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9544A - 오디오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치의 과도적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치의 과도적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9544A
KR870009544A KR870001824A KR870001824A KR870009544A KR 870009544 A KR870009544 A KR 870009544A KR 870001824 A KR870001824 A KR 870001824A KR 870001824 A KR870001824 A KR 870001824A KR 870009544 A KR870009544 A KR 870009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pacitor
circuit
control signal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0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밀톤 돌비 레이
Original Assignee
밀톤 돌비 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톤 돌비 레이 filed Critical 밀톤 돌비 레이
Publication of KR87000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6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03G7/004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using continuously variable impedanc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4Modifications of control circuit to reduce distortion caused by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9/02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frequency-dependent 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e.g. multiple-band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9/1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9/18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for tone control and volume expan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4Frequency-independent attenuators
    • H03H11/245Frequency-independent attenuat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치의 과도적 제어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압축기 및 신장기가 각각 2개의 보조 통로, 즉, 고주파단 및 저주파단을 가지는 제 I형의 압신기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압축기 및 신장기가 각각 2개의 보조 통로, 즉, 고주파단 및 저주파단을 가지는 제 II형의 압신기 시스템의 블록도.
제3도는 압축기 및 신장기가 각각 3단으로 형성된 제 I형의 다단압신 시스템의 블록도.

Claims (35)

  1.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출력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은
    커패시터와,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출력 신호보다 서서히 변하는 제 1신호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인출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출력 신호만큼 빠르게 변하는 제2신호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커패시터상의 충전전류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인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1신호로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제1통신로에 있는 수단을 구성하고 제2신호로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제2통로에 있는 수단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의 급격한 변화는 상기출력 신호의 변화율에 따름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4. 제1,2 또는 3항에 있어서, 제2신호로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은 후에 제1신호로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이 출력신호의 동리부부분에 응답해서 충전시키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인출된 제3신호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포함되고, 저주파에 응답하는 상기 제3신호는 상기 출력 신호의 증폭에 따라 증가함을 특징으로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6. 제1,2 또는 3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서서히 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신호는 상기 제2신호의 충전효과보다 더 큰 충전효과를 가지며, 입력 신호를 신속히 변화시키기 위해서 제2신호는 상기 제1신호의 충전 효과보다 더 큰 충전효과를 가짐을 특징으로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출력 신호로부터 인출된 제3신호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포함되고, 저주파에 응답하는 상기 제3신호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에 따라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8.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시키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은,
    상기 출력 신호부터 제1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1신호를 정류하는 수단과,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된 제1신호를 평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제2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2신호를 정류하는 수단과,
    다이오드와,
    정류된 제2신호를 상기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단자로부터 인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제1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정류된 제1신호를 평활하기 위한 수단은 정상 상태의 통신로를 구성하며 ; 상기 제2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2신호 졍류 수단과,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정류된 제2신호를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시키는 수단은 오버슈트 억제 통신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한 상기 오버슈트 억제 통신로의 시정수는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한 정상 상태의 통신로의 시정수보다 짧고, 과도 입력 신호 성분은 상기 오버슈트 억제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커패시터로 신속히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1.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슈트 억제 통신로의 이득은 정상 상태의 통신로의 이득보다 작고 출력신호의 동일부분에 응답하여 정상 상태의 통신로가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레벨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레벨로 오버슈트 억제통신로가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정류된 제2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가 가변 전류 특성을 나타내도록 상기 다이오드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제3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추가의 다이오드와,
    상기 추가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제3신호를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저주파에 응답하는 제3신호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에 따라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된 제1신호 평활수단은 제1평활단과 제2평활단이 포함하고, 상기 제2평활단은 상기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평활단은 추가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평활단은 상기 제2평활단보다 짧은 공격시정수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5. 입력 신회의 동적 범위를 변경시키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입력 신호가 통과 대역과 정지 대역에 있도록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할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 회로 수단과,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과 대역 및 정지 대역에 있는 신호성분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통과 대역에 있는 신호성분의 동적 범위를 변경시키는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 제어 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변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신호와 역으로 합성될 때 입력신호의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정지 대역의 신호 성분에 덜 응답하는 제어 신호를 형성하도록 레벨 의존 방식으로 제어 신호가 변경되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은
    상기출력 신호로부터 제1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1신호를 정류하는 수단과,
    변조 제어 신호를 정류된 제1신호와 역으로 합성하는 수단과,
    커패시터를 수단을 포함하고, 변조 제어 신호와 역으로 합성된 정류된 제1신호를 평활시키는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제2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2신호를 정류하는 수단과,
    변조 제어 신호를 정류된 제2신호와 역으로 합성하는 수단과,
    다이오드와,
    변조 제어 신호와 역으로 합성된 정류된 제2신호를 상기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단자로부터 인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동일한 변조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신호와 역으로 합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와 역으로 합성된 변조 제어 신호는 상기 제1신호와 역으로 합성된 변조 제어 신호의 평활된 변경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된 제1신호 평활 수단은 제1평활단과 제평활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평활단은 상기 커패시터가 상기 제2평활단은 추가의 커패시터가 포함되며, 상기 제1평활단은 상기 제1평활단보다 짧은 동작 개시 시정수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19. 제15항에 있어서, 3개 회로가 직렬로 연결되고 3회로 전체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 제어신호는 제2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인출 수단과, 상기 제1신호 정류 수단과, 상기 변조 제어 신호를 정류된 제1신호에 역으로 합성하는 수단과, 변조 제어 신호와역으로 합성된 정류된 제1신호의 평활 수단은 정상 상태의 통신로를 구성하고 ; 상기 제2신호인출 수단과 상기 제2신호 정류 수단과, 상기 변조 제어 신호를 정류된 제2신호에 역으로 합성하는 수단과, 상기 다이오드와 변조 제어 신호와 역으로 합성된 제2신호를 상기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합성시키는 수단은 오버슈트 억제 통신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를 수단을 충전시키기 위한 상기 오버슈트 억제 통신로의 시정수는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한 정상상태의 통신로의 시정수보다 짧고, 과도 입력 신호 성분은 오버슈트 억제 통신호를 통해 커패시터에 신속히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2. 제20 또는 2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슈트 억제 통신로의 이득은 정상상태의 통신로의 이득보다 작고 출력 신호의 동일한 부분에 응답하여 정상 상태의 통신로가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레벨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레벨로 오버 슈트 억제 통신로가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정류된 제2신호를 인가시키는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가 가변 전류 특성을 나타내도록 상기 다이오드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제3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3신호에 변조 제어 신호를 역으로 합성시키는 수단과,
    추가의 다이오드와
    상기 추가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제3신호를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하는 수단으로 추가 구성되고, 저주파에 응답하는 상기 제3신호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에 따라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5.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제1출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1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고정 대역의 동작 특성을 가지고 동작하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을 가지는 제1동적 동작 수단과,
    제2출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미끄럼 대역의 동작 특성으로 동작하며, 제2제어 신호발생 수단을 가지는 제2동적 동작 수단과,
    상기 제1동적 동작 수단을 상기 제2동적 동작 수단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1출력신호로부터 제1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1신호의 정류 수단과,
    커패시터를 가지며 정류된 제1수단을 평활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1출력 신호로부터 제2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 2신호의 정류 수단과,
    제1다이오드와
    상기 제1다이오드를 통하여 정류된 제2신호를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시키는 수단,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단자로부터 상기 제1신호를 인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2출력 신호로부터 제3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3신호의 정류 수단과,
    추가의 커패시터를 가지며 정류된 제3신호를 평활시키는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제4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4신호의 정류 수단과,
    제2다이오드와,
    상기 제2다이오드를 통하여 정류된 제4신호를 상기 추가의 커패시터에 인가시키는 수단,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인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제3다이오드를 가지고 상기 제1출력 신호로부터 인출된 제5신호로 상기 커패시터 충전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며, 저주파에 응답하는 상기 제5신호는 상기 제1출력신호의 진폭에 따라 증가하며, 상기 제2제어신호 발생 수단은 제4다이오드를 가지고 상기 제5신호로 상기 추가의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2신호로 상기 추가의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8. 제25항 또는 26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제1출력 신호로부터 제6신호를 인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6신호의 정류 수단과,
    제6다이오드와,
    상기 제6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제6신호를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제7다이오드와,
    상기 제7다이오드를 통하여 정류된 제6신호를 추가의 커패시터에 인가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신호 발생 수단은 제3다이오드를 가지고 상기제1출력 신호로부터 인출된 제5신호로 상기 커패시터를 수단을 충전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며, 저주파에 응답하는 상기 제5신호는 상기 제1출력 신호의 진폭에 따라 증가하며 상기 제2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제4다이오드를 가지고 상기 제5신호로 상기추가의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발생 수단은 제3다이오드를 가지고 상기 제1출력 신호로부터 인출된 제5신호로 상기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고, 저주파에 응답하는 상기 제5신호는 상기 제1출력 신호의 진폭에 따라 증가하며, 상기 제2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제4다이오드를 가지고 상기 제5신호로 상기추가의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32.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구동되도록 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로부터 구동된 신호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으로 구성되고, 저 주파에 응답하는 상기 신호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에 비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3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피크 정류기를 포함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3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피크 정류기를 포함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피크 정류기를 포함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의 동적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870001824A 1986-03-03 1987-03-02 오디오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치의 과도적 제어 장치 KR870009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5243 1986-03-03
US06/835,243 US4922535A (en) 1986-03-03 1986-03-03 Transient control aspect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ltering the dynamic range of audio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44A true KR870009544A (ko) 1987-10-27

Family

ID=2526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1824A KR870009544A (ko) 1986-03-03 1987-03-02 오디오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치의 과도적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22535A (ko)
EP (1) EP0236076B1 (ko)
JP (1) JP2623247B2 (ko)
KR (1) KR870009544A (ko)
DE (1) DE377429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434A (en) * 1988-08-30 1992-12-08 Beltone Electronics Corporation Hearing aid with improved noise discrimination
US5185806A (en) * 1989-04-03 1993-02-09 Dolby Ray Milton Audio compressor, expander, and noise reduction circuits for consumer and semi-professional use
US5170437A (en) * 1990-10-17 1992-12-08 Audio Teknology, Inc. Audio signal energy leve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5424881A (en) 1993-02-01 1995-06-13 Cirrus Logic, Inc. Synchronous read channel
JPH0774560A (ja) * 1993-04-28 1995-03-17 Night Technol Internatl 音響システム用利得/等化回路
US5892833A (en) * 1993-04-28 1999-04-06 Night Technologies International Gain and equ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5910995A (en) * 1995-11-22 1999-06-08 Sony Corporation Of Japan DSP decoder for decoding analog SR encoded audio signals
US7415120B1 (en) 1998-04-14 2008-08-19 Akiba Electronics Institute Llc User adjustable volume control that accommodates hearing
DE69942784D1 (de) * 1998-04-14 2010-10-28 Hearing Enhancement Co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die es einem End-Benutzer ermöglichen, Hörer-Präferenzen für Hörbehinderte und Nicht-Hörbehinderte einzustellen
US6034568A (en) * 1998-06-15 2000-03-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roadband dc amplifier technique with very low offset voltage
US6324501B1 (en) * 1999-08-18 2001-11-27 At&T Corp. Signal dependent speech modifications
US6947567B1 (en) * 1999-11-12 2005-09-20 Bbe Sound Inc. Audio boost circuit
US6795740B1 (en) 2000-03-01 2004-09-21 Apple Computer, Inc. Rectifying overflow and underflow in equalized audio waveforms
US6928170B1 (en) 2000-11-02 2005-08-09 Audio Technica, Inc.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split-band audio frequency companding system that provides improved noise reduction and sound quality
EP1709743A1 (fr) * 2004-01-30 2006-10-11 France Telecom S.A. Quantification vectorielle en dimension et resolution variables
CA3026267C (en) 2004-03-01 2019-04-1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Reconstructing audio signals with multiple decorrelation techniques and differentially coded parameters
WO2007031794A1 (en) * 2005-09-13 2007-03-22 Barnett, Danielle Transmission of audio signals via fibre optic
US8521314B2 (en) * 2006-11-01 2013-08-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Hierarchical control path with constraints for audio dynamics processing
EP2134105B1 (en) * 2008-06-12 2015-08-26 Alpine Electronics, Inc. Audio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processing for an audio input signal
US20100046764A1 (en) * 2008-08-21 2010-02-25 Paul Wolff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ocessing Audio Signal Energy Levels
JP5236006B2 (ja) * 2008-10-17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信号調整装置及び音声信号調整方法
EP2477418B1 (en) * 2011-01-12 2014-06-04 Nxp B.V. Signal processing method
WO2017080835A1 (en) * 2015-11-10 2017-05-18 Dolby International Ab Signal-dependent companding system and method to reduce quantization noise
CN105915186B (zh) * 2016-04-11 2023-03-24 延锋伟世通汽车电子有限公司 音频检测控制及诊断电路
US10755722B2 (en) * 2018-08-29 2020-08-25 Guoguang Electric Company Limited Multiband audio signal dynamic range compression with overshoot sup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6A (en) * 1860-05-22 Shortening tires
US3903485A (en) * 1968-01-10 1975-09-02 Ray Milton Dolby Compressors, expanders and noise reduction systems
US3846719A (en) * 1973-09-13 1974-11-05 Dolby Laboratories Inc Noise reduction systems
JPS51127608A (en) * 1975-04-30 1976-11-06 Victor Co Of Japan Ltd Signal transmitting unit
DE2906192A1 (de) * 1979-02-17 1980-08-28 Licentia Gmbh Steuerspannungserzeuger fuer ein system zur dynamik-kompression und/oder -expansion
JPS56162522A (en) * 1980-05-19 1981-12-14 Hitachi Ltd Switching type signal compressor and signal expander
US4490691A (en) * 1980-06-30 1984-12-25 Dolby Ray Milton Compressor-expander circuits and, circuit arrangements for modifying dynamic range, for suppressing mid-frequency modulation effects and for reducing media overload
JPS57155841A (en) * 1981-03-23 1982-09-27 Victor Co Of Japan Ltd Noise reduction device
US4498055A (en) * 1981-09-10 1985-02-05 Dolby Ray Milton Circuit arrangements for modifying dynamic range
GB2111355B (en) * 1981-12-01 1985-02-13 Ray Milton Dolby Improvements in circuit arrangements for modifying dynamic range
JPS58106907A (ja) * 1981-12-01 1983-06-25 レ−・ミルトン・ドルビ ダイナミックレンジ修正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6076A3 (en) 1989-02-08
DE3774296D1 (de) 1991-12-12
US4922535A (en) 1990-05-01
EP0236076A2 (en) 1987-09-09
EP0236076B1 (en) 1991-11-06
JP2623247B2 (ja) 1997-06-25
JPS62264733A (ja) 198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9544A (ko) 오디오 신호의 동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치의 과도적 제어 장치
JP2739904B2 (ja) 周波数安定2状態変調システム
US4160940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operating an induction motor
CA2388434A1 (en) Method of controlling low frequency load currents drawn from a dc source
JPS5733834A (en) Frequency modulation noise reducing circuit
CN1134109C (zh) 锁相环频率合成器
US4074344A (en) High power factor ac to dc converter circuit
CA1199588A (en) Signal conditioning system
US4119922A (en) Circuit for automatic volume compression or volume expansion
MY119456A (en) Pulsed width modulation method for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KR100240127B1 (ko) 지연자동이득 제어회로
US3848194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2967992A (en) Signal expansion device
US4498055A (en) Circuit arrangements for modifying dynamic range
US3934190A (en) Signal compressors and expanders
US5990712A (en) Harmonic generator
US4823392A (en) Compressor
US2322558A (en) Tone control means
US6208845B1 (en) Frequency modulation method and frequency modulated signal transmitter
JPS5915337A (ja) 伸長回路
US4377788A (en) Signal expander
US4319205A (en) Control voltage generator for a system for dynamic compression or expansion
US3999114A (en) Control unit for a converter
CA1177759A (en) Circuit arrangements for modifying dynamic range
KR900000483B1 (ko) 다이나믹 레인지 변경회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