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250Y1 -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250Y1
KR870003250Y1 KR2019850007820U KR850007820U KR870003250Y1 KR 870003250 Y1 KR870003250 Y1 KR 870003250Y1 KR 2019850007820 U KR2019850007820 U KR 2019850007820U KR 850007820 U KR850007820 U KR 850007820U KR 870003250 Y1 KR870003250 Y1 KR 870003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hain
piece
drive sprocket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020U (ko
Inventor
장현택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7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250Y1/ko
Publication of KR870000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2Header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예취짚 반송부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횡포기 반송체인 안전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좌포기 반송체인 안전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우포기 반송체인 안전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스프로켓.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반송체인 2,2',2" : 구동스프로켓
4 : 작동간 5,5' : 타이트로울러
6,6' : 조절나사봉 7,7' : 코일스프링
9 : 판체 10 : 스프링고정편
11 : 연결편 11' : 탄압편
13 : 연결편 A : 우반송부
B : 좌반송부 C : 횡반송부
본 고안은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분할기로 분리되어 인기장치로 세워져 인입된 작물을 예취인에 의해 절단하는 동시에 스타휠과 포기 반송체인, 이삭 반송체인에 의해 탈곡 깊이 조절체인까지 반송된 다음 탈곡부로 이송되어 탈곡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기장치에 의해 끌어당겨진 곡물은 예취인에 의해 예취되어 스타휠, 포기반송체인, 이삭 반송체인, 등으로 된 좌, 우횡 반송체인과 탈곡깊이 조절체인에 의해 탈곡부 입구까지 반송되는 것이다.
상기 우, 좌, 횡 반송부를 설명하면 우반송부의 우포기 반송체인은 콤바인 우측에서 예취된 1조분의 작물을 반송하며, 좌반송부의 좌포기 반송체인은 좌측에서 예취된 1조분의 작물과 중반송부에서 예취된 1초분의 작물을 반송하는 것이며, 횡반송부의 횡반송 체인은 우포기 반송체인과 좌포기 반송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포기를 이어받아 탈곡 깊이 조절부로 반송하여 탈곡 깊이 체인에 의해 탈곡부 입구까지 반송하도륵 되어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우, 좌, 횡포기 반송체인에 의해 작물이 반송되는 콤바인은 작물 재식밀도가 높거나, 포장정비가 불량한 논, 또는 곡면 예취작업시에는 다량의 작물이 예취됨과 아울러 상기 조기 반송체인에 의해 과다 예취 작물이 반송되는 도중 반송부에 짚등이 끼어 반송부가 막히게 됨과 아울러 급격한 과부하를 받게 됨으로서 짚반송부 전체의 과부하가 걸림과 동시에 반송체인은 정지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구동 스포로켓의 계속적인 회전력에 의하여 기계전체에 무리함이 생기면서 반송부의 구성부품이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1)은 우반송부(A)의 우포기 반송체인이고, (1')는 횡반송부(C)부의 횡포기 반송체인이며, (1")는 좌반송부(B)의 좌포기 반송체인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각각의 반송체인(1)(1')(1")은 구동 스프로켓(2)(2')(2")에 의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로켓(2)(2')(2")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까이 단면이 ''''형의 곡치형을 가지고 있어반송체인(1)(1')(1")에 공부하가 걸려 정지되었을 때 각체인의 링크핀(1a)(1'a)(1"a)을 밀고 넘어갈 수 있게 되었다.
제2도는 횡반송부(c)의 횡포기 반송체인(1')에 형성된 안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구동축(3)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로켓(2') 하부에, 구동축(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 ㄱ "형 작동간(4)이 설치되고, 상기작동간(4) 일단에는 타이트 로울러(5)가 회전 자제토록 축설되었으며, 타단에는 콤바인 기체의 고정돌부(K)에 제착되어 있는 조절나사봉(6)에 결착된 코일 스프링(7')이 탄설되어, 중포기 반송체인(1')이 구동 스프로켓(2')의 회전에 의해 정상회동 운동을 할때 코일 스프링(7')의 조일력에 의하여 항시 로울러(5)는 체인(1')을 외측으로 믿고 있게 되므로서 체인(1')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해주므로 체인(1')이 항시 원활히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는 우반송부(A)의 우포기 반송체인(1)에 형성된 안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것으로 종동 스프로켓(8)에 축착된 판체(9)의 일측 하부에 스프링 고정편(10)을 하향돌설시키고, 판체(9)의 중앙부에는 호형의 탄압편(11')과 스프링 고정편(11")을 하향 돌설시킨 연결판(11)을 축설시키되 스프링 고정편(11")과 (10)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을 탄설시켜 구성되었다.
또한 제4도는 좌반송부(B)의 좌포기 반송체인(1")에 형성된 안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구동 스프로켓(2")의 구동축(3')에 연결편(12)을 축설하고 그 타단부에는 다른 연결편(13)을 타방향으로 고착시켜 하단부에는 타이트 로울러(5′)를 회전 자재토록 축설하여, 연결편(13)의 하향굴곡부(13')와 콤바인 기체의 고정돌부(K′)에 체착되 있는 조절나사봉(6')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을 탄설시켜 구성되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4,14',14"는 스타휠이고 15,15'는 예취된 볏짚의 단위이며, "D"는 중반송부를 도시한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방법과 같이 각단위 볏짚(15)(15')이 스타휠(14)(14')(14")의 회동작용으로 우좌포기 반송체인(1)(1")으로 안내되면 우좌포기 반송체인(1)(1")과 횡반송체인(1')의 회전에 의하여 각 단위볏짚(15)(15')이 정면하면서 순차적으로 탈곡깊이 조절부 (미도시)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에서 짚풀등과 같은 이물질이 각체인(1)(1')(1")의 단위링크에 끼여 회전작용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반송력의 불균등으로 미쳐 반송되지 못하고 누적된 각 단위볏짚에 의하여 기체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데 이때 각 반송부(A)(B)(C)에 형성된 본 고안 안전장치의 작용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우반송부(A)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를 설명하면, 우포기 반송체인(1)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는 우포기 반송체인(1)의 정치력과 구동 스프로켓(2)의 회동력에 의하여 링크핀(1a)이 제5도의 점선도시와 같이 구동 스프로켓(2)의 단위치 상부와 면적되면서 반송체인(1)의 탄발력에 의하여 호형단압편(11')이 내측 방향으로 양간 이동이 되면서 반송체인(1)의 긴체력이 상실되어 구동 스프로켓(2)은 공회전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좌반송부(B)에 구부하가 걸렸을 시에도 좌포기 반송체인(1)의 정지력과 구동 스프로켓(2")의 회동력에 의하여 링크핀(1a)이 제5도의 도시와 같이 구동 스프로켓(2)의 단위치 상단부와 면접되면서 반송체인(1)의 압출력이 발생하여 타이트 로울러(5')가 내측으로 약각 이동되면서 반송체인(1")의 긴체력이 상실되어 구동 스프로켓(2")은 공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횡반송부(C)에 과부하가 걸렸을 시에도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타이트 로울러(5)가 일측으로 양간 이동되면서 반송체인(1')의 긴체력은 상실되고 구동 스프로켓(2')은 공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구동 스프로켓(2)(2')(2")이 공회전할시에는 구동 스프로켓(2)(2')(2")의 단위치가 제5도의 도시와 같이 곡치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각 반송체인(1)(1′)(1")이 매우 원활하게 공회전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7')(7")의 탄력은 조절 나사봉(6)(6')으로 조절하게 된다.
또한 과부하가 걸려진 각 이송부(A)(B)(C)에서 과부하 상태의 볏짚 단위(15)(15′)를 인위적인 수단 내지는 기다의 방법으로 해소시키면 각 안전장치에 탄설된 코일 스프링(7)(7')(7")에 의하여 반송체인(1)(1')(1")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구동 스프로켓(2)(2′)(2")의 구동력이 전동되어 볏짚단위(15)(15')의 반송 작용을 다시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우, 좌 반송부(A)(B) 내지는 횡반송부(C)의 각 반송체인(1)(1')(1")에 짚풀등과 같은 이물질이 끼워져 그 회전작용이 원활하게 못하여 과량의 볏짚단위(15)(15')가 인입되거나 중합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각 반송체인(1)(1')(1")이 무전동 상태로 되고 구동 스프로켓(2)(2)(2")을 공회전을 하게 되어 콤바인 기계에 무리함이 가해지거나 또한 각 단위부품이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2)

  1.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켓(2)(2')(2")으로 전동되는 반송체인(1)(1')(1")을 구비한 통상의 우, 좌, 반송부(A)(B) 및 횡반송부(C)에 있어서, 우반송부(A)에는, 종동 스프로켓에 축착되고 스프링 고정편(10)이 돌설된 판체(9)에 호형의 탄압편(11')이 형성되고 스프링 고정편(11")을 하향 돌설시킨 별도의 연결편(11)을 연설하되 스프링 고정편(10)(11")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을 단실시킨 구조를 반송체인(1)과 면접되도록 하고, 좌반 송부(B)에는, 구동 스프로켓(2")의 구동축(3')에 연결편(13)을 축설하고 그 타단의 연결편(13)에는 타이트 로울러(5')를 회전자재토록 축설하며, 연결편(13)의 하향굴곡부(13')와 기체의 고정돌부(K')에 체착된 조절 나사봉(6')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을 탄설시킨 구조를 반송체인(1")과 면접시키며, 횡반송부(K)에는, 구동 스프로켓(2')의 구동축(3)에 ''ㄱ''형 작동간(4)을 축설하고 작동간(4)의 일단부에는 타이트 로울러(5)를 회전 자재토록 축설하며 그 타측에는 기체의 고정돌부(C)에 체착되어 있는 조절나사봉(6)과 결착된 코일.스프링(7)을 탄설시켜서 된 구조를 반송체인(1')과 면접시켜서 된 콤바인의 예취짚반 송부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켓(2)(2')(2")을 곡치형으로 형성한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KR2019850007820U 1985-06-27 1985-06-27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KR870003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820U KR870003250Y1 (ko) 1985-06-27 1985-06-27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820U KR870003250Y1 (ko) 1985-06-27 1985-06-27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020U KR870000020U (ko) 1987-02-20
KR870003250Y1 true KR870003250Y1 (ko) 1987-10-06

Family

ID=1924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820U KR870003250Y1 (ko) 1985-06-27 1985-06-27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2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4433B (zh) * 2022-06-13 2024-03-19 华中农业大学 一种用于油菜薹切割后的模块化柔性有序夹持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020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168B2 (en) Conveyor feeder house chain slat
US2490143A (en) Windrow pickup and distributing apparatus
BR112021009509A2 (pt) plataforma de colheitadeira com montagem de rolete de correia lateral
KR870003250Y1 (ko) 콤바인의 예취짚 반송부의 안전장치
JPS5867121A (ja) 直流式コンバイン
US20230046458A1 (en) System for harvesting the top portions of plants and related agricultural harvester
JP3408329B2 (ja)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H0434670Y2 (ko)
JPS6142339Y2 (ko)
JP2551302Y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3449753B2 (ja) 多条刈り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装置
JPS5915866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掻込み装置
JPH0423376Y2 (ko)
JP3336074B2 (ja) 刈取部の穀稈搬送案内装置
JPH0534510Y2 (ko)
JP2565365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引起搬送装置
JPS5837228Y2 (ja)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S598501Y2 (ja) 刈取収穫機の作物掻込み搬送装置
JPH0353636Y2 (ko)
JPH0191711A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搬送装置
JPS6145783Y2 (ko)
JPH0119630Y2 (ko)
JPH0751869Y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BR112020004972B1 (pt) Plataforma para um veículo agrícola e veículo agrícola
JPH04440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