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46B1 -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846B1
KR102664846B1 KR1020190128881A KR20190128881A KR102664846B1 KR 102664846 B1 KR102664846 B1 KR 102664846B1 KR 1020190128881 A KR1020190128881 A KR 1020190128881A KR 20190128881 A KR20190128881 A KR 20190128881A KR 102664846 B1 KR102664846 B1 KR 10266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submarine
loading system
docking typ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623A (ko
Inventor
김건일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8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3/00Arrangements of ammunition stores or handl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은 잠수함에 무장이 안착된 엠바케이션(Embarkation)을 수상도킹 하도록 구축된 무장탑재용 함정, 상기 잠수함 측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으로부터 전후로 신축지지볼트를 진퇴 구동시키는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 상기 엠바케이션 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지지볼트의 전진 시 상기 신축지지볼트를 삽입시켜 체결 고정하는 신축지지볼트 체결부, 상기 엠바케이션에 연결되며, 상기 엠바케이션으로부터 설정 높이상에서 전후로 길게 배치되는 고정용 핀, 및 상기 잠수함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의 발사관으로 무장을 탑재하기 위해 상기 발사관과 상기 엠바케이션 간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고정용 핀의 안내하여 삽입시키는 가이드 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WATER DOCKING TYPE ARMED MOUNT SYSTEM}
본 발명은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장탑재 방식을 자동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무장탑재를 할 수 있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잠수함 무장탑재 방법은 반드시 부두에 정박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했으며, 무장운용 인원이 직접 함 상부와 엠바케이션(Embarkation) 상부에서 무장탑재 가이드 설치 및 무장탑재를 진행해야 했다.
그런데, 엠바케이션과 상부지지대의 경우 반드시 크레인을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무장탑재 방식은 잠수함의 선수에 신축지지볼트를 사용하여 외부 엠바케이션과 결합 후 상부 지지대를 연결한 다음 무장을 장전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잠수함이 부두에 정박해 있는 상황에서만 설치 인원이 직접 함 상부와 엠바케이션 상부에서 설치와 무장탑재를 진행할 수 있었기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컸으며 작업상 많은 불편이 따랐다.
또한, 엠바케이션과 크레인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 개의 잠수함에 무장을 동시에 탑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에 운용되고 있는 무장탑재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효율적이며,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무장탑재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28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함의 무장탑재 방식을 자동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무장탑재를 수행할 수 있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무장탑재 방식에 이용되었던 엠바케이션과 상부 지지대의 사용을 배제하고, 무장탑재용 함을 구축하여, 장소에 제한 받지 않으며 해상 어디에서든 무장탑재를 실시할 수 있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잠수함에 무장이 안착된 엠바케이션을 수상도킹 하도록 구축된 무장탑재용 함정; 상기 잠수함 측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으로부터 전후로 신축지지볼트를 진퇴 구동시키는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 상기 엠바케이션 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지지볼트의 전진 시 상기 신축지지볼트를 삽입시켜 체결 고정하는 신축지지볼트 체결부; 상기 엠바케이션에 연결되며, 상기 엠바케이션으로부터 설정 높이상에서 전후로 길게 배치되는 고정용 핀; 및 상기 잠수함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의 발사관으로 무장을 탑재하기 위해 상기 발사관과 상기 엠바케이션 간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고정용 핀의 안내하여 삽입시키는 가이드 홀;을 포함한다.
상기 무장탑재용 함정은, 해상에서 이동 가능한 함정 본체; 상기 함정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리프팅 레일; 및 상기 리프팅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함정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레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리프팅 레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함정 본체의 선수 및 후미 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은, 상기 복수 개의 리프팅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함정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평 자세를 유지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부를 통해 무장을 실은 상기 엠바케이션을 안착시키는 평탄한 안착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의 상부에는 무게에 따라 수위 조절이 가능한 발라스트 탱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엠바케이션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엠바케이션에서, 상기 신축지지볼트 체결부는, 상기 신축지지볼트의 전진 방향을 향하여 상기 엠바케이션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하여 구비되며, 상기 신축지지볼트의 전진 시 상기 신축지지볼트 체결부에 상기 신축지지볼트가 삽입되면, 제1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호 간의 체결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핀은, 상기 엠바케이션보다 전방으로 소정 길이 더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된 길이 부위가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핀은, 상기 엠바케이션의 상부에서 수평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핀과 상기 엠바케이션 사이에는, 상기 고정용 핀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고정용 핀의 수평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는 복수의 핀 서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면, 제2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호 간의 체결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수함의 무장탑재 방식을 자동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무장탑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무장탑재 방식에 이용되었던 엠바케이션과 상부 지지대의 사용을 배제하고, 무장탑재용 함을 구축하여, 장소에 제한 받지 않으며 해상 어디에서든 무장탑재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무장탑재 시 필요한 작업 인력 및 크레인의 이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과 무장탑재 전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무장을 장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긴급 상황(예: 전시 등)에 잠수함이 직접 부두에 정박하지 않고서도 무장탑재용 함정에서 무장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어 전투력 상승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구성과 이를 이용한 무장탑재 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개념도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구성과 이를 이용한 무장탑재 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개념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1000)은, 무장탑재용 함정(100),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300), 신축지지볼트 체결부(210), 고정용 핀(220), 및 가이드 홀(400)을 포함한다.
무장탑재용 함정(100)은 잠수함(10)에 무장(30)이 안착된 엠바케이션(Embarkation)(200)을 수상도킹 하도록 구축된 함을 말한다.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300)는 상기 잠수함(10) 측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10)으로부터 전후로 신축지지볼트(310)를 진퇴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축지지볼트 체결부(210)는 상기 엠바케이션(200) 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지지볼트(310)의 전진 시 상기 신축지지볼트(310)를 삽입시켜 체결 고정한다.
고정용 핀(220)은 상기 엠바케이션(200)에 연결되며, 상기 엠바케이션(200)으로부터 설정 높이상에서 전후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홀(400)은 상기 잠수함(1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10)의 발사관(11)으로 무장(30)을 탑재하기 위해 상기 발사관(11)과 상기 엠바케이션(200) 간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고정용 핀(220)의 안내하여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1000)에서 무장탑재용 함정(100)은 해상에서 이동 가능한 함정 본체(110), 리프팅 레일(120), 및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을 포함한다.
리프팅 레일(120)은 상기 함정 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 레일(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리프팅 레일(1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함정 본체의 선수 및 후미 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은 상기 리프팅 레일(120)을 이용하여 상기 함정 본체(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은 복수 개의 리프팅 레일(120)을 이용하여 상기 함정 본체(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평 자세를 유지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은 상부를 통해 무장(30)을 실은 상기 엠바케이션(200)을 안착시키는 평탄한 안착 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1000)에서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의 상부에는 무게에 따라 수위 조절이 가능한 발라스트 탱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엠바케이션(200)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14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의 하강 분리 시, 상기 발라스트 탱크(14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엠바케이션(200)에서, 상기 신축지지볼트 체결부(210)는 상기 신축지지볼트(310)의 전진 방향을 향하여 상기 엠바케이션(200)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지지볼트(310)의 전진 시 상기 신축지지볼트 체결부(210)에 상기 신축지지볼트(310)가 삽입되면, 제1 체결나사(211, 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상호 간의 체결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용 핀(220)은 상기 엠바케이션(200)보다 전방으로 소정 길이 더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된 길이 부위가 상기 가이드 홀(400)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용 핀(220)은 상기 엠바케이션(200)의 상부에서 수평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홀(400)을 통해 고정용 핀(22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고정용 핀(220)과 상기 엠바케이션(200) 사이에는 상기 고정용 핀(22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핀 서포트(2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복수의 핀 서포트(230)가 엠바케이션(200)과 상기 고정용 핀(220)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 후로 각각 평행을 이루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고정용 핀(220)의 수평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고정용 핀(220)이 가이드 홀(400)에 삽입되면, 제2 체결나사(221)를 이용하여 상호 간의 체결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다(20) 위에서 별도의 크레인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잠수함(10)과 엠바케이션(200) 사이의 연결이 가능하고, 발사관(11)으로 무장(30)을 탑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을 이용하는 운용방법에 관하여 간략하기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수상 도킹방식의 무장탑재용 함정(100)이 잠수함(10)의 선수 쪽을 향하여 W1 방향으로 이동한다.
리프팅 레일(120)과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을 이용하여 엠바케이션(200)의 위치를 정 위치로 조정하고, 발라스트 탱크(140)로 무게에 따른 수위 조절을 할 수 있다.
이후,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300)를 동작시켜 신축지지볼트(310)를 신축지지볼트 체결부(210)로 전진 이동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진 이동된 신축지지볼트(310)를 신축지지볼트 체결부(210)에 제1 체결나사(211)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키고, 상호 체결 고정 상태를 확인한 후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300)를 동작시켜 신축지지볼트(310)를 후퇴 이동시킨다. 이로써, 엠바케이션(200)은 무장(30)을 발사관(11)에 장전할 수 있는 위치까지 W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을 따라 진행되는 엠바케이션(200) 상부의 고정용 핀(220)과 가이드 홀(400) 간의 위치가 잘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고정용 핀(220)의 삽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 또한, 고정용 핀(220)이 가이드 홀(400)에 삽입되기 이전에 가이드 홀 도어(41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팅 레일(120)에 고정된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130)을 하강시킨 후 무장탑재용 함정(100)을 W3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발라스트 탱크(140) 상부에서 엠바케이션(200)에 실린 무장(30)은 발사관 도어(12)의 개방에 의해 발사관(11)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장전될 수 있다. 이로써, 수상 도킹방식으로 무장의 탑재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잠수함의 무장탑재 방식을 자동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무장탑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무장탑재 방식에 이용되었던 엠바케이션과 상부 지지대의 사용을 배제하고, 무장탑재용 함을 구축하여, 장소에 제한 받지 않으며 해상 어디에서든 무장탑재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장탑재 시 필요한 작업 인력 및 크레인의 이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과 무장탑재 전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무장을 장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긴급상황(예: 전시 등)에 잠수함이 직접 부두에 정박하지 않고서도 무장탑재용 함정에서 무장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어 전투력 상승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잠수함
11: 발사관
12: 발사관 도어
20: 바다
30: 무장
100: 무장탑재용 함정
110: 함정 본체
120: 리프팅 레일
130: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
140: 발라스트 탱크
200: 엠바케이션
210: 신축지지볼트 체결부
211: 제1 체결나사
220: 고정용 핀
221: 제2 체결나사
230: 핀 서포트
300: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
310: 신축지지볼트
400: 가이드 홀
410: 가이드 홀 도어
1000: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Claims (10)

  1. 잠수함에 무장이 안착된 엠바케이션(Embarkation)을 수상도킹 하도록 구축된 무장탑재용 함정;
    상기 잠수함 측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으로부터 전후로 신축지지볼트를 진퇴 구동시키는 신축지지볼트 유압실린더;
    상기 엠바케이션 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축지지볼트의 전진 시 상기 신축지지볼트를 삽입시켜 체결 고정하는 신축지지볼트 체결부;
    상기 엠바케이션에 연결되며, 상기 엠바케이션으로부터 설정 높이상에서 전후로 길게 배치되는 고정용 핀; 및
    상기 잠수함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잠수함의 발사관으로 무장을 탑재하기 위해 상기 발사관과 상기 엠바케이션 간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고정용 핀의 안내하여 삽입시키는 가이드 홀;
    을 포함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장탑재용 함정은,
    해상에서 이동 가능한 함정 본체;
    상기 함정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리프팅 레일; 및
    상기 리프팅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함정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
    을 포함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레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리프팅 레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함정 본체의 선수 및 후미 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은,
    상기 복수 개의 리프팅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함정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평 자세를 유지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부를 통해 무장을 실은 상기 엠바케이션을 안착시키는 평탄한 안착 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의 상부에는 무게에 따라 수위 조절이 가능한 발라스트 탱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엠바케이션은 상기 발라스트 탱크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리프팅 슬라이드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바케이션에서, 상기 신축지지볼트 체결부는,
    상기 신축지지볼트의 전진 방향을 향하여 상기 엠바케이션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하여 구비되며,
    상기 신축지지볼트의 전진 시 상기 신축지지볼트 체결부에 상기 신축지지볼트가 삽입되면, 제1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호 간의 체결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핀은,
    상기 엠바케이션보다 전방으로 소정 길이 더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된 길이 부위가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핀은,
    상기 엠바케이션의 상부에서 수평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핀과 상기 엠바케이션 사이에는,
    상기 고정용 핀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핀 서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면, 제2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호 간의 체결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KR1020190128881A 2019-10-17 2019-10-17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KR10266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81A KR102664846B1 (ko) 2019-10-17 2019-10-17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81A KR102664846B1 (ko) 2019-10-17 2019-10-17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23A KR20210045623A (ko) 2021-04-27
KR102664846B1 true KR102664846B1 (ko) 2024-05-09

Family

ID=7572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881A KR102664846B1 (ko) 2019-10-17 2019-10-17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813U (ko) 2010-10-14 2012-04-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슬라이딩식 무장 이송장치
KR20140046560A (ko) * 2012-10-05 2014-04-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를 이용한 잠수함의 무장 탑재방법
KR102434532B1 (ko) * 2016-01-13 2022-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무장 탑재 장치
KR102523653B1 (ko) * 2018-08-01 2023-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내 무장 자동탑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23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312B1 (ko) 해저 유정시추공 작업 선박
US8096254B1 (en) Unmanned vehicle launch and recovery system
US9611014B2 (en) Device for launching a subsurface mining vehicle into a water mass and recovering the same from the water mass
KR102434532B1 (ko) 수중운동체의 무장 탑재 장치
FI112056B (fi) Hiilivetyjen tuotantoon tai kuljetukseen avomerikentiltä tarkoitettu alus ja menetelmä öljyn lastaamiseksi
US8202023B2 (en) Self-standing riser and buoyancy device deployment and positioning system
KR102664846B1 (ko) 수상 도킹방식 무장탑재 시스템
JP7419322B2 (ja) ボートの送出及び回収プラットフォーム並びに関連する送出及び回収する方法
AU2018273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KR10205235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설치방법
KR20180042940A (ko)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KR102184639B1 (ko) 예인 시스템이 구비된 수중 이동체
RU2493046C2 (ru) Комплект устройств и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транспортно-пуск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в многоместную шахтную пусковую установку вертикального пуска
US6061635A (en) Seismic handling device
EP3243734A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KR200481469Y1 (ko) 구명정 진수 장치
EP2692625A1 (en) Hyperbaric evacuation system for divers and hyperbaric chamber for evacuating divers
RU2517387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US3857351A (en) Subsurface submersible mating system
KR200477404Y1 (ko) 잠수함의 유압식 무장 이송장치
KR20140049284A (ko) 잠수함의 무장 탑재용 연결장치
US9638351B2 (en) Vessel with stinger handling system
CN217401892U (zh) 吸力桩基础的管卡安装架
EP4098536A1 (en) An underwater vessel and associated system
CN210212664U (zh) 用于和海底潜水器对接的海洋平台甲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