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49Y1 -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49Y1
KR950003249Y1 KR92023549U KR920023549U KR950003249Y1 KR 950003249 Y1 KR950003249 Y1 KR 950003249Y1 KR 92023549 U KR92023549 U KR 92023549U KR 920023549 U KR920023549 U KR 920023549U KR 950003249 Y1 KR950003249 Y1 KR 950003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ed
column
bol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451U (ko
Inventor
노희동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92023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249Y1/ko
Publication of KR940012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의 핸들 상하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결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상하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결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내측컬럼 14 : 외측컬럼
15 : 스페이서 16,17 : 브라켓
18 : 큰 보울트 19 : 너트
20 : 작은 보울트 21 : 레버
본 고안은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핸들 위치를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핸들의 상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들 상하조절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축(1)과 내측컬럼(2)이 베어링(3)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상기 내측컬럼(2)의 바깥쪽에 외측컬럼(4)이 설치되며, 상기 외측컬럼(4)은 차체(도시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한 상기 내측컬럼(2)은 외측컬럼(4)내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누름판(5)이 외측컬럼(4)의 개구된 부위에 위치되어 내측컬럼(2)과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5)의 다른면에는 외측컬럼(4)에 고정된 고정지지부(6)와 나사맞춤된 보울트(7)의 일단이 접촉되며, 상기 보울트(7)의 상측에는 보울트(7)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8)가 설치되고, 이 레버(8)는 보울트(7)와 나사결합되는 너트(9)에 의해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들 상하조절장치는 레버(8)를 회전시키게 되면, 보울트(7)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보울트(7)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누름판(5)을 누르게 되므로 누름판(5)과 내측컬럼(2)이 밀착되어 이들간에 마찰력이 생기게 되고, 이로써 외측컬럼(4)내에서 내측컬럼(2)은 이동할 수 있는 고정상태가 되는 것이고, 보울트(7)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누름판(5)과 내측컬럼(2)과의 마찰력이 제거되어 내측컬럼(2)은 외측컬럼(4)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므로 핸들을 상하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들 조절장치는 내측컬럼(2)이 누름판(5)의 마찰력에 의해 일측부위만 고정되므로 그 고정력이 약해 레버를 힘껏 조이지 않으면 핸들이 쉽게 조절상태에서 변형된다. 또한, 누름판의 고정력이 약해 외측컬럼에 대해 내측컬럼이 좌우로 움직이는 일도 있어 운전자가 핸들조작에 있어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을 핸들 상하조절장치의 고정구조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개량하여 핸들의 상하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핸들의 조절후에는 외측 및 내측컬럼 사이에서 상하 또는 축회전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핸들을 상하조절하거나 운전하는데 불편이 없도록한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차체에 고정된 외측컬럼내에서 핸들축이 고정된 내측컬럼이 상하이송 가능하게 하여 핸들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컬럼의 일측에 고정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외측컬럼의 절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면에 당접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스페이서를 관통하는 큰 보울트와, 상기 큰 보울트와 나사맞춤되어 내, 외측컬럼을 조이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작은 보울트로 고정되어 너트를 회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되는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핸들축(11)과 내측컬럼(12)사이에 베어링(13)이 개재되어 내측컬럼(12)내에서 핸들축(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컬럼(12)은 외측컬럼(14)내에서 상, 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컬럼(12)의 외주면 일측에 스페이서(15)가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외측컬럼(14)의 일측은 상기 스페이서(15)의 폭보다 적어도 넓은 간격으로 절결되어 그 양끝단에 브라켓(16)(17)이 각각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상기 양측 브라켓(16)(17)은 스페이서(15)의 양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페이서(15)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15)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5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5a)과 동일 중심선상의 양측 브라켓(16)(17)에 장방형구멍(16a)(17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방형구멍(16a)(17a)과 관통구멍(15a)으로 큰 보울트(18)가 삽입되어 진다.
상기 큰 보울트(18)가 삽입되면 반대쪽에서는 너트(19)의 일부가 보울트(18)와 나사맞춤되고, 이 너트(19)의 나머지에는 작은 보울트(20)가 나사맞춤되는 것으로, 상기 작은 보울트(20)의 나사맞춤시 너트(19)와 작은 보울트(20) 사이에 레버(21)의 일단이 개재되어 고정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레버(21)를 너트(19)의 풀림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레버(21)는 작은 보울트(20)와 너트(19) 사이에서 작은 보울트(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큰 보울트(18)와 나사맞춤된 너트(19)가 풀리게 되면서 너트(19), 레버(21), 작은 보울트(20)가 제3도의 하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송된다.
따라서, 큰 보울트(18)와 너트(19)에 의해 조여져 있던 외측컬럼(14)의 양측 브라켓(16)(17)과 내측컬럼(12)의 스페이서(15)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는 것이고, 외측컬럼(14) 내에서 이와 밀착되었던 내측컬럼(12)의 조임력이 느슨해져 내측컬럼(12)은 외측컬럼(14) 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내측컬럼(12)측에 고정된 핸들을 상하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핸들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21)를 너트(19)의 조임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큰 보울트(18)와 너트(19)는 조여져 양측 브라켓(17)(18)과 스페이서(15)를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내측컬럼(12)을 외측컬럼(14)이 조이는 상태가 되어 내측컬럼(12)은 외측컬럼(14) 내에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은 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외측컬럼(12)의 외주면 대부분은 외측컬럼(14)의 내측면이 조이는 상태가 되어 내측컬럼(12)의 조임력 즉, 고정력이 증대되므로 핸들을 확실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외측컬럼(14)의 양측 브라켓(16)(17)에 형성된 장방형구멍(16a)(17a)에 의해 핸들의 상하 이동거리가 제한되고, 내측컬럼(12)에 고정된 스페이서(15)에 의해 외측컬럼(14)에 대하여 내측컬럼(12)이 좌우로 유동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에 의하면, 핸들의 고정력이 구조적으로 더욱 보강되어 핸들의 조절조작이 용이하고 핸들의 조절 후 핸들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운전자는 불편없이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된 외측컬럼내에서 핸들축이 고정된 내측컬럼이 상하이송 가능하게 하여 핸들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컬럼(12)의 일측에 고정된 스페이서(15)와, 상기 외측컬럼(14)의 절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페이서(15)의 양측면에 당접하는 브라켓(16)(17)과, 상기 브라켓(16)(17)과 스페이서(15)를 관통하는 큰 보울트(18)와, 상기 큰 보울트(18)와 나사맞춤되어 외측컬럼(14)을 내측컬럼(12)의 원주방향으로 조이는 너트(19)와, 상기 너트(19)에 작은 보울트(20)로 고정되어 너트(19)를 회전시키는 레버(21)를 포함하여 되는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KR92023549U 1992-11-27 1992-11-27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KR950003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549U KR950003249Y1 (ko) 1992-11-27 1992-11-27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549U KR950003249Y1 (ko) 1992-11-27 1992-11-27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451U KR940012451U (ko) 1994-06-18
KR950003249Y1 true KR950003249Y1 (ko) 1995-04-24

Family

ID=1934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549U KR950003249Y1 (ko) 1992-11-27 1992-11-27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2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451U (ko) 199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319A (en) Tilt telescopic steering device
KR101031627B1 (ko) 스티어링 칼럼 장치
US5979265A (en) Tilting and telescopic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s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JP2001322552A (ja)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US6637771B2 (en) Electric tilt adjustable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H06219283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締め付け機構
MX9603880A (es) Mecanismo de sujecion para una columna de direccion ajustable para un vehiculo.
JP3645157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2927563B2 (ja)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357888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保持力調整機構
KR950003249Y1 (ko) 자동차 핸들의 상하조절장치
US7338079B2 (en) Extendable and contractable steering column apparatus
US6151982A (en) Steering apparatus for a car
JP3791197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S6052025B2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チルト装置
JPH0511105Y2 (ko)
JP4305626B2 (ja) ステアリングのチルト装置
JP2002104205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50218Y2 (ko)
JPH0217974Y2 (ko)
JPS6036512Y2 (ja) ステアリングの軸方向調整装置
JPH0531015Y2 (ko)
JPH0443420Y2 (ko)
JP2001080528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