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542Y1 -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542Y1
KR870003542Y1 KR2019820003182U KR820003182U KR870003542Y1 KR 870003542 Y1 KR870003542 Y1 KR 870003542Y1 KR 2019820003182 U KR2019820003182 U KR 2019820003182U KR 820003182 U KR820003182 U KR 820003182U KR 870003542 Y1 KR870003542 Y1 KR 870003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cover member
earphone
receiver
earph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352U (ko
Inventor
야스오 히야가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4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기기
제1도는 본 고안을 만년필형 AM라디오 수신기에 적용한 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만년필형 AM라디오수신기 2 : 외부케이스
3 : 덮개부재 7 : 접속부재
13 : 접속단자 15 : 이어폰
16 : 이어폰 수납부 17 : 리드선
19 : 원통체 21 : 접속단자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외부케이스의 한쪽부에 이어폰 수납부를 설치하고 이 수납부를 덮개부재로 덮어 이어폰을 보호하는 동시에 덮개부재를 수납부로부터 떼어 내어 위 외부덮개의 다른쪽부와 계합시킴으로써 스윗치, 바리콘, 보륨등과 같은 가변전기 소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진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어폰으로 청음하는 포켓타블 라디오 수신기등에 있어서는 음향기기 자체에 이어폰을 수납하는 설비가 되어있지 않은 것이 많아 음향기기를 사용하지 않을때 이어폰을 분실하거나 손상시키는 일이 자주 일어났던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결함을 시정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인데 음향기기의 외부케이스에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수납부를 덮개부재로 덮고 또 음향기기를 사용할 때는 이 덮개부재를 스윗치, 바리콘, 보륨등과 같은 가변전기 소자의 조작수단으로 겸용함으로써 이어폰의 보호와 음향기기의 소형화 내지 부품수의 삭감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만년필형 라디오 수신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만년필형 AM라디오 수신기(이하 수신기라고 씀)(1)의 외부케이스(2)는 통체모양으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부(2a)에는 통모양의 덮개부재(3)이 덮어져 있다. 덮개부재(3)은 그 한쪽단부가 외부케이스(2)의 선단부(2a)의 바깥둘레에 착탈이 자유롭게 감합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쪽 단부는 이와 한 몸이 되도록 이루어진 단판(端板)(3a)에 의하여 덮어져 덮개부재(3)의 내부는 밀폐상태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2)와 덮개부재(3)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비교적 가볍게 만들어져 있는 동시에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전파가 통하기 쉽도록 되어있다. 또 덮개부재(3)의 바깥 둘레면에는 크립(4)가 한몸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수신기(1)을 양복 웃도리 호주머니등에 집어 넣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되어있다.
덮개부재(3)은 그 중앙부로부터 약간 단판(3a)쪽으로 기울어진 자리에 두 동강이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되어 있다. 즉, 덮개부재(3)은 외부케이스(2)와 감압하는 쪽의 부재(3b)와 단판(3a)쪽의 부재(3c)로 이루어져 있다. 부재(3c)내면에는 전기도체로서의 금속부재(5)가 깔려 붙여져 있고 금속부재(5)의 가장자리부 내면에는 나사홈(6)이 만들어져 있다. 한편, 부재(3c)와 접하는 쪽의 부재내(3b)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링모양의 접속부재(7)이 감합고착되어 접속부재(7)의 한쪽부는 부재(3c)쪽으로 적당히 돌출하여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분이 바깥둘레면에는 위 나사홈(6)과 나합하도록 나사홈(8)이 만들어져 부재(3b)와 (3c)의 계합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접속부재(7)의 부재(3b)쪽 내면에는 뒤에 설명하는 계지용 凹부(19a)와 계합하기 위한 凹부(7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凸부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모양으로 부풀어 오른 링 모양을 하고 있다.
단판(3a)에 깔려 붙어 있는 금속부재(5)의 내면 중앙부에는 부재(3c)의 안쪽으로 약간 돌출한 돌기부(5a)가 형성되어 있고 금속부재(5)의 내면은 이 돌기부(5a)와 위나사홈 부분을 제하고는 엷은 플라스틱층(9)로 덮여 절연처리가 되어있다.
그리고 부재(3c)내에는 이 플라스틱층(9)의 안쪽으로 직열로 나란히 접속된 두 개의 전지(10)(11)이 수납되어, 전지(10)의 음극(10a)는 위 돌기부(5a)와 서로 접하고 있다. 또한, 전지(11)의 양극(11a)쪽은 절연판(12)로 덮여, 이 절연판(12)에는 그 중앙부를 관통한 접속단자(13)이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위 접속부재(7)을 금속부재(5)의 나합 시킴으로써 접속부재(7)의 선단면(7b)가 절연판(12)의 바깥둘레부를 눌러 접속단자(13)이 전지(11)의 양극(11a)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판(12)는 접속부재(7)에 고착되어 부재(3b)를 회전시키고 부재(3b)와 (3c)를 분리함으로써 부재(3c)의 선단을 개방할 수 있게되어 이로써 전지(10)(11)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부재(3b)내에 감합한 외부케이스(2)의 선단부(2a)보다 약간 안쪽에는 외부케이스(2)내를 그 반지름 방향으로 횡단한 격판(14)가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 격판(隔板)(14)의 바깥쪽에 이어폰(15)가 들어있는 이어폰 수납부(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이어폰(15)의 리드선(17)은 격판(14)에 만들어진 적은 구멍(18)을 통하여 격판(14)의 안쪽으로 배선되어 뒤에 말하는 프린트기판(27)의 출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외부케이스(2)의 후단부(2b)내에는 도전성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링모양의 원통체(19)가 감합되어 원통체(19)의 한쪽부는 외부케이스(2)의 바깥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돌출한 한쪽 부내에는 절연판(20)이 감합되고 절연판(20)에는 그 중앙부를 관통한 접속단자(21)이 설치되어 있다. 위 외부케이스(2)의 바깥으로 돌출한 원통체(19)의 바깥 둘레면에는 외부케이스(2)의 후단부(2b)와 인접하는 부분에 단면이 대략 반원형 모양으로 음푹 들어간 계지용 凹부(19a)가 원통체(19)의 둘레방향에 따라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 凹부(19a)는 앞에 말한 접속부재(7)의 凸부(7a)와 계합하도록 형성되고, 덮개부재(3)을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 케이스(2)의 후단부(2b)에 집어 넣음으로써 접속부재(7)이 원통체(19)의 바깥둘레에 감합되는 동시에 그 凸부(7a)가 凹부(19a)와 계합하고 또 이때 접속단자(13)과 (21)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부재(7), 원통체(19) 및 접속단자(13)(21)에 의하여 전원 스윗치가 구성되는 동시에 덮개부재(3)이 이 전원 스윗치의 조작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까닭이다.
외부케이스(2)내에는 그 축선방향에 따라 바안테너(22)가 설치되고 또 IC(23), LSI(24), 바리콘(25), 보륨(26)등의 전자부품이 부착된 프린트기판(27)이 외부케이스내(2)의 빈틈을 메꾸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프린트기판(27)의 전원단자(28)(29)와 위 원통체(19) 및 접속단자(21)이 배선(30)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바리콘(25) 및 보륨(26)의 회전축(25a)(26a)에는 다이얼(31)(32)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다이얼(31)(32)는 그 일부가 외부케이스(2)에 만들어져 있는 긴 구멍(33)(34)로부터 각각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조작이 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수신기(1)의 조작상황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수신기(1)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덮개부재(3)을 외부케이스(2)의 선단부(2a)로부터 분리시켜 외부케이스(2)의 후단부(2b)와 바꿔쳐 이어폰(15)을 이어폰 수납부(1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끄집어낸다.
이때 덮개부재(3)과의 바꿔치기에 의하여 접속부재(7)은 그 凸(7a)부가 凹부(19a)와 계합한 상태로 원통체(19)의 바깥둘레에 감합되는 동시에 접속단자(13)과 (21)이 서로 접하여 전지(10)(1)로부터의 전류가 전원단자(28, 29)에 공급된다. 이리하여 바안테너(22)에서 수신된 방송전파는 프린트기판(27)위의 IC(23), LSI(24)등으로 이루어진 증폭회로에 의하여 증폭되어 이어폰(15)로 음향이 변환되어 청음하게 된다. 그리고 음향조절이나 선구은 다이얼(31)(32)의 회전조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지(10)(11)의 교환은 부재(3b)를 회전시켜 부재(3b)와 (3c)를 분리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수신기(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휴대할 때는 이어폰(15) 및 그 리드선(17)을 외부케이스(2)의 이어폰 수납부(16)에 수납하여 덮개부재(3)을 선단부(2a)에 덮어 씌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어폰(15)가 분실되거나 뜻밖에 손상을 입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리드선(17)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에 편리하다. 또한, 수신기(1)을 포켓등에 넣을 때 크립(4)로 포켓의 가장자리를 찝어두게 되면 휴대중 수신기를 떨어뜨리는 것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라디오 수신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그외 여러가지 음향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AM, FM겸용 라디오 수신기에의 적용은 이어폰(15)의 리드선(17)을 코드 안테너로 함으로써 손쉽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 있어서는 덮개부재(3)의 착탈로 전원 스윗치가 조작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덮개부재(3)의 회전조작으로 바리콘(25)나 보륨(26)등의 가변전기 소자가 조작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고안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으로 청음하는 음향기기의 외부케이스의 한쪽부에 이어폰을 수납하는 이어폰 수납부를 설치하고 이것을 착탈이 자재인 덮개부재로 덮어 음향기기 사용시에는 덮개부재를 이어폰 수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시에 외부케이스의 다른 부와 계합시켜 음향기기의 가변전기 소자가 조작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이어폰의 분실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덮개부재를 가변전기소자의 조작수단으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음향기기의 소형화 내지 부품수의 삭감을 이룰 수 있다.

Claims (1)

  1. (정정) 외부케이스의 한쪽부에 이어폰을 수납하는 이어폰 수납부를 설치하고, 상기 이어폰 수납부에 착탈가능한 덮개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다른쪽부에는 가변 전기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수납부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외부케이스의 다른쪽부에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덮개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변전기소자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KR2019820003182U 1981-04-24 1982-04-23 음향기기 KR8700035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60296 1981-04-24
JP1981060296U JPS57173379U (ko) 1981-04-24 1981-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352U KR830004352U (ko) 1983-12-30
KR870003542Y1 true KR870003542Y1 (ko) 1987-10-16

Family

ID=2985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182U KR870003542Y1 (ko) 1981-04-24 1982-04-23 음향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73379U (ko)
KR (1) KR8700035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352U (ko) 1983-12-30
JPS57173379U (ko) 198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70748A (en) Portable radio receiver having inter-changeable means for using single-use and rechargeable batteries
EP0844622A4 (en) C.T.P. AND POWER SUPPLY USING THE SAME
WO2003038929A3 (en) Battery system
GB1032548A (en) In-the-ear hearing aid
KR100462465B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JP3919273B2 (ja) 携帯電話機の複合コネクター構造
KR870003542Y1 (ko) 음향기기
JP2001185280A (ja) 携帯電子機器
US20110081796A1 (en) Battery powered device
EP3291335B1 (en) Secondary electrochemical battery sealing body with charge indicating lamp
CN216903258U (zh) 一种纽扣电池
US330577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on by rechargeable or nonrechargeable self-contained battery
JPS5627621A (en) Sensor
JPS6167295A (ja) 無線装置の筐体構造
CN209984560U (zh) 电动按摩器、功能按键结合充电接点装置和收纳盒
JP2895011B2 (ja) 電子機器の端子取付構造
JPH10233828A (ja) マイクロホン・ホルダー
CN113725602A (zh) 电子设备
JPH059059U (ja) 電話機におけるマイクロホンの組付構造
CN217957062U (zh) 无线发射器
KR880001438Y1 (ko) 라디오 수신기
JP3057172B2 (ja) 電子機器の接続孔の静電気侵入防止構造
CN210809459U (zh) 头盔蓝牙记录仪
JPH08180846A (ja) 電子機器における二次電池格納部構造
JPS5937777Y2 (ja) カメラ電池格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