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653B1 -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653B1
KR102523653B1 KR1020180089663A KR20180089663A KR102523653B1 KR 102523653 B1 KR102523653 B1 KR 102523653B1 KR 1020180089663 A KR1020180089663 A KR 1020180089663A KR 20180089663 A KR20180089663 A KR 20180089663A KR 102523653 B1 KR102523653 B1 KR 10252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ment
submarine
mounting
loa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479A (ko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6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3B273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도크를 통해 잠수함을 수면위로 부상시킨 후 자동으로 무장을 설정된 위치까지 이송, 함 내 무장 탑재부까지 무장을 이송 및 삽입하여 탑재시킴으로써, 무장 탑재 절차를 간소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UNTING WEAPONS IN A SUBMARINE}
본 발명은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장을 잠수함 내에 탑재함에 있어서, 부유식 도크를 통해 잠수함을 수면위로 부상시킨 후 자동으로 무장을 설정된 위치까지 이송, 함 내 무장 탑재부까지 무장을 이송 및 삽입하여 탑재시킴으로써, 무장 탑재 절차를 간소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에 탑재되는 무장은 무장 발사관에 탑재 보조장치를 설치한 후 무장을 역으로 밀어 넣거나, 또는 무장 탑재를 위한 전용 해치에 탑재 보조장치를 설치한 후 무장 탑재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무장을 탑재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무장 탑재를 위한 탑재 준비시간, 탑재 보조장치의 설치 시간, 탑재 시간, 탑재 후 탑재 보조장치의 철거시간 등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고중량의 무장을 사람이 직접 개입하여 탑재함에 따라 안전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탑재시간이 들쑥날쑥 하기에 탑재시간이 정형화되지 못하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무장이 잠수함과 부딪힐 경우 고가의 무장 및 고가의 잠수함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813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부유식 도크를 통해 잠수함을 수면위로 부상시킨 후 자동으로 무장을 설정된 위치까지 이송, 함 내 무장 탑재부까지 무장을 이송 및 삽입하여 탑재시킴으로써, 무장 탑재 절차를 간소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은 잠수함을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부유식 도크, 상기 부유식 도크에 안착된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무장을 이송하는 무장 이송 크레인, 이송된 무장의 말단부가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에 마련된 무장 탑재부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무장 탑재 유도부 및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에 의해 방향이 유도된 무장을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하는 무장 삽입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유식 도크는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의 하측에서 함미부까지 이동한 뒤,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면서 상기 잠수함의 하측면을 안착시켜 부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장 이송 크레인은 무장 적재부에 적재된 다수의 무장 중에서, 제1 무장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위치이동 함으로써 무장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는 일측 말단부가 상기 무장 탑재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일측 말단부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되어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하강되어, 상기 무장 탑재부와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장 삽입바는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가 이송되며, 상측에 안착된 무장의 말단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무장 탑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면서 무장을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장 삽입바는 상기 무장을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한 후, 위치 이동되어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방법은 부유식 도크를 통해 잠수함을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단계, 상기 부유식 도크에 안착된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무장 이송 크레인을 통해 무장을 이송하는 단계, 무장 탑재 유도부를 통해, 이송된 무장의 말단부가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에 마련된 무장 탑재부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에 의해 방향이 유도된 무장을 무장 삽입바를 통해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상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유식 도크가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의 하측에서 함미부까지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식 도크가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면서 상기 잠수함의 하측면을 안삭시켜 부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하는 단계는 무장 적재부에 적재된 다수의 무장 중에서, 상기 무장 이송 크레인을 통해 제1 무장을 거치시키는 단계 및 거치된 제1 무장을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위치이동 시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의 일측 말단부가 상기 무장 탑재부와 연결되도록, 일측 말단부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되어 기울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하강되어, 상기 무장 탑재부와 수평하게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무장 삽입바가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의 상측에 안착된 무장의 말단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무장 탑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무장 삽입바가 상기 무장을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한 후, 위치 이동되어 제자리로 복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장 탑재 절차를 간소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시 무장 재장전에 대한 신속한 업무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잠수함의 전시 작전 운용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람의 개입이 배재되기 때문에 무장탑재 중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가 최소화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도크가 있는 지정된 장소로 잠수함이 이동할 경우 무장 탑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잠수함 기지 혹은 위급 상황 시 작전수행 지역에서 신속한 무장 재장전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일 공간에서 다양한 잠수함에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잠수함 내에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무장을 탑재하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을 통해 무장을 탑재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을 통해 무장을 탑재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잠수함 내에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무장을 탑재하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무장 탑재 기술은 도 1(a)와 같이 작업자들이 무장 발사관에 탑재 보조장치를 설치 후 무장탑재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무장을 탑재 보조장치의 위치까지 이송시키고, 작업자들이 직접 무장과 탑재 보조장치까지의 거리를 가늠하면서 천천히 무장을 탑재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도 1(b)와 같이 작업자들이 무장 발사관에 탑재 보조장치를 설치 후 무장을 직접 밀어 넣어주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무장 탑재를 위한 탑재 준비시간, 탑재 보조장치의 설치 시간, 탑재 시간, 탑재 후 탑재 보조장치의 철거시간 등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고중량의 무장을 사람이 직접 개입하여 탑재함에 따라 안전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탑재시간이 들쑥날쑥 하기에 탑재시간이 정형화되지 못하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무장이 잠수함과 부딪힐 경우 고가의 무장 및 고가의 잠수함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은 크게 부유식 도크(110), 무장 이송 크레인(120), 무장 탑재 유도부(130) 및 무장 삽입바(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유식 도크(110)는 수중의 잠수함(1)을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부유식 도크(110)는 잠수함(1)의 함수부의 하측에서 함미부까지 잠수상태에서 이동한 뒤,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면서 잠수함(1)의 하측면을 안착시켜 부상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잠수함(1)은 부유식 도크(110)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부유식 도크(11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잠수함(1)의 함수부 측에는 후술되는 무장 이송 크레인(120)이 위치하게 된다.
무장 이송 크레인(120)은 부유식 도크(110)에 안착된 잠수함(1)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무장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무장 이송 크레인(120)은 잠수함(1)의 함수부 상측에서 잠수함(1)의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무장을 실어나르게 된다.
이때, 부유식 도크(110) 내에 마련된 무장 적재부(미도시) 내에는 다수의 무장이 적재되어 있는데, 무장 이송 크레인(120)은 무장 적재부 내에 적재된 다수의 무장 중에서 특정 무장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잠수함(1)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때, 무장 이송 크레인(120)에 의해 거치 및 이송되는 무장은 잠수함(1)의 종류 및 무장 탑재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무장 탑재 유도부(130)는 무장 이송 크레인(120)에 의해 이송된 무장의 말단부가 잠수함(1)의 함수부에 마련된 무장 탑재부(무장이 탑재되는 공간을 의미함)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무장 탑재 유도부(130)는 무장 탑재 방식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로, 무장 탑재 방식이 무장을 기울인 상태에서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방식인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무장 탑재 유도부(130)는 잠수함의 무장 탑재부의 상측에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무장 이송 크레인(120)에 의해 상측에 무장이 안착되는 경우 일측 말단부가 무장 탑재부와 일치하도록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여 기울기를 형성하게 된다.
즉, 무장 탑재 유도부(130)의 일측 말단부가 하강하여 무장 탑재부의 무장 탑재를 위한 홀과 일치됨에 따라, 무장이 탑재되기 위한 개로가 형성된다.
두번째로, 무장 탑재 방식이 무장을 수평한 상태에서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방식인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무장 탑재 유도부(130)는 잠수함의 무장 탑재부의 상측에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무장 이송 크레인(120)에 의해 상측에 무장이 안착되는 경우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즉, 무장 탑재 유도부(130)가 수평한 상태에서 그대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일측 말단부가 무장 탑재부의 무장 탑재를 위한 홀과 일치됨에 따라, 무장이 탑재되기 위한 개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두 종류의 무장 탑재 방식은 잠수함(1)의 무장 탑재부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바, 무장 탑재 유도부(130)는 형태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무장 삽입바(140)는 상술한 무장 탑재 유도부(130) 상에 마련되는데, 무장 탑재 유도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이동 되면서, 무장 탑재 유도부(130) 상에 안착된 무장을 무장 탑재부의 무장 탑재를 위한 홀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무장 삽입바(140)는 무장 탑재 유도부(13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안착된 무장의 말단부(보다 구체적로는 무장의 머리부분)와 접한 상태에서 무장 탑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무장을 밀어주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무장 삽입바(140)는 무장을 무장 탑재부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한 후, 다음 무장의 탑재를 위해 다시 제자리로 위치 이동하여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이러한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을 통해 무장을 탑재하는 과정(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도 3은 무장 탑재 방식이 무장을 기울인 상태에서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방식인 경우에 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무장 탑재 방식이 무장을 수평한 상태에서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방식인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을 통해 무장을 탑재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100)을 통해 무장을 탑재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부유식 도크(110)가 잠수함(1)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 상측으로 부상하면서 잠수함(1)을 수면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 다음, 무장 이송 크레인(120)이 무장 적재부 내에서 무장을 거치시킨 후 잠수함(1)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 다음, 무장 탑재 유도부(130)의 일측 말단부가 잠수함(1)의 무장 탑재부를 향해 하강하여 기울어지게 되고, 무장 이송 크레인(120)이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무장 탑재 유도부(130) 상에 무장이 안착된다.
그 다음, 무장 탑재 유도부(130)에 마련된 무장 삽입바(140)가 전진 직선운동을 통해 무장을 무장 탑재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무장이 무장 탑재부의 내측에 탑재된다.
도 4를 살펴보면, 부유식 도크(110)가 잠수함(1)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 상측으로 부상하면서 잠수함(1)을 수면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 다음, 무장 이송 크레인(120)이 무장 적재부 내에서 무장을 거치시킨 후 잠수함(1)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 다음, 무장 탑재 유도부(130)가 잠수함(1)의 무장 탑재부와 수평한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고, 무장 이송 크레인(120)이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수평한 무장 탑재 유도부(130) 상에 무장이 안착된다.
그 다음, 무장 탑재 유도부(130) 상에 마련된 무장 삽입바(140)가 전진 직선운동을 통해 무장을 무장 탑재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무장이 무장 탑재부의 내측에 탑재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잠수함
100: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110: 부유식 도크
120: 무장 이송 크레인
130: 무장 탑재 유도부
140: 무장 삽입바

Claims (7)

  1. 잠수함을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부유식 도크;
    상기 부유식 도크에 안착된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무장을 이송하는 무장 이송 크레인;
    이송된 무장의 말단부가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에 마련된 무장 탑재부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무장 탑재 유도부; 및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에 의해 방향이 유도된 무장을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하는 무장 삽입바;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식 도크 내에는 무장 적재부가 마련되며,
    상기 부유식 도크는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의 하측에서 함미부까지 이동한 뒤,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면서 상기 잠수함의 하측면을 안착시켜 부상하고,
    상기 무장 이송 크레인은 무장 적재부에 적재된 다수의 무장 중에서, 제1 무장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잠수함의 함수부 상측 방향으로 위치이동 함으로써 무장을 이송시키며,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는 일측 말단부가 상기 무장 탑재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일측 말단부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되어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하강되어, 상기 무장 탑재부와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기 무장 삽입바는 상기 무장 탑재 유도부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가 이송되며, 상측에 안착된 무장의 말단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무장 탑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면서 무장을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하고,
    상기 무장 삽입바는 상기 무장을 상기 무장 탑재부 내측 방향으로 밀어 삽입한 후, 위치 이동되어 제자리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89663A 2018-08-01 2018-08-01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KR10252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63A KR102523653B1 (ko) 2018-08-01 2018-08-01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63A KR102523653B1 (ko) 2018-08-01 2018-08-01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479A KR20200014479A (ko) 2020-02-11
KR102523653B1 true KR102523653B1 (ko) 2023-04-18

Family

ID=6956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663A KR102523653B1 (ko) 2018-08-01 2018-08-01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846B1 (ko) * 2019-10-17 2024-05-09 한화오션 주식회사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KR20220053159A (ko) 2020-10-22 2022-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장 측면 적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8484A (en) * 1957-08-29 1960-05-31 David C Garland Torpedo loading band
KR20120002813U (ko) 2010-10-14 2012-04-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슬라이딩식 무장 이송장치
KR20140046560A (ko) * 2012-10-05 2014-04-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를 이용한 잠수함의 무장 탑재방법
KR102434532B1 (ko) * 2016-01-13 2022-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무장 탑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479A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653B1 (ko)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US3536023A (en) Stabilized system for handling small submarines
US5170005A (en) System for underwater storage and launching of rockets
KR102434532B1 (ko) 수중운동체의 무장 탑재 장치
JP2009544521A (ja) 水中ビークルまたは海洋ビークルを回収するための設備および方法
US20200398949A1 (en) Barge for recovery of rocket launch vehicle
US4086777A (en) Apparatus for launching battered leg jackets for offshore platforms
KR102012110B1 (ko) 잠수정, 해저로부터 적재물을 픽업하기 위한 방법 및 해저에 적재물을 내려놓기 위한 방법
CN109720523B (zh) 一种无人艇智能布设锚雷装置及其进行布雷的方法
US4785710A (en) Helicopter
KR20110133446A (ko) 양탄기
US20120042818A1 (en) Device for salvaging a marine or submarine engine
US2956532A (en) Seaplane towing and refueling apparatus
KR102280114B1 (ko) 선박을 위한 픽업 디바이스 및 픽업 방법
KR102539436B1 (ko) 캔틸레버 탑재를 위한 치구 및 이를 이용한 탑재방법
KR20140046560A (ko) 플로팅 도크를 이용한 잠수함의 무장 탑재방법
US3180222A (en) Simplified system to control postlaunch flooding
KR20160001497U (ko) 앵커 수용 시스템
US3373711A (en) Handling system for seaplane engines
US4590843A (en) Loading ramp for cartridges interstaged between a magazine and a gun
KR20120002813U (ko) 잠수함의 슬라이딩식 무장 이송장치
KR101560809B1 (ko) 선박 자세 제어 및 인양 시스템 및 방법
US3857351A (en) Subsurface submersible mating system
KR102664846B1 (ko)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JP2017001482A (ja) 水中無人機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