 이에 병설된 제2의 금속소호판을 구비하고 이들제1및 제2의 금속소호판을 고정접촉자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데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ㄷ자형의 제1금속 소호판과 이와 병설한 제2의 금속소호판을 설치하여 이들을 가동접점에 대향시켜서 설정한 것에 의하여 차단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제3도-제5도에 따라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기는 제3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주로 소호기구만을 종래의 것과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4도에 그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도의 소호실내부에는 고정접점(8A)와 가동접점(6A)간에 생긴 아크(12)를 소호하기 위한 자성체로된 제1의 금속소호판(13)과 제2의 금속소호판(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의 금속소호판(13)은 고정접점(8A)를 둘러싸 세운 ㄷ자형틀로 구성되며, 또한 제2의 금속소호판(14)는 그외측에 단일판으로 동일하게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과 제2의 금속소호판(13)(14)은 고정접촉자(8)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며,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의 금속소호판(14)이 고정접촉자(8)에 대하여 형성하는 간극(d)는 제1의 금속소호판(13)에서의 간극(D)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의 금속소호판(13)은 각접점을 둘러싼 3면에 의하여 아크의 흡인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주변 절연물의 손상방지를 의식하고 구성하였으며, 예를들어 제9도의 것과 같이 방열효과등을 고려하여 ㄷ자형상을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조작코일(4)을 소자하면 도시되지 않은 트립스프링에 의하여 가동철심(3)이 고정철심(2)에서 개리하여, 크로스바(5)도 제3도에 도시한 상태가 되고 고정철점(8A)와 가동철심(6A)가 개리하여 고정접점(8A)와 가동접점(6A)사이에 아크(12)가 생기지만, 이 아크(12)는 금속소호판(13)(14)에 의하여 전류영점에서 소호되어 전류가 차단되게 된다.
아크(12)의 소호프로세스를, 소호실 단면을 도시한 제5도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상술하면 가동접점(6A)와 고정접점(8A)간에 생긴 아크(12)는 자성체의 제1금속소호판(13)에 흡인되어서 아크(12A)와 같이 신장된다.
이때 고정접촉자(8)은 제4도와 같이 단면이 ㄷ자형상을 구비하고 있어서, 고정접촉자(8)을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장에 의하여 아크(12)는 신속하게 흡인구동되어, 아크(12)가 더욱 신장된다.
이와같이 아크(12)가 시장되면 아크 전압이 높아지므로 고정접촉잠(8)와 제1금속소호판(13)의 사이, 제1금속 소호판(13)과 가동접점(6A)의 사이에서 각각 절연파괴가 생겨 아크(12A)는 2개의 아크(12B)(12C)로 분단된다. 분단된 한쪽의 아크(12C)는 제 2금속소호판(14)에 흡인되고, 또한 고정접촉자(8)을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장에 의하여 구동되어 아크(12D)와 같이 신장된다.
이 아크(12D)의 연신에 의하여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아크(12D)는 2개의 아크(12E)(12F)로 더욱 분단되어 아크(12)는 최종적으로 3개의 아크(12B)(12E)(12F)로 분단되어 전류영점에서 소호되어 전류가 차단되게 된다.
이와같이 상술한 개폐기에 의하면, 제1금속소호판(13)이 가동접점(6A)을 둘러싸고 세운 ㄷ자형틀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위벽 3면에 생기는 자계에 의하여 아크의 구동흡인이 촉진됨과 동시에 주위의 절연물에 대한 손상을 가급적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1과 제2의 급속소호판(13)(14)가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아크가 분단되어 소호능력을 보다 감화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제2금속소호판(14)와 고정접촉자(8)간의 간극(d)를 제1금속소호판(13)에 있어서의 간극(D)보다 작게 설정하여 두면, 아크의 제1금속소호판(13)에서의 교착을 방지할 수 있어 전술한 아크분단효과를 보다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도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금속소호판(14)의 하연을 아크 구동방향으로 구부려서 아크리이드부(14B)를 설치하도록 하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크(12F)가 아크리이드부(14B)에 따라 이행하기 때문에 아크(12F)의 일단이 일점에 정지되므로 인한 제2금속소호판(14)의 전계집중을 방생하기 어렵게 하고, 또한 열전도성이 양호한 평면부로된 아크 리이드부(14B)에서 소호가 이루어지는 결과, 소손(燒損)을 발생할 우려가 없는 우수한 차단 성능이 얻어진다.
상술한 개폐기에 있어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호되지만, 제1금속소호판(13)과 제2금속소호판(14)의 고정점촉자(8)에 대향하는 하연위치가 대략 동일한 수평면위치에 설정되면, 아크(12C)에 대한 제2금속소호판(14)의 흡인작용이 충분하지 않고 아크(12C)의 신장이 뜻대로 되지 않아 이 상태에서 교착하여 아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걸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에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금속소호판(13)은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는 하연단면(13A)이 개리위치에 있는 가동접점(6A)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위치에 설정되며, 또한 제2금속소호판(14)의 하연위치인 다면(14A)은 상기단면(13A)과 고정접촉자(8)의 사이의 간격의 1/2이하의 간격위치, 바람직하게는 이 간격이 1-2mm 정도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소호기구에 의하여 가동접점(6A)와 고정접점(8A)간에 발생한 아크(12)는 자성체로 된 제1금속 소호판(13)에 흡인되어 아크(12A)와 같이 연신된다.
이어서, 아크(12A)는 도시한 바와같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고정접촉자(8)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장에 의하여 구동되고, 아크(12A)의 고정접점(8A)측 뿌리는 고정접촉자(8)의 표면을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같이 제1금속소호판(13)의 단면(13A)는 개리위치의 가동접점(6A)표면에 대략 일치하고, 또한 제2금속소호판(14)의 단면(14A)는 고정접촉자(8)에서 상기 단면(13A)까지의 이격간격의 약 1/2이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아크(12A)의 하변의 뿌리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연신형성되는 아크(12G)의 만극호부(弧部)는 대략동시에 제1및 제2의 금속소호판(13)(14)에 접촉하게되어, 아크(12G)는 아크(12B)(12E)(12F)와 같이 3개로 분단되어 높은 아크 전압이 출현하며 전류영점에서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장치와 같이 제1의 금속소호판(13)의 단면에서 발생한 상기 아크(12C)(12D)와 같은 아크교착현상을 저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차단 작동은 매우 안정되어 우수하고 높은 차단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과 제2의 금속 소호판의 고정접촉자에 대한 이격위치를 특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서 차단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1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금속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는 하면 위치를 개리위치의 가동접촉자(6)의 선단과 고정접촉자(8)의 접점접항수에서 뻗은 아크런너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P)보다 상방위치에 설정함과 동시에 제2의 금속 소호판(14)의 하연위치를 상기 기상선(P)보다도 하방에 설정하여 각각 고정접촉자(8)에 대향시키고 있다.
또한 이 제1금속소호판(13)은 각 접점을 둘러싼 3면에 의하여 아크의 흡인력을 촉진시키과 동시에 주변절연물의 손상방지를 의식하고 구성하였으며, 예를 들어 제12도의 것과 같이 방열효과등을 고려하여 ㄷ자형상을 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아크의 소호푸로세스를 소호심단면이 도시된 제13도에 의하여 더욱 상술하면, 가동접점(6A)와 고정접점(8A)의 사이에 생긴 아크(12)는 자성체의 제1금속소호판(13)에 흡인되어 아크(12A)와 같이 연신된다.
이때, 고정접촉자(8)은 제14도와 같이 단면 ㄷ자 형태로 되어 있어서, 고정접촉자(8)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장에 의하여 아크(12)는 신속하게 흡인 구동되어, 이 아크(12)가 한측 연신된다.
이와같이 아크(12)가 연신되면, 아크전압이 높게 되므로 고정접촉자(8)와 제1금속소호판(13)간과 제1금속소호판(13)과 가동접점(6A)간에서 각각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아크(12A)는 2개의 아크(12B)(12C)로 분단된다. 분단된 한쪽의 아크(12B)(12C)는 제2금속 소호판(14)에 흡인되며, 또한 고정접촉자(8)을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장에 의하여 구동되어 아크(12D)와 같이 연신된다.
아크(12D)의 연신에 의하여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아크(12D)는 2개의 아크(12E)(12F)로 다시 분단되어, 아크(12)는 최종적으로 3개의 아크(12B)(12E)(12F)로 분단되어 전류 영점에서 소호되어 전류가 차단되게 된다.
이와같이 상숭한 개폐기에 의하면 제1금속소호판 (13)이 가동접점(6A)을 둘러싸고 세운 ㄷ자형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포위벽3면에 생긴자계에 의하여 아크의 구동 흡인이 촉진됨과 동시에 주위의 절연물 손상을 가급적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1과 제2의 급속소호판(13)(14)이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아크는 분단되어 소호능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더우기 전술한 바와같이 제1금속소호판(13)과 제2금속소호판(14)의 하연이 각각 상기가상선(P)의 상측 및 하측이 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금속소호판(13)의 하연에 있어서 아크가 교착되고 제2금속소호판(14)이 유효하게 기능을 발휘 못하는 사태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상술한 아크분단효과를 보다 촉진시킬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을 아크 구동방향으로 구브려서 아크리드부(14B)를 설치한 제2금속소호판(14)를 상용하여도 된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ㄷ자형의 제1금속소호판과 이것과 병설한 제2금속소호판을 설치하여 이들을 가동접점에 대향시켜 특정의 하연위치에 설정하므로서, 차단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에도 가동접점(6A)의 배면에 대향하는 차폐부(13B)를 형성하였다.
또한 제1금속소호판(13)은 예를 들어 제16도의 것과같이 방열효과등을 고려하여 그 ㄷ자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우기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금속소호판(14)가 고정접촉자(8)에 대하여 점유하는 간극(d)는 제1금속소호판(13)의 간극(D)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금속소호판(13)은 가동접점(6A)의 배면에 대향시켜서 차폐부(13B)가 있기 때문에 상방 즉 가동접점(6A) 배면부에있는 절연체 벽면의 아크가스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전술한 아크분단효과를 더운 유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금속소호판(14)의 하연을 아크구동방법으로 구부려서 아크 리드부(14B)를 설치하여도 된다.
제4도, 제5도에 도시한 개폐기에 있어서 고정접점(8A)상에 발생한 아크(12)주위에는 자성체의 제1금속소호판(13)의 존재에 의하여 제17의 파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자속이 생기기 때문에 아크(12)는 제17도의 F로 표시하는 힘을 받아 제1금속소호판의 우각부(13A)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1금속소호판(13)과 고정접촉자(8)의 간극이 작기 때문에 특히 소전류를 차단하는 경우에 아크(12C)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금속소호판(13)의 만곡우각부(13A) 근방과 고정접촉자(8) 사이에 교착하기 쉽고, 이 때문에 높은 전압의 회로를 차단할 경우에는 차단성능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별도의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금속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에 대향하는 만곡우각부(13A)에는 절결구(13B)를 형성하였고 이점이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상이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제1금속소호판(13)를 구비한 실시예에 대하여 아크(12)의 소호프로세스를 제20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가동접점(6A)와 고정접점(8A)간에 발생한 아크(12)는 자성체의 제1금속소호판(13)에 흡인되어 아크(12A)와 같이 연신되지만 이때 아크(12A)는 제1의 금속소호판(13)의 절결구(13B)의 가장깊은 곳에서 흡인되기 때문에 아크(12A)의 길이는 제5도의 경우보다 길게된다.
따라서 그 만큼 아크전압이 높게되므로 고정접촉자(8)과 제1금속소호판(13)의 사이, 제1금속소호판(13)과 가동접점(6A)간에서 제5도의 경우보다도 신속하게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아크(12A)는 2개의 아크(12B)(12C)로 분단된다. 분단된 한쪽의 아크(12C)는 제2금속소호판(14)에 흡인되고, 또한 고정접촉자(8)을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장에 의하여 구동되어 아크(12D)와 같이 제5도의 경우보다 길게 연신된다.
그러므로 이 아크(12D)의 보다 긴신장에 의하여 아크전압이 높아져서 아크(12D)는 2개의 아크(12E)(12F)로 분단되며, 따라서 아크(12)는 최종적으로 3개의 아크(12B)(12E)(12F)로 분단되어 이 아크(12F)는 제2의 금속소호판(14)의 아크리드부(14B)와 고정 접촉자사이에서 소호된다.
이와같이 소호동작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아크(12A)가 제1금속소호판(13)의 절결구(13B)의 구석까지 흡인되어 아크(12A)의 아크전압이 높아지므로 아크(12A)가 2개의 아크(12B)(12C)로 분단되기 쉽게 되고, 또한 제1금속소호판(13)의 아크교착이 생기기 쉬웠던 고정접촉차측만곡부(13A)의 우각부에 절결구(13B)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아크(12C)의 길이가 길게되어 그만큼 아크(12C)의 아크전압이 높아지게 되므로 아크(12C)를 신속하게 2개의 아크로 분단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제1금속소호판 상에서의 아크(12C)의 고착이 방지되어, 아크(12C)의 급속한 분단소호를 촉진시켜서 우수한 차단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절결홈(13B)의 위치, 형상은 제19도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의 금속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8)의 양측면(8B)의 연장선상(13A)에 쐐기형절결홈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아크가 제1금속 소호판(13)의 절결부의가장 오부까지 흡인되어, 아크의아크전압이 높아지므로 2개의아크로 부단되기 쉽고, 또한 절결부의 존재에 의하여 고정접촉자(8)과 제1금속소호판913)간의 아크 길이가 길어져서 아크전압이 높아지므로 다시 2개의 아크로 분단되기 쉽게된다.
즉 제1금속소호판(13)상에서의 아크의 교착이 방지되고 2개의 아크로 분단되므로 우수한 차단성능을 얻게 된다. 더우기 절결부의 형상은 쐐개형이 아니더라도 예를들면 제22도나 제23도와 같더라도 쐐기형상의경우와 같은 우수한 차단성능이 얻어진다.
제24도에서는 다시 별도의 절겨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금속소호판(13)의 하연 중앙부근에는 돌기(13B)(13B)가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측방에 홈부분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제1의 금속소호판(13)은 예를들어 제25도에서와 같이 방열효과등을 고려하여 ㄷ자형상을 선정할 수 있다. 더우기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금속소호판(14)이 고정접촉자(8)에 대하여 점유하는 간극(D)는 제1금속소호판(13)에서의 간극(D)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금속소호판(13)의 하연에 파상돌기(13B)가 돌설되어있음으로 파상돌기(13B)의 아크흡인작용에 의하여 아크를 중앙으로 끌어 당겨서 소호시켜 절연측별부의 열화방지 및 소호판 측부에서의 아크교착에 의한 소호능력의 저하를 방지하는데 소용되며 전술한 아크분단소호효과를 더욱 효율화 시킬수 있게 된다.
제26도에는 제2의 금속판(14)의 변형례가 도시되었다. 제2금속소호판(14)에는 고정접촉자를 가로자른 부분의 하부에 고정접촉자와 대향하여 그뻗은 방향으로 U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아크리드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크가 제2의 금속판(14)에 의하여2개의 아크로 분단될 때, U자형으로 형성된 아크리드부(14B) 존재에 의하여, 제2금속소호판(14)에 전계집중되는 일 없이 이 아크리드부(14B)의 U자형의 저부평면부에 있어서 신속하게 소호되게 된다.
더우기 상기 저부평면부는 여기서 반전상승하는 U자형 측면부분에서 효과적인 열방산이 되어 소손이 생길 염려가 없는 뛰어난 차단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들은 어느 것이나 고정접촉자(8)의 형상이 ㄷ자형으로 형성되었지만 ㄷ자형이 아니고 직선형의 것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접점을 마크네트에 의하여 개폐하는 개폐기, 즉 전자접촉기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서만 기술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다른 개폐기에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분명한 것이다.
Claims (12)
- 고정접촉자(8)에 접합된 고정접점(8A), 이 고정접점(8A)에 대향하고 가동접촉자(6)에 접합 설치된 가동접점(6A), ㄷ자형수직벽으로 구성되고 개방부를 고정접촉자(8)의 선단을 향하게 하여 상기 고정접점(8A)을 둘러싸게 세운 제1의 금속소호판(13)및 이 제1금속소호판(13)이 상기 각 접점에서 먼측에 병설된 제2금속소호판(14)을 구비하고, 이들의 제1및 제2금속 소호판(13)(14)을 상기 고정접촉자(8)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 제1항에 있어서, 제2금속소호판(14)과 고정접촉자(8)간의 간극을 제1금속 소호판(13)과 고정접촉자(8)간의 간극보다도 작게 한것을 특징으로 한 개폐기.
- 제2항에 있어서, 제2금속소호판(14)에는 고정접촉자와의 근접부분에 고정접촉자(8)가 뻗은 방향으로 굴곡 연설된 아크리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한 개폐기.
- 제3항에 있어서, 제2금속소호판(14)에는 고정접촉자(8)과의 근접 부분에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며, 그 연신방향으로 U자형으로 굴곡형성된 아크리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폐기.
- 제2항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는 하연 위치를 가동접점(6A)의 개리위치 근방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제2금속 소호판(14)의 하연위치와 고정접촉자(8)의 대향간격을, 제1금속소호판(13)의 하연과 고정접촉자(8)간의 이격간격의 약1/2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 제2항에 있어서, 제1금속 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는 하연위치를 개리위치의 가동접촉자(6) 선단과 고정접촉자(8)의 접점 접합부에 연설된 아크런너 선단과를 연결하는 가성선보다 상방위치에 설정함과 동시에 제2금속소호판의 하연위치를 상기 가상선보다 하방으로 설정하여 고정접촉자에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 제2항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는 하연에 절결홈(13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는 우각부에 절결홈(13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개폐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에서 고정접촉자(8)의 양측면의 연장선상에 절결부(13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한 개폐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의 하연중앙부에 돌기를 형성하므로서, 돌기 양측부에 절결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 제2항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의 고정접촉자(8)에 대향하는 하연에 파상돌기(13B)를 돌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개폐기.
- 제2항에 있어서, 제1금속소호판(13)에는 가동접점의 배면에 대향하는 차폐부(13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7-197061 | 1982-11-10 | ||
JP19705882A JPS5987715A (ja) | 1982-11-10 | 1982-11-10 | 開閉器 |
JP57-197058 | 1982-11-10 | ||
JP19706182A JPS5987717A (ja) | 1982-11-10 | 1982-11-10 | 開閉器 |
JP21227782A JPS59103221A (ja) | 1982-12-03 | 1982-12-03 | 開閉器 |
JP21228282A JPS59103229A (ja) | 1982-12-03 | 1982-12-03 | 開閉器 |
JP21227682A JPS59103220A (ja) | 1982-12-03 | 1982-12-03 | 開閉器 |
JP57-212272 | 1982-12-03 | ||
JP21227582A JPS59103219A (ja) | 1982-12-03 | 1982-12-03 | 開閉器 |
JP21228182A JPS59103224A (ja) | 1982-12-03 | 1982-12-03 | 開閉器 |
JP21227282A JPS59103217A (ja) | 1982-12-03 | 1982-12-03 | 開閉器 |
JP22954582A JPS59117018A (ja) | 1982-12-24 | 1982-12-24 | 電力開閉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6424U KR840006424U (ko) | 1984-12-03 |
KR880001536Y1 true KR880001536Y1 (ko) | 1988-04-21 |
Family
ID=2757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30009413U KR880001536Y1 (ko) | 1982-11-10 | 1983-11-05 | 개폐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642429A (ko) |
EP (1) | EP0124621B1 (ko) |
KR (1) | KR880001536Y1 (ko) |
DE (1) | DE3382440D1 (ko) |
WO (1) | WO19840020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9316898U1 (de) * | 1993-11-04 | 1994-01-05 | Siemens AG, 80333 München | Schalter mit Lichtbogenlöschanordnung |
FR2714520B1 (fr) * | 1993-12-24 | 1996-01-19 | Telemecanique | Appareil électrique interrupteur à contacts séparables. |
US6377143B1 (en) * | 2001-03-16 | 2002-04-23 | Eaton Corporation | Weld-free contact system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s |
WO2014073026A1 (ja) * | 2012-11-12 | 2014-05-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開閉器 |
WO2023020712A1 (en) * | 2021-08-17 | 2023-02-23 |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 Switch disconnector with an arc extinguishing shield plat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224177A (de) * | 1942-06-17 | 1942-11-15 | Gutekunst Adolf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riketts. |
NL156497C (ko) * | 1949-10-29 | |||
BE531199A (ko) * | 1954-01-22 | 1954-09-15 | ||
GB1121012A (en) * | 1966-05-04 | 1968-07-24 | M T E Control Gear Ltd | Improvements in arc plates or shields for electric contactors |
FR1543338A (fr) * | 1967-09-01 | 1968-10-25 | Telemecanique Electrique | Dispositif d'extinction d'arc |
US4258345A (en) * | 1979-01-29 | 1981-03-24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Circuit interrupter with magnetic arc stretcher |
DE2916276C2 (de) * | 1979-04-21 | 1986-04-03 |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 Schaltgerät |
JPS6348033Y2 (ko) * | 1979-05-18 | 1988-12-12 | ||
US4266210A (en) * | 1979-09-10 | 1981-05-05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arc extinguishing means |
US4319303A (en) * | 1980-10-02 | 1982-03-09 | Ford Motor Company | Inhibition of charge accumulation |
JPS5790517A (en) * | 1980-11-25 | 1982-06-05 | Babcock Hitachi Kk | Swirler with adjustable blade |
-
1983
- 1983-11-04 WO PCT/JP1983/000397 patent/WO1984002033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83-11-04 EP EP83903418A patent/EP012462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3-11-04 US US06/629,833 patent/US464242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3-11-04 DE DE8383903418T patent/DE3382440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3-11-05 KR KR2019830009413U patent/KR8800015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124621A4 (en) | 1987-02-03 |
DE3382440D1 (de) | 1991-11-28 |
EP0124621B1 (en) | 1991-10-23 |
WO1984002033A1 (en) | 1984-05-24 |
EP0124621A1 (en) | 1984-11-14 |
US4642429A (en) | 1987-02-10 |
KR840006424U (ko) | 1984-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80001536Y1 (ko) | 개폐기 | |
CN218788361U (zh) | 一种断路器 | |
JPS6282616A (ja) | 消弧装置 | |
JPH0381252B2 (ko) | ||
CN216624182U (zh) | 一种断路器 | |
JPH0521285B2 (ko) | ||
JP2562867B2 (ja) | 開閉器 | |
JPH0339363B2 (ko) | ||
JPH0339362B2 (ko) | ||
KR880003289Y1 (ko) | 개폐기 | |
JPS5987715A (ja) | 開閉器 | |
WO2020194704A1 (ja) | 接続変換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 |
JPH0586008B2 (ko) | ||
JPS5998419A (ja) | 電力開閉器 | |
JPS59121715A (ja) | 開閉器 | |
JPH0230129B2 (ja) | Denryokukaiheisochi | |
JPS63108622A (ja) | 開閉器 | |
JPS59103224A (ja) | 開閉器 | |
JPH0565965B2 (ko) | ||
JPH0472326B2 (ko) | ||
JPH0157449B2 (ko) | ||
JPS59103223A (ja) | 開閉器 | |
JPH027486B2 (ko) | ||
JPS59103220A (ja) | 開閉器 | |
JPH0510771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042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