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651Y1 - 농작물 하우스용 시이트 - Google Patents

농작물 하우스용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651Y1
KR870003651Y1 KR2019830010338Q KR830010338Q KR870003651Y1 KR 870003651 Y1 KR870003651 Y1 KR 870003651Y1 KR 2019830010338 Q KR2019830010338 Q KR 2019830010338Q KR 830010338 Q KR830010338 Q KR 830010338Q KR 870003651 Y1 KR870003651 Y1 KR 870003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nonwoven fabric
film
bonded
crop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338Q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기다무라
마사미 오오구마
야스아끼 에구찌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세꼬 모마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2186009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9035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3077057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8214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3135392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44556U/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세꼬 모마오미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작물 하우스용 시이트
제1도, 제2도, 제3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재배하우스용 시이트의 모식 사시도.
제5도는 하우스 양측면에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
제6도는 하우스 편측면에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
제7도는 하우스의 전체측면 일부에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
제8도는 하우스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상이한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제9도, 제10도, 제11도는 2층 구조로된 하우스의 응용예이고,
제9도는 내측 하우스 양측면에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이고,
제10도는 내측 하우스 편측면에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제11도는 외층 하우스와 내층 하우스 양자에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어느 것이나 부직포와 인접하는 투과성 필름은 접합되어 있음을 표시한 것이다.
제12도는 부직포와 투과성 필름이 접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직포 2 : 투과성필름
2' : 별종의 투과성필름 3 : 접합부분
본 고안은 투과성, 보온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통기성이 풍부한 농작물 재배용에 사용되는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라 함은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한 온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로서는 포리염화비닐, 포리에치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유리판, 아크릴 경질판 등을 소재로한 지붕 및 벽부분을 구성한 밀폐구조로 하여 온실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는 밀폐구조로 되기 때문에 주간에 고온 고습도가 된 때에는 천정창구, 하우스 벽부의 일부(하우스의 측벽, 출입구 등) 또는 창문 등을 개문 하거나 이동시키거나 하여 환기 즉 공기교환을 하여, 하우스내의 온도나 습도를 관리하여 왔다.
또한 이들의 환기는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를 계기, 기계 또는 인간의 신체 또는 경험 등으로 검지하고 인력 또는 기계가 개폐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야간에 있어서는 밀폐상태로 되어있는 하우스내는 특히 작물이 호흡작용을 하기때문에 산소가 부족하게되고 농작물의 생육상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과습 상태가 되므로서 병해발생이 초래하는 등 커다란 결점이 되었다.
이와같은 점을 개량하는 목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에 부분적인 소공을 뚜르는 것이 제안되지만 필름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는 동시에 하우스 내부에 온습도 콘트롤이 불충분하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필름의 측단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한냉사(寒冷紗) 등의 편직물을 접합한 소재를 사용한 하우스가 제안된바 있으나, 편직물부의 통기성이 과대하여 외기의 영향을 받기쉽고, 보온효과가 작고, 특히 야간에 있어서는 하우스내부 온도가 하강하여 농산물 생육 촉진효과가 작어서 실용화되기 까지는 미흡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결점을 해소하고저 하는 것이다.
즉 농작물의 재배, 육성을 함에 있어서 태양광선을 충분히 받아들임과 동시에 주중(晝中)의 고온도화 및 야간의 고습도화를 피하고, 농작물의 병해발생을 방지하고, 야간의 보온성이 뛰어나며, 더우기 다대한 노력을 필요로하는 환기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농작물이 건실하고 생육이 우수하며 수확량도 증대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에 사용되는 시이트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용 시이트는 두께 0.05-1.0mm 중량 10-20g/㎡, 통기도 10-900CC/㎠,sec(후라질법 : JIS-L-1079)의 부직포의 최소일변에 투광성 필름을 접합 하였고, 부직포가 측면에 오도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제1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도는 필름(2)의 측단연부 일단에 부직포(1)를 접합시킨 농업용 하우스 시이트이다.
제2도는 부직포(1)의 2변의 측연부에 투광성 플라스틱 필름(2)을 접합한 농업용 하우스 시이트이다.
제3도는 부직포(1)의 4변의 측연부에 투광성 플라스틱 필름(2)을 접합한 농업용 하우스 시이트이다.
제4도는 2종류의 투광성 플라스틱 필름(2) 및 (2')를 사용하여 부직포(1)의 2변의 측연부에 일방향의 투광성 플라스틱 필름(2)을 접합하고 1변의 측연부에 타방향의 투광성 플라스틱 필름(2)을 접합한 농업용 하우스 시이트이다.
이 실시에서와 같이 사용되는 투광성 플라스틱 필름은 한 종류의 재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두 종류이상의 병용이 가능한 것이다.
제5도는 내부에 인간이 들어갈 수 없는 소형의 콘센트형 지붕(반달형 단면을 갖는 지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고, 이 하우스의 양측면에 부직포(1)이 천정부에 투광성 필름(2)가 배치되게 접합된 시이트로 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인 것이다.
제6도는 내부에 인간이 들어갈 수 없는 소형의 반달형 지붕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고, 이 하우스 편측면에 부직포(1)이 다른 편측면과 천정부에 투광성필름(2)가 접합된 시이트로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다.
제7도는 인간이 들어갈 수 있는 3각지붕(3각형 단면으로된 지붕)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고, 천정부 및 측면부 일부에 투광성 필름(2)가 측면부 일부에 부직포(1)이 배치되며, 또한 이 투광성 필름(2)와 부직포(1)은 접합되어 있어서, 부직포(1)은 하우스 측면 주위에 연속하여 배치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다.
제8도는 3각지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고 일측 측면에는 부직포를 전면에, 타측면에는 부직포를 부분적으로 배치하며, 하우스측면 주면에는 부직포를 불연속으로 배치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다.
제9도는 2층 구조로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다.
즉 콘센트형 지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 내부에 하우스의 양측면 일부에 부직포(1)이 천정부에 투광성 필름(1)가 배치되도록 접합된 시이트로된 콘센트 지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조립한 것이다.
제10도는 제9도와 동일하게 2층 구조로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고, 콘센트형 지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내부에 하우스 편측면 일부에 부직포(1)가 천정부에 투광성 필름(2)이 배치되도록 접합된 시이트로된 콘센트형 지붕의 농작물 하우스를 조립한 것이다.
제11도도 2층 구조로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이다.
즉 하우스 편측면 일부에 부직포(1)가 천정부에 투광성 필름(2)이 배치되도록 접합된 시이트로된 콘센트형 지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내부에 하우스 편측면(외층하우스 타측면측에 위치하는 측면) 일부에 부직포(1)가 천정부에 투광성 필름(2)이 배치되도록 접합된 시이트로된 3각지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조립한 것이다.
제12도는 부직포(1)와 투광성 필름(2)의 접합상태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이고 접합부(3)가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부직포는 천연섬유,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합성섬유 등의 섬유소재로 구성된다.
섬유형상은 단섬유, 장섬유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내구성, 내부식 성면에서 합성섬유, 특히 포리에스텔섬유로된 스팬본드(Span Bond)법으로 제조된 장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섬유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바인더에 의한 결합법, 니이들수록카 등의 기계적 교락법, 히이트 프레쓰본 데잉법 등 및 이들을 조합한 결합법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고 특히 한정되는 것만도 아니다.
이와같은 부직포의 구비되어야할 특성으로서는 부직포의 두께 0.05-1mm, 중량 10-200g/㎡ 통기도(후라질법 : JIS-L-1079) 10-900CC/㎠,sec 일것이 필요하다.
부직포의 두께 0.05mm미만, 중량 10g/㎡ 미만의 부직포에서는 인장강력, 인렬강력 또는 내구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뿐더러 실내의 온도가 외기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보온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두께가 1mm 보다 크고 중량이 200g/㎡를 초과하는 부직포는 용적이 과대하여 실용상 취급, 수납 등이 곤란하게 된다. 더우기 코스트적으로도 불합리할 뿐더러 실내의 환기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통기성을 10-900CC/㎠,sec으로 설정하는 것은 실내의 보온성능을 향상하는데 필수적이다.
더우기 섬유를 실형상으로 한후, 제편, 제작된 편직물은 실로서의 교략점(交絡點)이 있기 때문에 실이 2중 3중으로 겹치는 부분이 있는 동시에 겹치지 아니하는 공간부분이 출현하고, 따라서 효율이 좋은 보온성을 얻을 수 없게된다.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움직이기 어려운 공기층을 갖는 부직포와는 확실하게 구별되는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투광성 필름에 대하여 설명하면 태양광선을 적어도 30% 이상 투과하는 비통기성 필름이고 포리에치렌, 포리염화비닐, 포리초산비닐 등 통상농업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투광성 플라스틱 필름일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선 투과율이 30%미만의 필름에서는 농작물 육성에 필요한 광량을 얻기 위하여서는 충분치 못하고 부직포의 적어도 1변에 투광성 필름은 접합하는 방법은 고주파미싱, 초음파미싱, 히이트시이라 등 공지의 장치로 접합하여도 되고 접착제, 점착제를 필름 또는 부직포에 코오팅하여 접합하여도 되고, 또한 점착 테이프, 홋트멜 필름 등을 필름과 부직포 사이에 게재 접합하여도 되며 접합법에 대하여서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직포의 적어도 일변에 투광성 필름이 접합된 시이트상 물건을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로 사용함에 있어서 부직포부가 하우스 천정(지붕)을 제외한 측면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것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중요한 포인트의 한가지인 것이다.
즉 주간에 있어서 태양광선을 천정부의 투광성 필름에서 끌어들여 광량부족을 초래하는일 없게 또한 종래의 밀폐타입의 하우스에서는 하우스내의 온도가 이상고온이 될 염려가 있는 것에 비하여 본 고안 하우스에서는 측면에 있는 부직포 부분의 환기작용에 의하여 하우스내를 적당한 온습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야간에 있어서는 부직포가 가지는 보온효과 및 환기 기능에 의하여 하우스의 보온 및 과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육성, 병해발생 방지에 십분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스 측면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점유 비율 및 형상은 여러가지로 고려되지만 이것은 농작물의 종류, 하우스가 설치되는 장소, 기상조건 등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고 적의 선택되는 것이지만 하우스측면에서 부직포가 점유하는 면적비율로서는 20-100%가 바람직하다.
20%이하의 경우에 대하여서는 환기성능이 부족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더우기 본 고안에서 말하는 하우스 측면이라 함은 하우스의 들보(연속된 최정상부)까지의 높이를 Lm할 때, 지면에서L,m 이하의 높이의 하우스 부위이거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하우스 부위를 뜻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재배하우스용 시이트는 종래 하우스의 결점을 해소하고 주간의 이상고온, 고습도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야간의 보온성이 우수하며, 과습도화를 방지하고 주야간에 온화한 환기가 이루어지므로서 농작물에 대하여 최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실시예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두께 0.15mm 중량 30g/㎡ 통기도 320CC㎠,sec(후라질법JIS-L-1079)의 값을 가지는 폭 50cm, 길이 51m의 포리에스텔계 장섬유 부직포를 2매 준비한다.
또한 두께 0.075mm, 폭 100cm, 길이 51m의 포리염과 비닐필름을 중앙에, 이 필름의 양측 연단부에 상기부직포를 각각 1매를 중합하여 히이트시이러 기계를 사용하고, 각각 1cm의 중합부를 접합한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폭 198cm, 길이 51m의 피복재를 금속제지주에 장착하여 콘센트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로 한다.
비교례(A)로 하여 두께 0.075mm, 폭 198cm, 길이 51m의 포리염화비닐 필름을 사용하여 같은 콘센트형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로 하였다.
다시 비교례(B)로하여 본 고안품에서 말하는 부직포 부분을 한냉사(寒冷紗)(비니론 30'S/1, 밀도 22본/인찌×21본/인찌로 교체한 것을 사용하여 같은 콘센트형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로 하였다.
상기 3종류의 농작물 재배용에 레타스(Lettuce)를 정식하고, 하우스의 측면부의 개폐작업은 실시하지 아니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로 도시한다.
[표 1]
[실시예 2]
두께 0.26mm, 중량 50g/㎡, 통기도 185CC/㎠,sec(후라질법 : JIS-L-1079)의 값을 가지는 폭 52cm, 길이 36m의 포리에스텔계 장섬유부직포를 2매 준비한다.
수직측면 높이 1.5m, 최고부 높이 2.5m, 폭 5.4m, 길이 36m의 철파이프 골조에 상기 부직포와 두께 0.10mm의 투광성 필름을 접합한 시이트를 장착하여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로 하였다.
단, 이 하우스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은 지면에서 50cm는 포리염화비닐 필름, 그 상부를 상기 부직포 50cm, 이어진 그 상부는 천정부까지 포리염화비닐 필름의 구조가 되게 접합하였다.
이 비닐필름과 상기 부직포의 접합에 있어서는 포리에스텔계 홋트멘 필름의 테이프를 양자의 중합부에 샌드위치 상태로 협지하고, 히이트 시이루 기계로 가열, 가압하므로서 접찹한다. 이와같이하여 하우스 양측면에 부분적으로 부직포가 접합된 본 고안품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에 대하여 비교례로한 동일 사이스 하우스에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은 포리염화비닐 필름(두께 0.01mm)만으로 피복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만들었다.
상기 2개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에 있어서 동시에 토마토를 재배한 결과를 제2표로 도시한다.
[표 2]
[실시예 3]
중앙부에 포리염화비닐 필름(두께 0.075mm, 폭 60cm)양측에, 포리에스텔계장섬유 부직포(두께 0.21mm, 중량 40g/㎡, 후라질법 통기도 210CC/㎠,sec)의 각 100 cm폭을 중합부 1.0cm로 하여, 히이트시일 기계에 의하여 접합하고, 총폭을 798cm로 하고, 철파이프에 장치하여 콘센트형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만들었다.
또한 이 하우스 내부에 약간 작은 동일형상의 철파이프 하우스를 만들고, 이 편측에 포리염화비닐필름(두께 0.05mm, 폭 550cm), 타측편방에 상기 포리에스텔계장 섬유부직포(폭 150cm)를 접합한 총폭 698cm의 시이트를 장착하여 내측 하우스로 하고, 2층 구조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만들었다.
비교례로서, 상기한 것과 같은 사이스의 2층 구조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제작하고, 외층에도 포리염화비닐 필름(두께 0.10mm, 총폭 798cm) 내층에도 포리염화비닐 필름(두께 0.05mm, 총폭 698cm)을 사용하였다.
내부에는 메론을 재배하였다.
더우기 하우스의 길이는 어느 것이다 45m이었다.
비교례와 비교하여 본 고안품의 하우스 결과를 집합하여 다음에 표시한다.
(1) 하우스내부의 습도가 적고 꽃의 교배(홀몬처리)가 간단하여 확실하였다.
(2) 병해발생이 없고 농약산포는 약 1/3회로 끝났다.
(3) 수확이 약 7일 빠르다.
(4) 메론의 형상이 고르며 형상이 크고 당도가 높고 품질이 매우 양호하다.
(5) 메론 수확량이 약 1.2배이다.
(6) 수익은 약 1.4배이었다.
(7) 하우스내의 온습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하우스의 환기작업은 약 1/2로 그친다.

Claims (1)

  1. 두께 0.05-1.0mm, 중량 10-200g/㎡, 통기도 10-900CC/㎠,sec(후라질법 : JIS-L-1079)부직포의 최소 1변에 투광성 필름을 접합하며, 부직포가 측면에 오게 사용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용 시이트.
KR2019830010338Q 1982-12-10 1983-12-06 농작물 하우스용 시이트 KR8700036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86009 1982-12-10
JP1982186009U JPS5990354U (ja) 1982-12-10 1982-12-10 農業用不織布
JP57-186010 1982-12-10
JP1983077057U JPS59182149U (ja) 1983-05-24 1983-05-24 農業用ハウス
JP58-77057 1983-05-24
JP58-77058 1983-05-24
JP1983135392U JPS6044556U (ja) 1983-09-02 1983-09-02 農業用ハウスシ−ト
JP58-135393 1983-09-02
JP58-135392 198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51Y1 true KR870003651Y1 (ko) 1987-10-21

Family

ID=2730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338Q KR870003651Y1 (ko) 1982-12-10 1983-12-06 농작물 하우스용 시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6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465A (en) Curtain fabrics for greenhouses and shade halls
US4632863A (en) Green-house curtain
US8528250B2 (en) Fabric plant container
US5659997A (en) Bag for the cultivation of mushroom spawn
US11582968B2 (en) 3D spacer textiles for crop protection and insect control
KR870003651Y1 (ko) 농작물 하우스용 시이트
KR200461061Y1 (ko)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JP5105177B2 (ja) 保温シート
KR101020403B1 (ko) 유리온실의 커튼용 원단
KR102059778B1 (ko) Uv코팅층과 방습코팅층을 구비한 농업용 단열원단
JPS6144840Y2 (ko)
JP2515901B2 (ja) 高強度農業用透明シ―ト
JPS6014376Y2 (ja) 農業用ハウス内被覆カ−テン
JP7303685B2 (ja) 農業用ハウス保温材
JP7174997B2 (ja) 農業用ネット及び農業用ハウスの内張りカーテン
JP2581578Y2 (ja) 農業用被覆資材
JPS5812608Y2 (ja) うなぎ等の養殖用温室ハウス
JPH09262029A (ja) 農業用被覆材
JP3124504B2 (ja) べたがけ用資材および農作物類の栽培方法
JP2996461B2 (ja) 軟白植物の栽培用資材及びこれを用いた植物育成床
JP3107430U (ja) 農業用シート
JP4017703B2 (ja) 農業用被覆材
JP2000217446A (ja) 防虫ネット
JPS5943407Y2 (ja) 防霜用布
JP3109946U (ja) リバ−シブル農業マルチシ−ト敷設ハウ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