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05Y1 - 코오피미일 - Google Patents

코오피미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05Y1
KR870001605Y1 KR2019860021475U KR860021475U KR870001605Y1 KR 870001605 Y1 KR870001605 Y1 KR 870001605Y1 KR 2019860021475 U KR2019860021475 U KR 2019860021475U KR 860021475 U KR860021475 U KR 860021475U KR 870001605 Y1 KR870001605 Y1 KR 870001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eans
pulverized
kopi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오지 다까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3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flow through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mechan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오피미일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전체의 종단 정면도.
제2도는 종단 측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요부의 종단 정면도.
제5도는 요부의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모터 18 : 케이스
21 : 커터축 22 : 분쇄체
30 : 케이스
본 고안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코오피 원두를 분쇄체의 회전으로 분쇄하여 코오피 분말을 생성하는 코오피 미일에 관한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코오피미일에 있어서는, 분쇄체는 케이스의 수명을 이루는 내저부에 대략 수직을 이루는 축심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코오피 원두를 분쇄할때 분쇄체는 케이스의 하방에 배설된 종축형의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이로 인해 케이스내에 수용된 코오피 원두가 분쇄체의 회전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쇄된다.
그러나, 상기구성에 의하면 분쇄체는 케이스의 내저부에 소정거리 떨어진 동일수평면내를 회전하므로, 코오피 원두가 상하로 충분히 교반되지 않고 분쇄체에 의한 분쇄가 케이스 저부의 코오피 원두에 한정되고, 이 결과, 케이스 내에 수용된 코오피 원두의 양이 적당한 경우에는 케이스내의 코오피 원두가 분쇄체의 회전에 의하여 그 전부가 대략 동일한 입도의 코오피 분말로까지 분쇄되나, 케이스내의 코오피 원두의 양이 많거나 또는 적을 경우에는 분쇄체가 회전해도 케이스내의 코오피 원두가 충분히 상하로 교반되지 않고, 따라서 이 경우 분쇄체의 분쇄력이 고루 미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생성된 코오피 분말의 입도가 불균일해지거나, 극단적인 경우에는 원료인 코오피 원두가그대로 원형으로 남는 경우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 내에 수용한 코오피 원두의 양의 다소에 상관없이 언제나 상당히 균일한 입도의 코오피분말을 생성할 수 있는 코오피미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중 적어도 내저부를 호상면으로 형성하고 분쇄체를 이 케이스의 호상면을 따라 대략 수평의 이루는 축심의 중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분쇄체의 회전으로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된 코오피 원두를 상하로 교반하면서 분쇄하도록 구성하여 이것으로 케이스내의 코오피 원두를 상하 골고루 분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있어서, (1)은 본체이고, 이것의 좌측저부에 용기설치대(2)가 형성되고, 이 용기설치대(2)에는 가열반(3)내에 전기 히이터(4)와 가열관(5)을 병렬상태로 매설하여 구성되는 열탕생성기구(6)가 설치된다. (7)은 용기설치대(2)위에 착탈가능으로 설치된 용기이다. 한편(8)은 본체(1)의 우측하부에 형성된 저수탱크장착부, (9)는 저수탱크장착부(8)에 착탈가능으로 설치된 저수탱크이고, 이것의 저부에는 원통상의 급수구부(9a)가 형성되고, 이 급수구부(9a)에는 밸브체(10) 및 밸브체(10)를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압축코일스프링(11)으로 구성되는 밸브기구(12)가 설치된다. 한편 열탕생성기구(6)의 가열관(5)의 일단부에는 저수탱크(9)의 급수구부(9a)에 대응해서 연결구부(13)내에는 돌기(14)가 형성되고,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저수탱크(9)를 저수탱크 장착부(8)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급수구부(9a)가 연결구부(13)내에 물샐틀없이 끼워맞춰지고, 또 돌기(14)에 의하여 밸브체(10)는 압축코일스프링(11)의 밀어붙이는 힘에 반발하여 반 화살표 A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켜 급수구부(9a)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15)는 본체(1)의 우측상부에 설치된 모우터 수납실이고, 이것의 좌측벽부에는 단원통상의 장착부(16)가 팽출 형성된다. (17)은 모우터 수납실(15)내에 옆으로 설치된 모우터이고, 이것의 회전축(17a)은 장착부(16)로부터 수평좌방으로 돌출된다. 그런데, (18)은 좌측면이 개방되는 옆으로 누은 원통상의 케이스로서, 그 우측벽(18a)에 외방으로 원통상으로 돌설된 끼워맞춤부(19)를 장착부(16)의 외주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용기(7)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벽(18a)의 중심부에 외방으로 돌출형성된 축지지부(20)에는 모우터(17)의 회전축(17a)에 걸거나 벗김가능하게 연결된 커터축(21)이 거의 수평으로 지향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22)는 지지부(23)를 게재하여 커터축(21)에 고착된 한쌍의 분쇄체로서, 케이스(18)의 내주면에 대해 각각 소정의 극간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44)는 케이스(18)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여기에는 케이스(18)의 내주부에 따르는 호상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그물코 모양의 필터(25)가 장착된다. (26)은 케이스(18)의 좌측면부를 폐쇄하는 원형의 뚜꺾으로서, 이것의 외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6a)는 케이스(18)의 좌단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8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27)은 케이스(18)의 상주외주부에 돌설된 짧은 통상의 열탕받이부이고, 상기 케이스(18)에는 상기 열탕받이부(27)와 케이스(18)내를 연통하는 복수개의 주탕공(28)이 형성된다. 한편(29)는 열탕생성기구(6)의 가열관(5)에 연결된 급탕관이고, 이것의 급탕구(29a)는 케이스(18)의 열탕받이부(27)의 상방에 대향 위치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코오피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케이스(18)를 장착부(16)로부터 떼어내고, 또 케이스(18)에서 뚜꺾(26)을 떼어내고, 그후 상기 케이스(18)내에 코오피 원두를 원하는 인원수 분만큼 투입한 다음, 상기 케이스(18)에 뚜껑(26)을 덮은 후 이것을 장착부(16)에 제장착한다. 그리고 저수탱크(9)를 저수탱크장착부(8)로부터 떼어내어 이것에 원하는 인원수분의 물을 주입한 후, 상기저수탱크(9)를 저수탱크장착부(8)에 재장착한다. 이러한 저수탱크(9)내에의 주수시에 저수탱크(9)를 저수탱크장착부(8)로부터 떼어내면, 밸브체(10)가 압축 코일스프링(11)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밸브체(10)에 의하여 급수구부(9a)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모우터(17)에 통전하여 상기 모우터(17)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축(17a)에 의하여 커터축(21)에 따라 분쇄체(22)가 제2도에 도시하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커터축(21)의 축심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지향하고 있으므로, 분쇄체(22)는 케이스(18)의 호상의 내주면에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같이 분쇄체(22)가 회전하면, 케이스(18)내의 코오피 원두(제2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는 분쇄체(22)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2도에 도시하는 화살표 C방향으로 유동하여 상하로 교반되어 코오피 원두 전체가 균일하게 분쇄된다. 그리고 케이스(18)내의 코오피 원두를 대략 균일한 입도의 코일피분말로 분쇄한 시점에서 모우터(17)를 단전하고, 대신에 전기히이터(4)에 통전하여 이것을 발열시키므로써 용기(7)를 예열하는 동시에, 저수탱크(9)로부터 가열관(5)내에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열탕을 생성한다. 이 열탕은 비등압에 의하여 급탕관(29)을 상승하여 급탕구(29a)로부터 열탕받이부(27)내에 흘러내려, 여기에서 확산되어 주탕공(28)으로부터 케이스(18)내에 적하된다. 적하한 열탕은, 코오피 분말에 침투하여 코오피의 엑스를 추출하여 코오피액을 형성한 후, 필터(25)에 의하여 여과되어서 용기(7)내에 적하되어 저류된다.
이와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18)를 옆으로 누인 원통상으로 형성하여, 분쇄체(22)가 대략 수평으로 저향한 커터축(21)를 축심으로 하여 호상면을 구성하는 케이스(18)의 내주부에 근접해서 회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분쇄체(22)의 회전범위가 케이스(18)내의 상하 거의 전역에 걸치고, 이 결과, 케이스(18)내에 수용된 코오피원두의 양이 적을 경우나 많을 때도 코오피원두가 분쇄체(22)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2도에 화살표 C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유동되어 뒤섞여지므로 코오피원두 전체가 균일하게 분쇄되고, 따라서 코오피원두의 양의 다소에 상관없이 언제나 대략 균일한 입도의 코오피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제3도의 도시와 같이 분쇄체(22)의 양단부에 기립부(22a)를 설치하는 구성을 취하면, 코오피원두를 더 한층 균일하게 분쇄할 수가 있고, 또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18)의 좌우 양주연부에 사면부(26b) 및 (18c)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케이스(18)내의 코오피원두는 언제나 분쇄체(22)의 근방에 집적되기 때문에, 코오피원두를 더한층 균일하게 분쇄할 수 있고, 또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30)는 내저부만을 호상면으로 형성한 것도 된다. 그밖에 본 고안은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상의 설명과 같이, 케이스중 적어도 내저부를 호상면으로 형성하고, 분쇄체를 이 케이스의 호상면에 따라 대략 수평을 이루는 축심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므로써, 분쇄체는 케이스내의 코오피원두를 상하로 휘저어 섞어주면서 분쇄하게 되고, 이 결과 케이스내에 수용된 코오피원두의 양의 다소에 상관없이 분쇄체의 분쇄력이 코오피원두 전체에 미치도록 되어, 언제나 대략 균일한 입도의 코오피분말을 생성할 수 있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코오피미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케이스(18)내에 모우터(17)에 의하여 회전되고 케이스내의 코오피원두를 분쇄하는 분쇄체(22)를 가지는 코오피미일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17)의 축을 수평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18)의 적어도 내저부를 호상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호상면을 따라 대략 수평을 이루는 축심(17a)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분쇄체(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피미일.
KR2019860021475U 1983-04-05 1986-12-29 코오피미일 KR8700016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059814A JPS59183719A (ja) 1983-04-05 1983-04-05 コーヒー製造機
JP??59814 1983-04-05
KR1019830006349A KR840008583A (ko) 1983-04-05 1983-12-30 코오피미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349A Division KR840008583A (ko) 1983-04-05 1983-12-30 코오피미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605Y1 true KR870001605Y1 (ko) 1987-04-30

Family

ID=131240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349A KR840008583A (ko) 1983-04-05 1983-12-30 코오피미일
KR2019860021475U KR870001605Y1 (ko) 1983-04-05 1986-12-29 코오피미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349A KR840008583A (ko) 1983-04-05 1983-12-30 코오피미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83719A (ko)
KR (2) KR840008583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60Y2 (ja) * 1976-04-27 1984-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検出型切替弁
JPS58738B2 (ja) * 1978-06-27 1983-01-07 株式会社東芝 高融点金属線棒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9564B2 (ko) 1991-07-30
KR840008583A (ko) 1984-12-17
JPS59183719A (ja) 1984-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0853A (en) Coffee making apparatus
KR870001605Y1 (ko) 코오피미일
KR20170050978A (ko) 커피분말 조절구를 구비한 휴대용 커피 빈 그라인더
TW201345469A (zh) 調理裝置
CN105828675A (zh) 饮料制造装置
JP6358898B2 (ja) 飲料製造装置
KR860002846Y1 (ko) 코오피 제조기
KR860000494Y1 (ko) 코오피 제조기
KR870003098Y1 (ko) 코오피 제조기
JPH0685742B2 (ja) コーヒー製造機
KR900007759Y1 (ko) 커피 제조기
KR20210101033A (ko) 식자재 처리기
JPS5916029Y2 (ja) 「こゞ」
JPS6028342Y2 (ja) 珈琲製造器
GB2137485A (en) Coffee making apparatus
KR880001353Y1 (ko) 만능 분쇄기
JPH0321702Y2 (ko)
JPS5814906Y2 (ja) 飲料製造機
JPH0497715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JPS6330352Y2 (ko)
JPS5812685Y2 (ja) 食品粉砕機
JPS5833944Y2 (ja) コ−ヒ−沸し器
JPS58200715A (ja) コ−ヒ−製造機
JPS6330353Y2 (ko)
JP2001198024A (ja) コーヒー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