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870B1 - 끈고정구 - Google Patents

끈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870B1
KR100314870B1 KR1019990050871A KR19990050871A KR100314870B1 KR 100314870 B1 KR100314870 B1 KR 100314870B1 KR 1019990050871 A KR1019990050871 A KR 1019990050871A KR 19990050871 A KR19990050871 A KR 19990050871A KR 100314870 B1 KR100314870 B1 KR 10031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lock member
hole
main body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660A (ko
Inventor
이시이요스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0004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과제) 로크력이 크고, 끈을 끼우는 조작성 내지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양호하고, 외관적으로도 우수한 끈고정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끈(42)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3)을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에 조립되며 관통구멍(13)의 일측 트인구멍에서 타측 트인구멍으로 끼워진 끈(42)을 이 끈의 빠짐방향으로의 힘(F)에 대항하여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로크부재(20)로 이루어진 끈고정구(1)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개량된 특징점은, 본체(10)가 로크부재(20)에 대응하여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11)와 관통구멍(13)에 근접하여 형성된 받침면(14)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 로크부재(20)가 본체(10)의 절
결부(11)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회동단부측에 형성된 대략 직선형상의 톱니부(26)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톱니부(26)가 로크부재(20)의 회동에 의해서 끈해제위치에서 받침면(14)과 평행하게 되는 끈걸림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끈고정구{CORD CLOSUR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의복 또는 자루형상체 등에 배치되는 조임용 띠나 끈 또는 코드 끈(이하, 이것들을 '끈'이라 칭한다)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끈을 관통구멍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빠짐방지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끈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끈고정구는, 끈의 빠짐방지구조의 관점에서 볼 때, 크게 코일스프링식과 중구식(中駒式)으로 나뉜다.
도 7은 코일스프링식의 종래예를 나타낸 것으로, 관통구멍(30a)을 가지며 바닥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본체(30)와, 본체(30)내에 일부가 출몰가능하게 조립되며 스프링(31)에 의해서 돌출방향으로 탄지되는 관통구멍(32a)을 가진 로크부재(32)로 이루어진다. 의복등에 배치된 끈(40)은, 도 7(a)의 상태에서 양 관통구멍(30a, 32a)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로크부재4(32)를 눌러 내리고{로크부재(32)의 끈해제위치에서} 본체측 관통구멍(30a)의 일측 트인구멍에서 로크부재(32)의 관통구멍(32a)으로 끼운 후, 본체측 관통구멍(30b)의 타측 트인구멍에서 외부로 인출한다. 끈(40)을 끼운 후에 로크부재(32)를 눌러 내린던 힘을 해제하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32)가 스프링(31)에 의해서 밀려 올라감으로써 관통구멍(32a)이 본체측 관통구멍(30a)과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끈(40)은 관통구멍(30a)의 상측 가장자리와 관통구멍(32a)의 하측 가장자리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고, 스프링(31)의 탄지력에 대응한 걸림력에 의해서 끈(40)의 빠짐이 저지된다.
도 8은 중구식의 종래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35)는 양 측부(35a)간의 폭치수를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좌우방향으로 긴 슬라이드홈(35b)을 가지고 있다. 로크부재(36)는 원형상의 프레임(36a)을 가지고 있으며, 이 프레임(36a)의 상기 양 측부(35a)와 대향하는 원호부분에 톱니부(36b)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낸 로크부재(36)의 끈해제위치에서, 끈(41)을 본체(35)의 일단부측에서 프레임(36a)과 일측 측벽(35a) 사이로 끼워 통과시킨 후,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측에서 우회하여 프레임(36a)과 타측 측벽(35a) 사이로 끼워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 로크부재(36)가 슬라이드홈(35b)을 따라서 타단부측의 끈걸림위치로 이동하면, 끈(41)은 프레임(36a)의 각 톱니부(36b)와 이것에 대응하는 측부(35a) 사이에 끼워져 유지됨으로써 끈(41)의 빠짐이 저지된다.
상기한 종래의 끈고정구 중 도 7에 나타낸 코일스프링식의 구조에서는, 스프링(31)이 금속이나 수지제로 되어 있어 끈(40)의 빠짐방향으로의 힘에 대한 로크력을 스프링(31)의 탄지력에 비례하여 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스프링(31)의 탄지력을 강하게 하면 로크부재(32)를 눌러 내리는 힘도 그만큼 커지게 되므로 조작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 로크부재(32)의 끈걸림위치에서는 본체(30)와 로크부재(32)의 양 관통구멍(30a,32a)이 어긋나게 됨으로써 끈(40)이 강제적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그런데, 지름이 큰 고무 끈과 같은 경우는 본체(30)와 로크부재(32)의 양 관통구멍(30a,32a)이 일직선이 되도록 하는 고무의 복원력에 의해서 끈걸림위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되며 또 로크력도 약해지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8에 나타낸 중구식의 구조에서는, 로크부재(36)를 끈걸림위치로 더 이동시킬수록 로크력을 강하게 할 수 있으나, 이 로크력에 따라서 로크위치가 달라지므로 끈(41)을 로크하고 싶은 부분에 걸 수 없게 된다. 또, 끈을 끼우는 조작은 본체(35)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끼운 후에 원형상의 프레임 (36a)을 우회하여 다시 타단부측에서 일단부측으로 끼워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조작성이 나쁘다. 또, 외견상의 관점에서는 도 7에 나타낸 코일스프링식에 비해 그 전체 크기가 큰 편평형상으로 되기 쉽고, 또한 끈과 끈 사이의 치수(L)가 프레임(36a)의 크기에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에 의복등에는 적용할 수 없는 등, 적용분야에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그 목적은 로크력이 크고, 끈을 끼우는 조작성 내지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양호하고, 외관적으로도 우수한 끈고정구를 실현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끈고정구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 2는 상기 끈고정구를 전방과 후방에서 본 외관도
도 3은 상기 끈고정구의 정면측 및 상측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끈고정구를 분해하고 또 로크부재를 후방에서 본 구성도
도 6은 상기 끈고정구의 사용예를 나타낸 모식 외관도
도 7은 종래의 끈고정구를 끈해제상태와 끈걸림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또다른 종래의 끈고정구를 끈해제상태와 끈걸림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끈고정구 10 - 본체
11 - 절결부 13 - 관통구멍
14 - 받침면 15 - 반력(反力)규제벽부
18 - 돌기 20 - 로크부재
21 - 기단부 22 - 회동단부측의 하판부분(판부분)
23 - 중간판부분 25 - 조작돌편
26 - 톱니부 42 - 끈
43 - 의복등에 대한 부착용 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끈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조립되며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트인구멍에서 타측 트인구멍으로 끼워진 끈을 이 끈의 빠짐방향으로의 힘에 대항하여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로크부재로 이루어진 끈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로크부재에 대응하여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와 상기 관통구멍에 근접하여 형성된 끈용 받침면을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본체의 절결부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회동단부측에 형성된 대략 직선형상의 톱니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톱니부가 로크부재의 회동에 의해서 끈해제위치에서 상기 받침면과 평행하게 되는 끈걸림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이다.
이 구조에서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얻어진다.
① 사용상의 편리성에서는, 끈의 단부를 본체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일측 트인구멍에서 타측 트인구멍으로 끼운 후, 로크부재를 단지 끈해제위치에서 끈걸림위치로 회동시키기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 이 구조에서는 로크부재 자체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도 1에 1점쇄선으로 나타낸 임시로크상태에서 끈을 도 1의 좌측방향으로 끼우는 조작 및 끈을 도 1의 우측방향으로 빼내는 조작에 의해서 끈을 걸거나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② 끈은 본체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일측 트인구멍에서 타측 트인구멍으로 끼워지고, 받침면 위로 회동되는 로크부재의 톱니부와의 사이에서 끼워져 유지된다. 이와 같이 끈을 톱니부와 받침면 사이에 끼워서 유지하는 구조에서는, 톱니부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끈걸림위치에서 본체의 받침면과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도 7의 타입보다도 끈에 대한 톱니부의 유지부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톱니부의 걸림방향이 끈의 빠짐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력 또는 걸림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③ 외관·용도적으로는, 본체의 잘라낸 부분에 로크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7의 타입보다도 더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 본체가 끈용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끈 또는 끈의 절곡(折曲)부분을 관통구멍에 끼우는 구성인 경우에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과 끈 사이의 치수(L)를 크게 할 필요가 없으며, 끈끼리를 밀접하게 한 상태로 함으로써 그 모양새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절결부가 상기 로크부재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면이 상기 관통구멍의 타측 트인구멍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로크부재가 끈걸림위치에서 본체의 절결부에 거의 전체가 수납되기 때문에 더욱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동시에, 본체측의 받침면이 관통구멍의 타측 트인구멍측, 즉 끈의 인출구측에 위치하고, 로크부재의 회동방향이 끈의 빠짐방향이 된다. 따라서, 로크부재는 끈이 끈의 빠짐방향으로 강하게 잡아당겨질수록 그 톱니부를 통해서 끈의 빠짐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끈은 로크부재에 의해서 더욱더 강하게 물려서 로크된다. 또,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의 끈걸림위치에서 상기 톱니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부분이 끈과 교차하는 상향의 힘에 의해서 변위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반력규제벽부를 상기 절결부내에 돌출형성하면,예를 들면 대략 직선형상의 톱니부와 받침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끈을 끼워 고정하는 경우에는 톱니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부분에 끈과 교차하는 상향의 응력을 받게 되는데, 이와 같은 때에도 상기 하판부분을 반력규제벽부에 의해서 위치고정함으로써 끈걸림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하거나 로크부재의 회동축에 작용하는 부하를 완화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둘째로, 상기 절결부의 내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끈해제위치에서 임시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끈걸림위치로 전환될 때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로크부재가 돌기에 의해서 끈해제위치에서 임시로 유지되기 때문에, 끈을 관통구멍에 끼우는 초기 조작등이 편리해 진다. 또, 상기 돌기는 로크부재가 회동될 때에 클릭음이나 감촉음을 주어 각각의 전환동작을 인식하기 쉽게 한다.
세째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끈걸림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략 연속하는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주면에 조작용 돌편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구조는 외관 및 로크부재의 회동조작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적합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끈고정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끈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도 3(b)의 B-B선을 따라서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끈고정구를 전방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끈고정구를 전면측과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a)의 A-A선과 도 3(b)의 C-C선을 따라서 단면한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끈고정구를 분해한 도면과 로크부재만을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끈고정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끈고정구(1)는 2개의 부품, 즉 본체(10)와 로크부재(20)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크부재(20)가 본체(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본체 (10)와 로크부재(20)는 모두 수지성형품으로 되어 있으나 다른 재질로 되어 있어도 된다. 끈고정구(1)의 전체 크기는, 첨부한 도면에 있어서는 작도상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나 예를 들어 이 끈고정구(1)가 일반적인 의복에 이용되는 경우, 상하 치수가 15∼30㎜, 최대 외경이 10∼25㎜정도의 작은 것이다.
본체(10)는 횡단면이 타원형상인 기둥형상체로 되어 있으며, 도 5(a)에 나타낸 외주면을 전면측이라 하였을 때, 이 전면측 중간이 소정의 높이위치에서 상단을 포함하여 크게 잘라내어져 있으며, 이 절결부(11)에 대하여 로크부재(20)의 대부분이 회동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는 절결부(11)를 중심으로 하여 각 부분를 나타내면, 절결부(11)의 양 측면부분(10a,10a)과, 절결부 (11)의 배면부분(10b)과, 절결부(11)의 하면부분(10c)으로 이루어진다. 양 측면부분(10a,10a)에는 전후로 관통된 부착구멍(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12)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43)등을 끼우고서 그 양 단부를 꿰매 붙임으로써 끈고정구(1)를 의복등에 매달은 상태로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배면부분(10b)에는 끈끼움용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3)의 트인구멍단부는 배면부분(10b)의 배면과 절결부(11)내에 위치하고, 2개의 끈(42)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장방형상(가로 10㎜×세로 3.5㎜)으로 되어 있으나, 설계상은 끼워지는 끈의 외경 및 끈의 개수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또, 도 2(b)에 있어서, 도면부호 10d는 래핑구멍이다.
절결부(11)내는 그 횡단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이 배면부분(10b) 근방의 내측 부분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부재(20)를 회동시킬 때에 절결부 (11)내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절결부(11)의 내부에는 끈용 받침면(14)과, 반력규제벽부(15)와, 로크부재용 유지벽부(16)와, 로크부재(20)의 축받이용 오목부(17)와, 로크부재(20)를 임시로 유지하는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중, 끈용 받침면(14)은 절결부(11)의 하측 내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13)의 바닥면과 면이 일치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부분(10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3)의 일측 트인구멍에서 끼워진 끈(42)은 절결부(11)내로 노출되어 있는 관통구멍(13)의 타측 트인구멍에서 상기 받침면(14)을 통하여 외부로 도출된다. 반력규제벽부(15) 및 유지벽부(16)는 절결부(11)의 내부를 상기한 넓혀진 전방측 부분을 제외하고 상하 3단으로 간막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반력규제벽부(15)는 받침면(14)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선단의 양측이 일부 잘려나간 '凸'형상으로 되어 있다.받침면(14)과 반력규제벽부(15)의 간격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구멍(13)의 높이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하였으나, 관통구멍(13)과 같게 설정하여도 된다. 유지벽부(16)는 반력규제벽부(15) 위에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며 또한 반력규제벽부(15)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유지벽부(16)의 상면에는 이 유지벽부(16)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절결부(11)의 후측 내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올라간 지지돌편 (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로크부재(20)를 끈해제방향으로 최대로 회동시켰을 때에 로크부재(20)의 대응부가 지지돌편(16a)의 테이퍼면에 맞닿게 된다. 축받이용 오목부(17)는 유지벽부(16)의 상측에 위치하며, 절결부(11)의 양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양 오목부(17)는 절결부(11)의 내측면을 한 단(段) 낮게 한 단부부분(17a)에 형성되며, 이것보다도 한 단 더 낮게 한 축받이구멍으로 되어 있다. 임시유지용 돌기(18)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11)의 후측 내면의 상측을 만곡면(19)으로 형성하고, 이 만곡면(19)의 상하 중간의 폭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20)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11)와 거의 같은 크기의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ㄷ'자형상에 있어서의 상편을 기단부(21), 하편을 회동단부측의 하판부분(22), 양측 연결편을 중간판부분(23)으로 설정하고 있다. 중간판부분(23)은 그 내측이 공동(空洞)(24)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동(24)에 대하여 반력규제벽부(15)의 선단 중간부분이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 참조). 중간판부분(23)의 외측면 하부에는 조작돌편(25)이 하측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기단부(21)의 양 외측면에는 상기 오목부(17)에끼워맞춰지는 축(27)이 형성되어 있다. 양 축(27)은 도 5(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받침부(27a)의 중심에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출단면의 삽입측을 약간 낮게 형성함으로써 오복부(17)에 끼워맞추기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하판부분(22)의 단면은 평면상에 복수개의 톱니(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톱니)를 돌출시킨 톱니부(26)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톱니부(26)는 하판부분(22)에 대하여 폭방향의 톱니(선단이 예각 또는 거상(鋸狀)의 톱니)를 앞에서 후측으로 복수개 형성한 것으로, 상기한 끈용 받침면(14)과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톱니부(26)와 받침면(14)은 도 8에 나타낸 원호형상의 톱니부(36b)와 측벽(35a)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양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끈(42)을 끼워 유지함과 아울러 톱니부(26)의 각 톱니의 물림작용에 의해서 끈(42)의 빠짐을 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톱니부(26)가 설정되어 있는 부분을 대략 직선형상으로 길게 확보함과 아울러 톱니부(26)와 받침면(14)이 서로 평행하도록 함으로써, 톱니부(26)에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가 모두 동일한 힘으로 끈(42)을 파고 들어가 물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원호형상의 톱니부(36b)에 비해 로크력 내지는 걸림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받침면(14)의 변형예로서, 그 종단면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선단이 예각 또는 거상의 톱니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로크부재(20)는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조립요령은,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20)를 본체(10)의 절결부(11)에 대향되게 배치한 후, 로크부재(20)의 양 축(27)을 이것이 각각 대응하는 한 단 낮게 형성된 단부부분(17a)을 통하여 오목부(17a)내로 압입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면, 로크부재(2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의 절결부(11)에 대하여 거의 전체가 수납되는 끈걸림위치에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돌편(25)만이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끈걸림위치, 즉 사용상태에서는 로크부재(20)의 외주면이 본체(10)의 외주면에 대략 연속하게 됨으로써, 본체(10)와 로크부재(20)가 일체물로서의 외관을 띠게 된다. 본 발명의 끈고정구(1)는 통상 이와 같은 상태로 하여 시판되며, 도 6의 확대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복등에 상기 부착구멍(12)에 끼워진 띠(43)등을 개재시켜서 끈고정구(1)를 매다는 상태로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로크부재(20)는, 양 축(27)을 지지점으로 하여 손가락등으로 조작돌편(25)을 회동조작하면, 도 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1)의 단면이 지지돌편(16a)의 테이퍼면에 의해서 규제될 때까지 절결부(11)에서 외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조작돌편(25)에서 손가락등을 떼어내면, 로크부재(20)는 도 1의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1)의 단면 가장자리가 돌기(18)에 맞닿을 때까지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돌기(18)에 의해서 임시로 유지되게 된다. 통상은 이 상태에서 끈(42)의 단부가 관통구멍(13)에 끼워지게 된다. 즉, 끈(42)은 관통구멍(13)에 대하여 본체(1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일측 트인구멍에서 절결부(11)내에 위치하는 타측 트인구멍으로 끼워지고 또한 받침면(14)을 따라서 외측으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끈고정구(1)를 끈(42)의 적당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로크부재(20)를 도 1의 실선위치까지 회동조작한다. 이와 같이하면, 끈고정구(1)는 받침면(14) 위에 놓여진 끈부분을 이 받침면(14)과 대략 직선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톱니부(26)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됨과 아울러 톱니부(26)의 복수개의 톱니가 그 끈부분을 각각 파고 들어가 물게 됨으로써 끈(42)의 빠짐방향으로의 힘(F)에 대항하여 걸리게 된다.
상기 끈고정구(1)에 있어서의 로크부재(20)의 로크력 내지는 걸림력은, 받침면(14)이 관통구멍(13)의 타측 트인구멍측, 즉 끈의 인출구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끈(42)의 빠짐방향으로의 힘(F)이 클수록 로크부재(20)가 끈걸림위치측으로 이동하기 쉽다는 점, 로크부재(20)가 본체(10)의 절결부(11)내로 거의 전체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20)에 의복등이 걸리더라도 끈해제위치로 쉽게 회동되지 않는다는 점 등에 의해서, 로크부재(20)를 손가락등으로 재차 도 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시키지 않는 한 해제되지 않는다.
또, 상기 끈고정구(1)에서는 톱니부(26)와 받침면(14)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끈(42)을 끼워 고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톱니부(26)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부분(22)에 끈(42)과 교차하는 상향의 응력이 작용하여 로크부재(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축(27)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반력규제벽부(15)에 의해서 미연에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반력규제벽부(15)는 톱니부(26)가 형성된 하판부분(22)에 끈(42)과 교차하는 상향의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하판부분(22)의 변형이나 동작을 규제하여 톱니부(26)의 끈걸림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하거나 축(27)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로크부재(20)가 돌기(18)에 의해서 끈해제위치에서 임시로 유지되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로크부재(20)가 끈해제위치에서 끈걸림위치로 또는 끈걸림위치에서 끈해제위치로 회동될 때에 클릭음이나 감촉음을 주어 각각의 전환동작을 인식하기 쉽게 하는 등, 제품에 대한 고급감(高級感)을 줄 수 있는 등의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끈고정구(1)는 청구항 1에서 특정되는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본체(10) 및 로크부재(20)의 형상이나 관통구멍(13)의 크기 및 형상의 구체적인 형태등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끈고정구에 있어서는 끈을 관통구멍에 끼운 후 로크부재를 단지 회동시키기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은 도 7의 타입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우수하다. 로크부재의 로크력 또는 걸림력은 대략 직선형상으로 길게 형성한 톱니부가 본체의 받침면과 평행하게 되는 것이므로 도 8의 타입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7의 구조에서와 같은 스프링의 감쇠에 의한 로크부재의 작동불량이 없고, 도 8의 구조에서와 같이 로크부재가 끈해제방향으로 불필요하게 작동한다는 우려도 없게 된다. 외관은, 본체의 절결부에 로크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도 7의 타입보다도 더 소형화할 수 있고 또 본체가 도 7의 타입과 마찬가지로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어 도 8의 타입과 같이 끈과 끈 사이의 거리(L)를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모양새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에 비해 사용상의 편리성 및 품질적으로 우수하므로, 적용상의 제약을 없애어 그 용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끈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조립되며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트인구멍에서 타측 트인구멍으로 끼워진 끈을 이 끈의 빠짐방향으로의 힘에 대항하여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로크부재로 이루어진 끈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로크부재에 대응하여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와 상기 관통구멍에 근접하여 형성된 끈용 받침면을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본체의 절결부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회동단부측에 형성된 대략 직선형상의 톱니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톱니부가 로크부재의 회동에 의해서 끈해제위치에서 상기 받침면과 평행하게 되는 끈걸림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용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내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끈해제위치에서 임시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끈걸림위치로 전환될 때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고정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끈걸림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략 연속하는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주면에 조작용 돌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고정구.
KR1019990050871A 1998-12-22 1999-11-16 끈고정구 KR100314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4345 1998-12-22
JP10364345A JP2000184906A (ja) 1998-12-22 1998-12-22 紐留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660A KR20000047660A (ko) 2000-07-25
KR100314870B1 true KR100314870B1 (ko) 2001-11-23

Family

ID=1848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871A KR100314870B1 (ko) 1998-12-22 1999-11-16 끈고정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0184906A (ko)
KR (1) KR100314870B1 (ko)
CN (1) CN1147251C (ko)
HK (1) HK1029028A1 (ko)
TW (1) TW409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313B2 (ja) * 2000-12-21 2010-08-04 株式会社ニフコ 紐留め具
CN202125566U (zh) * 2011-07-01 2012-01-25 香港多耐福有限公司 一种绳扣
TWI629018B (zh) * 2016-05-19 2018-07-11 仁不古股份有限公司 繩索鎖定具
CN111671188A (zh) * 2020-07-05 2020-09-1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隔离服用内层及其医用隔离服
CN112095462A (zh) * 2020-08-31 2020-12-18 王世孝 一种可送料式桥梁排水管安装吊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0152A (zh) 2000-07-19
KR20000047660A (ko) 2000-07-25
HK1029028A1 (en) 2001-03-23
JP2000184906A (ja) 2000-07-04
CN1147251C (zh) 2004-04-28
TW409045B (en) 200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881B1 (ko) 마스크를 매는 끈의 길이 조정부재
US6067662A (en) Adjustable belt fastener with spring biased buckle member
KR100314870B1 (ko) 끈고정구
JP3982955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US7360285B2 (en) Automatic slider for a slide fastener
US6292983B1 (en) Adjustable quick-release buckle, particularly for diving masks or similar
EP0682300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band for watch case
US6427291B1 (en) Buckle
JP2008232154A (ja) フック
US5642558A (en) Jewelry clasp
JPH08336406A (ja) 腕時計用のバンド
RU2310357C2 (ru) Пряжка для ремня
KR970005446Y1 (ko) 혁대
KR960009460Y1 (ko) 허리띠용 버클
KR200201865Y1 (ko) 벨트용 버클
JPH0730727U (ja) 腕時計バンド用三つ折れ式留め具
KR200320795Y1 (ko) 혁대용 버클
KR200342411Y1 (ko) 허리벨트
KR200190617Y1 (ko) 벨트용 버클
KR890005494Y1 (ko) 핸드백 결착구
KR200309343Y1 (ko) 혁대용 버클
KR200229759Y1 (ko) 버클
KR970005148A (ko) 끈고정구
KR200204170Y1 (ko) 벨트 버클
KR940007361Y1 (ko) 당김줄의 길이조정 및 고정이 가능한 열쇠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