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289Y1 - 개폐기 - Google Patents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289Y1
KR880003289Y1 KR2019830009364U KR830009364U KR880003289Y1 KR 880003289 Y1 KR880003289 Y1 KR 880003289Y1 KR 2019830009364 U KR2019830009364 U KR 2019830009364U KR 830009364 U KR830009364 U KR 830009364U KR 880003289 Y1 KR880003289 Y1 KR 880003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deflection plate
fixed contact
arc deflection
contac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22U (ko
Inventor
데이지로오 모리
유우이찌 와다
시즈다까 니시자꼬
히로아끼 다자와
시게루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폐기
제1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개폐기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소호실을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의 소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와 제6도는 제4도의 실시예의 소호동작을 나타낸 각 설명도.
제7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제6도와 마찬가지의 설명도.
제8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9도와 제10도는 제8도의 실시예의 소호동작을 나타낸 각 설명도.
제11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소호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실시예의 측면으로서 그 소호동작을 동시에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제1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아크도가스의 유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6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17a도 및 제17b도는 제1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아크드가스의 유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상기 실시예의 소호동작을 나타낸 각 설명도.
제20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21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22도 및 제23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개폐기에 있어서의 아크의 소호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24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25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의 사시도.
제26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아크편향판의 소호부의 형상을 설계하기 위해 행해진 전극 형상과 차단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27도 및 제28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개폐기의 아크의 소호거동을 나타낸 설명도.
본원 고안은 전류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기, 특히 그 소호(消狐)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 고안의 주된 적용 개폐기로서 전자접촉기나 배선용 차단기를 들 수 있다.
먼저 제1도에 의거하여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제1도의 전자접촉기는 좌우 대칭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부착대, (2)는 이 부착대상에 규소강판으로 적층된 고정철심, (3)은 고정철심(2)에 대향 설치되어 역시 규소 강판으로 적층된 가동 철심, (4)는 가동철심(3)과 고정철심(2)를 벗기는 스프링(도시생략)에 항거해서 흡착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조작코일, (5)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각창(角窓)을 갖는 크로스바로서, 그 하단에서는 가동철심(3)을 유지하고 있다. (6)은 상기 크로스바(5)의 각창에 삽입되어서 누르는 스프링(7)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가동접촉자, (6A)는 이 가동접촉자(6)에 설치된 가동접점, (8)은 상기 가동접촉자(6)와 대향해서 설치되며, 전류의 통전을 행하는 고정접촉자, (8A)는 이 고정접촉자(8)에 설치된 고정접접, (8C)는 역시 이 고정접촉자(8)의 단자부를 나타낸다.
그리고(9)는 전자접촉기 본체를 외부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나사, (10)은 고정접촉자(8)를 부착하는 베이스 기반, (11)은 전자접촉자 상면을 덮는 커버이며, 그 내부에는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사이에 생기는 아크(12)를 소호하기 위한 자성체의 금속제의 아크편향판을 설치하고 있으며, 제2도에 아크편향판(13)과 고정접촉자(8)및 고정접점(8A)의 부착생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아크편향판(13)은 고정접점(8A)을 덮고 세워 설치된 "ㄷ"자형 틀로서 구성되며, 거정접촉자(8)와의 근접부위에는 이것을 삽통시키는 노치끝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기때문에 이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조작코일(4)을 소자하면 도시생략의 벗기는 스프링에 의해 가동철심(3)이 고정철심(2)에서 떨어지며, 크로스바(5)도 제1도에 나타낸 상태를 점하고,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이 떨어져 고정접점(8A)과 가동정점(6A)과의 사이에 아크(12)가 생기지만, 이 아크(12)는 아크편향판(13)에 의해 편향되며, 다시 전류영점(零点)에 있어서 소호되어, 전류가 차단된다.
이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의 아크(12)의 소호프로세스를, 소호실단면을 나타낸 제3도에 의해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가동접점(6A)과 고정접점(8A)과의 사이에 새인 아크(12)는 자성체의 아크편향판(13)에 흡인되어서 신장(伸張)아크(12A)처럼 인장된다. 이 신장아크(12A)처럼 인장되면 아크전압이 높아지므로 고정접촉자(8)와 아크편향판(13)과의 사이 및 아크편향판(13)의 노치끝부(14)와 가동접점(6A)과의 사이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아크(12A)는 2개의 아크(12B)와(12C)로 분단되며, 전류영점에 있어서 2개의 아크(12B)와 (12C)가 소호된다. 이와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소호하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에서는 아크편향판(13)의 존재에 의해 아크의 신장이 제한되기 때문에 아크전압이 낮고, 따라서 고정접촉자(8)와 아크편향판(13)과의 사이 및 아크편향판(13)과 가동접점(6A)과의 사이에서 절연파괴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아크(12)가 2개의 아크(12B)와 (12C)로 분단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뛰어난 차단성능을 얻지 못할뿐만 아니라, 또한 아크편향판(13)에는 전계집중이 생겨 열전 도성에 뒤지는 그 노치끝부(14)에 아크(12C)가 발생하므로 이들이 더욱 차단성능을 열화시키는 주요원인을 형성하게 되어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자 개폐기의 차단성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개폐기는 고정접점수단과, 상기 고정접점수단에 대해 접촉하고, 또 그곳에서 떨어져 제1간극을 구획하는 왕복덩자재의 가동접점수단과, 상기 왕복동방향으로 전체가 평행으로 설치된 자성이 딸린 금속으로 이루어진 아크편향판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편향판은 고정접점수단의 근방 부위에서 굴곡하여 "U"자형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접점수단은 고정접촉자와 이 고정접촉자의 일단부 상에 접합된 고정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촉자는 전체가 상기 아크편향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크편향판과의 사이에 제2간극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제4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원 고안을 설명하면, 이 실시예의 개폐기는 고정접점(8A)과 그것에 대해서 왕복동하는 가동접점(6A)을 설치하여 떨어질 때에 제1간극을 구획하고, 상기 왕복동방향에 전체가 평행으로 설치된 자성체금속으로 이루어진 아크편향판(1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점(8A)은 고정접촉자(8)의 일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고정접촉자(8)는 전체가 상기 아크편향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크편향판(13)과의 사이에 제2간극을 구획하고 있으며, 자성체금속제의 아크편향판(13)의 구성을 제외하면 상기 종래예와 같으므로 아크편향판(13)에 대해서만 그 사시도를 제4도에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아크편향판(13)에는 그 고정접촉자(8)와의 근접부위에 설치된 노치끝부(14)에 설상(舌狀) 연장부를 굴곡시켜서 "U"자형 돌기부(13A1)가 제1간극에 대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점이 상기 종래의 것과 상이하다. 이 아크편향판(13)을 사용한 소호실의 종단면도가 제5도와 제6도에 표시되어 있지만, 동 도면에 의해 아크(12)가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의 사이, 즉 제1간극에 생기고 나서 소호되기까지의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의 사이에 생긴 아크(12)는 먼저 자성체금속의 아크편향판(13)에 흡인되어서 아크(12D)의 상태를 경유하고, 이어서 아크(12E)처럼 아크편향판(13)의 " U"자형 돌기부(13A1)에 따른 만곡 신장되며, 아크전압이 높아진다. 다시 계속해서 가동접점(6A)과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의 사이및 아크편향판(B)의 고정접촉자(8)와의 사이에서 절연파괴가 생기고,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2개의 아크(12F)와 (12G)로 분단된다. 이처럼 아크(12)가 둘로 분단되면 아크편향판(13)의 "U"장 돌기부(13A1) 돌기부에 전류가 흐르므로, 분단된 아크(12F)와 (12G)는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 의해서 더욱 구동되며, 제6도의 아크(12H)와 (12I)처럼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서 전류영점에 있어서 소호되고, 전류가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소호가 행해지기 때문에, 본원 고안이 적용된 전자접촉기에서는 아크(12)는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의 부위에서 분단되기 쉬우며, 분단된 다음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 의해서 아크편향판(13)상을 고속도로 구동되며, 이것을 신속하게 소호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때 제3도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처럼 아크편향판(13)의 전계접중이 생기지 않으며, 또 열전도성이 뒤지는 선단부에 아크가 발생하는 일도 없으므로 매우 뛰어난 차단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고안은 제7도처럼 상이한 형상을 갖는 고정접촉자(8)에 대해서도 똑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원 고안을 설명한다.
이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아크편향판(13)에는 그 고정접촉자(8)와의 근방부위에 설치된 노치끝부(14)에, 설상연장부를 굴곡시켜서 "U"자형의 돌기부(13A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지만, 그러나 이돌기부(13A1)의 상부에 가스유통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술한 것과 다르다. 이 아크편향판(13)을 사용한 소호실의 종단면도가 제9도와 제10도에 표시되어 있지만, 동 도면에 의해 아크(12)가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사이에 생기고 나서 소호되기까지의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고정접점(8A)와 가동접점(6A)사이에 생긴 아크(12)는 먼저 자성체의 아크편향판(13)에 흡인되어 아크(12D)의 상태를 경유하고, 이어서 아크(12E)처럼 금속소호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에 따라서 신장된다. 이때 아크전압이 높아지는 동시에, 전자나 전리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아크드가스가 가스유통 구멍(13B)내를 통과하므로, 이구멍(13B)근방에서 절연파괴가 생기고, 이직후 아크(12E)는 2개의 아크(12F)와 (12G)로 분단된다. 이처럼 아크(12)가 둘로 분단되면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에 전류가 흐르므로, 분단된 아크(12F)와 (12G)는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 의해서 더욱 구동되며, 제10도의 아크(12H)와 (12I)처럼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서 전류영점에 있어서 소호되고, 전류가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해서 소호가 행해지기 때문에, 본원고안이 적용된 전자접촉기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아크(12)는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의 윗쪽의 구멍(13B)근방에서 절연파괴를 발생시키고, 그 직후 아크가 둘로 분단되며, 또한 아크편항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 의해 아크편향판(13)상을 고속도로 구동되고, 이것을 신속하게 소호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때 제3도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처럼 아크편향판(13)상을 고속도로 구동되고, 이것을 신속하게 소호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때 제3도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처럼 아크편향판(13)의 전계집중이 생기지 않으며, 또 열전도성이 뒤지는 선단부에 아크가 발생하는 일도 없으므로 매우 뛰어난 차단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가스유통구멍(13B)의 존재에 의해, 이 구멍(13B)근방에서 절연파괴가 용이하게 생겨, 이것에 의해 아크시간이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제11도와 같은 상이한 형상을 갖는 고정접촉자(8)에 대해서도 똑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원 고안을 설명한다.
이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와 대략 같은 구성이며, 아크편향판(13)에는 그 고정접촉자(8)와의 근방 부위에 설치된 노치끝부(14)에 설상연장부를 굴곡시켜서 "U"자형의 돌기부(13A1)가 제1간극에 대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U"자형 돌기부(13A1)는 그것과 고정접촉자(8)와의 간격(d)즉 제2간극이 상기 가동접점(6A)의 개리간격(D) 즉 제1간극의 약 절반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폐기는 적용전압 660V 이하의 저압개폐기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며, 그 경우 D = 2 - 6 ㎜에 대해 a = 1 - 3 ㎜로 설정된다.
이처럼 "U"자형 돌기부(13A1)는 그것과 고정접촉자(8)와의 간격(d)이 상기 가동접점(6A)의 개리간격(D)의 거의 절반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충분한 아크전압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며, 신속한 아크이동에 의해 아크시간이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간격(d)을 간격(D)의 대략 절반으로 한 것은, 그 이하에서는 아크전압이 오르지 않으며, 또 그 이상에서는 접점간 아크가 아크편향판(13)으로 이동되기 어렵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14도 및 제15a도, 제15b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원 고안을 설명한다. 도면중 아크편향판(13)은 주요부(13A)와 그 양단에서 연장하는 날개부(13C)로 이루어진 채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거의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14도에 나타낸 것처럼 아크편향판(13)에는 그 고정접촉자(8)와의 근방부위에 설상연장부를 굴곡시켜서 "U"자형의 돌기부(13A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13A1)의 폭치수(13W2)는 금속소호판(13)의 양측면(13C)간의 폭치수(13W1)와 대략같게 형성되고, 돌기부(13A1)의 끝부와 소호판(13)의 측면(13C)와의 간극(15)을 극히 협소하게 구성하고 있는 점이 다른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이 금속소호판(13)을 사용한 소호실의 종단면도가 제15a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동 도면에 의해 아크(12)가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사이에 생기고 나서 소호되기까지의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사이에 생긴 아크(12)는 먼저 자성체의 아크편향판(13)에 흡인되어서 아크(12A)의 상태를 경유하고, 이어서 아크(12E)처럼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에 따라서 신장된다. 이때 아크전압이 높아지는 동시에, 전자나 전리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아크드가스(17)가 소호판(13)의 측면(13C)과 돌기부(13A1)의 끝부와의 간극(15)에서 뿜어 나오지만, 상기 간극(15)이 작기때문에, 이 아크드가스(17)는 커버(11)표면 부근에서 집중적으로 뿜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직후 아크(12B)는 두개의 아크로 분단된다. 이처럼 아크(12)가 둘로 분단되면,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에 전류가 흐르므로, 분단된 아크는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 의해 더욱 구동되며, 제7도의 아크(12H)와 (12I)처럼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서 전류영점에 있어서 소호되어 전류가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소호가 행해지기 때문에, 모터의 개폐를 반복하는 인칭 사용시에도 접점간에 발생한 아크(12)에 의한 아크드가스(17)가 커버(11) 표면 부근에 접중해서 뿜어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때문에, 커버(11)의 열열화가 원인인 외부상간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모터의 인칭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16도 내지 제19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원고안을 설명한다.
이 제16도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소호판 즉 아크편향판(13)에는 그 고정접촉자(8)와의 근방부위에 설치된 노치끝부(14)에 설상연장부를 굴곡시킨 "U"자형의 돌기부(13A1)이 설치되어 있고, 더구나 이 "U"자형 돌기부(13A1)의 폭(W2)을 아크편향판(13)의 배면인 주요부(13A)의 폭(W1)과 대략 같게 하고 있지만, 동시에 이 돌기부(13A1)상부에 가스유통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기 실시예의 것과 상이하다. 이 금속소호판(13)을 사용한 소호실이 제17a도 및 제17b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동 도면에 의해 아크(12)가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사이에 생기고 나서 소호되기까지의 프로세스를 제18도 및 제19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6A)사이에 생긴 아크(12)는 먼저 자성체의 아크편향판(13)에 흡인되어서 아크(12D)의 상태를 경유하고, 이어서 아크(12E)처럼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에 따라서 신장된다. 이때, 아크전압이9 아지는 동시에 전자나 전리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아크드가스가 가스유통구멍(13B)내를 통과하므로, 이구멍(13B)근방에서 절연파괴가 생기며, 이 직후 아크(12E)는 2개의 아크(12F)와 (12G)로 분단된다. 이처럼 아크(12)가 둘로 분단되면,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에 전류가 흐르므로, 분단된 아크(12F)와 (12G)는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 의해서 더욱 구동되며, 제19도의 아크(12H)와 (12I)처럼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서 전류영점에 있어서 소호되어 전류가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소호가 행해지기 때문에, 실시예가 적용된 전자접촉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12)는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 윗쪽의 구멍(13B)근방에서 절연파괴를 생기게 하여, 그 직후, 아크가 줄로 분단되며, 또한 아크편향판(13)의 "U"자형 돌기부(13A1)를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계에 의해서, 아크편향판(13)상을 고속도로 구동하며 이것을 신속하게 소호시킬 수 있다. 더구나 아크드가스 유통구멍(13B)의 존재에 의해, 이 구멍(13B) 근방에서의 절연파괴가 용이하게 생기므로 아크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U"자형 돌기부(13A1)의 폭(W2)이 아크편향판(13)의 배면(13A)의 폭(W1)과 대략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아크편향판(13)의 양 측면(13C), (13C)고의 간극이 작아져서, 이곳으로부터의 고온의 아크드가스의 유출현상이 대폭 억제되며, 커버(11)의 열열화에 기인하는 외부상간의 단락이 방지된다. 이와같은 것은 모터의 인칭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뜻한다.
다음에 제20도에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크편향판(13)의 주요부(13A)에 노치부(16)가 설치된다. 이 노치부(16)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요부(13A)의 중앙부이며 또한 고정접점측이 개구한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주요부(13A)에 노치부(16)를 설치함으로써, 접점간에 발생한 아크가 이 노치부(16)에 흡인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점의 개리시에 발생한 아크가 상기 노치부(16)에 흡인되는 결과, 아크의 아크편향판(13)에의 전류가 신속하게 행해지고 순식간에 상기 아크의 소호를 행할 수 있다. 이때문에 장치의 아크차단성능을 향상할 수 있게 되고, 예를 들면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500V급의 차단능력 밖에 가지고 있자 않았던 것이 본 실시예 장치에 의해 600V급의 차단능력을 얻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본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노치부(16)는 주요부(13A)의 양 측벽 끝에서 중앙위치에 설치되는 것과, 아크가 주요부(13A)의 중앙부에 접속된다. 이때문에 아크드가스의 대부분은 노치부(16)에서 방출되게 되며, 이것에 의해 베이스 기반(10)과 커버(11)의 측단간을 통과하는 아크가스의 세력이 약해져 상기 베이스기반(10)및 커버측 끝부의 아크가스에 의한 소모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1도 내지 제23도에 의거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전체의 구성은 제1의 실시예와 대략 같지만 아크편향판의 "U"자형 돌기부(13A1)의 하면은 그 폭이 앞쪽이 가늘게 된 형상의 설부(13A2)에 형성되어 있고, 이처럼 앞쪽이 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소호돌기 하면과 고정접촉자(8)와의 절연파괴, 즉 아크의 소호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U"자형 돌기부(13)의 설부(13A2)하면에는 보조소호돌기(13A3)가 설치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U"자형 돌기부(13)와 고정접촉자(8)간의 방전소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어 방전시에 있어서 보조소호돌기(13A3)가 방저소머에 대해서 보강적 효과를 갖는 결과, 아크편향판의 수명이 길도록 도모할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U"자형 돌기부(13A1)의 윗쪽위치에 가스유통구멍(13B)이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아크의 전류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즉, 아크의 발생에 수방해서 전자나 전리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아크드가스가 가스유통 구멍(13B)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 가스유통구멍(13B)의 근방위치에서 절연파괴가 생기기 쉬워지고 이때문에 가동접점(6A)과 아크편향판(13)의 절염파괴, 즉 아크의 전류를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아크드가스가 아크편향판(13)의 상기 가스유통구멍(13B)에서 집중 분출하기 때문에 커버(11)의 측면으로부터의 가스분출현상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 결과, 커버(11)의 측면 및 베이스 기반(10)의 측면 등이 가스에 의해 침식된다고 하는 종래장치에서 볼 수 있었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제24도에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고정접촉자(8)의 선단부가 "ㄷ"자형으로 굴곡형성되며, 아크편향판(13)과 고정접촉자(8)와의 아크의 전류를 "U"자 형 돌기부(13A1)의 하면과 고정접촉자(8)의 선단면으로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6A)에서 아크편향판(13)에의 아크의 전류거동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점간에 발생한 아크를 아크편향판(13)에 신속하게 전류시켜서 소호할 수 있다.
제25도에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며, 종래 장치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크편향판(13)의 주요부(13A)에 그 벽면을 외측으로 굴곡 형성하여 선체를 고정접촉자(8)와 협동해서 구획한 제2간극에 대향한 "U"자형 돌기부(13A1)가 형성되며, 이돌기부선단은 고정접촉자(8)과 제2간극부를 통해서 대향되어 있다.
"U"자형 돌기부(13A1)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접점(6A)에서 아크편향판으로 전류한 아크의 차단능력을 구하기 위한 예비실험을 하고, 이 실험결과 의거하여 구해지고 있다.
즉, 제26도에는 각종 전극형상과 이 전극형상에 대응하는 차단전류와의 실험결과가 나타나 있다. 이 실험은 형상이 다른 각 전극간에 휴즈를 접속해 주고, 이전극에 용단(溶斷)전류를 흐르게 하여, 휴즈를 용단하고, 휴즈의 용단과더불어 양 전극간에 발생하는 아크의 발생시에서 차단완료시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아크의 소호시간이 0.5초 이하일 경우의 차단최대전류를 구한 것이다.
이 실험결과에 의하면, 전극의 선단이 첨예화한 침상(針狀)의 것에 있어서는 차단할 수 있는 전류치가 작은데 대해, 양 전극의 선단형상을 곡면상으로 함으로써, 전류의 차단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전류차단 능력은 아크의 소호능력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 결과 아크편향판의 소호부를 곡면형상으로 함으로써 아크의 소호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아크편향판(13)에 전류한 아크 신속한 소호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험결과에 의거하여 그리드의 소호의 형상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접촉자(8)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이 고정접촉자(8)에서 소정간격 떨어져서 대향하는 아크편향판(13)의 돌기부(13A1)은 "U"자형의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실험결과에서 이해할 수 있듯이, 아크의 소호능력이 높아지고 이것에 의해 "U"자형 돌기부(13A1)에서 고정접촉자(8)에의 신속한 아크의 소호가 달성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13A1)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과, 이 돌기부(13A1)에서 고정접촉자(8)에 소호방전이 행해질 때에 이 돌기부(13A1)가 소모 손상된다고 하는 현상이 거의 없고, 이때문에 아크편향판(13)의 수명이 길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본원 고안에 의하면, 접점의 개리시에 발생하여 아크편향판에 전류한 아크를 이 아크편향판에서 고정접촉자에 신속하게 소호할 수 있다.
또 아크편향판에서 고정접촉자에의 소호방전시에 아크편향판의 소모손상이 거의 없고, 이 때문에 아크편향판의 수명이 길도록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의 아크편향판(13)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판(SUS 4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아크편향판은 철제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크열에 의해 이 철제금속판이 증발하여 아크가스로 되어서 외부로 방출되는 결과,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이 아크편향판이 침식되어서 소모 손상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SUS 430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판은 철제 아크편향판과 비교하면 융점에 대해서는 그다지 차이는 없지만 SUS 430은 철에 비해 매우 증발하기 어려우며, 이 때문에 아크열에 의한 아크편향판의 소모 손상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 장치에 의하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아크편향판의 소모 손상이 생기지 않으며, 이것에 의해 그 수명이 길도록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전류에 대해서도 아크편향판의 소모손상을 경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개폐기의 대용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 처럼 개폐기의 아크편향판을 폐라이트계 스테인레스판에 의해 형성했으므로 아크열에 의한 아크편향판의 소모손상이 거의 생기지 않으며, 이것에 의해 장치의 수명이 길도록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열에 의한 아크편향판에 소모손상이 거의 생기지 않는 결과, 개폐기의 대용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접점을 마그네트에 의해 개폐하는 개폐기, 즉 전자접촉기에 본원 고안을 적용했을 경우의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지만, 이것을 예를 들어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다른 개폐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2)

  1. 고정접점수단과, 상기 고정접점수단에 대해 접촉하며, 또 그곳으로부터 떨어져 제1간극을 구획하는 왕복동가능한 가동접점수단과, 상기 왕복동방향에 전체가 평행으로 설치된 자성체금속으로 이루어진 아크편향판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편향판은 고정접점수단의 근방부위에서 굴곡되어 "U"자형 돌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접점수단은 고정접촉자와 이 고정접촉자의 일단부분상에 접합된 고정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촉자는 전체가 상기 아크편향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크편향판과의 사이에 제2간극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돌기부가 제1간극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편향판은 그 "U"자형 돌기부의 근방에 가스유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편향판이 주요부와 그 양끝에서 연장되는 날개부로 이루어진 채널형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형판은 고정접점수단 및 가동접점수단을 둘러싸고, 상기 고정접촉자는 채널형판의 주요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U"자형 돌기부는 주요부에 형성되어 양 날개부간의 거리와 같은 폭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돌기부는 접점수단 개리시의 제1간극의 중간부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편향판은 그 "U"자형 돌기부의 근방에 가스유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돌기부는 앞쪽이 가늘게 된 자유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편향판은 그 "U"자형 돌기부의 근방에 가스유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편향판이 주요부와 그 양단에서 연장되는 날개부로 이루어진 채널형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형판은 고정접점수단 및 가동접점수단을 둘러싸고, 상기 고정접촉자는 채널형판의 주요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U"자형 돌기부는 주요부에 형성되어 고정접촉자에 대해 개구한 노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개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가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돌기부가 제2간극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편향판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KR2019830009364U 1982-11-10 1983-11-03 개폐기 KR88000328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97057A JPS5987714A (ja) 1982-11-10 1982-11-10 開閉器
JP58-197057 1982-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22U KR840006422U (ko) 1984-12-03
KR880003289Y1 true KR880003289Y1 (ko) 1988-09-24

Family

ID=1636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364U KR880003289Y1 (ko) 1982-11-10 1983-11-03 개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87714A (ko)
KR (1) KR8800032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4677B2 (ja) * 1989-08-31 1998-04-02 松下電工株式会社 接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22U (ko) 1984-12-03
JPS5987714A (ja) 198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1358C2 (ru) Дугогасительная камера и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оборудованный этой дугогасительной камерой
EP0117288B1 (en) Switch with arc-extinguishing means
KR880003289Y1 (ko) 개폐기
JPH0223963B2 (ko)
EP0054834A1 (en) Arc restrict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JPH0339362B2 (ko)
KR880000760Y1 (ko) 전력개폐장치
JP2562867B2 (ja) 開閉器
JPS58117613A (ja) 電力開閉装置
JPS59103223A (ja) 開閉器
JPH0230130B2 (ja) Denryokukaiheisochi
JPS58117612A (ja) 電力開閉装置
US3259723A (en) Electric switch head
JPH0586009B2 (ko)
JPH11353968A (ja) 開閉器
JPS63200423A (ja) 開閉器
JP2023128756A (ja) 回路遮断器
JPS59121715A (ja) 開閉器
JPH0124328B2 (ko)
JPH0129003B2 (ko)
JPS5987715A (ja) 開閉器
JPH0565965B2 (ko)
JPH0521285B2 (ko)
JPH0586008B2 (ko)
JPH03393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