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124B1 -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124B1
KR880001124B1 KR1019850002850A KR850002850A KR880001124B1 KR 880001124 B1 KR880001124 B1 KR 880001124B1 KR 1019850002850 A KR1019850002850 A KR 1019850002850A KR 850002850 A KR850002850 A KR 850002850A KR 880001124 B1 KR880001124 B1 KR 88000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oe
forming
roll
web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199A (ko
Inventor
앨런 브라운스 로버트
림펠 코넬리우스
Original Assignee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더크 제이.베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더크 제이.베네만 filed Critical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2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Fourdrinier typ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03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twin-wire type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와 그 방법
제1도는 설계된 제지기의 성형장치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작동하는 한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발명의 주요한 형태를 보여주는 제1도중 한부분의 부분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구조에 다른 형태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작동하고 설계된 이중 와이어 제지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 상부 와이어 11, 41 : 하부 와이어
13, 43 : 슬라이스 14, 45 : 슈우
23, 57 : 블레이드 34 : 흡입이송박스
37 : 회전로울 52 : 편향기
60 : 수집쳄버
본 발명은 제지기의 개선, 특히 이중 와이어를 사용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1950년대의 이중 와이어 기계가 상업상 편리한 장점 때문에, 이중 와이어 기계의 장점들이 인정되어 왔고 그러한 기계를 개선하고 기계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계속적인 노력이 있어 왔다. 이중 와이어 기계의 장점들은 적은 장치와 작은 기계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비교적 짧은 성형부를 제공하는 능력을 지닌다. 이중 와이어 기계의 실질적인 장점은 두 방향에서 탈수하는 능력이 있는 것이고 양면지의 나쁜점을 피하도록 돕는다. 기술적으로 숙달된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개선된 제지 기계 시이트(sheet)가 얻어질 수 있고 만약 마지막 시이트가 양면에서 동일한 질을 갖는 다면 가벼운 종이는 같은 질을 가진다. 이것은 이중 와이어 기계로 완성될 수 있지만 고속용 설비와 시간에 따라 처리되는 원료 형태의 변화는 양면지의 상이성을 피하고 계속해서 양질을 얻도록 한다.
출력을 증가시키고 질을 높이며 이중 와이어 기계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계속적인 노력이 있어 왔다. 물론 둘째번 고려는 설비에 있어서 장점들을 포함하고 와이어의 변화는 빨리 성취되며 문제 해결 방법의 유지 및 손질은 적은 현재의 투자 비용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다른 목적이 있다. 하나의 목적은 좋은 인조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도록 와이어 사용을 낮추는 것이다. 또한 혼합물과 철사와 최적 종이판의 균일한 분포는 공급 및 속도와 기본량에 관한 실제적 융통성과 함께 중요한 목적이다. 낮은 조업능력 즉 에너지 소모는 중요하며 이것은 종이가 압축부를 통과함에 따라 최적 건조상태를 얻는 종이의 탈수를 통하므로 급속히 효과적으로 급속히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따라서 앞서 말한 목적들에 도달하고 개선된 성형 및 탈수를 제공하는 정교한 구조의 개선된 이중 와이어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게다가 개선된 이중 와이어 성형기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성형 및 탈수가 종이의 개량을 가져오도록 와이어는 유일한 통로를 통해서 단련되고 유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또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은 종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이중 와이어 기계의 특징과 개선점을 이용하고 생산성과 효율을 증가시키고 낮은 에너지 소모를 가져오는 개선된 이중 와이어 성형기를 제공하며 철사와 충전재의 높은 보유수준을 유지하며 낮은 자본과 취소 휴지시간을 가진 시설비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과 특징은 명세서에 언급된 실시예와 특허 청구의 범위와 도면의 기재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므로서 더 자세히 나타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첫째 즉 상부의 만곡된 다공성 성형 와이어(10)는 둘째 즉 하부의 만곡된 다공성 성형 와이어(11)와 성형관계인 탈수웨브 안으로 가져가도록 공급된다. 오히려 보여준 장치가 도시된 위치에서 작동하는 동안 와이어(10)는 상부 와이어로, 와이어(11)는 하부 와이어로 언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조업이 제한을 받지 않도록 비록 그것이 언급된 장치를 갖을 지라도 구조의 방향이 다른 위치로 회전한다.
와이어는 원료를 받아들여 수렵하는 성형 쓰로우트(throat)(12)로 부터 시작되는 성형 및 탈수 통로를 통해서 도입된다.
여기에서 사용되고 제지공에 의해서 인정받는 원료는 섬유질 방향과 철사 및 충전재의 이송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한 혼합물이 계속해서 원료로 되도록 헤드박스로부터 쓰로우트(12)안으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성형 와이어 사이에 운반되고 건조정도가 다르게 될때까지 탈수되는 액과 섬유질의 슬러리(slurry)에 관하여 언급하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원료는 헤드박스(headbox)로 부터 슬라이스(slice)(13)를 통해서 공급되며 하부 와이어(11)위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스는 도시되지 않은 홀드리너(Fourdrinier)요소에 의하여 얼마간 미리 탈수 하도록 하는 쓰로우트(12)의 앞부분에 있다. 부분탈수된 원료는 탈수에 앞서 쓰로우트(12)로 들어간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서 슬라이스(13)는 실제로 쓰로우트에 나타냈다.
원료의 웨브성형 공급은 와이어가 상부 로울(18)을 떠난후에 원료가 한 위치에서 쓰로우트 내부의 두 와이어들과 동시에 맞물리도록 쓰로우트로 향하는 슬라이스 개구를 가지는 슬라이스(13)에 의하여 쓰로우트(12) 안으로 향한다. 원료는 와이어의 속도나 제지공의 목적에 따라 와이어의 속도의 약간 다른 속도로 와이어 쪽으로 향한다. 약간의 혼합하여 이긴 원료는 성형 및 탈수가 시작됨에 따라 쓰로우트 안으로 성형되고 이것은 고속기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고 원료는 쓰로우트로 이송된다. 만약 더 일반적인 장치가 상류 앞의 슬라이스를 사용한다면 원료는 짧아진 홀 드리너 요소처럼 선 탈수장치를 가지는 하부 와이어(11)위의 쓰로우트로 들어간다.
하부 와이어(11)는 도시되지 않은 이전의 와이어 안내 수단으로 부터 쓰로우트에 도달하고 상부 와이어(10)는 도입 로울(18)에 의하여 방향을 잡아 쓰로우트에 도달한다. 도입 로울은 화살 표시된 선(19)에 의해 나타낸 것처럼 하부 와이어(11)에 대해서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여러가지 기계장치들이 조정를 얻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된 것처럼 로울(18)의 베어링 지지판은 통이(筒耳)(20)위에 제공되며 로울의 수직부는 나사식 잭(21)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피복된 와이어 위의 만곡된 슈우(shoe)는 탈수를 촉진 하도록 슈우를 이동하는 와이어 사이에서 원료의 진동을 야기하는 크로스머쉰 블레이드(blade)(15)를 가진다.액은 적당한 배수수단의 슈우(14)의 블레이드(15) 사이에서 아래로 지난다.
조립체(14)는 고체 즉 블레이드(15)보다 앞에 홈이 파진 성형판(16)을 가진다. 홈이 파진 성형판은 하부 와이어를 통하여 최초로 아래로 액을 빼내기 위해서 성형판 바로 밑에 흡입 수단(17)과 연결된다.
와이어는 상부 와이어의 로울(39)에 의해서 보여준 것처럼 와이어 응력장치에 의하여 응력하에서 유지되고 유사한 응력장치가 하부 와이어(11)에 제공된다.
슈우 조립체(14)는 슈우와 쓰로우트(12)를 둘러싸는 와이어의 조절을 촉진하기 위해서 추측에 지탱되고 슈우 조립체는 슈우 조립체(14)의 추측위치에 배치되기 위해서 슈우 조립체의 다른쪽에 조절 가능한 잭(26)을 가진(25)에 추측에 장착된다.
제2도에서 보여준 것처럼 그 장치에 있어서 성형판(16)은 만곡된 슈우(14a)를 이동하는 와이어(10a)와 (11a)를 가진(16a)에서 보여준 것처럼 고체(구멍 즉 홈이 파진 특징 없이)이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여준 두 장치에 있어서, 성형판 다음의 만곡된 슈우는 크로스머쉰 블레이드(15a)를 갖는다. 서로 교체하는 성형판(16)이나 (16a)를 가지며 상부 와이어(10)를 통하여 안으로 급송된 액은 자동 슬라이스(22)에 의해 제거된다. 자동 슬라이스는 상류로 밀어올린 액을 받아 들이기 위해서 개방 바닥을 가지며 상부 와이어(10)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자동 슬라이스 블레이드(23)를 갖는다. 블레이드(23)는 와이어 사이에서 유니트 압력의 조절을 돕는데 이용되며 예로서 블레이드(23)는 유니트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200" 반지름의 슈우를 통과하는 와이어를 가진 3"폭이다.
흡입 수단(24)은 이동 와이어의 상단을 미끌어져 감에 따라 자동 슬라이스 블레이드(23)로부터 멀리 액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제공된다. 적당한 수단(즉 잭(26)이 밀접한 조업관계를 얻기 위해서 블레이드(23)의 위치를 유지하는 슈우 조립체(14)에 제공된다.
다음의 자동 슬라이스는 고체 원통형 로울로 도시된 중앙로울(27)이다. 로울은 로울(27)의 조업정지 쪽 펌프 작용에 의해서 상부 와이어(10)의 표면에서 멀어져 성형로울(27)을 수반하는 절약장치(28)안으로 액을 흘려 보내는 경향이 있다.
절약장치는 수집된 액의 액제거 수단(29)을 가지며 또 미스트 출구(30)는 그곳에 형성하는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적당한 송풍기 수단을 가진다. 절약장치는 아암(32)(즉 중앙로울(27)과 자동 슬라이스(22)가 있는)으로 부터 장착되고 전체 조립체는 와이어를 교환하는 잭 세트(33)에 의하여 추축(3, 3a)에 추측이 부착된다. 조정 가능한 조정장치(38a)는 조업상태를 수립한다. 와이어가 교환되는 동안 자동 슬라이스(22)의 수축이 성형 로울(27)과 절약장치(28)와 함께 발생하도록 링크(link)(24a)는 자동 슬라이스와 아암(32)의 자동 슬라이스 블레이드(23)와 연결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링크는 자동 슬라이스와 블레이드(23)을 따로 지지하려고 하며 그것들을 독립해서 조절할 수 있게 만든다.
다음의 절약장치는 만곡된 상부표면을 갖는 웨브이송 박스(34)이며 두개의 와이어(10)(11)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원하는 둘러싸는 정도를 얻기 위해서 흡입이송 박스(34)는 박스의 다른쪽에 수직 조정잭(36)을 가진 (35)에 추측으로 장착된다. 다음의 발스(34)는 이송박스(34)에 대해서 그것의 위치를 정하는 상부 와이어의 회전로울(37)이다. (34)에 있는 웨브는 하부 와이어(11)쪽으로 이송되며 기계의 압축부를 지나기 위해서 이송수단 쪽으로 운반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첫째 상부 만곡된 성형 와이어(40)는 둘째 만곡된 다공성 성형 와이어(41)와 함께 탈수와 성형관계를 초래한다.두개의 와이어는 헤드박스 슬라이스(43)로 부터 운반되는 원료 안으로(42)에서 쓰로우트 입구를 형성한다. 하부 와이어는 도시되지 않은 적당한 안내로울에 의해서 쓰로우트(42)안으로 끌어들이고 상부 와이어는 화살표된 선(64)에 의해 표시된 세로로 조절할 수 있는 도입로울(65)에 의해서 조절된다. 원료는 헤드박스로 부터 슬라이스(43)를 통하여 하부 와이어(41)안으로 이동한다. 축소된 홀드리너와 같은 선탈수 장치는 도식적으로 도시된 흡입 박스(43a)에 의하여 사용된다. 약간의 탈수가 일어난 원료는 상부 와이어(40)와 하부 와이어(41)사이 삽입되기 위해서 쓰로우트(42)로 들어간다.
쓰로우트 다음의 와이어는 슈우(45)의 만곡된 상부 표면 위에서 단련된다. 큰 반경의 성형슈우는 다수개의 크로스머쉰 블레이드를 가지면 액이 블레이드 사이의 하부 와이어를 흘러 나감에 따라 액이 슈우의 바닥(44)에 모여진다. 와이어가 만곡된 슈우 위를 함께 통과함에 따라 와이어의 압력은 액이 위쪽과 아래쪽을 지나 와이어를 통과 하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는 도시되지 않은 로울에 의하여 응력하에 있다. 슈우의 크로스 블레이드는 성형원료의 액의 제거를 돕기 위해서 진동 효과를 야기한다. 원한다면 슈우(45)는 만곡된 슈우보다 앞에 성형판을 가진 제1도 및 제2도에 보여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슈우의 조업정지쪽 위에는 상부 와이어(40)와 밀접한 조업관계에 있는 안으로 가져온 자동 슬라이스(47)가 있고 제거액은 상부 와이어의 표면을 따라서 운반된다. 압력과 원심력에 의해 입구에 존재하는 액이 모아지도록 자동 슬라이스는 충분히 넓게 열려진다. 와이어 사이의 압력과 슈우(45)의 만곡된 면을 지나는 와이어의 원심력에 의해 원료로 부터 액이 제거되기 때문에 액이 자동 슬라이스(47)의 입구에 존재한다. 자동 슬라이스는 수집 버(49)안의 수집액 및 액의 제거를 돕기 위해서 진공장치(48)에 의해서 낮은 진공 레벨하에 있으며 절약장치(46)와 전체 자동 슬라이스의 일부인 수직 상승 통로를 갖는다.
와이어가 슈우(45)위를 둘러싼 후에 와이어는 중앙 즉 성형로울(50)위에서 반대 방향으로 둘러싼다. 오히려 중앙로울(50)은 로울의 바깥 표면 위의 미소칫수의 와이어나 스크린(screen)에 의하여 만곡된 홈(51)을 가지게 구성된 개방로울이다. 와이어가 중앙로울(50)위를 둘러쌈에 따라 액의 양은 아래쪽으로 지나기 위해서 하부 와이어(41)를 통과하여 압축되고 고정된 편향판(52)에 의해서 기울여진다.
상부 와이어(40)에 의해 압축되고 위로 향하는 액의 제거는 로울(50)의 펌프 작용에 의해서 증가된다. 상부 와이어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지나는 액은 중앙로울(50)의 조업정지쪽 위에서 벗어나 절약장치의 수집버(60)에 수집된다. 버는 상부 와이어(40)가까이로 흐르는 절약장치 블레이드(57)를 가지며 액은 수집기(60)안으로 위로 향하여 흐르고 낮은 진공레벨의 제거 수단(59)이 수집기(60)로 부터 액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
지침 분사 샤우어(shower)(55)는 상부 성형로울(50)의 조업정지 쪽을 세척하기 위해서 배치하며 또한 샤우어에서 생성된 초과액은 절약장치(57)에 수집된다.
중앙로울(50) 다음의 와이어는 와이어에 둘러싸인 로울(56)에 의해서 반대방향으로 다시 둘러싸인다. 약간의 약이 윗방향으로 압축되고 절약장치(60)에 수집된다.
원한다면 고정된 편향 블레이드(53)는 와이어를 지지하고 와이어의 개방조업의 불리한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 개방 중앙로울(50)의 조업정지쪽 위에 배치된다. 블레이드(53)가 선택되는 반면에 어떤 조업환경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생략은 와이어의 진동 즉 덜덜거림을 야기한다. 블레이드 다음의 상부 와이어(40)로 운반되려는 경향이 있는 액은 직선으로 이동하여 절약장치의 블레이드(57)에 의해 수집되기 위해 벗어나려는 경향이 있다.
와이어로 둘러싸인 로울(56) 다음의 와이어는 웨브 이송진공 박스(62)위를 지난다. 박스는 다공성의 만곡된 상부 표면(61)을 가지며 카우취(couch)로울과 압축기의 하부 와이어 위로 운반되도록 박스(62)내부의 진공은 하부 와이어(41)로 웨브를 이송한다. 상부 와이어가 비구동 회전 로울(63)에 의하여 배치되며 하부 와이어와 분리된다.
제1도에 관하여, 작업중, 원료는 하부 와이어에 배치되며 약간의 탈수가 발생한다. 이중 와이어(10)(11)는 하부 와이어 위의 원료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성형 쓰로우트(12)안으로 함께 이송되고 응력을 받는 와이어 사이의 압력이 위쪽과 아래쪽 방향의 웨브로 부터 액을 압축하도록 그 이중 와이어는 대반경의 만곡된 슈우(14)위를 지난다. 또 약간의 원심력은 액을 윗쪽으로 운반하는 것을 촉진하고 아래로 통과하는 액은 성형슈우의 블레이드 사이로 이동한다. 상부 와이어를 통과하여 윗쪽을 지나는 액은 자동 슬라이스 장치(22)에 의해서 수집된다.
그 다음에 와이어는 중앙로울(27)을 움직여서 역 방향으로 둘러싸고 펌프 작용에 의해 급송된 액은 성형로울(27)다음의 절약장치(28)에 의해서 수집된다. 다음에 웨브가 하부 와이어(11)를 수반하도록 와이어는 만곡된 흡입이송 박스(34)를 둘러싼다.
장치는 성형판(16) 및 자동 슬라이스(22)와 웨브이송 박스(34)와 같은 저 진공요소나 로울(16)(27)과 같은 로울요소를 주로 이용한다.
거기에는 배수 슈우(14)의 블레이드와 같은 몇몇의 고정된 요소가 있다. 이 구조는 매우 경제적인 조업을 행한다.
기재된 로울 성형기는 단지 전통적인 홀드리너의 약 75% 내지 그보다 적은 에너지 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질적으로 절약에는 45 정도의 포일 블레이드와 그것이 작동함에 따라 성형 와이어의 큰 제동력을 생성하는 6 정도의 진공 박스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홀드리너가 있고 대체로 다수가 이중 와이어 장치에 의해서 감소된다.
본 발명은 융통성이 있으며 광범위한 로울은 구조의 큰 수정없이 제3도에서 보여준 것처럼 개방성형 로울로 대치될 수 있다. 또 중요한 특징인 하부배수 유니트(14)의 압력뿐만 아니라 성형 와이어 사이의 쓰로우트로 들어가는 원하는 액의 양을 생성하고 도입하기 위해서 도입로울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Claims (25)

  1. 제지기게 웨브성형 및 탈수부에 있어서, 첫째와 둘째 만곡된 연속 성형 화이어 ; 원료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수렴하는 쓰로우트로 부터 시작되는 성형 및 탈수 통로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수단 ; 상기 쓰로우트를 형성하기 위한 편향된 둘째 와이어 위의 대반경 개방슈우 ; 슈우위의 두 와이어를 통하여 원료를 탈수하기 위해서 응력하에 있는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슈우위의 둘째 와이어 위를 둘러싸는 첫째 와이어를 향하게 하는 도입로울 ; 첫째 와이어를 통하여 안으로 초과된 액을 받아 들이기 위해서 슈우 다음의 첫째 와이어와 밀접한 조업관계에 있는 자동 슬라이스 ; 슈우의 와이어와 반대 반향으로 만곡된 둘러싸는 와이어를 가지며 슈우 다음에 배치된 중앙로울 ; 중앙로울에 의하여 첫째 와이어로 부터 빼낸 액을 수집하기 위한 성형로울 다음의 절약장치 ; 둘째 와이어까지 웨브를 이송하기 위해서 절약장치 다음의 둘째 와이어에 맞서는 흡입이송 박스 ;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자동 슬라이스에 의하여 수집된 액이 억지로 빼내어지도록 상기 자동 슬라이스와 연결된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로울이 매끄러운 고체 원통형 로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이송 박스가 만곡되고, 두 와이어에 의해 둘러 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인후의 곡률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둘째 와이어에 대하여 도입 로울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로울이 고체 구멍이 없는 원통형 로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둘째 와이어를 통하여 액을 최초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슈우가 둘째 와이어와 밀접한 조업관계에 있는 평평한 개방 흡입판 앞에 놓이는 것이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가 원료로 부터 액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서 와이어 사이에서 원료의 진동을 야기하는 다수개의 크로스머쉰 블레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약장치가 중앙로울 다음의 영역으로 부터 미스트를 펌프하는 진공 미스트 출구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슬라이스가 슈우 다음에 첫째 와이어와 접촉하는 넓은 립(lip)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슬라이스의 위치가 첫째 와이어의 표면에 대하여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2. 제지기 웨브성형 및 탈수부에 있어서, 첫째와 둘째 만곡된 연속 성형 와이어 ; 원료를 받아들이기 이해서 수렴하는 성형 쓰로우트로부터 시작되는 성형 및 탈수 통로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를 향하게 하는 수단 ; 둘째 와이어 위의 상기 슈우를 둘러싸는 첫째 와이어와 함께 상기 쓰로우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인도된 둘째 와이어 위의 대반경 슈우 ; 응력하에서 상기 쓰로우트를 향하여 상기 와이어를 향하는 수단 ; 슈우를 둘러싸는 중에 첫째 와이어를 통하여 초과된 액을 수집하는 수단 ; 슈우와 둘째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둘러싸는 와이어를 가진 슈우 다음에 배치된 중앙로울 ; 거꾸로 둘러싸는 소반경 둘째 통로의 중앙로울 다음에 있으며 와이어가 첫째 대반경 아취형 통로의 슈우 위를 지나도록 중앙로울 위에서 둘러 싸임으로서 첫째 와이어를 통하여 빼낸 수집하는 수단 ;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둘째 와이어를 통하여 최초액을 빼내기 위해서 둘째 와이어와 맞물리는 슈우의 앞에 배치된 흡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와이어가 슈우를 둘러싸므로서 상기 슈우가 와이어 사이에 운반된 원료의 진동을 야기하는 다수의 크로스머쉰 블레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와이어에 의해 둘러 싸이는 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첫째 와이어 대하여 상기 중앙로울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수집 수단의 위치를 동시에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7. 제지기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에 있어서, 첫째와 둘째의 만곡된 연속 성형 와이어 ; 원료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수렴하는 성형 쓰로우트로 부터 시작되는 성형 및 탈수통로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를 향하는 수단 ; 상기 쓰로우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단련된 둘째 와이어 위의 대반경 개방슈우 ; 슈우위의 두 와이어를 통하여 탈수하기 위해서 응력하에 있는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슈우 위의 둘째 와이어로 인해 둘러 싸이는 첫째 와이어를 가지는 상기 쓰로우트를 통하여 입구 안으로 첫째 와이어를 향하게 하는 수단 ; 상기 슈우위를 이동하는 첫째 와이어를 통하여 초과된 첫째 와이어로 부터 액을 수집하는 수단 ; 슈우와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둘러싸는 와이어를 가진 상기 슈우 다음에 배치된 중앙로울 ; 중앙로울의 반대 방향에 있는 와이어를 둘러싸는 로울을 둘러싸는 와이어를 가진 상기 중앙로울 다음에 배치된 와이어에 둘러싸인 로울 ; 와이어로 싸여지고 중앙로울 다음의 첫째 와이어로 부터 액을 수집하는 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로울이 개방로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첫째 와이어에 대하여 체눈이 나타나도록 상기 개방로울이 그 위에 둘러싸인 미세한 와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중앙로울과 와이어로 둘러싸인 로울 사이에서 와이어의 불규칙한 진동을 방지하는 둘째 와이어와 접촉하여 밀접한 조업관계에 있는 중앙로울 다음의 포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흡인 박스를 둘러싸는 두개의 와이어와 로울을 둘러싸는 와이어 다음의 둘째 와이어까지 웨브를 이송하는 만곡된 대반경 둘째 와이어와 맞물리는 흡입부를 가지는 이송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첫째 와이어를 통하여 탈수하기 위해서 만곡의 둘째 사출부와 반대인 셋째 사출부를 통하여 단련하는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슈우 다음의 첫재 와이어와 밀접한 조업관계에 있는 자동 슬라이스 블레이드 및 첫째 와이어에 대하여 상기 자동 슬라이스 블레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
  24. 한쌍의 만곡된 연속적인 다공성 성형 와이어 사이에서 웨브를 성형 및 탈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료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수렴하는 성형 쓰로우트로 부터 시작되는 성형 및 탈수통로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로 향하고 ; 두개의 와이어를 통하여 탈수하는 첫째 만곡부의 개방대반경 성형 슈우 위에서 와이어로 첫번째 둘러싸고 ; 두 방향의 와이어 사이에서 원료를 탈수하는 만곡부의 반대되는 둘째 방향의 로울 위에서 와이어로 두번째 둘러싸는 ; 단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웨브성형 및 탈수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만곡부의 첫째 사출부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쓰로우트에서두개의 와이어의 수렴각의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웨브성형 및 탈수방법.
KR1019850002850A 1984-05-03 1985-04-25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와 그 방법 KR880001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699584A 1984-05-03 1984-05-03
US606995 1984-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199A KR850008199A (ko) 1985-12-13
KR880001124B1 true KR880001124B1 (ko) 1988-06-30

Family

ID=2443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850A KR880001124B1 (ko) 1984-05-03 1985-04-25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160615A3 (ko)
JP (1) JPS60239594A (ko)
KR (1) KR880001124B1 (ko)
BR (1) BR8501973A (ko)
ES (1) ES8700359A1 (ko)
FI (1) FI851035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793A (ja) * 1984-09-03 1986-04-01 日立造船富岡機械株式会社 抄紙機のツイン・ワイヤ装置
WO1987006637A1 (en) * 1986-04-30 1987-11-05 Beloit Corporation A web forming apparatus
US4875977A (en) * 1987-04-17 1989-10-24 The Black Clawson Company Horizontal twin wire machine with vertically adjustable open roll and deflector blade
DE3815316C2 (de) * 1988-05-05 1996-02-01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Vorrichtung zur Entwässerung an einem Doppelsieb-Former
JPH02113660A (ja) * 1988-10-22 1990-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話コントロール装置
FI98540C (fi) * 1989-05-08 1997-07-10 Valmet Corp Laite paperi- tai kartonkirainan muodostamiseksi kuitumateriaalista
DE3929265C2 (de) * 1989-09-02 1997-05-07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Leiste für Blattbildungszone einer Papiermaschine
US5034098A (en) * 1990-02-23 1991-07-23 Beloit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paper web
DE4102065C2 (de) * 1991-01-24 1996-02-01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Doppelsiebformer
DE4219292A1 (de) * 1992-06-12 1993-12-16 Escher Wyss Gmbh Doppelsiebformer
CN110735351A (zh) * 2019-11-21 2020-01-31 中冶美利云产业投资股份有限公司 一种配有顶网成型器的长网造纸机
KR102236703B1 (ko) * 2020-07-17 2021-04-06 주식회사 아진피앤피 제지생산설비 초지공정의 지필형성부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017764A (ko) * 1969-12-06 1971-06-08
GB1346385A (en) * 1972-09-09 1974-02-06 Valmet Oy Dewatering wet webs in paper-making machines
AT379622B (de) * 1980-11-26 1986-02-10 Escher Wyss Gmbh Papiermaschine mit zwei beweglichen wasserdurchlaessigen entwaesserungsbaendern, z.b. sieben
DE3131957A1 (de) * 1981-07-24 1983-02-10 Escher Wyss Gmbh, 7980 Ravensburg Entwaesserungseinheit fuer langsieb-papiermaschinen
AT375695B (de) * 1982-06-15 1984-08-27 Escher Wyss Gmbh Doppelsieb-papiermaschine
GB2143871B (en) * 1983-07-23 1986-11-12 Beloit Walmsley Ltd Twin wire paper form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542720A0 (es) 1986-10-16
JPS6350473B2 (ko) 1988-10-07
KR850008199A (ko) 1985-12-13
FI851035A0 (fi) 1985-03-15
EP0160615A2 (en) 1985-11-06
ES8700359A1 (es) 1986-10-16
JPS60239594A (ja) 1985-11-28
EP0160615A3 (en) 1987-02-04
FI851035L (fi) 1985-11-04
BR8501973A (pt) 198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6758A (en) Twin-wire web forming system with dewatering by centrifugal forces
KR880001124B1 (ko) 제지기의 웨브성형 및 탈수장치와 그 방법
US4609435A (en) Process and equipment in the forming of paper web
SU1304751A3 (ru) Секци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ой машины дл формовани полотна бумаги
US4557802A (en) Apparatus for affecting a web drained on a wire
US2881676A (en) Paper or board machine and method
US3232825A (en) Dual wire type paper-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and dewatering paper
US5211814A (en) Wire loading device in a paper machine
FI77281B (fi) Hybridformare foer en pappersmaskin.
CA2083573C (en) High efficiency paper forming section
US4532008A (en) Horizontal twin wire machine
US3876499A (en) Web forming between two wires having a curved path of travel
CA2029002C (en) Gap former in a paper machine
US3357880A (en) Apparatus for making fibrous webs
FI91788C (fi) Paperikoneen kaksiviirainen rainanmuodostusosa
FI82084C (fi) Oevre viraenhet.
KR100362492B1 (ko) 제지기계용하이브리드포머
US3440136A (en) Papermaking apparatus including two wire sheet formers having means for air purging
US4125428A (en) Vertical twin wire paper machine
US3236724A (en) Apparatus for making formed fibrous webs
JPH0210277B2 (ko)
EP0712959B1 (en) Set of ribs in a dewatering device in a paper machine
JPH08302587A (ja) 抄紙機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フォーマ
US4167441A (en) Papermaking machine
CA2358741C (en) Device for removing water from a fibrous material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