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9207A -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9207A
KR870009207A KR870002927A KR870002927A KR870009207A KR 870009207 A KR870009207 A KR 870009207A KR 870002927 A KR870002927 A KR 870002927A KR 870002927 A KR870002927 A KR 870002927A KR 870009207 A KR870009207 A KR 87000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pon
unit
band
ramming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0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524B1 (ko
Inventor
모리스 해리스 로버트
고드프리 브롬퀴스트 아더
Original Assignee
리챠드 비. 미그리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챠드 비. 미그리,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리챠드 비. 미그리
Publication of KR87000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63G8/32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of torpedo-launching means; of torpedo stores or hand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 F41A9/39Ramming arrangements
    • F41A9/42Rammers separate from breech-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0External power or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2Locking of ammunition in transpor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병기는 이동대에 클램프되고 래밍 대상에 설치되는 밴드에 의해 현수되는 다른 작동 상태에 도시된 제1도 장치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관련 밴드에 의해 보관대에서 클램프된 병기와 밴드의 개구 위치에서 래밍대의 리세스에 있는 다수의 밴드와 또 래밍대에서 형성된 리세스에 있는 병기 래밍 스크류를 도시하는 학대 단부 사시도.
제4도는 병기 시스템의 어떤 작동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파단된 부품의 측면도.

Claims (30)

  1. 병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병기 보관 유니트를 형성하는 수단과, 발사될 병기를 수용하기 위한 래밍유니트를 형성하는 수단과, 보관 유니트와 상기 래밍 유니트 사이에서 선택된 병기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 유니트를 형성하는 수단과, 병기를 관련 유니트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 위치와 관련 유니트에 병기를 클램핑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각각의 유니트에 있는 다수의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래밍 유니트에 있으면 상기 래밍 유니트의 범위 밖 길이 방향으로 병기를 밀어넣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래밍 유니트로부터 병기를 수용하기 위한 발사관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기 보관 유니트와 상기 래밍 유니트는 제1방향에서 개구하는 길다란 대 형태이며 그 안에서 이동 유니트는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에서 개구하는 길다란 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4. 제3하에 있어서, 상기 병기 보관대와상기 래링대는 상향으로 개구하며 상기 이동대는 하향으로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밍 유니트 밖으로 병기를 빌어내는 동안 상기 래밍 유니트에서 병기의 측제어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밍 유니트와 관계하는 상기 밴드를 이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텝.
  6.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관련 유니트의 상기 밴드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상기 유니트에 있는 제1궁형 슬롯 수단과, 2개의 유니트가 상기 2개의 유니트에 있는 병기와 동시에 접촉하면 다른 유니트로부터 밴드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위한 각 유니트에 있는 제2궁형 슬롯 수단과, 병기 고정 위치와 병기해제 우치사이에서 상기 제1궁형 슬롯 내에 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병기 해제 위치와 상기 다른 유니트에 병기를 고정하기 위한 병기 고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궁형 슬롯내에 상기 다른 유니트의 밴드를 회전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다른 유니트와 클램핑 결합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유니트의 밴드를 로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를 로킹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밴드에 있는 테이퍼 슬롯과, 상기테이퍼 슬롯내의 밴드 로킹 위치와 상기 테이퍼 슬롯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8. 병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되고 제1다수의 그루우브를 가지는 제1병기 수용 유니트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제1그루우브내에 수용되며 병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위치와 제1유니트에 병기를 고정하기 위한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상기 제1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다수의 제1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병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며 그 안에 제2다수의 그루우브를 가지는 제2병기 수용 유니트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제2그루우브내에 수용되며 병기를 수용하기위한 개구 위치와 제2유니트에 병기를 고정하기 위한 폐쇄위치 사이에서 제2유니트까지 이동을 위해 상기 제2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제2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유니트가 병기와 인접 접촉하면 상기 제2 및 제1밴드 부분을 느슨하게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유니트에 있는 밴드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구 위치까지 상기 제1밴드를 이동하고 상기 개구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까지 상기 제2밴드를 이동하고 상기 제1유니트로 부터 상기 제2유니트까지 병기의 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병기 수용 유니트는 상향으로 대면하는 오목 병기 수용 표면을 가지는 래밍유니트이며, 상기 제2병기 수용 유니트는 하향으로 대면하는 오목 병기 수용 표면을 가지는 이동 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각각은 그 안에 공형 슬롯을 형성하는 수단을 가지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 각각은 거기에 부착되고 상기 개구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밴드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공형 슬롯중의 관련 슬롯내에 수용되는 공형 안내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병기 수용 유니트는 래밍 유니트이며, 상기 제2병기 수용 유니트는 이동대이며, 또 제3병기 수용 유니트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제3유니트에 인접한 병기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제1통로에 수직인 제2통로를 따라서 그리고 상기 제3유니트 속으로 병기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제1통로에 평행인 제3통로를 따라서 상기 이동 유니트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2. 길다란 병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며 다수의 제1 및 제2궁형 그루우브를 가지는 제1병기 수용대와 병기 수용 위치와 병기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상기 제1그르우브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이격 궁형 밴드와, 병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며 다수의 제3 및 제4궁형 그루우브를 가지는 제2병기 수용대와,병기 수용 위치와 병기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상기 제4그루우브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이격 궁형 밴드와, 상기 제1밴드는 상기 제2대에 있는 상기 제3그루우브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밴드는 상기 제1대에 있는 상기 제2그루우브내에 수용되면서 병기 수용 위치 속으로 상기 제2대를 향해 상기 제1대를 이동하기 위한제1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또 상기 병기 수용과 병기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밴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 수단과, 상기 병기 수용과 병기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밴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각각은 그 안에 궁형 슬롯을 가지는 한쌍의 측벽을 가지며, 그안에서 상기 제1 및 제4그루우브 각각은 거기에 고정되며 그들의 병기 수용과 병기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밴드를 정학하게 안내하기 위해 관련 궁형 슬롯 속으로 돌출하는 궁형 슬라이더를 가지는 다수의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각각은 외벽과 그 안에 그루우브를 형성하는 수단을 가지며, 제1역전 가능 모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2구동 수단과, 상기모터에 연결된축과, 상기제1밴드에 있는 상기 슬롯 내에서 상기 제1궁형 밴드 각각에 단단히 고정된 체인 시그먼트와, 상기 축에 끼워 넣어지며 상기 체인중 관련 체인과 구동 결합하는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 수단은 제2역전 가능 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연결된 제2축과, 상기 제2밴드에 있는 상기 슬롯내에서 제2궁형 밴드 각각에 단단히 고정된 제2체인 시그먼트와, 상기 제2축에 끼워 넘어지며 상기 체인중 관련된 하나와 구동 결합하는 제2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또 병기가 상기 제1대에 있으면 병기 클램핑 위치내로 상기 제1밴드를 단단히 로킹하기 위한 제1로킹 수단과, 병기가 상기 제2대에 있으면 병기 클램핑 위치내로 상기 제2밴드를 단단히 로킹하기 위한 제2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 수단은 상기 제1이격 밴드 각각의 한 단부상에 제1테이퍼 슬롯과, 상기 제1테이퍼 슬롯 각각에 인접 설치되는 제1웨지 수단과, 상기 제1대에 관계하는 이동으로부터 상기 밴드 중의 한 단부를 견고히 로킹하기 위한 상기 제1테이퍼 슬롯 각각 속으로 충분히 상기 웨지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대에 있는 병기의 축제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테이퍼 슬롯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수축되지만 병기를 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상기 제1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제1밴드의 다른 단부를 로킹하기 위한 제2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각각은 외벽과 그 안에 그루우브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역전 가능모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2구동 수단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축과, 상기 제1밴드에 있는 상기 슬롯내에서 상기 제1궁형 밴드 각각에 단단히 고정된체인시그먼트와, 상기 축에 끼워 넣어지며 상기 체인중 관련된 하나와 구동 결합하는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1. 병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길다란 고정된 래밍대와 상기 래링대에 연결된 다수의 이격된 래밍대 밴드와 개구 병기 수용 위치와 상기 래링대에 병기를 고정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래링대 밴드를 이동하기위한 제1동력 수단과, 병기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길다란 보관대와 상기 보관대에 연결된 다수의 이격된 보관대 밴드와 개구 병기 수용 위치와 상기 보관대에 병기를 고정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보관대 밴드를 이동하기 위한 제2동력 수단과, 상기 보관대와 상기 래밍대 사이에서 병기를 수용하고 이동하도록 적용되는 길다란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연결된 다수의 이격된 이동대 밴드와 개구 병기 수용 위치와 상기 이동대에 병기를 고정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동대 밴드를 이동하기 위한 제3동력 수단과, 상기 보관대와 상기 래멍대가 정렬하는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래멍대와 보관대로부터 이격된 횡단 통로를 따라서 상기 이동대를 선택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4동력 수단과, 상기 횡단 통로에 수직인 양 방향으로 상기 이동대를 이동하기 위한 제5동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통로는 거의 수평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래밍대와 상기 보관대는 서로에 관하여 고정 위치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또 상기 이동대의 각 단부에 인접한 캐리지 수단과, 횡단 통로에 수직인 양 방향으로 상기 이동대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이동대에 상기 캐리지 수단을 연결하는 상기 제5동력 수단과, 상기 횡단 통로를 따라서 상기 이동대를 이동하기 위해 캐리지 수단과 상기 이동대에 연결된 상기제4동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병기는 상기 보관대내에서 클램프되어 상기 래밍대에 이동되며, 상기 제4동력 수단은 상기 보관대와 병기 이동 정렬에 있어서 상기 횡단 통로를 따라서 상기 이동대를 이동하기 위해 작동되며, 상기 제5동력 수단은 상기 보곤대내로 상기 병기와 인접 결합속으로 상기 이동대를 이동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3동력 수단은 개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대에 병기를 고정하는 폐쇄 위치까지 상기 이동대 밴드를 이동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1동력 수단은 상기 폐쇄 위치로 부터 상기 개구 위치까지 상기 보관대 밴드를 이동하도록 작동되어서 병기를 해제하며, 상기 제5동력 수단은 상기 보관대로부터 떨어져 이동대와 병기를 이동하기 위하여 작동되며, 상기 제4동력 수단은 상기 래멍대와 정렬에 있어서 상기 병기와 상기 이동대를 이동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5동력 수단은 상기 래멍대 밴드가 상기 개구 위치에 있으면 상기 래멍대와 인접 관계 속으로 상기 병기를 이동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1동력 수단은 래밍대에 병기를 고정하는 상기 폐쇄 위치 속으로 상기 래밍대 밴드를 이동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개구 위치 속으로 상기 이동대 밴드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제3동력 수단을 작동하며, 상기 래멍대로부터 떨어져 상기 빈 이동 수단을 이동하기 위해 상기 제5동력 수단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또 상기 래밍대와 래밍대 밴드내에서 둘러싸인 병기를 유지하는 동안 병기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래밍대 밴드를 이완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래밍대 밖 길이 방향으로 병기를 밀어넣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병기 취급 시스템.
  27. 각각의 유니트내에 다수의 병기 고정 밴드를 가지며 제1유니트내에 병기를 가지는 다수의 병기 지지 유니트를 포함하는 병기 취급 방법에 있어서, 병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위치와 상기 제1유니트에 병기를 클램핑하기 위한 폐쇄 및 잠금 위치 사이에서 다수의 제1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유니트내로 병기와 인접 접촉 속으로 제2유니틀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유니트가 병기와 접촉속으로 이동되면 개구 위치 속으로 상기 제2유니트내에서 다수의 제2밴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유니트내에서 병기 둘레에 상기 제2밴드를 폐쇄하는 단계와, 제2유니트에 병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유니트에서 상기 제2밴드를 로킹하는 단계와, 상기 제1유니트로부터 제1밴드를 해제하고 제1유니트로부터 떨어져 제2유니트와 병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유니트는 보관대이며 제2유니트는 이동대인 동시에, 우선 제1유니트로부터 떨어져 제1방향으로 제2유니트와 병기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그 후에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제2유니트와 병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거의 수직이며 상기 제2방향은 거의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또 병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위치와 래밍 유니트에 병기를 클램핑하기 위한 폐쇄위치 사이에서 다수의 래밍 유니트 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래밍대에 고정된 제3밴드를 유지하는 동안 병기상의 래밍 유니트 밴드의 클램핑 결합을 이완하는 단계와, 래밍 유니트 밖 길이 방향으로 병기를 밀어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취급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70002927A 1986-03-31 1987-03-30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KR920006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46,434 US4700653A (en) 1986-03-31 1986-03-31 Submarine weapon handling system
US846434 198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207A true KR870009207A (ko) 1987-10-24
KR920006524B1 KR920006524B1 (ko) 1992-08-07

Family

ID=2529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927A KR920006524B1 (ko) 1986-03-31 1987-03-30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700653A (ko)
EP (1) EP0242507B1 (ko)
JP (1) JPS62231888A (ko)
KR (1) KR920006524B1 (ko)
AT (1) ATE73403T1 (ko)
AU (1) AU6958787A (ko)
BR (1) BR8701443A (ko)
CA (1) CA1286921C (ko)
DE (1) DE3777227D1 (ko)
ES (1) ES2029454T3 (ko)
IL (1) IL81275A0 (ko)
NO (1) NO871321L (ko)
TR (1) TR228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6555A (en) * 1990-08-13 1991-05-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ubmarine torpedo tube primary seal interlock
US5445104A (en) * 1994-06-30 1995-08-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cylindrical objects
US6330866B1 (en) * 1998-05-22 2001-12-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ssile support and alignment assembly
DE10342145A1 (de) 2003-09-12 2005-04-07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KR100713217B1 (ko)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DE102010009499A1 (de) * 2010-02-26 2011-09-01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Vorrichtung zur Waffenlagerung in einem Unterseeboot
JP2016517821A (ja) 2013-05-03 2016-06-20 エアロバイロ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erovironment, Inc. 垂直離着陸(vtol)航空機
WO2016130797A1 (en) * 2015-02-11 2016-08-18 Aerovironment, Inc. Pod cover system for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9880563B2 (en) 2015-02-11 2018-01-30 Aerovironment, Inc. Geographic survey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WO2016130721A2 (en) 2015-02-11 2016-08-18 Aerovironment, Inc. Survey migration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10336470B2 (en) 2015-02-11 2019-07-02 Aerovironment, Inc. Pod launch and landing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11021266B2 (en) 2015-02-11 2021-06-01 Aerovironment, Inc. Pod operating system for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11148805B2 (en) * 2018-04-10 2021-10-19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nclosure for an unmanned aeri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219438A (en) * 1912-08-24 1913-06-12 Armstrong W G Whitworth & Co Improvements in Trays for Projectiles.
US3249011A (en) * 1962-12-31 1966-05-03 Palmer G Wermager Missile tray with clamp
US3228295A (en) * 1963-03-07 1966-01-11 Garold A Kane Guided missile launching system
US3276317A (en) * 1963-03-26 1966-10-04 Robert L Kossan Adapter rail latch mechanism
DE2757185C3 (de) * 1977-12-22 1981-04-23 Krupp Mak Maschinenbau Gmbh, 2300 Kiel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Torpedos in U-Booten
DE3345334C2 (de) * 1983-12-15 1986-10-09 Krupp Mak Maschinenbau Gmbh, 2300 Kiel Stau- und Transportvorrichtung für Torpedorohr-Waf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9454T3 (es) 1992-08-16
EP0242507A3 (en) 1988-07-20
CA1286921C (en) 1991-07-30
NO871321D0 (no) 1987-03-30
ATE73403T1 (de) 1992-03-15
BR8701443A (pt) 1988-01-05
JPS62231888A (ja) 1987-10-12
TR22899A (tr) 1988-10-24
IL81275A0 (en) 1987-08-31
AU6958787A (en) 1987-10-08
NO871321L (no) 1987-10-01
EP0242507A2 (en) 1987-10-28
DE3777227D1 (de) 1992-04-16
EP0242507B1 (en) 1992-03-11
KR920006524B1 (ko) 1992-08-07
US4700653A (en) 198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9207A (ko)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US3964139A (en) Syringe holder
EP1875114B1 (en) Marine pipelaying system for laying an offshore pipeline
JP6351121B2 (ja) クランプシステム、クランプシステム用の把持装置、およびクランプシステムを使用する方法
CN105986719B (zh) 用于推拉门的高度调节的门配件
DE3370612D1 (en) Hoisting platform, in particular for conveying furniture and the like
EP0234322B1 (en)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stowing bands
DE3060847D1 (en) Apparatus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j-wise
ATE244389T1 (de) Einrichtung zum laden von granatwerfern
IT1187954B (it)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automatico di un veicolo alla fune od a ciascuna delle due funi di una funivia a moto continuo
KR102523653B1 (ko)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CN113077917B (zh) 放射性样品转运装置和转运系统
US4604938A (en) Arresting and recovery system for test missiles
US4833969A (en) Loading device for a tubular weapon
GB8411672D0 (en) Desking systems
FR2422131A1 (fr) Dispositif de blocage du canon d'armes automatiques portatives
FR2260480A1 (en) Tow-tiered goods wagon upper deck locking mechanism - with cable drive and locking prong on fork-guided tilting lever
US3656655A (en) Device for feeding an explosion generator with explosive charges
CN214358041U (zh) 开关盖机构和低温存取设备
SE8306074D0 (sv) Spenne
SU1244074A1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20053159A (ko) 무장 측면 적재 시스템
SU1348466A1 (ru) Люлька
CN117566427A (zh) 抓取装置
SU13847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пуска длинно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в шахт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