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887B1 - 조립용 건물 세트 - Google Patents

조립용 건물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887B1
KR870001887B1 KR8204533A KR820004533A KR870001887B1 KR 870001887 B1 KR870001887 B1 KR 870001887B1 KR 8204533 A KR8204533 A KR 8204533A KR 820004533 A KR820004533 A KR 820004533A KR 870001887 B1 KR870001887 B1 KR 87000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ilding
side wall
roof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059A (ko
Inventor
뤼벤캄프 요한
Original Assignee
요한 뤼벤캄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한 뤼벤캄포 filed Critical 요한 뤼벤캄포
Publication of KR84000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04B1/3442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folding out from a core c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용 건물 세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물을 접혀진 건물형태로 만든 것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접혀진 건물의 단면도.
제3도는 접혀진 건물 일부를 펼쳐낸 부분 상태도.
제4도는 최대한으로 펴서 최종적으로 조립된 건물의 단면도.
제4a도는 조립건물의 경첩연결부 구조의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와 같은 것으로 조절이 가능한 지붕을 가진 접혀진 상태의 건물의 사시도.
제5a도는 제5도의 건물 단면도.
제5b도는 제5도의 지붕판과 벽판과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접혀진 상태의 건물의 일부를 펼쳐낸 상태의 사시도.
제6a도는 제6도의 단면도.
제6b도는 제6도의 상태에서 한단계 더 펼쳐낸 상태의 단면도.
제6c도는 제6a도에 나타낸 겹침끼움부(21)의 상세한 부분을 나타내는 투시도.
제7도는 조절가능한 지붕판을 완전히 펼쳐서 최대의 높이로 한 것을 점선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제6도의 상태에서 한단계 더 펼쳐낸 상태의 사시도.
제7a도는 제7도의 변형 단면도.
제8도는 또다른 형태의 최종 조립건물의 사시도.
제8a도는 제8도의 부호의 설명.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판 2,2',3,3' : 첫째측면 벽판
4,4',5,5' : 둘째측면 벽판 6,6',7,7' : 세째측면 벽판
8,19 : 지붕판 9,10,11,12,13,14,15,16 : 경첩 연결부
20 : 금속끼움부 20' : 안내튜브
21,22 : 겹침끼움부 26 : 플랜지
본 발명은 바닥판, 지붕판, 긴벽판, 짧은벽판등을 네모꼴의 상자형태로 접어서 운반하기가 용이하도록한 조립용 건물세트에 관한 것이며, 최소한 바닥판과 긴 벽판이 서로 경칩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조립건물에는 조립에 소요되는 기타 부품과 판등을 더 내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건물의 바닥면적은 바닥판의 면적에 수평으로 펴낸 상태의 긴 벽면면적을 합친 것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건물세트는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7600978호에 의해 공보에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있어 운반이 용이한 규격 건물세트의 긴 벽판은 바닥판에 대하여 경첩 연결부의 수평측에서 선회시킨 후 펼쳐내어 바닥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또 한편으로 짧은 벽판을 하나의 수진축 또는 상부 언저리 근처의 수평축에서 선회시켜 짧은 쪽의 벽부가 될 수 있도록 하였었다.
상기 짧은 벽판은 두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같이 접을 수있게 하였고, 수평이나 수직의 축에서 펴낼 수도 있게 한 것이었다. 건물을 조립하는 함데 많은 후속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공보에 의하면 긴 벽면판을 상부 가장자리 인접부에 위치한 수평축에서 바깥쪽으로 선회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 경우 긴 측면벽판이 지붕의 연장부를 형성하게 되어 있으나 바닥부가 없으므로 별개의 부품으로 바닥을 만들어 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으로 연결구성하되, 각판을 펼쳐내기만 하면 건물이 거의 다 조립될 수 있게 한 조립용 건물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긴 벽판을 상부 또는 바깥쪽 가장자리나 가장자리 부근에서 최소한 또 하나의 두번째 긴판에 경첩으로 이어지게 하여 펼쳐냈을때 건물의 측면벽이 되도록 하고, 그 두번째 판의 다른쪽 가장자리나 가장자리 부근에서 또 다른 세번째 판에 경첩으로 이어지게 하여 그 상부 가장자리 지붕판에 경첩으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건물세트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건물에는 긴측면벽을 따라 최소한 3개의 긴 벽판이 나란히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쪽판은 바닥판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쪽 판은 지붕판에 연결되어 있다.
각 판들은 접었을때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되고, 펼쳐내면 바깥쪽 벽판이 바닥의 연장부가 되며, 두번째 판은 건물의 측면벽을 형성하고 세번째 판은 지붕의 연장부, 특히 지붕의 경사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3개 이상의 판을 사용할 경우, 예를들어 두번째 판자체를 서로 경첩이나 겹침끼움부로 연결된 여러개의 판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 판은 임의로 바닥, 측면벽 또는 지붕등의 일부가 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3개이상의 긴 벽판이 접히고 펴지고 하는 과정에서 상자의 지붕판은 가급적 수직방향에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다. 건물의 높이만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두번째와 세번째 벽판을 같은 평면이 되도록 약 180°각도로 펼침으로써, 급경사의 측면벽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가급적이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붕판의 모서리부에 금속끼움부를 만들어 상자의 모서리부에 달린 수직의 금속끼움부에 맞춰지도록 하여 지붕판이 바닥판 위의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였으며 금속끼움부 대신 유압실린더 또는 나사스핀들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장점은 특히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붕판을 가진 실시예에서 세번째 판을 서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두개부분으로 구성하여 그 판의 넓이와 높이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그 두부분중의 하나는 투명체 물질을 사용하여 지붕의 채광장의 되게 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미국특허 제3,296,752호에 의하면 하나의 지붕판과 측면판을 경첩으로 서로 이어서 접은 상태로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는 조립식 건물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건물의 조립에는 호이스팅 크레인(hoisting crane)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용 건물의 세트의 장점은 이러한 조립이나 접는 작업에 있어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는 크레인 같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도시한 접혀진 상태의 건물의 바닥과 지붕의 넓이는 도로운반을 고려하여 2.4m로 하였다. 이 접혀진 건물은 통상의 콘테이너와 비슷한 것으로 높이는 2.6m이고 길이는 각각 6m, 9m, 12m, 15m 등으로 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건물에는 바닥판(1), 첫째 측면벽판(2)(3), 둘째 측면벽판(4)(5), 세째 측면벽판(6)(7), 지붕판(8)등이 있다.
첫째 측면벽판(2)(3)은 각각 "9", "10"의 부분에서 경첩으로 바닥판(1)에 연결되어 있다.
둘째 측면벽판(4)(5)은 "11", "12"부분에서 각각 첫째 측면벽판(2)(3)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셋째 측면벽판의 (6)(7)의 한쪽은 각각 "13", "14"부분에서 둘째벽판(4)(5)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쪽은 "15", "16"부분에서 지붕판(8)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공지의 록킹장치를 푼 다음 측면벽판을 제3도의 중간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펼쳐내어 첫째 측면벽판(2)(3)을 둘째 측면벽판(4)(5)과 함께 펼쳐낸다.
이들 벽판들을 제3도의 점선위치로 펼쳐낸 다음 그 위치에서 둘째벽판(4)(5) 각각을 축선회시켜서 수직으로 세우고, 셋째 측면벽판(6)(7) 각각이 지붕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벽판(4)(5)(6)(7)을 축선회시켜 세우는 것은 지붕판(8)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옮겨놓을 수 있고 경첩연결부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으로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록킹장치가 더 필요하며, 그 장치는 지주를 이용하거나 또는 공지된 여러개의 접혀질 수 있는 판으로 된 좁은 측면벽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좁은 벽판은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줄 수 있지만 추가로 별도의 건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는 내부 프레임을 가질 수도 있다.
벽판(4)(5)(6)(7)을 펼쳐낸 다음 지붕판(8)을 다시 이 골조에 맞도록 짧은 측면판에 다시 연결하면 견고하게 고정된다. 짧은쪽의 측면벽이 "17", "18"의 가장자리 위치에서 수직측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 여러개의 연결판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이 연결판을 둘째 측면벽판(4)(5)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는 약간 경사지게 위치한 세째 측면벽판(6)(7)을 나타내고 이 경사지게 되는 위치는 이 벽판의 크기 및 위치조정, 그리고 경첩연결부의 위치조절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재 측면벽판(4)(5)는 정확히 수직으로 세우지 않아도 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경첩연결부(9)(10)(11)(12)(15)(16)는 제4a도에 나타낸 바닥판(1)과 첫째 측면벽판(2) 사이의 경첩연결부(9)와 같은 형태이다. 이것들은 벽판들을 서로에 대해 90°-180°까지 회전가능하도록 해준다. 경첩 연결부(13)(14)는 270°각도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약간 다른 구조이다. 이와 같은 경첩 연결부는 제6c도의 "13"에 나타나 있다.
제5도는 제1도의 건물과 같은 것을 나타내지만 그것과의 차이는 지붕판(19)이 달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5a도는 제2도와 같은 단면이며 그것과 다른 점은 가장 안쪽의 셋째 벽판(6')(7')이 각각 상부에 겹침 끼움부(21)(22)를 가졌다는 것이다.
제5b도는 지붕판의 모서리에서 지붕판(19)에 연결된 수직의 금속 끼움부(20)를 상세히 나타내며 그 금속끼움부(20)는 건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는 내부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안내튜브(20')에 미끄러지도록 끼울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지붕판이 수직방향으로 조절 및 고정될 수 있으며 판끝부분이 경첩 연결부(17)에 의해서 선회가능하도록 안내튜브(20')에 연결되어 있다.
제6도는 지붕판을 위쪽으로 올라가게 하고 부분적으로 펼쳐놓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단면은 제6a도와 같다. 제6b도는 첫번째 측면벽판(2')(3')을 완전히 수평으로 펴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7도도 이와 같은 상태의 것이다.
제6c도는 지붕판(19)과 세째 측면벽판(6')(7')사이의 겹침끼움부(21) 구조를 나타낸다. 제6c도에 나타낸 것처럼 세째 측면벽판(6')은 상부 가장자리에 플랜지(26)가 있는 판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플랜지(26)는 그 측면이
Figure kpo00001
자형태인 경칩끼움부(21)의 끝부분에 안쪽으로 굽어진 가장자리(27)와 물리게 되며 이 겹침끼움부(21)는 경첩(13)에 의해 지붕판(19)에 연결되어 있다.
접거나 펴는 형태에서 구조의 안정성은 상기에서 언급한 상자의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는 내부프레임에 의해서 충분히 유지될 수 있으며 제1도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이 사각형의 지붕판(8)의 가장자리, 사각형의 바닥판(1)의 가장자리 및 바닥판(1)과 지붕판(8)의 모서리 사이에 있는 수직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의 구조물의 안정성은 두판사이의 모서리를 받쳐주는 지주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그 지주는 한쪽판과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 판과는 고착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본 발명의 요지는 아니고 누구나가 모두 알 수 있는 그러한 것들이다.
제7a도와 제6b도에서 도시한 위치에서 둘재 및 셋째 측면벽판(4')(5')(6')(7')의 각각은 제7도의 점선부 위치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지붕판(19)는 점선(23)(24)으로 표시한 상태와 같이 가장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제7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주 높은 건물도 경사가 진 벽판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제8도 및 제8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둘째 측면벽판(4')(5')을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세워서 겹침끼움부(21)(22)을 가진 셋째 측면벽판(6')(7')이 약간 경사진 모양으로 지붕을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서 정면벽과 후면벽은 건물안에 별도로 들어가게 한 판을 이용하거나 또는 짧은 측면벽판에 서로 연결하여 접었다 펼수 있게한 판들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전술한 네덜란드 특허 출원 제7600978호에 의해 공개된 접혀질 수 있는 판대신에, 겹침끼움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8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형의 건물도 또 하나의 건물을 추가로 이어서 조립하는 방법으로 하여 세울 수가 있다.

Claims (4)

  1. 바닥판(1), 지붕판(8), 첫째 측면벽판(2)(3) 및 둘째 측면벽판(4)(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판중 바닥판(1)과 첫째 측면벽판(2)(3)은 서로 경칩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바닥판(1) 및 수평위치로 펴진 첫째 측면벽판(2)(3)의 표면을 합친 것을 바닥판으로 하는 건물을 조립하기 위한 세째 측면벽판(6)(7) 및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접어서 운송할 수 있게한 조립식 건물세트에 있어서, 상기 첫째 측면벽판(2)(3)이 외부 가장자리 위치 또는 그 부근에서 둘째 벽판과 경첩(11)(12)으로 연결되어 있어 펼쳐내면 건물의 둘째 측면벽판(4)(5)을 형성하고, 상기 둘째 측면벽판(4)(5)은 다른 가장자리 위치 또는 그 부근의 위치에서 세째 측면벽판(6)(7)과 경첩(13)(14)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세째 측면벽판(6)(7)은 그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지붕판(8)(19)과 경첩(15)(16) 또는 겹침끼움부(21)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건물의 지붕판(19)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 금속끼움부와 겹침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용 건물세트.
  3. 제2항에있어서,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지붕판(19)이 건물의 가장자리에 있는 수직의 안내튜브(20')에 안내되어 끼워들어가는 수직 금속끼움부(20)를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건물세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번째 벽판(6')(7')이 2개부로 구성되어 그 판의 평면에서 겹침끼움부(21)(22)에 끼워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지붕판(19)을 수직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건물세트.
KR8204533A 1981-10-09 1982-10-08 조립용 건물 세트 KR870001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104611 1981-10-09
NL8104611A NL8104611A (nl) 1981-10-09 1981-10-09 Transportabele houder met panelen voor het samenstellen van een h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59A KR840002059A (ko) 1984-06-11
KR870001887B1 true KR870001887B1 (ko) 1987-10-20

Family

ID=1983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533A KR870001887B1 (ko) 1981-10-09 1982-10-08 조립용 건물 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077103B1 (ko)
JP (1) JPS5882842A (ko)
KR (1) KR870001887B1 (ko)
AT (1) ATE13452T1 (ko)
DE (1) DE3263775D1 (ko)
NL (1) NL8104611A (ko)
SG (1) SG80889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5595A1 (fr) * 1984-10-15 1986-06-11 Parteurosa Sa Element de construction en forme de conteneur transportable et construction formee par assemblage de tels elements
DE3508188A1 (de) * 1985-03-05 1986-09-11 Jürgen 1000 Berlin Kutzner Transportable unterkunft
GB2250305B (en) * 1990-11-30 1995-01-11 Bramley Alexander Smith A readily portable and collapsible building
AU699768B2 (en) * 1995-03-24 1998-12-17 Global Modular Housing Pty Ltd Transportable building system incorporating cargo shipping container
TW363646U (en) * 1995-03-24 1999-07-01 Global Concept Housing Pty Ltd Transportable building apparatus incorporating cargo shipping container
DE19541655A1 (de) * 1995-11-08 1996-05-09 M & D Marketing & Design Gmbh Präsentationsstand
DE19962990C2 (de) * 1999-12-24 2003-06-18 Carcoustics Liechtenstein Ag M Transportable Fabrikhalle und Verfahren zu deren Aufstellung
GB2359567A (en) * 2000-01-27 2001-08-29 John Talbot Compactable cabin structure
EP1179644A1 (fr) * 2000-08-11 2002-02-13 Ted S.A. Bâtiment préfabrique, modulaire, pliant et transportable
PE20120634A1 (es) 2005-09-26 2012-05-29 Weatherhaven Global Resources Ltd Refugio modular plegable para transporte en contenedores
JP4918006B2 (ja) * 2007-09-28 2012-04-18 信仁 齋藤 テント
CN102653992A (zh) * 2011-03-02 2012-09-05 孙善骏 集装组合式钢结构建筑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12278B (de) * 1962-06-27 1966-03-10 Josef Scheuer Insbesondere auf dem Dach eines Personenkraftwagens transportierbare Falthuette
FR2041580A5 (ko) * 1969-04-30 1971-01-29 Algeco
DE1937440A1 (de) * 1969-07-23 1971-02-04 Welz Dipl Ing Hans Joachim Transportables Fertiggebaeude
JPS4996519A (ko) * 1973-01-20 1974-09-12
DE2549938A1 (de) * 1975-11-07 1977-05-18 Georg Hegger Katastrophenbox
US4089147A (en) * 1976-08-02 1978-05-16 Sujash Kumar Bain Module having collapsible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3452T1 (de) 1985-06-15
KR840002059A (ko) 1984-06-11
JPS5882842A (ja) 1983-05-18
EP0077103B1 (en) 1985-05-22
SG80889G (en) 1990-11-23
NL8104611A (nl) 1983-05-02
EP0077103A1 (en) 1983-04-20
JPH0118225B2 (ko) 1989-04-04
DE3263775D1 (en) 198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887B1 (ko) 조립용 건물 세트
US5461832A (en) Transportable foldable building and method of erecting a transportable foldable building
RU2161228C2 (ru) Передвижное складное здание
US4170852A (en) Articulated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and method of erecting the same
US4118901A (en) Structure for relocatable building with folding plate roof and folding end walls
US4000588A (en) Space-bounding sections for forming a building or part thereof, and methods of erecting such a building
US4635412A (en) Folding house transportable in the form of a stackable container
US9611637B2 (en) Prefabricated foldable building module
EP0138722B1 (en) Apparatus to fold and/or unfold a portable building
EP0173438B1 (en) A tent frame
US20100018130A1 (en) Collapsible Buildings And Building Modules
GB2223246A (en) Modular,portable,foldable buildings
US20100218436A1 (en) Transportable building module with two structures
US4479333A (en) Folded building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KR20060105280A (ko) 접철식 컨테이너 하우스
CN110777942A (zh) 一种可展开式的集装箱房屋
US3593471A (en) Collapsible multistory mobile home structure
CN217205583U (zh) 折叠板房结构
CN115653111A (zh) 快速吊装的折叠式箱体房及其快速吊装方法
US20230082695A1 (en) A portable building structure
US3591990A (en) Collapsible housing unit
US421663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levating a folding roof system
US4170342A (en) Pivotal roof fence apparatus
EP0041800A2 (en) Hinge
EP0135987A2 (en) Floor and wall engagement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