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961B1 - 통신 시스템의 전송모오드를 신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전송모오드를 신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961B1
KR880000961B1 KR8204293A KR820004293A KR880000961B1 KR 880000961 B1 KR880000961 B1 KR 880000961B1 KR 8204293 A KR8204293 A KR 8204293A KR 820004293 A KR820004293 A KR 820004293A KR 880000961 B1 KR880000961 B1 KR 88000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digital
signal
analo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976A (ko
Inventor
게리트 반 보세 존
Original Assignee
오레그 이.엘버
웨스턴 일렉트릭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레그 이.엘버, 웨스턴 일렉트릭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레그 이.엘버
Publication of KR84000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전송모오드를 신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선단자 장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중앙국 장치의 회로도.
제 3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를 조합한 회로도.
제 4 도는 전형적인 국부호 접속통로를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신호화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A : 전화기 PA : 데이타세트
IUA : 인터페이스, 유니트 COA : 중앙국
CUA : 채널유니트 CCA : 공통 제어유니트
VH : 아날로그 하이브릿드 DA : 디지틀 하이브릿드
CEA : 공통장치
본 발명은 신호화 장치와 특히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정보전달 보오드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날로 증가하는 통신 서비스에 관한 요구가 세분된 데이타서비스 설비를 사용하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아날로그(보이스) 통신 서비스를 가진 디지틀(데이타)통신을 종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오늘날 충족되고 있다. 특히 아날로그 디지틀 통신 능력이 모두 현존하는 시스템내에 제공된다면 모뎀(modem)의 디지틀 신호를 아날로그 형으로 변환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스위칭이나 제어센터(중앙국)의 장비를 바꿀 필요가 없다. 그러나 통신에 있어서 단자 사이에 전달이 완전히 디지틀 형식인 경우 실질적인 네트워크의 수정이 요구된다. 첨언하여 만일 이 시스템이 아날로그 형식이냐 또 디지틀 형식이냐를 선택할 여지를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는 반드시 그 시스템의 동작 모오드의 신호를 중앙국에 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잇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적인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스템의 동작모오드의 변화에 따라서 특수한 코드를 송신하거나, 확인을 기다림으로서 중앙국에 신호를 보낸다. 이 장치에서 제어 신호화는 아날로그나 디지틀 형식으로 가능하다. 아날로그 제어 신호가 사용될때 단국에는 아날로그 수신기가 있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디지틀 제어신호를 사용할때는 단국에 디지틀 수신기가 있어야 한다. 아날로그나 디지틀 정보의 송신을 위하여 아날로그나 디지틀 제어신호화 장치는 같은 전송통로로 사용한다.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신호화는 아무런 정보도 송신되지 않을때만 전도된다. 결론적으로 시스템 동작 모오드를 저정하고 있는 메모리는 동작 모오드가 전화 통신망에 의하여 요구되는 데로 맞추어 져야 한다. 이러한 제어신호화 장치는 회론 시스템에 부수적으로 첨가하여 복잡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오드를 신호화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선(단국에 송화자난 수화자에게 연결된 통로)이나 선단자(lime terminad)의 온-훅크 또는 오프-훅크상태의 아날로그 혹은 디지틀 동작 모오드의 계속적인 제어신호화를 하기 위한 선을 통하여 직류(dc)제어신호화를 사용한다. 선에 직류전류가 있는것은 선단자에 오프-훅크(액키브)조건을 가르키며 전류의 방향은 선의 동작모오드를 가르킨다. 전류는 아날로그 모오드에서 한 방향 신호 동작으로 흐르고 디지틀 모오드에서 다른방향으로 흐른다. 동작모오드의 변환은 단자에 흐르는 인터럽팅 전류에 의하여 신호화된다. 전류 흐름의 결과적인 인터럽션은 전류원의 반전하므로서 반응하는 중앙국에서 검출한다. 선에 직류가 다시 나타나는 것은 호 종료나 인액티브(온-훅크)조건으로부터 동작 모오드내의 변화를 구별한다.
이러한 장치는 단자에서 인액티브호가 아날로그와 디지틀 동작모오드 사이에 스위치 될 수 있는 교번하는 아날로그 디지틀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송환단자는 액세서 코드와 수화단자의 호칭을 전송한다.
수호측과 송화측의 최초의 접속은 아날로그 모오드로 구성된다. 한번 접속이 구성되면 송화단자와 수화단자는 중앙국의 전류의 흐름의 방향이 변하여 아날로그 모오드에서 디지틀 모오드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화하는 것을 지시한다.
중앙국에 있는 타이밍 회로는 유효한 동작 모오드의 변화와 우연한 직류 인터럽션은 구별한다. 중앙국은 전류원의 극성을 반전하므로 동작모오드의 변화에 반응한다. 만일 선 전류의 흐름이 선전된 시간 간격에 복귀하지 못한다면 중앙국은 아날로그로 부터 디지틀 동작 모오드의 변환을 요구하기 보다는 오히려 온-훅크 상태인 것으로 해석한다. 만일 유효한 디지틀 모오드가 성립된다면 중앙국은 서로 연결된 양끝 사이의 디지틀 전송을 유요하게 하기 위하여 적당한 네트워크의 변화를 준다.
아날로그와 디지틀전송의 결론은 각 단자는 온-훅크 dc의 흐름을 인터럽팅하면 구성된 접속을 개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도는 선단말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케이블(101) 및 (102)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유니터(IAU)에 각각 접속된 전화기(SA)와 데이타 세트(DA)를 포함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케이블(103) 및 (104)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유니트(IUX)에 각각 접속된 전화기(SX)와 데이타 세트(DX)를 포함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유니트(IUA) 및 (IUX)는 선루우프(LA) 및 (LX)를 통하여 중앙국(COA)[제 2 도]예 각각 접속된다. 이 인터페이스 유니트(IAU)는 선루우프 다이오드(D1) 및 (D2)를 통하여 단말장비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또는 디지틀 모오드 신호작용을 하는 스윗치(SWI)를 포함하고 있다. 다이오드(D1)는 팁리이드(T)에서 링리이드(R)로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중앙국(COA)에서 아날로그 모오드 신호를 발생한다. 다이오드(D2)는 링리이드(R)에서 팁리이드(T)로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중앙국(COA)에서 디지틀 모오드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도는 디지틀 유니트 뱅크(DCBA)내외 채널유니트(CUA) 및 (CUX)와 스윗치(SWA)를 포함하고 있는 중앙국(COA)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스윗치(SWA)는 직류전류를 전도하는 중앙국 스윗치로서 어떤형이던 좋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앙국의 동작만 설명하겠다. 공통제어 유니트(CCA)는 금지된 방법으로 스윗치(SWA)가 루우프(LA), (LX)와 채널유니트(CUA), (CUX)사이에 통신을 위한 접속을 가능하게 해준다.
채널유니트(CUA) 및(CUX)는 입중계선(T1)을 통하여 디지틀 혹은 아날로그 신호를 액티브 단자에서 디지틀 구성으로 변환하여 다른 중앙국에 전송한다. 채널뱅크(DCBA)의 공통장치(CEA)는 채널유니트(CUA) 및 (CUX)에서 중계선(T1)으로 신호를 다중화한다.
채널유니트(CUA)는 아날로그 하이브릿드(VH)를 포함하여 아날로그 모오드로 동작할 동안에 선(LA)의 T리이드에서 R리이드로 전류가 흐르며 역시 디지틀 하이브릿드(DH)를 포함하여 디지틀 모오드로 동작할때 R리이드에서 T리이드로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전기(R1)는 선전류의 인터럽션(intenupion)을 검출하며, 계전기(R2)는 계전기(R1)로부터 전류 인터럽션 신호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하이브릿드(VH)와 디지틀 하이브릿드(DH)사이에 스윗칭 작용을 한다. 선루우프 상태회로(205)는 선정된 선전류의 인터럽션에 응답하여 공통제어 유니트(CCA)를 신호화 하므로 액티브 보이스(Voice)혹은 데이타 모오드를 전송한다.
공통 제어 유니트(CCA)는 프로그램제어로 동작하는 컴퓨터 제어기나 스윗치(SWA) 혹은 디지틀 채널뱅크(DCBA)의 제어기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공통제어 유니트(CCA)는 채널유니트(CUA), (CUX)와 공통장치(CEA) 및 스윗치(SWA)를 제어하여 중앙국(COA)을 통하여 접속된 다양한 호(call)를 제어하여 중앙국(COA)을 통하여 접속된 다양한 호(call)를 처리한다.
제 1 도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아날로그 모오드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전화기(SA)가 인액티브(inactive) 즉 온-훅크라고 가정하면 선(LA)의 팁리이드(T)와 링리이드(R)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전화기(SA)가 액티브 즉 오프-훅크일때 호가 시작된다. 온-훅크에서 오프-훅크 전이는 아날로그 모오드일때만 일어난다. 왜냐하면 오프-훅크로 되는 동작이나 스윗칭 동작이 제어된 단자가 아날로그 모오드일때 지점(V)에서 스윗치(SWI)를 프리세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화기(SA)가 오프-훅크일 경우 직류전류가 팁리이드(T)를 통하여 중앙국(COA)에 공급되어 스위치 훅의 메이크 접점(M), 스윗치(SW1), 다이오드(D1), 다이얼 접점(DL) 보이스회로(V1)를 통하여 흐르며 링리이드(R)을 통하여 중앙국(COA)에 되돌아온다.
제 4 도를 참고하면 중앙국(COA)이 T 리이드에 R리이드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때 이 중앙국은 공지의 정상 선 루우프 시험(전원 연결 등)을 수행하고 가입자(A)와 가압자에게 발신음을 보내는 수신기(420)사이에 스위치(SWA)를 통하여 통로(401)을 형성한다. 이러한 동작은 중앙국이 수행하는 공지된 기본 기능이다.
발신음이 수신되었을때 가입자(A)는 선 루우프(LA)로 아날로그 또는 디지틀 정보가 보내질 중앙국(COA)에 교류 보이스 또는 디지틀 데이타 액세스 코오드를 다이얼로한다. 가입자(A)는 제2중앙국(COB)에 위치한 가입자(B)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한다. 가입자(A)가 다이어링이 끝났을때 중앙국(COA)의 공통제어 유니트(CCA)는 중앙국(COB)에 출중계선(T1)의 채널유니트(CUA)를 선택한다. 그러면 공통제어 유니트(CCA)는 디지트전송기(421)와 채널유니트(CUA)사이에 접속(402)이 형성된다.
중앙국(COB)는 중계선 선택을 검출하여 디지트 수신기(422)에 접속(404)을 형성한다. 그러면 중앙국(COA)의 디지트 전송기(421)는 중앙국(COB)의 수신기(422)에 다이얼된 디지트를 보낸다. 다이얼된 디지트 전송이 끝나면 중앙국(COA)는 접속(401) 및 (402)를 개방하고 접속(403)을 형성한다. 중앙국(COB) 접속(404)를 개방하고 호가 발생한 가입자(B)의 선루우프(LA)에 링발진기가 접속된 접속(406)을 형성한다. 역시 중앙국(COB)는 가입자(A)에 가청의 링백신호(407) 공급하는 한 접속을 형성한다.
가입자(B)가 응답할때 전류는 선루우프(LB)의 T리이드에서 R리이드로 흐른다. 중앙국(COB)가 이 전류의 흐름을 검출하면 스윗칭 접속(406) 및 (408)을 개방하고 접속(405)을 형성한다. 그래서 아날로그 접속이 루우프(LA), 스윗칭 통로(403), 중계선(T1), 스윗치 통로(405) 그리고 루우프(LB)를 통하여 가입자(A)와 (B)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제 1 도에서 보이스회로(VI)은 아날로그 모오드로 동작할때 선(LA)로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스윗치(SWI)는 보이스 회로(V1) 또는 디지틀 데이타 연결기(107)를 통하여 직류 전류를 스윗치한다. 이러한 배열은 전화기(SA)가 선(LA)으로 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보여주며 전화기(SA)가 국부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전류가 단자(A)와 (B)에서 T리이드로부터 R리드오로 흐르므로 채널 유니트(CUA)와 (CUB) 각각에 동작하는 아날로그 모오드를 신호화한다. 각 중앙국 사이에 동작 모오드 정보의 통신은 중계선(T1)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모오드 정보를 인코우딩하는 채널유니트(CUA) 및 (CUB)를 사용한다. 채널유니트(CUA) 및 (CUB)는 이러한 접속을 하기 위하여 국부 상태에 있으며 각각 인터페이스 니트(IUA) 및 (IUB)에 연결된다. 국부상태에서 각 단국의 출중계선(T1)에 접속된 채널유니트 동작모오드는 선루우프(LA)와 (LB)를 통하여 접속된 인터페이스 유니트의 동작 모오드에 따른다. 이러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채널유니트(CUA) 및 (UB)는 각 선 루우프(LA) 및 (LB)상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므로 인터페이스 유니트(IAU) 및 (IUB)의 동작 모오드를 검출한다.
채널 유니트(CUA) 및 (CUB)는 중계선(T1)상에서 나가는 디지틀 신호의 프레임 6과 12의 8비트 인코우딩에 의하여 각 동작 모오드에 대하여 서로 정보를 준다. 제 5 도의 프레임 구성을 참조하면 각 슈퍼프레임의 프레임 6의 8비트 A비트로 나타내고 슈퍼 프레임의 프레임 12의 8비트는 B비트로 나타낸다. 동작 모오드에 의하여 정보를 인코우딩하는데 여러 방법이 있다. 도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약속 즉 A=0, B=1은 아날로그-인액티브 상태를 A=1, B=0은 아날로그 액티브 상태를 가리키는 것을 사용한다. 인터페이스 유니트(IUA)가 인액티브 상태를 나타낼때 공통제어 유니트(CCA)는 채널 유니트(CUA)를 A=0, B=1인 인액티브 상태로 놓는다. 동일하게 인터페이스 유니트(IUA)가 아날로그 액티브 상태를 나타내면 공통제어 유니트(CCA)는 채널 유니트(CUA)를 A=1, B=0인 액티브 상태로 놓는다. 그리고 가입자(A)로 부터의 정보 신호는 PCM 구성에서 인코우드된다. 모든 호가 아날로그 모오드로 시작되기 때문에 정의에 의하여 디지틀 모오드는 항상 액티브 조건이다. 후에 논의되겠지만 인터페이스 유니트(IUA)는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채널유니트(CUB)와 다른 모오드이라는 것을 결정할 때 모순이 존재한다. 이러한 모순이 있는 동안에 채널유니트(CUA)는 이 채널 유니트의 인터페이스(IUA)에서 떨어진 인터페이스(IUB)의 상태를 가르친다. 한 채널 유니트는 중계선(T1)으로 수신되는 A 및 B비트 패턴을 가진 채널 유니트의 모오드르 비교하므로서 이러한 모순을 결정한다.
채널유니트(CUA) 및 (CUB)는 아날로그 액티브 상태를 가르키는 A=1, B=0신호를 바꾼다. 아날로그 모드에서 계전기(R2)(제2도)는 리이드를 통하여 루우프 제어(206)에 의하여 동작된다. 전달접점(R 2-1) 및 (R 2-2)의 메이크접점은 선(201)에 하이브릿드(VH)를 연결한다. 채널유니트(CUA) 및 (CUB)는 국부상태 접속에서 접속되었다.
하이브릿드(VH)의 아날로그 신호는 표본화되어 변환기(A/P)에 의하여 PAM (Pulye am plitude moduluted)되어서 공통장치(CEA)에 신호 TPAM으로서 전달된다. 공통(CEA)는 PAM 신호를 PCM(Pulse coded modelation)신호로 변환되어 제 5 도의 데이타 스트림(stream)처럼 변조된다.
루우프 상태회로(205)는 공통제어 유니트(CCA)에 리이드(SL)를 통하여 루우프(LA)상태를 전달한다. 스윗치(SWA)를 통하여 루우프(LA)의 조건을 나타내는 선(201)의 전류로서 루우프전류 모니터(200)의 계전기(R1)가 동작하며 메이크접점(R 1-1)은 리이드(203)을 접지시킨다. 더우기 루우프 상태회로(205)는 루우프(LA)상에 아날로그에서 디지틀로 또는 그 반대로의 모오드 전이가 일어날때 리이드(204)를 통하여 신호(TS)를 수신한다. 리이드(203)상에 접지나 리이드(204)상의 TS신호에 대하여 루우프 상태회로(205)는 공통제어 유니트(CCA)에 리이드(SL)를 통하여 인액티브 신호를 공급한다. 다른 방법으로 루우프 상태회로(205)는 공통제어유니트(CCA)에 중앙 리이드(SL)를 통하여 액티브 상태 신호를 공급한다.
루우프 제어회로(206)의 제어신호(DS) 및 (VS)는 각각 디지틀 혹은 아날로그 모오드로서 단자(A)에서 동작을 지시한다. 유니트(207)은 신호(DS) 및 (VS)를 리이드(V-D)상의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모오드를 지시하고 중계선(T1)상에 A-1, B=0인 아날로그-액티브비트 패턴을 인코우더 하기 위하여 공통장치(CEA)를 지시한다. 더우기 아날로그 모오드 동작시 공통장치(CEA)는 리이드(TPAM)상에 PAM신호를 받아들여 중계선(T1)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DCM형태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이 공동장치(CEA)는 중계선(T1)의 PCM신호를 리이드(RPAM)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PAM형태로 변환한다. 리이드 V-D의 신호는 공동장치(CEA)에서 디지틀 모오드로서 동작을 지시한다. 디지틀 모오드에 있어서 디지틀 채널뱅크(DCBA)는 중계선(T1)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리이드(T7B)의 PCM 신호를 받아 들이고 중계선(T1)으로 부터 받아들인 PCM 신호는 리이드(R8B)의출력이 된다.
중계선(T1)을 통하여 가입자 단자(B)로 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는 PCM에서 PAM 형태로 변환되어 공통장치(CEA)에 의하여 리이드(RPAM)를 통하여 전달된다. 아날로그 변환기(P/A)에서 PAM은 루우프(LA)를 통하여 가입자 단자(A)에 하이브릿드(VH), 선(201), 및 스윗치(SWA)를 통해서 전달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
중계선 제어회로(208)은 공통장치(CEA)로부터 선(RB8)로 수신한 비트 8 패턴을 모니터 한다. 리이드(RB8)는 중계선(T1)을 통하여 수신한 데이타의 비트 8(A와 B비트)패턴을 전달한다. 만일 비트 8이 한 프레임의 이련의 표시에서 0 혹은 1 이면 비트 A와 B는 역시 디지틀 모오드를 지시하는 0 혹은 1 이며 리이드(DT)는 논리 1 을 나타낸다. 비트 8 패턴이 번갈아(A=0, B=1 혹은 A=1, B=0)아날로그 모오드를 지시하면 리이드(VT)는 2진수 1을 나타낸다.
상충회로(209)가 계전기(R3) 및 (R4)를 포함하여 각각 디지틀 혹은 아날로그 모오드 상충을 지시한다. 가입자(A)가 아날로그 모오드이기 때문에 리이드(VS)의 신호는 2진수 1을 나타낸다. 만약 리이드(VT)상의 신호가 역시 2진수 1을 나타내면 상충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입자(B)가 디지틀 모오드이면 리이드(VT)상의 신호는 2진수 0을 나타낸고 계전기(R3)는 하이브릿드(VA)나 가입자(A)로부터 유니트(P/A)를 통하여 가입자(B)로 부터의 신호를 막기 위하여 접속(R 3-1)동작한다. 더우기 유니트(215)로 부터 FED톤(tone)은 보이스 하이브릿드(VH)와 가입자(A)에 메이크 접점(R 3-1)에 의하여 접속된다. FED톤은 가입자(B)가 디지틀 모오드이라는 것을 가입자(A)에게 경고한다.
중계선 상태 회로(201) 역시 리이드(RA) 및 (RB)를 통하여 비트 A 및 B 상태를 수신하여 공통 제어 유니트(CCA)에 대하여 중계선 상태 신호(ST)를 발생한다.
아날로그 모오드에서 디지틀 모오드로 스위칭은 가입자(A)나 가입자(B)의 단자에서 시작될 수 있다. 다음은 가입자(A)가 디지틀 모오드에서 스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제 1 도를 참고하면 동작모오드 선택 스위치(SWI)는지점(D)에서 디지틀 데이타로 시작한다. 그래서 리이드(R)에서 모오드 스위치 훅 접점(SH), 스위치(SEI), 다이오드(D1), 다이얼 접점(DC) 및 보이스 전류(V1)을 통하여 리이드(T)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인터럽트된다. 디지틀 위치 통로에 다이오드(D2)가 있어 T리이드에서 R리이드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루우프(LA)상에 전류가 인터럽트되면 모니터(200)내의 계전기(R1)는 인터럽션을 검출하여 메이크 접점(R 1-1)이 개방되고 비접지 신호가 리이드(203)에 나타나도록 복구된다. 전류의 인터럽션은 채널 유니트(CUA)에 (1)모오드 변환 명령이 보내지고 있거나 (2) 가입자(A)가 온-훅크 되었거나 (3) 힛트(hit)가 루우프(LA)상에 일어났거나 한것의 지시이다. 전류 모니터(200)은 타이머나 지연기(212)와 결합하여 힛트가 계전기(R2)의 변환되기 상태가 이전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적당한 시간을 기다린다. 계전기(R1), 제어회로(206), 및 계전기(R2)의 결합은 루우프(LA)를 통하여 흐르는 반대방향의 전류를 발생하는 하이브릿드(VH) 및 (DH)의 교번 접속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정된 지연기(212)를 초과하는 리이드(203)의 전류 인터럽션 신호에 응답하여 루우프 제어회로(106)가 계전기(R2)를 개방하고 주어진 간격동안 리이드(204)의 2진수 1신호(TS)을 일으키는 타이머(213)이 시동한다. 루우프(LA)의 전류가 타이머(213)의 동작이 끝나기 전에 다시 나타난다면 이 조건은 모오드 변환 요구로 간주한다. 후에 논의되겠지만 만약 루우프(LA) 상에 전류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면 인액티브 조건은 가입자(A)에 존재한다.
만약 모오드 변환 명령이 존재하면 루우프 상태회로(205) 내로 TS신호가 공통제어 유니트(CCA)에 리이드(SL)의 오프-훅크 신호 조건을 유지한다. 그래서 루우프(LA) 전류가 인터럽트 되더라도 회로(205)에서 공통제어 유니트(CCA)에 터니네이션이나 온-훅크 신호조건이 리이드(204)의 전송신호(TS) 때문에 생기지는 않는다. 계전기(R2)가 개방되면 R 2-1 및 R 2-2의 메이크 접점은 개방되며 선(201)에 보이스 하이브릿드(VH)의 접속에 의하여 발생된 링 전류에 팁이 전달된다. R2-1 및 R 2-2의 브레이크 접점을 통하여 디지틀 하이브릿드(DH)와 선(201)사이에 접속이 이루어진다. 계전기(R2)는 보이스 하이브릿드(VH)나 디지틀 하이브릿드(PH)가 루우프(LA)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계전기(R2)는 제어회로(206)에 의하여 발생된 제어신호(211)에 의하여 동작된다.
디지틀 하이브릿드(DH)가 접속되면 부전압(-V)이 T리이드에 인가되며 그라운드 전위는 선(201)의 R리이드에 인가된다. 루우프(LA)에 디지틀 하이브릿드(DH)의 접속은 루우프(LA)의 R리이드에서 T리이드로 전류가 흐르게 한다.
그래서 다시 제 1 도를 참조하면 루우프(LA)를 T리이드에 부전압(-V)을 R리이드에서는 그라운들 전위를 가진다. 연결기(107), 다이오드(D2) 및 스위치 훅크(SH)의 메이크 접점(M)을 통하여 전류가 리이드(R)에서 리이드(T)로 흐른다. 데이타 유니트(DA) 연결기(107)의 수신회로(105)와 발신회로(106)를 통하여 루우트(LA)에 접속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복구전류는 루우프(LA)를 통하여 흐르고 선(201)은 전류모니터(200)의 계전기(R1)를 활성화시킨다. 메이크 접점(R1-1)이 동작하여 리이드(SL)상의 연속적인 오프훅크 상태신호를 루우트 상태회로(205)에서 공통제어유니트(CCA)에 전달한다. 메이크 접점(R1-1)을 통하여 리이드(203)의 접지는 역시 리이드(DS)상의 2진수 1신호들 전달하기 위하여 루우프 제어회로(206)를 허용하며 리이드(VS)상에 2진수 0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루우프 제어회로(206)의 타이머(213)가 리이드(203)상에 접지에 의하여 복구시키며 결과적으로 리이드(204)의 신호(TS)가 2진수 0으로 된다. 루우프 제어회로(206)디지틀 모오드가 가입자(A)에 의하여 발생된 리이드(DS)상의 2진수 1을 통하여 공통 제어 유니트(CCA)를 신호한다.
채널유니트(CUB)에서 채널유니트(CUA)의 회로(209)와 등가인 상충회로는 가입자(B)가 아날로그 모오드이고(VS는 논리1), 가입자(A)는 디지틀 보오드(VT논리 0)인 것을 검출한다. 결과적으로 채널유니트(CUB)의 상충계전기(R3)는 가입자(B)에게 접점(R3-1)을 통하여 FED톤을 발생하는 동작을 한다. 가입자(B)는 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하여 FED톤을 수신한다. 가입자(B)는 디지틀 모오드에 스위치한다.
채널 유니트(CUA)의 디지틀 하이브릿트(DH)는 FEV(for end voice)문자를 인터페이스(IUA)에 보낸다. 한 FEV문자는 2진수 0가 리이드(DT)에 나타나는 동안 상충회로(209)의 계전기(R4)가 (DS)상에 있는 2진수 1이 되는 즉시 동작할때 접점(R4-1)를 통하여 가입자(A)에 보내진다. 리이드(DS)는 가입자(A)가 디지틀 모오드로 스위치되기 때문에 2진수 1신호를 운반하고 리이드(DT)는 가입자(B)가 아직 아날로그 모오드이기 때문에 2진수 0을 운반한다. 제 1 도를 참고하면 FEV 신호는 FEV 검출기(108)에 의하여 연결기(107)로 부터 수신된다 검출기(108)는 가입자(B)가 아날로그 모으드라는 사실을 나타낼 수 있도록 램프(109)나 다른 지시기가 켜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충된 상황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입자(A)는 가입자(B)가 디지틀 모오드로 변환할 수 있도록 몇분간을 기다릴수 있으며 또한 아날로그 모오드로 다시돌아갈 수 있다. 가입자(B)가 디지틀모오드로 스위치되었다고 가정하면 가입자(A)의 대한 이미 기술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이 가입자(B)의 인터페이스(IUB)와 채널 유니트(CUB)에서 반복될 것이다. 이제 가입자(A)와 가입자(B)사이에 양방향의 디지틀 통신이 시작된다.
채널 유니트(CUA)의 전류모니터(200)는 루우트(LA)를 통하여 계속하여 전류의 흐름을 감시한다. 루우프(LA)상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가입자(A)의 동작모오드를 계속하여 지시해준다. 마찬가지로 루우프(LB)상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가입자(B)의 동작모오드를 계속하여 지시해준다, 채널유니트(CUA)도 채널유니트(CUB)로 부터 또 그 반대로 수신된 신호와 비트(A)와 (B)의 연속되는 패턴에 의하여 가입자(B)의 동작모오드를 안다. 그래서 가입자(A)의 가입자(B)의 동작 모오드 상태를 루우프(LA), 루으트(LB) 및 운반설비(T1)상의 상기 신호 조건을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다시 제 1 도를 참조하면 가입자(A)가 디지틀 모오드에서 통신을 끝내기를 원하다고 가정하자. 스위치훅(SH)의 메이크 접점(M)은 루우프(LA)에 흐르는 방해 전류를 개방한다. 스위치 훅(SH)의 브레이크 접점(B)은 리이드(T)와 (R)을 가로 질러 링거(R1)와 접속한다. 링거(R1)은 직류는 도통하지 않으므로 이때는 루우프(LA)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계전기(R1)는 흐르는 전류의 인터럽션에 의하여 복구된다. 메이크 접점(R1-1) 개방되면 루우프 상태 회로(206)내의 타이머(213)는 루우프 상태회로(205)가 일시적으로 공통제어유니트(CCA)에서 오프-훅크 신호를 유지하도록 리이드(204)상에 전송신호(TS)를 발생한다. 루우프 제어신호(206)는 디지틀 하이브릿드(pH)를 분리시키고 선(201)과 루우프(LA)의 T와 R리이드를 가로질러 밧데리를 반전시키는 계전기(R2)에 동작한다. 전화기(SA)가 지금 온-훅크 상태이기 때문에 흐르는 전류가 인터럽터된 상태를 유지한다. 선정된 시간 기간동안 계속되는 루우프(LA)상에 전류 인터럽션후에 루우프 제어회로(206)의 타이머(213)는 시간이 끝나고 전이 신호(TS)선 (204)에서 사라진다. 루우프 상태회로(205)는 리이드(203)이 접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공통제어 유니트(CCA)에 모오드 종료 온-훅크 신호를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공통 제어 유니트(CCA)는 채널유니트(CUA)에서 채널유니트(CUB)로 보내진 아날로그 온-훅크 조건( A=0, B=1)을 일으킨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비트 A=0, B=1조건은 중앙국(COA)과 중앙국(COB)을 현존하는 스윗칭 접속(403)과 (405)를 각각 분리되도록 하여 가입자(A)와 (B)사잉의 접속을 종료시킨다. 채널 유니트(CUA)는 작동하지 않을 때(on-hook) 보이스 모오드로 변한다.
가입자(A)와 (B)사이에 디지틀 접속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두 가입자중 하나는 아날로그 모오드로 되돌릴 수 있다. 가입자(A)가 변하기 시작한다고 가정하면 인터페이스(IUA)의 스위치(SW1)는 T리이드에 연결기(107), 다이오드(P2), 스위치(SWI) 및 메이크 접점(M)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인터럽트하는 위치(V)로 이동한다.
전류모니터(200)은 루우프 저류 인터럽션을 검출하여 계전기(R1)를 복구시킨다. 루우프 제어회로(206)의 타이머(213)는 공통제어 유니트(CCA)에 오프-훅크 신호(SL)를 유지하는 루우프 상태 회로(205)신호 (TS)를 전달한다. 루우프 제어회로(206)도 역시 계전기(R2)를 동작하여 데이타 하이브릿드(DH)를 분리하고 선(201)과 스위치(SWA) 통하여 루우프(LA)상에 밧데리를 반전시키는 보이스 하이드릿드(VH)를 접속한다. 전류가 루우프(LA)상에 다시 흐르면 전류는 리이드(T)에서 리이드(R)로 흐른다. 계전기(R1)는 동작하여 메이크 접점(R1-1)을 통하여 루우프 제어회로(206)의 타이머(213)을 리세트한다. 메이크 접점(R1-1)은 선(203)상에서 접지하여 루우프 상태회로(205)가 공통 제어유니트(CCA)에 오프-훅크 신호를 유지하게 한다. 루우프 제어회로(206)는 리이드(VS)에 2진수 1신호를 공급하고 가입자(A)에 대하여 아날로그 모오드를 나타내는 리이드(DS)에 2진수 0신호를 공급한다. 공통 제어유니트(CCA)가 리이드(DS) 및 (VS)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통장치(CEA)에 의하여 발생된 보이스 모오드 A=1, B=0 비트 패턴을 일으킨다. 상충회로(209)는 리이드(VS)상에 2진수 1신호를 수신하여 2진수 1신호가 리이드(-VT)상에 존재하면 계전기(R3)를 복구한다. 2진수 1신호는 가입자(B)가 아날로그 모오드에서 스위치되어 A=1, B=0 비트 8패턴이 가입자(B)로 부터 리이드(RB8)에 수신되면 리이드(VT)상에 존재할 것이다,
가입자(B)가 아날로그 모드에서 스위치되지 않는다면 리이드(VT)는 2진수 0신호를 운반하여 상충회로(205)의 계전기(R3)는 동작된다. 결과적으로 메이크 접점(R3-1) FED (for end digital)톤을 허용하여 하이브릿드(VH)가 가입자(A)에 전달된다. 가입자(B)가 아날로그 모오드에서 스위치되면 계전기(R3)는 복구되어 메이크 접점(R3-1)은 리이드(RPAM)와 변환기(P/A)를 통하여 가입자(B)에서 가입자(A)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한다.
채널 유니트(CUB)(도시되지 않았음)에서 가입자(A)가 디지틀 모오드에서 아날로그 모오드로 가입자(B)가 아날로그 모오드로 변환할때까지 가입자(B)에게 보내는 FEV 제어 모오드로 귀착한다. 인터페이스(IVB)에서 FEV 문자는 가입자(B)에게 가시적 신호가 된다. 가입자(B)가 아날로그 모오드에서 스위치되면 가입자(A)에 대하여미리 기술한 일련의 사상의 전이가 가입자(B)의 인터페이스 유니트(IUB)와 채널 유니트(UB)에 일치하여 일어난다.
가입자(B)가 디지탈 모오드에서 아날로그 모오드로 전이된 후에 채널 유니트(CUA)와 (CUB)는 아날로그 접속이 끝나는 것을 지시하는 각각 가입자(A) 및(B)에 접속이 끝나는 것을 지시하는 각각 가입자(A) 및 (B)에 신호를 보낸다. 아날로그 하이브릿드의 동등화 또는 균등화는 아날로그 모오드 전이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아날로그 모오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루우프(LA)의 T리이드에서 R리이드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채널 유니트(CUA)에 인터페이스(IUA)를 통하여 가입자(A)의 동작상태를 계속해서 지시해 준다. 채널(CUA) 역시 채널 유니트(CUB)로 부터 중계선(T1)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화 비트 A=1, B=0의 계속적인 패턴에 의하여 가입자(B)의 동작 모오드 상태를 안다. 비슷한 방법으로 채널 유니트(CUB)는 계속 가입자(A)와 가입자( B)의 상태를 지시를 가진다.

Claims (1)

  1. 통신 시스템의 중앙국(COA)과 선단자 사이의 정보 전송 모오드를 식별하고, 선단자 조건과 모오드 아이덴티티를 구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스위치 장치(R2)가 제 1 전송 모오드를 나타내는 어떤 한 극성의 신호를 선단자(SA)에 제공하고, 제 2 스위치 장치(SW1)가 상기 선단자에서 상기 신호를 인터럽트하며, 제어장치(206)는 상기 제 1 스위치 장치가 제 2 전송 모오드를 나타내는 반대극성으로 상기 신호를 상기 선단자에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신호 인터럽션에 응답하며, 상기 신호의 존재 여부가 선단자 조건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전송 모오드의 식별 및 모오드 아이덴티티의 구별장치.
KR8204293A 1981-09-24 1982-09-23 통신 시스템의 전송모오드를 신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880000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5,124 1981-09-24
US06/305,124 US4421951A (en) 1981-09-24 1981-09-24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ing the transmission mode of a communication system
US305124 1981-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976A KR840001976A (ko) 1984-06-07
KR880000961B1 true KR880000961B1 (ko) 1988-06-04

Family

ID=2317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293A KR880000961B1 (ko) 1981-09-24 1982-09-23 통신 시스템의 전송모오드를 신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421951A (ko)
EP (1) EP0088786B1 (ko)
JP (1) JPS58501532A (ko)
KR (1) KR880000961B1 (ko)
CA (1) CA1177984A (ko)
DE (1) DE3267704D1 (ko)
ES (1) ES8401815A1 (ko)
GB (1) GB2130845B (ko)
WO (1) WO1983001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75964A (en) * 1982-02-22 1984-10-09 John A. Barsellotti Two wire voice and data subscriber loop
US4685123A (en) * 1985-09-13 1987-08-0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Communication system having voice and data capability
JPS6390263A (ja) * 1986-10-02 1988-04-21 Canon Inc パ−ソナルコンピユ−タ
US4884667A (en) * 1987-07-22 1989-12-05 Isuzu Motors Ltd. Automatic change gear control means
US5388146A (en) * 1991-11-12 1995-02-07 Microlog Corporation Automated telephone system using multiple languages
US5408524A (en) * 1993-03-29 1995-04-18 Xel Communications, Inc. Answer supervision over pulse code modulated carrier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6813353B1 (en) * 2000-04-12 2004-11-02 Adtran, Inc. Redundant operation of ring voltage generators utilizing voltage bus segmentation for fault iso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3109B (de) * 1964-05-20 1965-05-2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Unsymmetrisches Gleichstrom-Signalverfahren ueber zweiadrige Fernmelde-, insbesondere Fernsprechleitungen und Anordn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3505475A (en) * 1966-07-20 1970-04-07 Bell Telephone Labor Inc Data set for polar current loop signaling
US3566032A (en) * 1968-12-23 1971-02-23 Bell Telephone Labor Inc Direct-current data set arranged for polar signaling and full duplex operation
SU440805A1 (ru) * 1970-01-12 1974-08-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1221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паренного включени телефонного и телеграфного аппаратов
DE2320092C2 (de) * 1973-04-19 1975-02-2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Schaltungsanordnung für Fernmeldeanlagen, in denen Verbindungswege für verschiedene Arten der Nachrichtenübermittlung benutzbar sind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JPS5075707A (ko) * 1973-11-07 1975-06-21
US3908086A (en) * 1974-06-03 1975-09-23 Redactron Corp Method for establishing a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wo full duplex modems
JPS5555654A (en) * 1978-10-20 1980-04-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election unit for telephone line
JPS5555655A (en) * 1978-10-20 1980-04-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election unit for telephone line
US4306116A (en) * 1979-12-03 1981-12-15 Intertel, Inc. Communications unit for voice and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88786B1 (en) 1985-11-27
ES515919A0 (es) 1983-12-16
ES8401815A1 (es) 1983-12-16
JPS58501532A (ja) 1983-09-08
WO1983001169A1 (en) 1983-03-31
EP0088786A1 (en) 1983-09-21
GB2130845A (en) 1984-06-06
DE3267704D1 (en) 1986-01-09
CA1177984A (en) 1984-11-13
US4421951A (en) 1983-12-20
GB2130845B (en) 1985-10-09
KR840001976A (ko) 1984-06-07
EP0088786A4 (en) 198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965B1 (ko)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장치
CA1274009A (en) T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mmon local path medium and local time slot for intraoffice calls
US5142571A (en) Digital telephone set having an emergency switching fun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A1089134A (en) Telephone station set interface circuit
KR880000961B1 (ko) 통신 시스템의 전송모오드를 신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4233891A (ja) ボタン電話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
GB2221123A (en) Digital telephone system
CA1122735A (en) Telephone station with automaticswitch-over between pulse code dialling and multifrequency code dialling
US6330235B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over an existing telephone network without interfering with normal telephony functions
JPS6120458A (ja) 話中音信号変換回路
RU204086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елефонный концентратор
US2568138A (en) Combined line and tripping relay circuit for telephone lines
JPS645790B2 (ko)
RU2292125C2 (ru) Система для адаптации обычной телефонной лини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локальной сет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голоса
JPH0420318B2 (ko)
US20020196932A1 (en) Dual mode-configurable digital access mechanism
JPH09312691A (ja) 回線のバックアップ方式及びバックアップ装置
JPS61100094A (ja) アナログ電話機併設方式
JPS5817756A (ja) 音声通信方式
JPS59123394A (ja) 共同加入電話方式
HUT6416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elephone sets
JPH06113041A (ja) オフトーク通信システム
JPH03265341A (ja) データ通信機械器接続装置
JPH0252545A (ja) 有線無線電話機
JPH1013950A (ja) 構内コードレス電話接続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