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746B1 - 이앙기용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이앙기용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746B1
KR870001746B1 KR8203777A KR820003777A KR870001746B1 KR 870001746 B1 KR870001746 B1 KR 870001746B1 KR 8203777 A KR8203777 A KR 8203777A KR 820003777 A KR820003777 A KR 820003777A KR 870001746 B1 KR870001746 B1 KR 87000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ension pulleys
state
pulleys
rice trans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866A (ko
Inventor
히로요시 후지끼
요오스께 마쓰시다
Original Assignee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16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314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334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342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774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34259A/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 게이다로오
Publication of KR84000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앙기용 변속장치
도면은 본발명에 관한 이앙기용 변속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써,
제1도는 이앙기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중요부분의 일부절결 정면도.
제3도는 중요부분의 일부절결 측면도.
제4도는 작용설명도로써,
제4(a)도는 고속상태도,
제4(b)도는 저속상태도,
제4(c)도는 중립상태도,
제5도는 중요부분의 일부절결 사시도.
제6도는 중요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A)-(A)선의 화살표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차륜 3 : 엔진
10 : 출력축 12 : 입력축
15, 16 : 전동벨트 17, 18 : 텐션풀리
19, 19a : 수동조작레버 25 : 스프링
27 : 판체 27a : 핀
40 : 발로밟는 폐달
본 발명은 엔진에 연결된 출력축과 차륜에 연결된 압력축에 걸쳐서 전동비를 다르게하여 2개의 전동벨트를 감음과 아울러, 전기한 제1 및 제2 전동벨틀의 각각 그것에 택일적으로 입력조작이 자유럽게 텐션풀리를 부설한 이앙기용 변속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상기한 장치에서는 양 텐션풀리에 수동조작레버를 연결하여 변속조작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변속조작을 위하여 양 텐션풀리의 어느 것이나 단절상태로 한후에, 어느쪽이난 한쪽의 텐션풀리가 입력조작되는 것을 이용해서 그 조작레버에 의하여 엔진에서 차륜에의 전동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앙기에서는 특히 논두렁 바로 근체에서의 선회할때에 조향조작 이외에 마아커의 사용자세와 격납자세에의 변환등 많은 조작이 필요하며, 그들의 선회할때에 있어서 논두렁에의 충돌회피를 위하여 주행정지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 다른 조작을 중단하여 텐션풀리를 단절조작학지 않으면 안되어서 실용상 극히 불편하였다.
또 종래의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양 텐션풀리의 각각 그것을 단절쪽으로 부세함과 아울러 양 텐션풀리에 수동조작레버를 연결하고, 수동제작에 의하여 양 텐션풀리를 택일적으로 입력조작하여 변속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입력조작에 있어서, 단절쪽 부세력과 벨트로부터의 전동반력(反力)에 저항하여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수동조작이 무거운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양 텐션풀리에 대한 단절조작을 수동조작 및 발로밟는 조작의 어느 것에 따라서도 행할수 있으며, 실용상 극히 편리하게 조작할수 있도록 또한 텐션풀리에 대한 입력조작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은 상기한 점이 비추어, 본래적으로 큰힘이 나는 발의 밟는힘을 이용하여 변속할때에 있어서의 수동동작을 적은힘으로서 용이하게 행할수 있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본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에 따라서 상세힌 설명한다.
전후에 차륜(1)(2)을 축가한 주행차체의 앞부분에 엔진(3)을 탑재함과 아울러 뒷부분에 모심는 장치(4)를 유압실린더(6)를 개재하여 구동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또한 기체 전·후방향 중간에 위치시켜서 운전좌석(6)를 설치하여 승용형 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엔진(3)에서 차륜(1)(2)에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서, 엔진(3)에서 밋션(7)에 더블텐션식의 변속장치(8)를 개재하여 전달함과 아울러 전기한 밋션(7)에서 그 내부의 기어식 변속기구(도면표시 생략)를 개재하여 전·후차륜(1)(2)에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변속장치(8)를 수성함에 있어서, 엔진(3)의 크랭크축(9)에 연동하는 캠축(도면표시 생략)를 기체 가로방향 한쪽에 돌출시키고, 그 돌출부분을 엔진쪽 출력출(10)으로하여 그 출력축(10)에 출력풀리(11)를 부착하며, 다른쪽 밋션(7)에서 돌출설치한 입력축(12)에 대·소지름이 다른 입력풀리(13)(14)를 부착하고, 출력풀리(11)와 입력풀리(13)(14)에 걸쳐서 제1 및 제2전동벨트(15)(16)을 감음과 아울러 양전동벨트(15)(16)의 각각 그 윗쪽에 위치시켜 제1및 제2텐션풀리(17)(18)를 부설하며, 그 제1 및 제2텐션풀리(17)(18)를 기체 전·후방향의 직선경로(R)에 따라서 조작이 자유로운 수동조작레버(19)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입력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제1 및 제2탠션풀리(17)(18) 각각의 텐션아암(20)(21)을 밋션 케이스(22)의 윗부분에서 기체 좌·우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한 지축(23)에 기체 좌·우방향의 축심(P) 둘레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추지 연결하며, 또한 텐션아암(20)(21)과 정면에서 보아서 문모양의 프레임(24)에 걸쳐서 인장용 스프링(25)(25)을 설치하여 제1 및 제2 텐션풀리(17)(18)의 각각 그것을 항상 입력쪽으로 부세하고 있다.
전기한 지축(23)의 돌출된 끝쪽에는 수동조작레버(19)가 요동이 자유롭게 추지연결되어 있다.
지지브라켓트(26)에는 판체(27)가 횡축심(P1) 둘레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추지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판체(27)는 전기한 조작레버(19)에 대해서도 전기한 조작레버(19)의 길이가 긴방향도중 부분에 설치된 긴구멍(28)을 삽통하는 핀(27a)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른쪽 판체(27)의 소정부분에는 한쪽끝면을 추지연결한 제1 및 제2 링크(29)(30)와 전기한 양 텐션아암(20)(21)의 각각이 양 링크(29)(30)의 다른쪽끝에 설치된 긴구멍(31)을 개재하여 추지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판체(27)에 소정의 폭을 보유하는 오목한홈(32)을 갖춤과 아울러 오목한홈(32)의 양측벽(32a)(32b)에 맞닿게하는 고정핀(33)을 돌출설치하여 판체(27)를 소정범위내에서 요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수동조작레버(19)의 용동에 따라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고속상태, 저속상태 및 중립상태가 얻어지는 것이다.
즉, 수동조작레버(19)를 앞쪽으로 밀어넣으면(제4도에서는 왼쪽), 전기한 고정핀(33)이 오목한홈(332)의 한쪽의 측벽(32a)에 맞닿아 판체(27)가 내려가고 이 판체(27)에 접속되고 있는 핀(27a)은 전기한 조작레버(19)의 길이가 긴방향 도중부분에 설치된 긴구멍(28)의 아래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제2링크(30)를 개재하고 인장용 스프링(2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2텐션풀리(18)를 제2전동벨트(16)에서 이간시키면서 제1 텐션풀리(17)를 긴구멍(31)에 의하여 제1링크(29)에 작용하는 일없이 인장용 스프링(25)의 부세력에 의해서 제1 전동벨크(15)에 입력조작하는 고속상태(제4(a)도 참조)가 얻어진다.
수동조작레버(19)를 손앞쪽으로 되돌리면(제4도에서는 오른쪽) 전기한 고정핀(33)이 오목한홈(32)의 한쪽측벽(32a)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판체(37)가 올라가고 이판체(27)레 접속되어 있는핀(27a)은 전기한 조작레버(19)의 길이가 긴방향 도중부분에 설치된 긴구멍(28)의 윗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제1텐션풀리(17)를 제1전동벨트(15)에서 이간시켜 제1 및 제2텐션풀리(17)(18)의 어느 것이나 제1 및 제2전동벨트(15)(16)에서 이간시키는 중립상태(제4(c)도 참조)가 얻어진다.
계속하여 더욱 수동조작레버(19)를 손앞쪽으로 돌리면(제4도에서는 오른쪽) 전기한 고정핀(33)이 오목한홈(32)이 다른쪽의 측벽(32a)에 맞닿아 재차 판체(27)가 내려가고 이판체(27)에 접속되어 있는핀(27a)은 전기한 조작레버(19)의 길이가 긴방향 도중부분에 설치된 긴구멍(28)의 아래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제1텐션풀리(17)를 제1전동벨트(15)에서 이간시키면서 제2텐션풀리(18)를 입력조작하는 저속상태(제4(b)도 참조)가 얻어지는 것이다.
전기한 저속상태 및 고속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및 제2링크(29)(30)이 어느것이나 수도조작레버(19)의 요동축심(P)과 판체(27)의 요동 횡축심(P1)을 연결하는 가상직선(L)에 대하여 동일한쪽으로 변위하도록 구성하고, 인장용 스프링(25)(25)의 어느쪽인가 한쪽의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저속상태 및 고속상태의 어느 것이나 모두 안정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지지브라켓트(26)와 판체(27)와의 사이에 보올스톱퍼(34)를 부착설치하고 전기한 단절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로드(35)의 앞쪽끝에 이어설치한 긴구멍 형성부재(36)(이하 연결부재라 칭한다)를 제1 및 제2링크(29)(30)사이에 들어가 자리잡게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링크(29)(30)의 각각에 전기한 스프링(25)(25)을 부착하기 위하여 삽통 지착되는 핀(37)(37)을 전기한 연결부재(36)의 긴구멍(38)에 끼워들이고, 양 링크(29)(30)으로하여 로드(35)를 위치결정시시키는 상태로서 로드(35)와 양 텐션아암(20)(21)을 연결하며, 그리고 로드(35)와 스프링(39)을 개재하여 부세된 발로밟는 폐달(40)을 연결하여 보통 때에는 전기한 긴구멍(38)에 의하여 양 텐션풀리(17)(18)의 택일적인 입력조작을 허용하면서도 폐달(40)을 밟아놓는 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링크(29)(30)에 형성된 긴구멍(31)(31)에 의하여 수동조작레버(19)를 하등변위시키는 일 없이 양 텐션풀리(17)(18)중에서 입력상태에 있는 것을 강제적으로 단절조작하여서 밋션(7)에의 전동을 정지할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계속하여 전기한 전동정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장용 스프링(25)(25)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는 일없이 전기한 수동조작레버(19)를 요동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25)(25)의 부세력에 의하여 전기한 긴구멍(31)에서 규제되지 않고 입력위치로 변위되는 양 텐션풀리(17)(18)를 택일적으로 선택조작하며, 발로밟는 폐달(40)을 밟아놓는 해제에 따라서 선택된 한쪽의 텐션풀리(17) 혹은(18)만을 입력상태로 변환조작하고, 전술한 고·저 어느 것인가의 상태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수동조작레버(19)는 직선적으로 요동시켜지는구성이며, 그 한쪽끝위치에서 고속상태, 다른쪽 끝위치에서 저속상태, 중간위치에서 중립상태가 각각 얻어진다.
도면중(41)은 폐달(40)을 단절상태로 유지하는 로크부재를 표시하며, (42)는 폐달(40)을 단절조작한 상태에서만 셀모터의 작동을 허용하는 안전스윗치를 표시한다.
또 도면중(43)은 기체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기한 폐달(40)과 동일한쪽에 설치된 데프록페달을 표시한다.
도면중(44)는 발로밟는 폐달(40)을 조작하지 않을 때의 복귀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를 표시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며, 전기한 텐션아암(20)(21) 각각의 입력 조작위치에서 단절 조작위치에의 변위경로 도중에 아래쪽으로 경사캠면(F)을 구비시킨 맞닿음부재(45)(45)를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또한 맞닿음부재(45)(45)의 각각 그것에 약한 부세력이 스프링(46)을 부착설치하여 맞닿음부재(45)(45)의 각각을 텐션아암(20)(21)의 변위경로를차단하는 쪽으로 요동시키도록 부세함과 아울러, 전기한 맞닿음 부재(4%)(45)의 각각과 수동조작레버(19a)를 그 요동에 따라 스프링(46)(4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기한 변위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택일적으로 변위조작하도록 릴리이스 와이어(47)(47)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폐달(40)을 밟아넣는 조작에 따라 입력상태의 텐션풀리(17) 혹은(18)을 텐션아암(20)(21)의 전기한 캠면(F)에의 맞닿는 것에 의하여 맞닿음부재(45)를 강제적으로 변위시켜서 단절위치로 변위시키며, 양 텐션풀리(17)(18)를 단절조작하면서 그 상태로서 수동조작레버(19a)에 의하여 맞닿음부재(45)(45)를 변환조작하고, 그후에 폐달(40)에 대한 조작을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양 텐션아암(20)(21)중에서 먼저 입력위치에 있었던 것의 입력위치에의 변위를 허용하여 고·저변속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48)(48)은 맞닿음부재(45)(45)의 각각을 스프링(46)(46)에 의하여 작용위치로 규제유지하기 위한 스톱퍼이다.
전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판체(27)와 제1 및 제2링크(29)(30)및 긴구멍(31)(31)으로 이루어진것 및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맞닿음부재(45)등, 요컨대 텐션풀리(17) 혹은 (18)의 단절위치에서 입력위치에서의 변위를 억지하는 것을 견제부재라 총칭한다.
이상과같이, 요컨대 본발명은 모두에 기재한 이앙기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양 텐션풀리(17)(18)와 1개의 수동조작레버(19)를 양 텐션풀리(17)(18)의 한쪽을 단절하여 양자를 단절상태로 한후에 다른쪽을 입력상태로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기구를 개재하여 연동연결하고, 전기한 양 텐션풀리(17)(18)에 대하여 입력상태에 있는 것에 작용 가능하게 연결부재(36)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연결부재(36)와 발로밟는 폐달(40)을 입력 상태의 텐션풀리(17) 혹은 (18)를 전기한 연결부재(36)에 의하여 단절상태로 맞닿아 압압조작 하는 상태로 연동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선택조작을위한 기구에 의한 선택조작도중에서의 양 텐션풀리(17)(18)의 단절상태를 나타내는 구성을 이용해서 수동조작레버(19)에 의하여 차륜(1)(2)에의 전동을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수동조작 레버(19)가 양 텐셜폴리(17)(18)의 어느 것인가 한쪽을 입력 조작한 상태에서도 그 입력상태의 텐션폴리(17) 혹은 (18)를 발로밟는 폐달(40)의 조작에 의하여 연결부재(36)를 개재하여 단절조작할수 있으며, 가령 논두렁 바로 근처에서 좌·우의 손으로서 다른 조작을 하고 있을 경우라도 발로서 용이하게 주행정지 조작될 수 있고, 또 반대로 데프록페달(43)을 조작하고 있는 등 발로서 조작할수 없는 경우에도 손으로서 용이하게 주행정지조작할수 있어서 실용상 극히 편리하다.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본발명은 이앙기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양 텐션폴리(17)(18)의 각각 그것을 입력쪽으로 부세하는 스프링(25)을 부착설치함과 아울러, 전기한 스프링(25)(2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기한 양 텐션풀리(17)(18)의 각각 그것을 단절조작하는 발로밟는 폐달(40)을 설치하고, 또한 그 단절조작상태에 있어서, 전기한 양 텐션폴리(17)(18)의 단절위치에서 입력위치에의 변위를 억지라는 견제부재를 부설함과 아울러 이 견제부재와 수동조작레버(19)(19a)를 전기한 양 텐션풀리(17)(18) 중에서 입력위치에의 변위를 허용하는 것을 선택조작하는 상태로서 연동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텐션풀리(17)(18)를 입력쪽으로 부세하면서 제1및 제2변동벨트(15)(16)의 전동반력에 저항하여 입력위치에 강제적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을 스프링(25)(25)의 부세력을 이용하여 입력조작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변속에 즈음하여 필요한 스프링(25)(25)의 부세력에 저항함에 있어서의 단절조작을 발로 밟는 폐달(40)에 대한 밟아넣는 조작을 행하게 하며, 수동에 의해서는 단순히 견제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좋고, 전체로서 변속할때에 있어서의 수동조작을 적은 힘으로서 용이하게 행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5)

  1. 엔진(3)에 연계된 출력축(10)과, 차륜(1)(2)에 연계된 입력축(12)에 결쳐서 전동비를 달리해서 감기어진 제1 및 제2전등벨트(15)(16)과 전기한 제1 및 제2전동벨트(15)(16) 각각을 입력상태로 조작하는 텐션풀리(17)(18)와 전기한 텐션풀리를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 레버(19)를 갖춘 이앙기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수동조작레버(19)의 동작에 따라서 전기한 텐션풀리(17)(18)의 어느것인가 한쪽을 선택적으로 입력상태로 조작하는 선택조작기구가 설치되고, 또한 전기한 텐션풀리(17)(18)를 강제적으로 단절상태로 조작하는 연결부재(36)가 설치되며, 이 연결부재(36)는 발로밟는 폐달(40)에 연동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양 텐션풀리(17)(18)의 각각에 이들을 입력측에 부세하는 스프링(25)(2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변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선택조작기구는 전기한 발로밟는 폐달(40)이 단절동작된 상태에서 전기한 양 텐션풀리(17)(18)의 단절 위치에서 입력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견제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변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선택조작기구가 전기한 양 텐션풀리(17)(18)에 각각 텐션아암(20)(21)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링크(29)(30)와, 이들 제1 및 제2링크(29)(30)및 수동레버(19)에 연결되어 있는 요동이 자유로운 판체(2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변속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기한 수동조작 레버(19)가 평면에서 보아서 직선형상의 요동변위궤적을 가지며, 그 한쪽의 변위중단위치에 있어서 한쪽의 텐션풀리(17)가 제1전동벨트(15)를 압압하는 고속상태를 만들어내고, 다른쪽의 변위종단위치에서 다른쪽의 텐션풀리(18)가 제2전동벨트(16)를 압압하는 저속상태를 만들어내고, 그 변위중간위치에서 중립상태를 만들어내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앙기용 변속장치.
KR8203777A 1982-01-29 1982-08-23 이앙기용 변속장치 KR870001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4161 1982-01-29
JP?57-14161 1982-01-29
JP1416182A JPS58131460A (ja) 1982-01-29 1982-01-29 ダブルテンションクラッチの操作構造
JP1533482A JPS58134257A (ja) 1982-02-01 1982-02-01 ダブルテンションクラッチの操作構造
JP?57-15334 1982-02-01
JP1677482A JPS58134259A (ja) 1982-02-03 1982-02-03 ダブルテンションクラッチの操作構造
JP?57-16774 1982-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66A KR840000866A (ko) 1984-03-26
KR870001746B1 true KR870001746B1 (ko) 1987-10-06

Family

ID=2728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777A KR870001746B1 (ko) 1982-01-29 1982-08-23 이앙기용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7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66A (ko) 198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1303A (ko) 자동차의 수동 변속 기어를 위한 변속 장치
JP2922728B2 (ja) 作業車の走行用変速連係装置
KR870001746B1 (ko) 이앙기용 변속장치
KR20010029585A (ko)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변속조작 시스템
GB1513364A (en) Combination transmission neutralizer and power train locking device
US3082639A (en) Gear shift
JPS6232101Y2 (ko)
JPH032054Y2 (ko)
JP3596703B2 (ja) 乗用田植機
JPH0779573B2 (ja) 田植機の変速操作装置
KR850001351Y1 (ko)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JPS6158850B2 (ko)
JPH0119620Y2 (ko)
JP4537764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3604289B2 (ja) 作業機
JPS6032451Y2 (ja) コンバイン等における変速装置
JP3397635B2 (ja) 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JPH08225025A (ja) トラクタ等の変速操作装置
KR100192277B1 (ko) 클러치 조작장치
JPS58134259A (ja) ダブルテンションクラッチの操作構造
JPS6225897B2 (ko)
JPS6225899B2 (ko)
JPH0811545B2 (ja) 移動作業機の操向装置
KR850000510B1 (ko) 작업차의 주행용 변속조작장치
JPH024625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