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203B1 - 버 클 - Google Patents

버 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03B1
KR880001203B1 KR1019860011406A KR860011406A KR880001203B1 KR 880001203 B1 KR880001203 B1 KR 880001203B1 KR 1019860011406 A KR1019860011406 A KR 1019860011406A KR 860011406 A KR860011406 A KR 860011406A KR 880001203 B1 KR880001203 B1 KR 88000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cylinder
wall
piece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253A (ko
Inventor
고오이찌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88000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클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을 분리한 상태사시도.
제 2 도는 동 일부 절개사시도.
제 3 도는 동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버클(가)의 단면도.
제 5 도는 동 B-B선 단면도.
제 6 도는 동 저면도.
제 7 도는 동 C-C선 단면도.
제 8 도는 종래 버클의 일부 절개평면도.
제 9 도는 기타의 종래 버클의 일부 절개평면도.
제 10 도는 동 계합상태의 일부 절개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구멍 2 : 조작편
3 : 돌기 4 : 안내간
5 : 걸어맞춤링 6 : 간극
7 : 취부축간 8 : 돌조
9 : 창구멍 10 : 간
11 : 간극 12 : 틀
13 : 테이퍼부
본 발명은 한쌍으로 암수를 이루어 끼워넣거나 이완되도록 한 버클의 제공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숫형이 되는 버클에 후크등의 갈구리 상부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또 상호 걸림상태의 해방을 버클 서로의 당김방향으로 직방한 방향으로부터의 압압조작으로 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암수를 이룬 버클 상호의 끼워지는 결합을 주제로 한 버클류에는 여러가지 구조의 것이 있으며 거기에는 각각 일장일단이 있는 것이다. 그 전형적인 버클로서 끼워맞춘 숫부재의 해방기구를 암부재에 형성한 경우와 이러한 해방기구를 끼워맞추는 숫부재 자신에 형성한 경우등이 있다.
먼저 제8도에 도시되는 버클은 탄성 변형 가능한 1쌍의 판상계지편 (101) (101)의 선단양측부에 후크부(101a)(101a)를 형성한 숫부재와 잉 계지편 (101) (101)이 탄축되면서 들어가는 통부(102)를 가지며 또 이 통부(102)의 양측에 창구멍(103)이 뚫어져서 탄축된 암부재의 계지편(101)이 이 창구멍(103)에서 상기 후크부(101a)를 돌출시켜서 이 창구멍(103)의 가장자리(103a)가 후크부(101a)의 모서리를 걸리도록 하며 또 이 창구멍(103)의 측방에 조작머리부(104a)가 닿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조작편(104)을 상기 통부(102)의 외측에 형성한 암부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암부재에 끼워져서 걸리도록 되어 있는 숫부재는 상기 조작편(104)을 각각 내측으로 밀어 넣어 후크부(101)의 모서리부가 창구멍(103)의 가장자리(103a)에서 내측으로 밀어 넣으므로서 해방하게 된다.
이어서 제9도 및 제10도에 표시되는 버클은 안내간(111)의 양측방에 걸림편(112)(112)을 대향하여 형성하고 이 탄성변형 가능한 걸림편(112)의 외측에 후크부(112a)를 형성한 숫부재와 이들 걸림편(112)은 탄축되면서 밀어지는 통부(113)를 가지며 또 이 통부(113)의 양측에 창구멍(114)이 뚫어져서 상기 걸림편(112)의 후크부(112a)가 돌출됨과 동시에 이 창구멍(114)의 가장자리(114a)에 후크부(112a)의 모서리부가 걸리도록 한 암부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암부재에 끼워져서 걸리도록 되어 있는 숫부재는 이 숫부재의 걸림편(112)의 후크부(112a)가 암부재의 내측으로 눌러지므로서 이 후크부(112a)의 모서리는 창구멍(114)의 가장자리(114a)에서 벗어나 양자의 걸림이 해방되게 된다.
이러한 암수의 버클부재 상호의 끼워맞춤에 탄발 걸림을 내용으로 하는 버클에 있어서는 숫부재와 돌편상을 이룬 걸림편(101)(112)이 필수불가결로 되며 또 이 걸림편(101)(112)에는 후크부(101a)(112a)를 형성하므로 이 걸림편(101)(112)의 선단은 물품에 찔리거나 혹은 후크부(101a)(112a)가 물품에 걸리거나 하면 이들 물품을 훼손하거나 혹은 후크부(101a)(112a)의 걸림에 의한 버클 조작의 원활함을 저해함과 동시에 돌편상으로 되어 있어 쪼개지며 헛걸리는 사고를 유발하기 쉬운등의 불합리한 점이 있다. 또 걸려지고 있는 숫부재의 해방이 암부재의 창구멍(103)(114)의 가장자리(103a)(114a)에 암부재의 인장력으로 압접되고 있는 후크부(101a) (112a)를 강제적으로 내측에 밀어 넣으므로서 실행하는 관계상, 이 후크부(101a) (112a)를 밀어 넣는데는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상태의 해방은 암수의 후크 상호에 하중이 부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특히 곤란하여 왕왕 해방 불능의 사태를 유발하고 있다.
반면, 걸림상태의 해방을 보다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후크부(101a)(112a)의 모서리 돌출을 폭을 작게 하거나 혹은 모서리를 R지게 하는 경우 암수 버클을 걸리게 하는 힘이 극단으로 악화되는 경향을 갖고 있다. 또 제9도 및 제10도에서 표시된 종래의 버클에서는 벗기고저 하는 숫부재 자체의 후크부(112a)를 밀어 넣을 필요가 있고 암수 버클이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충분한 인장상태가 아닌 경우 등에서는 해방 조작이 곤란했었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은 이러한 종전 버클에 있어서의 불합리점을 감안하여 개량한 것으로서 적어도 숫부재를 구성하는 버클에 돌편상을 이룬 걸림편 내지는 고리부를 형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암수 버클의 해방을 버클 상호의 인장 압접부의 누름 동작도 하지 않고도 걸어맞춤 링의 부상 조작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은 암부재인 버클 (가)와 숫부재인 버클 (나)로 하고 버클 (가)는 상대향한 천벽(a) 및 저벽(b)과 상대향한 양측벽(c)(c)등으로 통체를 구성하고 이 통체의 양측벽(c)(c)의 상대향한 위치에 창구멍(1)(1)을 개설하고 또 상기 통체의 양측벽(c)(c)을 따라 형성한 탄성변형 가능한 조작편(2)의 조작머리부(2a)를 상기 창구멍(1)(1)에서 통체내로 출몰이 자재롭게 하고 또 상기 통체내의 저벽(b)에 형성한 걸어맞춤 돌기(3)를 상기 통체의 일방의 통단(가')측에서 타측의 통단(가")측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테이퍼면(3a)으로 하며, 또 이 돌기(3)는 상기 조작편(2)의 조작머리부(2a)가 창구멍(1)에 밀어넣는 위치보다 적어도 통단(가')측으로 위치하여 형성된다. 또 버클 (나)은 버클 (가)의 상기 통체내에 비교적 긴밀하게 삽입되는 안내간(4)과 이 통체내에 완만하게 삽입되며 이 안내간(4)을 둘러쌓도록 구성된
Figure kpo00001
자형의 걸어맞춤링(5)등을 가지며 이 걸어맞춤링(5)은 상면이 상기 안내간(4)의 상면위치에서 하방으로 안내간(4)과 동일 평면위에 위치되어 있는 버클 (나)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은 상기와 같이 된 것이어서 버클 (나)의 걸어맞춤링(5)과 안내간(4)등을 버클 (가)의 통체내에 통단(가')측에서 삽입하면 안내간(4)이 통체내에 비교적 긴밀히 끼워지므로 걸어맞춤링(5)은 이 통체내의 비교적 저벽(b)측에 위치하면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어맞춤링(5)은 다시 삽입되어 걸어맞춤링(5)은 돌기(3)의 테이퍼면(3a)을 넘어서 수벽면(3b)에 접촉하도록 통단(가")측에 떨어져 끼워지게 되고 이 떨어져서 끼워진 걸어맞춤링(5)은 상기 안내간(4)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또 상면은 안내간(4)의 상면위치에서 하측으로 위치되어 있어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돌기(3)위에 떠오르지 않고 확실하게 돌기(3)에 걸어맞춤되어 정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편(2)을 창구멍(1)에서 통체내로 밀어 넣으면 조작편(2)의 조작머리부(2a)는 돌기(3)를 넘은 걸어맞춤링(5)의 하측에 밀어지게 하므로 걸어맞춤링(5)의 자유단측은 그 탄성변형으로 떠올라 결국 돌기(3)에서 상측으로 올려져 돌기(3)와의 걸어맞춤은 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안내간(4)은 걸어맞춤링(5)으로서 둘러쌓여 있으며 또 일체의 걸고리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걸림 사고발생이나 찔리는 일도 없어 취급상 안전함은 물론 조작시 걸림이 전혀 없으므로 원활한 버클 조작이 가능하다. 또 걸어맞춤링(5)은 단순한 돌편상이 아니어서 충격에 따라 갈라지거나 헛걸음의 여지도 없고 특히 이 걸어맞춤링(5)에 고리부가 없으므로 고리부에 걸리는 사례가 전혀 없다. 또 버클 (가)에 대한 버클 (나)의 걸어맞춤상태의 해제가 걸어맞춤링(5)의 부상조작으로서 버클 (나)에 충분한 하중이 부가하고 있는 경우에도 약간의 압압력으로 용이 또는 확실하게 버클 상호의 해체가 가능하다. 또 버클 (가)(나)등이 서로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 즉 버클 (나)에 하중이 부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순히 조작편(2)을 미는 것만으로 걸어맞춤링(5)이 돌기(3)를 타고 넘어서 해제되는 장점이 있어서 걸어맞춤 및 해제가 모두 한손으로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 버클의 전형적인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버클 (가) 및 (나 )는 모두 인젝션(Injection) 성형에 의한 합성수지 제품임을 전형예로 하고 타발에 적합한 형상으로 된다.
먼저 버클(가)는 상대향한 천벽(a)와 저벽(b) 및 상대향한 측벽(c)(c)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것으로 하고 일측의 통단(가')을 해방하고 타측의 통단(가")을 통상 폐쇄하여 측벽(c')으로 하고 있으며, 이 측벽(c')의 측방에 간격(6)을 통하여 벨트등의 취부축간(7)을 형성하도록 측벽(c)(c)의 측을 돌출시키고 있다. 또 통단(가')측의 측벽(c)(c)에서 일체로 연설된 조작편(2)은 이 측벽(c)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작편(2) 자유단부의 측벽(c)의 조작머리부(2a)가 돌설되어 있다. 또 이 조작머리부(2a)는 제7도에 있어서와 같이 그 상면이 하향으로 경사된 테이퍼면(2a')으로 되어 있다. 또 제5도에서와 같이 기부측의 가장자리는 조작편(2)의 취부 기부측을 향하여 경사된 테이퍼 가장자리(2")로 되어 있다.
이어서 측벽(c)(c)에는 상기 조작머리부(2a)의 출몰을 하는 창구멍(1)이 뚫어져 있으며 이 창구멍(1)에 의하여 연달아 통하도록 된 통체내의 저벽(b)면에 돌기(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돌기(3)은 후술하는 타측의 버클 (나)의 걸어맞춤링(5)의 내경위치에 맞추어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편(2)의 머리부(2a)가 압입될 위치에서 적어도 통단(가')측에 형성하며 통단(가')측에서 통단(가")측을 향하여 경사한 테이퍼면(3a)과 통단(가")측에 형성된 수벽면(3b)등을 갖고 있다. 또 통단(가')측에서 돌기(3)가 형성된 위까지의 천벽(a)의 내면에 1쌍의 돌조(8)(8)가 형성되고 이들 돌조(8)의 종단과 돌기(3)의 융기 위치에서 통단(가")측의 저벽(b)에 창구멍(9)을 형성하여 상기 돌조(8)를 형성하는 타발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버클(나)는 벨트등을 권착하는 권착간(10)의 전후에 간격(11)(11)을 배치한 틀(12)의 측벽(12a)에 안내간(4)과 걸어맞춤링(5)등을 돌설 배치한 것이며 이 걸어맞춤링(5)은 대체로
Figure kpo00002
자상을 이루고 있음과 동시에 안내간(4)을 둘러쌓도록 위치되어 있다. 특히 이 안내간(4)은 상기 버클(가)의 통단(가')측에서 돌조(8)(8)사이에 긴밀하게 계입할 비교적 두터운 것으로 하고 걸어맞춤링(5)은 이 안내간(4)보다도 얇고 또 안내간(4)의 하면과 걸어맞춤링(5)의 하면등을 일치가 되도록 동일 편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즉 걸어맞춤링(5)은 상면이 안내간(4)의 상면에서 항상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벽(12a)에 의하여 일체로 되어 있다. 또 안내간(4)의 전단상부를 면잡이(4a)로 하고 버클(나)의 계입은 원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버클 (가) 저벽(b)의 양측에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서 내측 상방을 향한 테이퍼부(13)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시 실시예에 의한 버클에 있어서 버클의 안내간(4)은 돌조(8)(8)사이로 삽입되므로 버클(나)이 상하 전도되어 삽입되면 걸어맞춤링(5)은 이 돌조(8)에 닿아 삽입되므로 잘못된 버클 서로의 끼워 맞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내간(4)은 돌조(8)(8)에 의하여 원활하며 확실하게 걸어맞춤링(5)을 버클 (가)내로 유도, 또한 걸어맞춤링(5)은 버클 (가)을 구성한 통체내의 저벽(b)측에 위치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결과 탄성변형에 의하여 돌기(3)의 면(3a)을 타고 넘은 걸어맞춤링은 재차 저벽(b)측에 복귀하고 돌기(3)의 면(3b)과 걸어맞춤됨과 동시에 이러한 걸어맞춤 상태를 상기 안내간(4)의 존재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어서 조작편(2)을 집어 넣도로 버클 (가)의 내측에 압입하므로서 조작머리부(2a)의 면(2a')을 걸어맞춤링(5)의 하면에서 상기 테이퍼부(13)위를 미끄러져 들어가 걸어맞춤링(5)을 돌기(3)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 밀어올려짐에 따라 버클(나)에 약간의 하중이 부가되므로서 버클 상호는 완전히 해방된다. 또 제5도의 상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작편(2)은 약간의 원호상으로 동작하게 되고 가장자리(2a")를 테이퍼상으로 동작하게 되어 가장자리(2a")를 테이퍼상으로 하므로서 상기 걸어맞춤링의 압상 조작이 한층 확실해진다.

Claims (1)

  1. 적어도 상대향한 천벽과 저벽과 상대향한 양측벽으로된 통체의 상기 양측벽의 상대향한 위치에 창구멍을 뚫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조작편의 자유단부가 상기 창구멍에서 상기 통체내에 입출자재롭게됨과 동시에 상기 통체내의 저벽면에 조작편 자유단부의 압입되는 위치에서 일측의 통단(가')측을 향하여 걸어맞춤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는 상기 통단(가')측에서 타측의 통단(가")측을 향하여 경사된 테이퍼면을 구비하며, 또 이 통단(가")측을 향하여 겅사된 테이퍼면을 구비하며, 또 이 통단(가")측에 벨트등의 계착수단이 형성된 일방의 버클(가)와 상기 버클(가)의 통체내에 비교적 긴밀하게 삽입되는 폭 크기의 안내간과 이 통체내에 완만하게 삽입되며 또 안내간을 둘러싸며 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며 상면이 이 안내간의 상면위치에서 하방의 걸어맞춤링등을 구비하여 또 벨트등의 계착수단이 형성된 타방버클(나)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19860011406A 1986-07-21 1986-12-29 버 클 KR880001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1091 1986-07-21
JP61171091A JPH0753121B2 (ja) 1986-07-21 1986-07-21 バツクル
JP61-171091 1986-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253A KR880001253A (ko) 1988-04-22
KR880001203B1 true KR880001203B1 (ko) 1988-07-11

Family

ID=1591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406A KR880001203B1 (ko) 1986-07-21 1986-12-29 버 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753121B2 (ko)
KR (1) KR880001203B1 (ko)
IT (1) IT1211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596Y2 (ja) * 1992-06-24 1999-05-31 株式会社ニフコ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9602A (ja) 1988-02-08
IT8767619A0 (it) 1987-07-17
JPH0753121B2 (ja) 1995-06-07
KR880001253A (ko) 1988-04-22
IT1211214B (it) 198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3440A (en) Belt buckle
KR100993644B1 (ko) 역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US5441182A (en) Garment hanger with locking information clip
EP0089689B1 (en) Buckle
US3967351A (en) Clasp
KR950001602Y1 (ko) 스냅식 버클
EP2641498A1 (en) Buckle
EP0581319B1 (en) Separable bottom end stop assembly and its assembling and separating method for concealed slide fasteners
KR880001203B1 (ko) 버 클
EP0348857B1 (en) Buckle
JPH04137354A (ja) 電源ケース及びその着脱装置
JP2023502083A (ja) 幼児によって開けられることを防止することができる安全箱及び開ける方法
JP3056347B2 (ja) バックル
US2867468A (en) Safety-lock door chain
KR102197754B1 (ko) 2단 잠금 구조를 갖는 팔찌용 체결구
CN210329594U (zh) 一种拉链及其拉头防错位快速咬合结构
JP3411407B2 (ja) バックル
KR920017054A (ko)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기구
EP0493787B1 (en) Separable bottom end assembly for slide fastener
KR890000111B1 (ko) 플라스틱제 버클
KR910005457Y1 (ko) 버클
JP4488540B2 (ja) バックル
KR200160000Y1 (ko)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KR20100013640A (ko) 부품결합장치
KR96000186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카드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