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565B1 -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profile bar)로 이루어지는 골조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profile bar)로 이루어지는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565B1
KR880000565B1 KR8203173A KR820003173A KR880000565B1 KR 880000565 B1 KR880000565 B1 KR 880000565B1 KR 8203173 A KR8203173 A KR 8203173A KR 820003173 A KR820003173 A KR 820003173A KR 880000565 B1 KR880000565 B1 KR 880000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using
coupling
eccentric pin
profile ba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748A (ko
Inventor
하켄 베르그 디이터
Original Assignee
한스 슈테거
옥타놈-페어트맆스-게젤샤프트 미트 베스랭크터 하프퉁 퓌어 바우 엘레멘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슈테거, 옥타놈-페어트맆스-게젤샤프트 미트 베스랭크터 하프퉁 퓌어 바우 엘레멘테 filed Critical 한스 슈테거
Publication of KR84000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12/42Joints for furniture tubing connecting furniture tubing to non-tub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5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the tubes being drawn towards each other
    • F16B7/0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the tubes being drawn towards each other by rotating an eccenter-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7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e.g. by expanding, behind the flanges of a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20Connections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behind a blind side of an element to be connected
    • F16B2200/205Connections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behind a blind side of an element to be connected the hook being a separate re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4Branched
    • Y10T403/341Three or more radia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4Three or more members connected at single loc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5Joints and connections having a joining piece extending through aligned openings in plur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per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profile bar)로 이루어지는 골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골조에 있어서 결합되기전의 해제 위치를 나타내는 제3도의 Ⅰ-Ⅰ선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골조에 있어서 결합 고정위치를 나타내는 제4도의 Ⅱ-Ⅱ선 측 단면도.
제3도는 제1동의 Ⅲ-Ⅲ선 종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종단면도.
제5도는 결합부재의 가동소요가 프로우필 바아속의 결합부재에 대해 삽입 제거가 용이한 위치에 있을 경우의 제3도와 같은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3가지 요소중 하나인 호울딩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3가지 요소중 하나인 지지 하우징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하부재의 3가지 요소중 하나인 편심핀에 대해 공구가 수용되는 비틀림 형상체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절결한 일부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프로우필 바아 12 : 공간부
14 : 절결홈 20 : 결합부재
21 : 고정결합 돌출부 22 : 결합훅
23 : 지지하우징 24 : 박판스트립
25 : 편심핀 27 : 절결부
29 : 지지하우징의 지지구역 30 : 편심핀의 작동단부
46 : 쐐기면 52 : 오프셋
53 : 탄성설편 61 : 호울딩부재의 제어부
65 : 정합사면 70 : 프로우필바아의 판통공
본 발명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로 이루어지는 골조에 관한 것이다. 그 연결은 지지하우징과 그 지지하우징속에 종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편입된 호울딩부재로 구성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결합부재는 지지하우징의 말단에 고정된 결합돌출부를 바아의 단부밖으로 내놓은채 전체가 제1프로우필바아의 공간부에 삽입된다. 또한 결합훅을 갖는 호울딩부재의 자유단이 지지하우징의 2개의 결합돌출부 사이에 편입되며 동시에 제1 프로우필바아의 단부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의 결합돌출부와 결합훅이 수지기둥등의 제2프로우필바아의 종방향 절결홈속으로 삽입되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고정은, 제1프로우필바아에 가로 뻗으며 지지하우징속에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고 호울딩부재를 통과하는 편심 핀에 의해 완성된다. 편심핀의 작동단부는 결합부재를 수용하는 프로우필바아의 관통공에 꼭들어 맞는다. 편심핀을 회전시키면 편심이 지닌 편심으로 인해 호울딩 부재가 프로우필바아의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결합훅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지지하우징에는 내측상방으로 뻗는 쐐기면이 있고 호울딩부재에는 스프링힘에 의해 그 쐐기면에 압박되는 정합사면이 준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훅은 동시에 프로우필바아에 대한 횡방향운동도 일으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골조의 결합부재는 특이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우선 결합되기 전의 최초 배열을 보면 가동결합훅이 2개의 결합돌출부사이에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놓여 있다. 따라서 결합장치가 맞물릴 프로우필바아의 종방향 홈은 단지 하나의 결합장치, 예을 를면 고정결합돌출부만을 수용하는데에 필요한 크기이상의 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기에 덧붙여 결합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를 설치한 프로우필바아는 결합동작의 도중 혹은 그후에 있어서 2개의 고정결합돌출부에 의해 그 위치를 명확히 규정지을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결합부재는 또하나의 특이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결합훅은 결합돌출부에 대한 횡방향 운동뿐 아니라 종방향운동까지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 때문이다.
이러한 2가지 운동요소의 동시적인 작용으로 2개의 프로우필바아 사이에는 매우 안전하고도 강력한 연결이 가능해 진다.
횡방향 운동요소에 의해 절결홈 개구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표면에 대해 2개의 결합장치는 고정된다.
이 고정은 결합훅이 횡방향으로 한 쪽의 내표면에 접근 이동될때 2개의 결합돌출부는 계속 반대쪽의 내표면에 압압되어 있음으로 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횡운동중에 결합훅은 결합돌출부와 이루고 있던 수평면을 벗어나 인접한 종방향으로 절결홈의 벽뒤로 이동한다.
이때 동시에 작용하는 종방향 운동요소에 의해 결합훅은 종방향 절결홈벽의 내표면을 밀게되며 따라서 하나의 프로우필 바아를 결합부재가 포함된 다른 하나의 프로우필바아 표면에 강하게 압박한다. 이와같이 하여 한 쪽의 프로우필바아가 다른쪽을 프로우필바아에 압박된다.
종래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골조는 독일 실용신안 제731 71203.0에 알려져 있는데 거기에서는 결합부재가 수많은 세목들로 구성되어 제작비가 비싼것은 물론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결합부재의 설치에 요구되었다. 그러한 결합 부재중 호울딩부재는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며 이 판은 편심핀에 저지되는 스프링에 의해 그 자체의 경사면의 지지하우징의 쐐기 면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편심핀을 지지하우징에 고착시키기 위해 핀축에 안전링이나 링모양의 어깨와 같은 특별한 자리잡기 수단을 붙일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자리잡기 때문에 결합부재를 수용할 프로우필바아의 공간부 내에 각 요소들을 결합하는 일이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의 힘에 의해 핀은 항상 프로우필바아의 관통 공밖으로 밀려나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지지 하우징에 대한 핀의 자리잡기는 거의 필수적이다. 게다가 결합부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파손된 스프링을 대체시키는 일과 같이 이미 설치된 결합부재를 제거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형태를 가지면서도 빠르고 손쉬운 조립이 가능한 골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발명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는 극히 간편하게 조립 및 해재가 가능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프로우필바아의 삽입 및 제거가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하우징, 박판스트립으로 특별히 만들어진 호울딩부재, 그리고 편심핀의 3요소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호울딩부재의 박판스트립에서 갈라져 나온 탄성설편은 두가지 스프링기능을 갖는다. 하나는 호울딩부재의 정합사면을 지지하우징의 쐐기면에 압박시키는 것이며 다른기능은 편심핀에 푸쉬버튼과 같은 탄성력을 부여하여 그 편심핀에 축방향 압력을 가하면 프로우필바아의 관통공을 벗어나 지지하우징내로 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때문에 결합부재의 프로우필바아에 대한 삽입 및 제거가 손쉽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재는 관통공이 있는 프로우필바아에 삽입된 3가지 상기 요소로부터 미리 조립되는 하나의 조립체이다. 삽입을 위해 필요한 일은 편심핀의 작동단부를 상기한 대로 축방향으로 누르는 일이다.
결합부재가 프로우필바아의 공간부에 마련된 소정위치에 이르면 즉시 상기 작동단부는 자동적으로 프로우필바아의 관통공에 삽입된다. 특히 지지하우징의 상기 고정결합돌출부에 프로우필바아의 표면과 마주보는 자리잡기 어깨가 제공되어 있다면 위와같은 삽입은 결합부재를 정확하게 프로우필바아속에 위치결정한다.
따라서 결합부재를 프로우필바아에 고착시키기 위한 그밖의 어떤 체결요소도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호울딩부재의 한쪽에 그리고 탄성설편의 반대편에 위치한 핀의 제어편심원판이 하나의 멈춤부 역활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외면이 지지하우징의 내측벽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는 편심핀에 의해 형성된 "푸쉬버튼"의 눌려지지 않은 초기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편심핀의 작동단부는 지지하우징으로부터 튀어나와 프로우필바아의 관통공속으로 일정범위까지 삽입되어 있다.
이 "푸쉬버튼"을 누르면 편심원판에 의해 호울딩부재의 제어단이 들어 올려지고 따라서 탄성설편의 변형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호울딩부재가 지닌 몇가지 기능으로 인해 결합부재의 몇몇요소 및 그것의 프로우필바아내의 고착이 가능하다. 우선 박판스트립의 전단부에는 결합훅이, 후단부에는 편심핀에 작용하기 위한 제어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단은 일방향 돌출부들로 이루어지며 호울딩부재표면에 레일과 같은 굽은 모서리 스트립을 형성하고 여기에 지지되어 있는 편심원판이 편심핀의 회전동작에 따라 호울딩부재를 내측혹은 외측으로 밀거나 당긴다. 호울딩부재의 두번째 기능은 이미 기술한 탄성설편의 구가지 스프링기능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호울딩 부재와 지지하우징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과 편심핀에 푸쉬버튼효과를 주는 기능이다.
호울딩부재의 세번째 기능은 편심핀을 지지하우징내에 위치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세번째 기능은 다음과 같이 하여 달성된다.
편심핀과 함께 호울딩부재를 지지하우징내에 삽입시킬 경우의 편의를 위해 지지하우징의 후단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있다. 이때 별도의 자리잡기수단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편심핀이 그 절결부 밖으로 빠져나갈 위험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위험을 편심핀의 둘레속박과 박판스트립의 굴곡에 의한 정합사면에 계합되는 쐐기면에 의해 간단히 해결된다. 이 계합은 박판스트립에 형성된 탄성설편의 상기 스프링작용으로 확실히 보장된다.
이상과 같이 탄성설편은 편심핀을 절결부의 설치위치에 정확히 고착시키는 세번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지지하우징의 2개의 돌출부사이의 공간은 이하에 기술할 이점을 갖는 쐐기면이 마련되어 있다.
첫째, 쐐기면은 프로우필바아의 전면에서 비롯되며 넓게 퍼져있기 때문에 결합상황에서 그 표면은 절결홈개구가 계합된다.
또한 2개의 결합돌출부사이의 연결로 인해 각 결합돌출부의 상호위치를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쐐기면에 대한 호울딩부재의 해당부분은 매우 짧기때문에 호울딩부재를 위해 탄성적인 박판스트립을 사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게 된다. 둘째, 쐐기면의 연장은 지지하우징의 이부근에 재료퇴적을 일으키며, 그 재료퇴적은 바깥면에 대해 하나의 측벽을 이루고, 이 측벽의 내부에 조립 및 해제시 호울딩부재의 안재 역활을 할 수 있도록 관계표면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경우 관계표면은 재료퇴적과 일체를 이룬다. 이와 유사한 관계표면이 편심핀이 위치한 지지구역에도 제공된다.
결합상황에서 편심핀의 "푸쉬버튼기능"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지지하우징에 멈춤부를 형성시키고 결합상황에서 호울딩부재의 가동부가 통과하는 통로에 돌출되도록 하여 저지역활을 맡도록 했다.
멈춤부는 물로 제거상황에서는 상기 통로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탄성설편은 자신의 기능을 적절히 분배하기 위해 박편스트립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그 스프링힘은 전단부의 결합훅과 후단부의 제어단에 동등하게 작용되어 상기 설명한 스프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호울딩부재의 고착을 위해 결합훅은 단지 2점에서만 절결훔벽의 내표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결합훅의 모서리에 곡율을 부여함으로써 간단히 해결된다.
이하에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프로우필바아(10, 11)를 연결하기 위해 결합부재(20)가 사용되며, 상기 결합부재(20)는 속이 빈 바아(10)의 공간부(12)에 삽입되고, 그 전면(13)으로 부터는 결합장치(21, 22)가 돌출되어 있다. 제2도 및 제4도의 결합상황에 결합장치(21, 22)는 또하나의 프로우필바아(11)의 종방향 절결홈(14)과 결합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또하나의 프로우필바아(11)는 주위에 8개의 종방향 절결홈(14)을 갖는 수직 8각기둥이다.
결합부재(20)는 지지하우징(23), 호울딩부재로 작용하는 박판스트립(24) 그리고 편심핀(25)의 3요소로 구성되는 조립체이다. 이 요소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하우징(23)은 직사각형으로서 프로우필바아(10)의 공간부(12)에 정합되는 단면을 갖는다.
지지하우징(23)은 다음에 설명하는 양측부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전면에서 후면까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실제적으로 하우징(23)은 단지 둘레벽들로만 구성된다.
전면측벽(26)(제8도의 전면에 위치함)은 지지하우징(23)의 내측말단부근에 절결부(27)를 가지며, 이 절결부(27)에는, 안쪽으로 모서리가 파여있고 편심핀(25)과 함께 박판스트립(24)을 설치하는 경우의 삽입구 역활을 하는 계단(28)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7)는 편심핀(25)의 작동단부(30)가 갖는 크기에 호응하는 원호상의 지지구역(29)과 연결된다.
제8도의 절결부(27)를 통해 볼수 있듯이 하우징(23)의 후면측벽(31)에는 지지구역(29)의 원호상 동축상에 개구(32)가 형성되어 편심핀(25)의 저어널(23)을 받아 들이도록 되어 있으나, 제3, 4도에서 볼수 있듯이 저어널의 전단부(34)가 형성되어 편신핀(25)의 저어널(33)을 받아 들이도록 되어 있으나, 제3, 4도에서 볼수 있듯이 저어널의 전단부(34)는 최초설치위치에서는 개구(32)의 약 ½깊이만 침입하도록 되어 있다.
개구(32)에 대한 이러한 부분침입(제9도의 지지하우징(23)에 대한 평면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온 오프셋되어 저어널(33)을 단지 제9도에서와 같이 개구(32)의 좌측에 의해서만 지지한다. 또한 후면벽(31)상에는 개구(32)의 전면우측에 참단 스트립(35)이 종방향으로 뻗어있다.
첨단스트립(35)의 내측단부(36)가 저어널(33)의 둘레에 접촉되어 있다. 삽입을 위해, 박판스트립(24)에 설치된 편심핀(25)의 저어널(33)에는 비스듬하게 뻗는 조립홈(37)(제10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7)은 핀(25)이 이미 기술한 스트립(35)의 첨단을 따라 절결부(27)속으로 삽입될때 편심핀(25)의 정렬된 회전위치를 결정한다.
지지하우징(23)은 아연다이 캐스팅제품으로서 주형의 세목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위해 전면창(38)(제8도), 상면창(39)(제9도) 그리고 후면창(40)(제5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창들은 각각 지지하우징(23)에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창들은 조립과정의 관찰에 사용되며 또한 편심핀(25)을 구비한 박판스트립(24)의 말단을 관찰하는데에도 유용하다.
이 창들은 제9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전후벽(26, 31)의 양면내의 측면관찰도 가능하다.
후면측벽(31)에는 개구(32)및 두께부(41)가 있으며 그 전면에는 해제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사면(42)이 있다. 두께부(41)는 평평한 내벽(43)으로 연결된다.
전면창(38)너머로 전면측벽(26)의 반대쪽 내표면에 또하나의 경사면(44)이 지지하우징(23)의 반대쪽에 있는 창(38)에서 비롯되어 솟아 있으며 두께부(45)으로 연결된다.
그 두께부는 짧은 폭을 지니며 곧 하우징(23)의 앞쪽을 향해 급격히 경사하여 쐐기면(46)을 형성한다.
제8, 9도에서 명백하듯이 쐐기면(46)의 끝머리(47)는 지지하우징(23)의 전면단부(48)를 지나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전단면부(48)를 넘어 한쌍의 고정결합돌출부(21)가 돌출되어서 이미 기술한대로 결합부재(20)의 한 결합장치를 이룬다.
결합돌출부(21)는 지지하우징(23)의 상하면측벽에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하면 측벽바깥으로 돌출된 대략 화살모양의 돌출부(21)에는 (제2도에서 볼수 있듯이)조립시에 프로우필바아(10)의 전면(13)의 앞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어깨(48)(제8도)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이 일으키는 멈춤효과때문에 프로우필바아(10)의 공간부(12)로 들어가는 결합부재(20)의 삽입깊이가 결정된다. 제9도에서 돌출부(21)는 상승경사면(5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또하나의 프로우필 바아(11)의 종방향 절결홈(14)속에 결합장치를 삽입하는 일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쐐기면(46)이 하우징단부(48) 바깥까지 뻗어있기 때문에 2개의 결합돌출부(21)는 연속되는 쐐기형웨브(51)(제8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박판스트립(24)은 제6, 7도에서 볼 수 있듯이 특별한 모양을 갖는다. 그박판 스트립(24)의 전면에는 뒷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면 만곡된 모서리(58)를 갖는 훅(22)이 형성되어 결합부재(20)에 가동결합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박판스트립(24)의 중앙부(57)에는 U형의 절결부로부터 끝이 구부러진 탄성절편(53)이 갈라져 나와 있다.
그 중앙부에는 또한 박판스트립(24)을 Z형으로 굽혀놓은 부분이 있다. 박판스트립(24)의 안쪽에는 절결홈(54)이 형성된 제어부(61)가 있으며, 이 절결홈(54)의 한쪽 모서리에는 스트립(24)의 측표면(62)바깥으로 경사지게 돌출한 스트립(55)이 형성되어 있다.
박판스트립(24)의 말단에는 스트립 55와 같은 방향으로 말단스트립(56)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스트립55,56이 형성된 측표면(62)은 설편(53)이 일정각도 굽혀져 있는 측표면과 반대방향에 놓여 있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 저어널(33)이 있는 편심핀(25)은 그 핀(25)의 편심원판(63)이 지닌 내표면(64)(제10도)에 의해 박판스트립(24)의 상기 측표면(62)에 멈춤될때까지 절결홈(54)속으로 삽입된다. 이와같이하여 편심원판(63)의 직경의 양끝점은 2개의 스트립(55,56)사이에 놓이게 된다.
편심핀(25)을 지닌 박판스트립(24)은 상기한 대로 지지하우징(23)의 절결부를 통해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42, 44)이 박판스트립(24)을 측벽(31, 26)의 내표면을 따라 지지하우징(23)속으로 안내한다.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부재(20)의 요소들의 제1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은 위치를 차지한다.
이때 결합훅(22)은 지지하우징(23)의 바깥쪽에서 2개의 결합돌출부(21)사이에 위치한다.
오프셋(52)이 쐐기끝머리(47)의 전면에 계합되고 그 오프셋의 정합사면(65)(제6도)은 쐐기면(46)에 정합된다.
탄성설편(53)의 자유단은 지지하우징(23)의 상기 내벽(43)에 압박된다. 말단스트립(56)은 편심핀(25)의 뒷쪽에서 편심원판(63)에 계합하며 따라서 편심편(25)을 개구(32)가 형성된 상기 지지구역(29)에 고착시킨다.
이와같이 결합부재의 3요소 즉, 지지하우징(23), 박판스트립(24), 편심핀(25)은 별도의 고착장치의 도움없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룬다.
편심원판(63)의 외표면(66)(제10도에서 볼 수 있음)은 박판스트립(24)의 말단제어부(31)에 의해 지지하우징(23)의 전면 측벽(26)의 내표면과 접촉하고 있다.
탄성설편(53)의 스프링힘이 편심핀(25)의 작동단부(30)를 지지하우징(23)밖으로 밀어서 돌출시키고 있다. 단지 3요소만 조립구성되는 결합부재(20)는 미리 제작된 구조단위로 판매될 수 있다. 이 구조단위는 전면(13)의 개구를 통해 프로우필바아(10)의 공간부(12)도 삽입된다. 지지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편심핀(25)의 작동단부(30)는 제5도의 화살표(67)방향으로 푸쉬버튼처럼 눌려질 수 있다. 핀(25)을 누르게 되면 탄성설편(53)은 탄성변형을 일으키고 저어널(33)의 전단부(34)는 제3도에 나타난 개구(32)의 공간(68)으로 삽입된다.
화살표67방향으로 이러한 누름은 상기 자동단부(30)전체를 지지하우징(23)의 외표면 바로 밑까지 이동 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하우징에 대한 작동단부(30)의 간섭이 소멸되기 때문에 전체결합부제(20)는 제2도에서 이미 설명한대로 전면(13)과 2개의 결합돌출부의 뒷쪽어깨(49)에 의한 멈춤효과가 일어날때까지 화살표69의 방향으로 프로우필내에서 밀려질 수 있다.
멈춤이 발생되었을 때 편심핀(25)은 프로우필바아(10)의 한쪽 측벽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관통곡(70)과 축정렬된다.
편심핀(25)에 작용하는 화살표 67방향의 입력이 해제되면 작동단부(30)는 탄성설편(53)의 탄성변형의 이완에 따라 재차 밀려나고 따라서 관통공(70)속으로 삽입된다.
이 최후상태가 제1도 및 제3도의 후단부에 나타나 있다. 작동단부(30)를 프로우필바아(10)의 관통공(70)에 계합시킴으로써, 결합부재(20)는 프로우필바아내에 고착되며 이탈이 방지된다.
이 이탈은 제5도에서처럼 화살표 67방향으로 의식적인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결합부재(20)를 화살표 71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비로소 가능하다.
탄성설편(53)의 스프링힘은 이와같이 결합부재(20)의 말단부를 프로우필바아(10)내에 위치시키는 역활도 수행한다.
제1도 및 제3도에서 결합훅(22)은 기둥(11)의 종방향 절결홈(14)중 어느하나에 프로우필바아(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준비상태, 즉 해제상태에 있다.
이때 결합훅(22)은 제3도에서 명백 하듯이 2개의 결합돌출부(21)와 나란히 정열되어 있으며, 이 정열로 인해 결합장치(21, 22)가 지니는 측면폭(15)은 그중 어느하나의 결합장치가 갖는 폭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결합시 종방향 절결홈(14)의 개구폭(16)도 상기와 같이 정열된 결합장치(21, 22)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좁은 폭만 지니고 있으면 된다.
삽입시 프로우필바아(10)의 전면(13)은 절결홈벽의 외표면(17)에 인접한다. 편심핀(25)은 편신원판(63)의 편심부가 결합돌출부(21)를 향하는 회전위치(제1도)에 정치해 있다(제3도). 고정결합돌출부(21)에 의해 프로우필바아(10)는 프로우필바아(11)에 대해 정렬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프로우필바아(10)를 프로우필기둥(11)의 소정위치에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우필바아(10)의 관통공(70)사이로 볼수 있는 작동단부(30)의 전면에 형성괸 공구수용부(72)에 공구를 끼워 편심핀(25)을 회전시켜야 한다.
회전하게 되면 편심원판(63)은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된 위치로 박판스트립(24)의 말단 스트립(56)을 이동시킨다. 이 위치가 바로 결합부재(20)의 결합, 고정위치이다. 이 고정위치에서 표19로 나타낸 편심핀(25)의 편심부는 말단스트립(56)앞쪽에 이동되는데 이에 앞선 제1도의 해제위치에 있어서는 절결홈쪽 스트립(55)를 향하게 되는 것으로서 제3도에서 처럼 완전히 180°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와 제2도를 비교하면 바로 알 수 있듯이, 박판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호울딩부재(24)는 결합시 내측으로 소정거리(73)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훅(22)도 내측으로 밀려진다.
그러나 탄성설핀(53)으로 인한 지지하우징(23)의 쐐기면(46)과 호울딩부재(24)의 오프셋(52)이 지닌 정합사면(65)과의 접촉때문에, 호울딩부재(24)의 내향운동중 사기 정합사면(63)은 상기 쐐기면(46)에 대한 비스듬한 이용을 일으키게 되고 결국 결합훅(22)은 제4도의 화살표 74로 표시한 바와 같이 사선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 사선운동에 의해 결합훅(22)의 모서리(58)는 절결홈개구(16)의 뒷쪽에서 절결홈 내벽(18)상으로 이동되고 편심원판(63)의 고정운동중 최후단계에 도달하면 상기 절결홈 내벽(18)상에 결합축(22)을 견고히 압박시킨다.
훅(22) 모서리(58)는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제7도에서처럼 2점 접촉만을 허용한다.
고정위치에서 고정결합돌출부(21)는 훅모서리(58)의 반대편에 있는 절염홈개구의 내표면(75)에 단단히 압박되어 있다(제4도). 이와같이 하여 2개의 프로우필바아 (10, 11)는 서로 확실히 결합된다.
프로우필바아(10)의 비틀림운동은 고정결합돌출부(21)에 의해 저지된다.
제2도 및 제4도의 고정위치에서는 작동단부(30)를 탄성설편(53)에 대해 축방향으로 밀어 눌러도 프로우필바아(10)로부터 결합부재(20)를 제거하는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수에 의해 편심핀의 작동단부(30)에 축방향 압력을 가해도 결합부재(20)가 제거되어 결합되어 있던 프로우필바아(10, 11)가 해제될 염려는 없다.제8도에 명확히 나타나 있듯이 지지하우징(23)이 후면측벽(32)에는, 고정위치에서 호울딩부재(24)의 제어부(61)아랫쪽에 이동되는 블록형의 멈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때 호울딩부재(24)의 체결이 달성되며 제4도에서 볼수 있듯이 탄성설편(53)의 스프링힘에 대해 축방향의 내향압력을 가해도 눌려지지 않는다.
그러나 제3도 및 제5도와 같은 해제위치가 실현되면 호울딩 부재(24)는 그 후단부가 멈춤부(76)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고 따라서 제5도에서처럼 화살표 67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편심핀(25)은 표면이 열처리된 강으로서 제2도 및 제4도에서처럼 고정위치로 그 핀(25)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굴곡부(60)(제6도)에 의해 호울딩부재(24)의 종방향 탄성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편심핀(25)이 회전하는 경우 굴곡부(60)가 신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훅(22)의 모서리(58)는 예정된 지지력으로 절결홈 내벽(18)을 견고히 압박하게 된다.
2개의 프로우필바아(10, 11)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편심핀(25)을 제1도 및 제3도의 해제위치로 다시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편심 원판(63)은 앞쪽 스트립(55)을 압박하게 되면 호울딩부재(24)도 이미 기술한 거리(73)만큼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탄성설편(53)의 힘에 의해 정합사면(65)은 쐐기면(46)을 따라 아랫쪽으로 이동되며, 결합훅(22)은 제4도의 화살표 74와 반대방향으로 사선운동하여 2개의 결합돌출부(21)와 재차 정렬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결합훅(22)의 모서리(58)는 절결홈의 내벽(18)으로부터 해제되고 결합장치(21,22)는 종방향절결홈(14)으로부터 끌어낼 수 있게 되므로 프로우필바아(10, 11)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원리, 바람직한 실시예, 동작형태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발명의 원리, 바람직한 실시예, 동작형태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특수한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는 한정적이라기 보다는 설명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응용은 본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백히 한다.

Claims (8)

  1.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로 이루어지는 골조에 있어서, 복수개의 종방향 절결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우필바아와 결합부재의 전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지닌 또하난의 프로우필바아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적어도 한쪽의 프로우필바아에 계합되고 다른 한쪽의 프로우필바아 전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2개의 서로 다른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끼워져 있는 지지하우징의말단에 위치한 한쌍의 고정 결합돌출부와 지지하우징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호울딩부재의말단에서 상기 2개의 돌출부 사이의 위치한 가동 결합훅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하우징은 내측상방으로 뻗은 쐐기면과 그 쐐기면에 호울딩부재의 정합사면을 압박시키는 스프링수단을 포함하고, 호울딩부재를 통과하며 지지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편심핀을 구비하며, 상기핀은 프로우필바아에 대해 횡방향으로 뻗어있고 결합부재를 수용하는 프로우필바아의 관통공에 계합되는 작동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핀은 또한 회전에 의해 상기 호울딩부재를 프로우필바아의 종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지지하우징의 쐐기면과 정합사면의 협력에 의해 후울딩 부재의 말단에 있는 결합훅을 스프링수단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호울딩부재는 박판스트립으로 그 박판스트립으로부터 갈라져 나오고 굽혀지며 자신의 자유단을 지지하우징의 내벽에 압박시키고 있는 탄성설편을 스프링수단으로써 포함하며, 상기 호울딩부재는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설편에 의해 지지하우징의 쐐기면과 호울딩부재의 정합사면 사이에는 스프링힘이 발생하며, 상기 쐐기면은 지지하우징의 2개의 결합돌출부사이로 뻗어있고 호울딩 부재의 정합사면을 이루는 박판스트립의 오프셋에 의해 계합되며, 상기 오프셋은 지지하우징의 후면벽에 형성된 절결부에 편심핀을 위치시키며, 상기 절결부는 수용개구역활을 하고, 상기 탄성설편은 호울딩부재의 제어부를 통해 지지하우징 밖으로 편심핀을 밀어내는 힘을 작용시키며 동시에 핀의 자동단부를 프로우필바아의 관통공에 탄성적으로 계합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지지하우징에 조립되어 있는 경우 지지하우징의 지지구역에 설치된 편심핀은 축방향의 힘에 의해 탄성설편의 스프링힘에 반하여 그 작동단부가 프로우필바아의 관통공 밖으로 벗어날 수 있을때까지 눌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딩부재는 편심핀의 저어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종방향의 절결홈을 포함하며 그 절결홈의 양쪽에는 탄성설편의 반대편에 있는 박판스트립의 측표면상에 횡방향 스트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심핀에는 호울딩부재에 접촉외며 외표면이 멈춤부로 작용하여 지지하우징의 측면벽에 압박되어 있는 편심원판이 포함되고, 상기 편심판은 직경의 양끝에서 2개의 스트립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그 스트립중 하나는 호울딩부재의 내향추력을 일으키고 다른 하나는 호울딩부재의 외향추력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트립은 박판스트립의 굽혀진 박판모서리로 정의되며 그중 하나는 절결홈의 한 쪽끝에 형성되고 다른하나는 박판스트립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지지하우징은 호울딩부재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측벽의 안쪽에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하우징에는 호울딩부재의 고정위치에서는 호울딩부재의 일부가 통과하는 통로에 체결요소로서 돌출되어 있고 해제위치에서는 상기 통로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멈춤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6. 제1항에 있어서, 호울딩부재의 박판스트립에는 호울딩부재의 고정시에 그 호울딩부재에 종방향 탄성을 부장해주기 위해 신장이 가능한 Z형 굴곡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설편은 앞쪽의 결합훅과 뒷쪽에 제어부의 사이 즉 박판스트립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골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훅에는 그 훅이 뒷쪽에서 계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우필바아의 종방향 절결홈의 내벽과 2점접촉을 할 수 있도록 만곡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KR8203173A 1981-07-20 1982-07-16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profile bar)로 이루어지는 골조 KR880000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128595.3 1981-07-20
DE3128595A DE3128595C2 (de) 1981-07-20 1981-07-20 Gestell aus lösbar verbindbaren Profilsta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748A KR840000748A (ko) 1984-02-27
KR880000565B1 true KR880000565B1 (ko) 1988-04-15

Family

ID=613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173A KR880000565B1 (ko) 1981-07-20 1982-07-16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profile bar)로 이루어지는 골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455103A (ko)
EP (2) EP0070362B1 (ko)
KR (1) KR880000565B1 (ko)
AR (1) AR229815A1 (ko)
AU (1) AU552608B2 (ko)
BR (1) BR8204186A (ko)
CA (1) CA1171631A (ko)
DE (1) DE3128595C2 (ko)
DK (1) DK153602C (ko)
ES (1) ES272881Y (ko)
FI (1) FI822063L (ko)
GR (1) GR82663B (ko)
NO (1) NO822366L (ko)
ZA (1) ZA8248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8595C2 (de) * 1981-07-20 1990-12-06 Gebrüder Vieler GmbH, 5860 Iserlohn Gestell aus lösbar verbindbaren Profilstangen
DE3207711C2 (de) * 1982-03-04 1983-12-29 Erco Leuchten GmbH, 5880 Lüdenscheid Innenliegender Stoßverbinder zur zwangsweise stoßlückenfreien Verbindung von zwei in Längsrichtung aufeinanderfolgenden hohlprofilartigen Bauteilen
IT1169586B (it) * 1983-10-18 1987-06-03 Giovannetti F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unire tra loro pannelli in modo sbloccabile
DE3342616A1 (de) * 1983-11-25 1985-06-05 Octanorm-Vertriebs-GmbH für Bauelemente, 7024 Filderstadt Profilrohr fuer die herstellung von leicht montier- und wieder demontierbaren aufbauten
US4787769A (en) * 1984-03-19 1988-11-29 Exibelco Gmbh Connecting element
EP0166794B1 (de) * 1984-07-02 1987-11-04 Gebrüder Vieler GmbH Verbinder zum Kuppeln von Profilstangen eines Gestells
DE3437805A1 (de) * 1984-10-16 1986-04-17 Exibelco GmbH, Basel Verbindungselement
DE3607849C1 (de) * 1986-03-10 1987-08-13 Connec Ag Befestigungsvorrichtung mit einem Klemmverschluss zum Ioesbaren Angreifen an Hinterschneidungen aufweisenden Profilen od.dgl.
AU593372B2 (en) * 1986-07-23 1990-02-08 Klaric, Valda Louise Locks
EP0254287B1 (en) * 1986-07-23 1992-01-08 Valda Louise Klaric Locks
EP0254288A3 (en) * 1986-07-23 1988-08-17 Dinko Klaric Locks
AU598837B2 (en) * 1986-07-23 1990-07-05 Klaric, Valda Louise Locks
GB2215425B (en) * 1988-02-05 1992-09-02 Kaye Aluminium Ltd Improved construction element
ES2032936T3 (es) * 1988-11-28 1993-03-01 Exibelco Gmbh Elemento de union.
US4974987A (en) * 1989-07-06 1990-12-04 Matrix Exhibits, Inc. Locking devices for exhibit framework systems
RU1838675C (ru) 1989-08-24 1993-08-30 Герд Унд Бернд Филер Кг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соединени первой фигурной полой штанги, имеющей отверсти , с полостью второй фигурной штанги
DE3927979C5 (de) * 1989-08-11 2008-05-21 Vieler International Gmbh + Co. Kg Gestell aus lösbar durch einen Verbinder miteinander kuppelbaren Profilstangen
AU638140B2 (en) * 1990-06-29 1993-06-17 Valda Klaric Improved profile bar lock
DE4028605C2 (de) * 1990-09-08 1997-09-04 Zeiss Carl Fa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Operationsmikroskop
MD24B1 (ro) * 1991-07-09 1994-05-31 Parfumerii Si Cosmetice Vioric Compozitie de substante odorante
DE4132447C2 (de) * 1991-09-28 1994-02-10 Dellen Wilhelm Von Der Dipl Vo Anordnung zur Erstellung von Wand- und/oder Deckenkonstruktionen, insbesondere im Messebau
DE4216439C2 (de) * 1992-05-19 1997-02-06 Intur System Profil Gmbh & Co Spannschloß
FR2699575B1 (fr) * 1992-12-21 1995-03-24 Francois Pavageau Assemblage pour la réalisation d'ossatures porteuses ou autoportées de constructions annexes ou intégrées.
US5439310A (en) * 1993-05-25 1995-08-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United State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Connector systems for structures
DE4328859C2 (de) * 1993-08-27 1996-04-11 Intur System Profil Gmbh & Co Spannschloß
DE4424428A1 (de) * 1994-07-12 1996-01-18 Coronet Werke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Befestigen von Reinigungsgeräten
DE19500340C1 (de) * 1995-01-07 1996-05-02 Vieler Gerd & Bernd Kg Gestell aus lösbar verbindbaren Profilstangen
CH690337A5 (de) * 1995-07-27 2000-07-31 Syma Intercontinental Sa Klemmvorrichtung zum lo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stucke.
US5657604A (en) * 1995-11-27 1997-08-19 Downing Displays, Inc. Panel connector
CH690655A5 (de) * 1995-11-28 2000-11-30 Syma Intercontinental Sa Klemm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stücke.
CZ13396A3 (en) * 1996-01-16 1997-10-15 Cps Profi Mounting coupling
IT1298152B1 (it) * 1998-01-19 1999-12-20 Giovannetti F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unire tra di loro pannelli per arredamento
US6250843B1 (en) * 1998-10-01 2001-06-26 Metro Industries, Inc. Trim assembly for use with a flanged support post
US6682255B2 (en) 2000-10-05 2004-01-27 Universal Display & Fixtures Company Modular merchandising display connector
US7096637B2 (en) 2001-08-23 2006-08-29 Mcmillan John Charles Display structure and system
AU2003251599A1 (en) * 2002-06-21 2004-01-06 Skyline Displays, Inc. Framework connection system
US20050188902A1 (en) * 2003-11-28 2005-09-01 Savoie Troy S. Display table with accessory pole
CN1313740C (zh) * 2004-01-06 2007-05-02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展览架用连接锁
US20050229823A1 (en) * 2004-04-20 2005-10-20 O'sullivan Industries, Inc. Shelving system
US7357592B2 (en) * 2005-10-13 2008-04-15 Hestex Systems B.V Clamping joint system
CN100410550C (zh) * 2005-10-14 2008-08-13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展览架组件连接锁
US20070110511A1 (en) * 2005-11-14 2007-05-17 Protrend Co., Ltd. Coupling mechanism for connecting board-type shelf to vertical post of a sectional rack
CN100516562C (zh) * 2007-06-26 2009-07-22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三卡锁具
DE102007027381B3 (de) * 2007-06-11 2008-08-07 Vieler International Gmbh + Co. Kg Befestiger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Profils an ein Gegenprofil
EP2006550A1 (de) * 2007-06-23 2008-12-24 Hestex Systems B.V. Verbindungsvorrichtung
GB2453764A (en) * 2007-10-18 2009-04-22 Colebrook Bosson Saunders Prod Clamp
US8956071B2 (en) * 2009-02-12 2015-02-17 Moss Holding Company Quick release joint system for assembling frames
US20120298810A1 (en) * 2011-05-27 2012-11-29 Deming Chen Clamp for section tubes
CN102364125B (zh) * 2011-11-21 2015-11-18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一种大型锁具
US9004145B2 (en) * 2012-03-29 2015-04-14 Boothseal Llc Securable cover apparatus for trade show booths
JP5968437B2 (ja) * 2012-06-29 2016-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部品の取り付け構造
US9151060B2 (en) * 2013-10-22 2015-10-06 Stramos Oy Construction block
ES2685267B1 (es) * 2017-03-31 2019-07-17 Iriarte Christian Gonzalez Sistema de retención para uniones
IT201900000127A1 (it) * 2019-01-07 2020-07-07 Cerloj Ema Profilo estruso
US11629495B2 (en) * 2020-09-18 2023-04-18 Wei-Jan Lin Modular framing structure desig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3369355B (zh) * 2021-07-02 2022-07-29 佛山市锦裕家具实业有限公司 一种板材加工用的精准冲压装置及其冲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7591A (fr) * 1966-03-01 1967-04-21 Procédé de liaison pour éléments de construction, en particulier tubulaires, et dispositif destiné à réaliser ce procédé
DE1650975A1 (de) * 1968-01-26 1970-10-22 Johannes Jankowski Vorrichtung zum Anschliessen bzw. Verbinden von Bauelementen
CH520881A (de) * 1969-12-05 1972-03-31 Vogt Patentverwertungen Ag F Hohlprofilkonstruktion
CH555007A (de) * 1971-09-10 1974-10-15 Swoboda Hellmuth 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eines elementes mit einem eine hinterschneidung aufweisenden profil.
DE7341203U (de) * 1973-11-17 1975-06-26 Gebr Vieler Gmbh Gestell mit lösbar verbindbaren Stangenelementen
DE2732910A1 (de) * 1977-07-21 1979-02-01 Geb Weiss Karin Martens Verbindungselement eines gestelles
DE2732919A1 (de) 1977-07-21 1979-02-01 Peter Kg Gerhard Vorkonfektionierte leere schlauchhuellenabschnittsket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817518C3 (de) * 1978-04-21 1980-10-23 F. + T. Form + Technik Vertriebs- Gmbh, 4000 Duesseldorf Aus Profilteilen bestehendes Gestell
DE3107661A1 (de) * 1981-02-28 1982-09-16 geb. Weiß Karin 5090 Leverkusen Martens Verbindungsvorrichtung
DE3128595C2 (de) * 1981-07-20 1990-12-06 Gebrüder Vieler GmbH, 5860 Iserlohn Gestell aus lösbar verbindbaren Profilsta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2881U (es) 1984-01-16
ES272881Y (es) 1984-08-01
NO822366L (no) 1983-01-21
DE3128595C2 (de) 1990-12-06
US4455103A (en) 1984-06-19
GR82663B (ko) 1985-02-07
AU8552182A (en) 1983-01-27
BR8204186A (pt) 1983-07-12
EP0139954B1 (de) 1987-02-04
DK153602C (da) 1988-12-12
AR229815A1 (es) 1983-11-30
ZA824823B (en) 1983-04-27
EP0070362A1 (de) 1983-01-26
AU552608B2 (en) 1986-06-12
FI822063L (fi) 1983-01-21
DE3128595A1 (de) 1983-02-03
DK153602B (da) 1988-08-01
FI822063A0 (fi) 1982-06-10
CA1171631A (en) 1984-07-31
KR840000748A (ko) 1984-02-27
DK296882A (da) 1983-01-21
EP0070362B1 (de) 1986-02-12
EP0139954A1 (de) 198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565B1 (ko)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우필바아(profile bar)로 이루어지는 골조
US4272941A (en) Thermally-insulating connecting elements for coupling two component parts, and also compound, thermally-insulating profile members and a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EP0772380B1 (en) Printed circuit board wedge section retainer
US5209599A (en) Plug connector for hollow spacer profiles of insulating glass panes
KR100196054B1 (ko) 셀프보오링 고정구
US4974987A (en) Locking devices for exhibit framework systems
AU672068B2 (en) Spring nut device
KR950011944B1 (ko) 컨넥터(Connector)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프로파일 부재로된 프레임
US4520608A (en) Structural assembly for shower partition or the like
WO2020113915A1 (zh) 一种拉手组件和淋浴房
GB1583476A (en) Connector for two metal parts
JPH0541792B2 (ko)
US4596488A (en) Joint connector
JPH0261581B2 (ko)
JP2001050228A (ja) 部品の取付構造
GB210542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rner guide for drive rod fittings on windows, doors or the like
SK281253B6 (sk) Upínacie zariadenie na rozoberateľné spojenie dvoch profilových dielov
US4606122A (en) Shaving head frame with up and down ramps
CA2339724C (en) Plate-shaped insert part for roller blinds or other profiles
US4701067A (en) Device for snap fitting an electric apparatus onto a support bar
CN212181121U (zh) 一种快速拆装式终端盒
CN219249806U (zh) 窗帘安装支架
GB1586189A (en) Connecting device for joining a windscreen-wiper arm to a wiper blade
SU1289696A2 (ru) Полимеризационна ванна
JPH022491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