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000Y1 -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 Google Patents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000Y1
KR200160000Y1 KR2019970005481U KR19970005481U KR200160000Y1 KR 200160000 Y1 KR200160000 Y1 KR 200160000Y1 KR 2019970005481 U KR2019970005481 U KR 2019970005481U KR 19970005481 U KR19970005481 U KR 19970005481U KR 200160000 Y1 KR200160000 Y1 KR 200160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guide groove
locking projection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274U (ko
Inventor
신규호
Original Assignee
신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규호 filed Critical 신규호
Priority to KR2019970005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00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0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체결력을 강화 시키고 벨트의 체결을 안정적으로 유지 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벨트의 내면부 적소의 위치에 안내홈이 개설된 벨트 고정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상기 벨트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안내홈에 버클측 플레이트에서 걸림돌기를 돌설시켜 상기 안내홈에 걸림돌기를 결합시켜 벨트를 버클측에 체 결하는 벨트체결장치에 있어서, 버클측 플레이트 소정의 위치에 걸림돌기 안착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 공간에는 걸림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설치하며, 상기 지지판을 탄지하는 탄성체를 설치하여 걸림돌 기를 버클측 플레이트에 설치한 벨트체결장치임.

Description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본 고안은 벨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체결력을 강화시키고 벨트의 체결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인 허리띠 구조는 제1도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벨트(1)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체결공(2)을 형성하고, 일측 끝단에는 체결핀(3)이 형성된 버 클(4)을 설치하여 벨트(1)를 허리에 감은 후 버클(4)측 체결핀(3)을 벨트(1)측 체결공(2)에 체결하여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허리띠 구조는 허리띠 반복 사용에 의해 벨트(1)에 형성된 벨트공(2)이 체결핀(3)과 반복 접촉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확장되어 체결핀(3)이 빠지는 등의 기능적인 문제점과 벨트 착용시 체결공(2)이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미려한 상태의 외관을 보존하거나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 밖에 버클(4)에 부착되어 있는 체결핀(3)은 벨트(1)측의 당김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버클(4)측에서 떨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곤 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96-4464호에 소개된 "자석을 이용한 벨트 체결장치"는 제2도와 같이 벨트(1a)와 버클(4a)측에 자기회로를 구성하여 벨트(1a)를 체결하는 자석식 벨트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1a)의 내면부 적소의 위치에 내장 설치되는 안내홈 개설 목적의 벨트 고정 플레이트(5)와, 상기 벨트 고정플레이트(5)를 안내하여 벨트(1a) 체결을 유도하기 위해 버클(4a)의 보디부에 자석의 위치를 규정하는 자석을 갖는 자석 플레이트(6)와, 상기 자석 플레이트(6) 위에 설치된 버클(4a)측 자석(7)을 기준으로 벨트(1a)측 벨트 고정플레이트(5)의 진입과 이탈의 원활한 교통을 위해 상기 벨트 고정플레이트(5)에 형성된 안내흠(8)에 안내흠 경사부(9) 및 안내홈 걸림턱(10)을 형성하는 한편, 버클(4a)측의 자석 플레이트(6)위에 설치되는 돌출된 자석(7)에는 벨트(1a)측 금속판 안내흠(8)에 대응되는 자석 경사부(9a) 및 자석 걸림턱(10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접속 벨트 체결장치로 구성하여 벨트(1a)와 버클(4a)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소요 부품의 기능적 배치를 통해 제3도와 같이 벨트(1a) 측 벨트 고정 플레이트(5)의 안내홈(8)에 버클측 자석(7)이 안착 되어 버클(4a)과 벨트(1a)의 신속한 체결 및 분리 동작을 강화시키고 제품 외관에는 체결공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벨트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식 원리로 벨트의 조작 부담을 덜어주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자기 회로 구성을 위한 각 구성품의 단순화를 실현시켜 종래의 벨트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장식 용품으로서의 다양한 디자인 창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벨트 고정플레이트(5)에 자석(7)이 안착되어 버클(4a)에 벨트(1a)가 체결되는 종래 벨트 체결장치는 경사부(9)를 통한 미끄러짐 접촉을 통해 벨트 고정 플레이트(5)측 안내흠(8)에 자석(7)이 안착 되도록 되어 있어 경사부(9a)의 마모 진행이 빠르게 나타나고 자석(7)이 정확히 벨트 고정플레이트(5)측 안내흠(8)에 안착되지 못할 경우 불완전한 벨트 체결로 인해 벨트가 풀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자석(7)을 사용하게 됨으로 자석(7)을 자석 플레이트(6)에 장착하는데 있어서, 조립 작업이 까다롭고 자석(7)을 자석 플레이트(6)에 결합 완료후 자석이 자석 플레이트(6) 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벨트 고정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자석 외에 다른 재질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벨트 고정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벨트 체결장치에 있어서, 벨트 고정 플레이트와 매칭되어 벨트를 고정하는 걸림돌기를 유동적인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벨트측 벨트 고정플레이트의 결합/탈거를 순조롭게 진행 시키고, 벨트가 걸리는 걸림돌기의 이탈과 유동에 따른 결합력 저하나 결합 불량을 방지 하는 걸림돌기 및 그의 안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허리띠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벨트 체결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벨트체결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돌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돌기의 구성 요부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돌기와 가이드홈의 설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걸림돌기와 가이드 홈을 이용한 벨트 체결 다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벨트 4, 4a : 버클
5 : 벨트 고정 플레이트 6 : 플레이트
8 : 안내홈 9 : 안내홈 경사부
10 : 안내홈 걸림턱 11 : 걸림돌기
12 : 가이드 홈 13 : 지지판
14 : 탄성체 15 : 걸림돌기 경사부
16 : 걸림돌기 걸림턱 17 : 내부공간
18 : 벽면 19 : 걸림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벨트의 내면부 적소의 위치에 안내홈 경사부와 안내홈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이 개설된 벨트 고정플레이트를 장착하고, 버클측 플레이트에는 걸림돌기 경사부와 걸림돌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를 돌설시켜 상기 안내홈에 걸림돌기를 결합시켜 벨트를 버 클측에 체결하는 벨트체결장치의 걸림돌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버클측 플레이트 소정의 위치에 내부공간과 벽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 공간에는 걸림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그 위로 걸림돌기를 설치하고 그 아래로는 지지판을 탄지하는 탄성체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홈의 상층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 돌기의 지지판과 가이드 홈의 걸림턱이 서로 맞물려 걸림돌기가 가이드 홈의 내부 공간에서만 벽면을 따라 유동적인 구조로 상, 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벨트체결장치의 걸림돌기는 벨트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 안에서 상하 유동 되면서 벨트를 체결하고 해체하게 되어 자력 없이도 벨트의 체결 과 해체가 가능하고 걸림돌기 변형에 의한 벨트 체결 불량이나 체결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돌기의 설치 상태 사시도 이고, 제5도는 걸림돌기의 상세 사시도 이며, 제6도는 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제4도와 같이 벨트(1a)의 내면부 적소의 위치에 안내홈 경사부(9)와 안내홈 걸림턱(10)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8)이 개설된 벨트 고정플레이트(5)를 장착하고, 버클(4a)측 플레이트(6)에는 걸림돌기 경사부(15)와 걸림돌기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를 돌설시켜 상기 안내홈(8)에 걸림돌기(11) 를 결합시켜 벨트(1a)를 버클(4a)측에 체결하는 벨트체결장치에 있어서, 제6도 내지 제7도와 같이 버클(4a)측 플레이트(6) 소정의 위치에 내부공간(17)과 벽면(18)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12)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홈(12)의 내부 공간 (17)에는 걸림돌기(11)를 지지하는 지지판(13)을 설치하며 그 위로 걸림돌기(11)를 설치하고 그 아래로는 지지판(13)을 탄지하는 탄성체(14)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흠(12)의 상층부에는 걸림턱(19)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11)의 지지판(13)과 가이드흠(12)의 걸림턱(19)이 서로 맞물려 걸림돌기(11)가 가이드 홈(12)의 내부 공간(17)에서만 벽면(18)을 따라 유동적인 구조로 상, 하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7도와 같이 벨트(1a)를 버클(4a)측에 끼워 넣어 당기면 벨트 고정 플레이트 (5)에 형성된 안내홈 경사부(9)와 걸림돌기(11)에 형성된 걸림돌기 경사부(15)가 서로 미끄럼 접촉으로 면 접촉되면서 벨트 고정플레이트(5)측 안내홈 (8)에 걸림돌기(11)가 안착되어 안내홈 걸림턱(10)과 걸림돌기 걸림턱(16)이 서로 맞닿아 벨트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벨트(1a)를 당기는 당김력이 있으면 걸림돌기(11)는 벨트(1a)측 벨트 고정플레이트(5)의 선 운동에 의해 탄성체(14)를 수축시키면서 가이드흠(12)의 벽면(18)을 따라 내부공간(17) 아래로 내려가고 걸림돌기(11)가 벨트 고정 플레이트(6)측 안내홈(8)에 정착되면 탄성체(14)가 지지판(13)을 밀어 올리고, 이로 인해 걸림돌기(11)는 벨트 고정플레이트(5)측 안내홈(8)에 안착되어 안내홈 걸림턱 (10)과 걸림돌기 걸림턱(16)이 서로 맞닿아 벨트(1a) 체결이 완료된다.
반대로 벨트(1a)를 해체할 경우에는 벨트(1a)를 약간 위로 들어올려 주면 걸림 돌기(11)에서 벨트(1a)측 안내홈(8)이 빠져나와 그대로 풀어진다.
벨트 체결 과정에서는 벨트 고정플레이트(5)측 안내홈(8)에 걸림돌기(11)는 탄력적으로 안착되어 안내홈(8)과 걸림돌기(11)의 정확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며 어 긋난 결합으로 인한 벨트의 체결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자석을 대체하여 보통의 재질을 사용하여 걸림돌기(11) 제작이 가능하여 자석과 플레이트(6)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걸림돌기(11)가 플레이트(6) 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3)과 걸림돌기(11)는 따로 만들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 하여 버클측 가이드홈(12)에 장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벨트체결장치의 걸림돌기를 유동 가능한 구조로 변경 함으로서 벨트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 안에서 걸림돌기가 상하 유동 되면서 벨트 를 체결하고 해체하게 되어 자력 없이도 벨트의 체결과 해체가 가능하고, 또한 걸림돌기 변형에 의한 벨트 체결 불량이나 체결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Claims (2)

  1. 벨트의 내면부 적소의 위치에 안내홈 경사부와 안내홈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이 개설된 벨트 고정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상기 벨트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안내홈에 버클측 플레이트에서 걸림돌기 경사부와 걸림돌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를 돌설시켜 상기 안내홈에 걸림돌기를 결합시켜 벨트를 버클측에 체결하는 벨트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측 플레이트 소정의 위치에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홈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 공간에는 걸림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그 위로 걸림돌기를 설치하고 그 아래로는 지지판을 탄지하는 탄성체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홈의 상층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의 지지판과 가이드홈의 걸림턱이 서로 맞물려 걸림돌기가 가이드 홈의 내부 공간에서만 유동적인 구조로 상, 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흠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판은 걸림돌기에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KR2019970005481U 1997-03-22 1997-03-22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KR200160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81U KR200160000Y1 (ko) 1997-03-22 1997-03-22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81U KR200160000Y1 (ko) 1997-03-22 1997-03-22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74U KR19980061274U (ko) 1998-11-05
KR200160000Y1 true KR200160000Y1 (ko) 1999-11-01

Family

ID=1949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481U KR200160000Y1 (ko) 1997-03-22 1997-03-22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0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8013A1 (en) * 2017-08-17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8013A1 (en) * 2017-08-17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74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644B1 (ko) 역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KR930011567B1 (ko) 스프링 및 브레이드 사이의 연결부재를 갖는 권선 가능한 테이프 룰
KR20060053130A (ko) 버클
KR20110009103A (ko)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KR20040033251A (ko) 끈 고정구
US11510463B2 (en) Magnetic buckle
KR200160000Y1 (ko) 벨트 체결장치의 걸림돌기 유동구조
KR890014044A (ko) 머 리 핀
GB2293857A (en) Attachment device
HK1065928A1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KR200153594Y1 (ko) 벨트체결장치의 벨트 해체장치
JP7484273B2 (ja) 固定構造および機器
EP2027804A2 (en) Shower curtain system
KR100314870B1 (ko) 끈고정구
KR200158835Y1 (ko) 버클의 장식커버 설치구조
GB2352471A (en) Attachment device
KR880001203B1 (ko) 버 클
JP2681870B2 (ja) 時計バンド用中留金具
KR200288322Y1 (ko) 냉장고용 슬라이드레일
CA2117971C (en) Cord fastening device
KR200224173Y1 (ko) 초음파 융착기의 상, 하 작동장치
JP4286614B2 (ja) 長尺物の保持装置
KR100239764B1 (ko) 머리핀
KR950006953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커버 스프링 이탈방지구조
JP2009126454A (ja) 蓋の係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