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70Y1 -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 Google Patents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70Y1
KR870001670Y1 KR2019840009299U KR840009299U KR870001670Y1 KR 870001670 Y1 KR870001670 Y1 KR 870001670Y1 KR 2019840009299 U KR2019840009299 U KR 2019840009299U KR 840009299 U KR840009299 U KR 840009299U KR 870001670 Y1 KR870001670 Y1 KR 870001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seat
main body
attachment piece
pla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662U (ko
Inventor
곽재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세영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9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670Y1/ko
Publication of KR860003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제 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 3도는 제 2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 4도는 요부만 나타낸 제 2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판본체 1a : 중앙부
2,2' : 지지돌조 3 : 부착편
3' : 요입부 4 : 회전축봉
5 : 긴착구 5'5" : 연장편
6,6' : 나공 7 : 조임보울트
8 : 너트
본 고안은 버스 운전석의 천정부위에 형성된 복개체를 열어 통풍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운전석의 상부로 안내하여 주는 통상의 바람유입 안내판을 개량하여 무단 작동형으로 매우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풍압에 견딜 수 있는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스 운전석 상부에 설치된 바람유입 안내판은 운전자가 운전중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운전자의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안내판의 테이퍼각을 적절하게 조절 위하여는 조임볼트를 손으로 잡고 적당히 풀어준 후 안내 장홈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조절한 후 다시 조임볼트를 조여서 사용하였으나 이는 그 과정이 매우 번거러워 빠른 시간 내에 조작하기가 어려웠고 또한 운전중에 이와 같은 조작을 할시에는 사고위험성마저 내포하였다.
또 안내장홈의 범위내에서만 테이퍼각을 조절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바람유입 안내판의 조작범위가 한정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내판 본체(1)의 상단 양측에 지지돌조(2)(2')를 돌설하여 그 중앙부(1a)에 부착편(3)을 설치하되, 부착편(3)의 요입부(3')에는 내경이 작은 지지봉(4')(4")을 갖는 회전측봉(4)을 부착편(3)의 요입부(3')내에 결속된 긴착구(5)에 결합시키고 양측 지지봉(4')(4")의 일단부는 지지돌조(2)(2')에 요설된 감착홈(2")에 삽지시킴으로써 부착편(3)을 안내판 본체(1)의 상단 중앙부(1a)에 설치되게 하였으며, 긴착구(5)의 연장편(5')(5")에는 나공(6)(6')을 각각 철설하여 조임보울트(7)와 너트(8)로 체착시킨 것이다.
그리고 부착편(3)에는 나사홈(9)(9')을 철설하고 본체(1)표면에는 수직상으로 다수개의 종돌조(10)(10')를 돌설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은 차의 천정부위를 나타낸 것이고 12는 천전에 설치된 복개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버스 운전석의 철정부위에 형성된 복개체를 열어 통풍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운전석의 적정부위로 안내시키고져 할 경우에는 긴착구(5)에 협삽되어 있는 안내판 본체(1)를 적절한 테이퍼각이 되도록 손으로 밀어 위치설정이 되는데, 본 고안의 회전측봉(4)이 조임보울트(7)로 체결된 긴착구(5)에 결속되었기 때문에 긴차구(5)의 조임력에 의하여 안내판 본체(1)가 적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긴차구(5)의 긴차력은 보울트(7)의 조임력에 비례한다.
따라서 긴차구(5)의 긴차력은 보울트(7)의 조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안내판 본체(1)의 위치 선택을 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조임나사를 일일이 나해한뒤 위치선택을 하여 다시 나사를 조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무단 작동형으로 안내판 본체(1)를 손으로 밀어주기만 하면 그 테이퍼각을 임의적으로 유효적절하게 조절할 수가 있어 그 과정이 매우 간편하며 또한 버스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내판 본체(1)의 상단 양측 지지돌조(2)(2')의 중앙부(1a)에 부착편(3')에는 연장편(5)(5')의 나공(6)(6')에 조임 보울트(7)와 너트(8)를 체결하여서 된 긴착구(5)를 체착하고 이 긴착구(5)에 안내판 본체(1)의 지지돌조(2)(2')에 감착된 회전축봉(4)을 결속무단으로 작동하게 한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KR2019840009299U 1984-09-22 1984-09-22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KR870001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299U KR870001670Y1 (ko) 1984-09-22 1984-09-22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299U KR870001670Y1 (ko) 1984-09-22 1984-09-22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62U KR860003662U (ko) 1986-04-21
KR870001670Y1 true KR870001670Y1 (ko) 1987-05-06

Family

ID=7016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299U KR870001670Y1 (ko) 1984-09-22 1984-09-22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6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62U (ko) 198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538A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JP2537226Y2 (ja)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上の自動車運転用ロボット
JPH0550401A (ja) 鎖鋸における鎖引張り装置
US4835868A (en) Saw chain tensioner of chain saw
KR870001670Y1 (ko) 버스 운전석용 바람유입 안내판
US6360642B1 (en) Workpiece guide with positionable guide surface
US3382837A (en) Outboard motor steering control
KR880000852Y1 (ko) 화물 트럭용 도풍판
US5285695A (en) Steering wheel and deflection unit for a vehicl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DE19906669C2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Fahrzeugsitzes
KR0132502Y1 (ko) 잭(Jack) 고정용 스크류
DE19624161C2 (de) Halteanordnung
CN219790052U (zh) 通用横杆结构
KR970002453B1 (ko) 자동차의 가변식 페달장치
JPH063611U (ja) ハンマードリル装置及びハンマードリル固定装置
KR900003992Y1 (ko) 쇠톱날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겸한 긴착장치
KR200201682Y1 (ko) 버스용 지지파이프 고정구조
KR0157798B1 (ko) 시트밸브 앵커리지 강성구조 시험용 고정장치
KR950003249Y1 (ko)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JPH0542882Y2 (ko)
KR0134275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중장비용 팔걸이
JP2549256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EP2221144B1 (de) Elektrohandwerkzeuggerät
KR19990025178U (ko) 선바이저의 장착구조
KR940002162Y1 (ko) 자동차 의자의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