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033A - 식자재 처리기 - Google Patents

식자재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033A
KR20210101033A KR1020200015158A KR20200015158A KR20210101033A KR 20210101033 A KR20210101033 A KR 20210101033A KR 1020200015158 A KR1020200015158 A KR 1020200015158A KR 20200015158 A KR20200015158 A KR 20200015158A KR 20210101033 A KR20210101033 A KR 20210101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inding
disposed
food material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최윤성
이강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033A/ko
Publication of KR2021010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6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자재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는 본체바디와,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식자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분쇄하도록 회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와, 본체바디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용기와, 상기 배출용기 상측에 배치되고, 양념을 저장하는 보관용기와, 상기 보관용기에 저장된 양념의 일정량을 상기 배출용기로 보내는 시즈닝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자재 처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식자재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자재를 분쇄 및 건조하여 장기간 보존하도록 처리하는 식자재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일부가 잘려지거나, 소량으로 남게되는 식재료가 발생한다. 이러한 식재료는, 별도로 보관을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으나, 외부의 공기나 물에 노출된 식재료는 보관기간이 짧아지게 된다. 즉, 껍질 이외의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원재료에 비해 빠르게 상하여, 보관기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식재료를 단기간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재사용이 어려워 음식쓰레기로 배출되어진다. 음식조리를 자주하지 않는 가정에서는, 이러한 식재료를 음식쓰레기로 배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등록 실용신안 제20-0475461호에서는, 남겨진 식재료를 분쇄하거나 탈수하여 보관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완전하게 건조하지 못한 식재료는, 여전히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남겨진 식재료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식자재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식재료의 보존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처리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다양한 처리과정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식자재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남겨진 식재료를 다시 사용하기 간편한 스프가루와 같은 형태로 업사이클링시키는 식자재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는, 본체바디와,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식자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분쇄하도록 회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와, 본체바디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용기와, 상기 배출용기 상측에 배치되고, 양념을 저장하는 보관용기와, 상기 보관용기에 저장된 양념의 일정량을 상기 배출용기로 보내는 시즈닝밸브를 포함하여, 식자재를 간단하게 분쇄함과 동시에 양념할 수 있다.
상기 분쇄용기는, 하측으로 개구되고, 둘레면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둘레면과, 상기 분쇄용기 둘레면의 개방된 하측을 커버하는 분쇄용기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분쇄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상기 그라인더 상측에 배치되어, 분쇄용기에 배치된 식자재가 분쇄모터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분쇄용기 둘레면은,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반경이 증가하는 가이드둘레면과, 상기 가이드둘레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반경이 유지되는 고정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둘레면은, 분쇄용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상기 분쇄용기의 배치를 고정하여, 사용자가 분쇄용기를 본체바디에 용기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분쇄용기 하부커버는, 상기 분쇄용기 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분쇄용기에 수용된 식자재를 보관하거나, 하측으로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용기 하부커버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개를 포함하여, 낙하되는 식자재를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하측에 배치될수록 큰 크기를 가지므로, 상측에 배치되는 그라인더에 의해 식자재가 외측방향으로 퍼지더라도, 식자재를 안정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상기 분쇄모터에서 상측으로 가장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1그라인더, 상기 제1그라인더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인더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2그라인더, 및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3그라인더를 포함하여, 하측으로 배치될 수록 큰 크기를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바디는, 상기 분쇄용기를 수용하는 분쇄용기 수용부와, 상기 분쇄용기 수용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와 상기 분쇄모터가 배치되는 분쇄장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 수용부는, 상기 분쇄모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상기 그라인더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분쇄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분쇄가이드부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식자재가 그라인더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쇄가이드부는,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줄어드는 축소가이드부, 상기 축소가이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유지되는 유지가이드부, 및 상기 유지가이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커지는 확장가이드부를 포함하여, 분쇄용기로부터 낙하되는 식자재를 그라인더방향으로 모으고, 그라인더에 의해 분쇄될 때에는, 그라인더의 크기를 고려하여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상기 확장가이드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유지가이드부에 하측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식자재가 분쇄가이드부에 의해 중심으로 모이도록 하여, 식자재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본체바디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관용기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상측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시즈닝밸브는, 상기 보관용기의 바닥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시즈닝밸브의 회전에 의해, 보관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양념이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시즈닝밸브는,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여, 시즈닝밸브가 보관용기에 저장된 양념의 저장을 유지하거나, 보관용기에 저장된 양념을 하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즈닝밸브는, 원심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베인을 포함하여, 보관용기에 저장된 양념의 일정량을 하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시즈닝밸브의 일측에는, 상기 시즈닝밸브와 함께 회전하는 시즈닝밸브 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보관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인입될 때, 상기 시즈닝밸브 기어와 맞물리는 시즈닝밸브 구동기어와, 상기 시즈닝밸브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시즈닝밸브 모터가 배치된다.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용기와, 상기 건조용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용기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팅장치를 포함하여, 식자재를 건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자재 처리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식자료를 분쇄, 건조 및 시즈닝 처리하여, 재활용가능한 식재료로 처리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남겨진 식재료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쓰레기로 배출되는 식재료의 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둘째, 분쇄용기와 배출용기 및 보관용기와 배출용기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식자료를 처리하는 과정이 한번에 진행될 수 있어, 조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분쇄 및 건조된 식자재에 양념을 추가하는 시즈닝보관부를 포함하고, 시즈닝보관부에서 저장된 양념의 일정량을 배출용기로 보내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처리되는 식자재에 일정량의 양념이 추가될 수 있어, 향후 사용가능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기와 건조용기 수용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용기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커버가 닫힌 상태의 분쇄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커버가 열린 상태의 분쇄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분쇄용기가 분쇄용기의 수용부에 장착될 때, 하부커버 기어와 구동기어가 맞물리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 수용부의 개략전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즈닝보관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즈닝밸브의 작동에 따른 보관용기에 저장된 양념의 일정량이 낙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재료 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1)는, 대상물이 분쇄되는 분쇄부(80), 분쇄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50), 분쇄 및 건조 처리된 대상물을 수용하고,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배출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물은 식재료 처리기에 의해, 분쇄 및 건조되도록, 사용자가 분쇄부(80)로 투입한 식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식재료는, 사용되지 않은 식재료 또는 조리과정에서 남은 식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는, 분쇄 및 건조 처리된 대상물에 양념을 추가하도록, 양념을 보관하는 시즈닝보관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1)는, 분쇄부(80), 건조부(50), 및 배출부(120)를 수용하는 본체바디(10)를 포함한다. 본체바디(1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분쇄부(80), 건조부(50) 및 배출부(120)를 수용한다.
본체바디(10)는, 이하에서 설명할 건조부(50)의 건조용기(52)를 수용하는 건조용기 수용부(12)와, 건조부(50)의 히팅장치(66)를 수용하는 히팅장치 수용부(14)를 포함한다. 본체바디(10)는, 이하에서 설명할 분쇄용기(82)를 수용하는 분쇄용기 수용부(20)와, 분쇄용기 수용부(20) 하측에 배치되고 그라인더(92)가 배치되는 분쇄장치 수용부(28)를 포함한다. 본체바디(10)는, 배출용기(122)를 수용하는 배출용기 수용부(48)와, 시즈닝보관부(100)의 보관용기(102)를 수용하는 보관용기 수용부(44)를 포함한다.
건조용기 수용부(12)는, 상측이 개구되어, 건조용기(52)가 상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히팅장치 수용부(14)는, 건조용기 수용부(12)의 하측에 배치된다. 히팅장치 수용부(14)와 건조용기 수용부(12)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히팅장치 수용부(14)와 건조용기 수용부(12) 사이에는, 연통홀(16)이 형성도니다. 본체바디(10)의 둘레면 일측에는, 히팅장치 수용부(14)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흡입구(18)가 형성된다.
분쇄용기 수용부(20)는, 상측이 개구되어 분쇄용기(82)가 상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분쇄장치 수용부(28)는, 분쇄용기 수용부(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분쇄용기 수용부(20)의 하측에는, 분쇄장치 수용부(28)와 연통하는 분쇄연통홀(26)이 형성된다.
분쇄용기 수용부(20)에는, 분쇄용기(82)가 삽입될 때, 이하에서 설명할 분쇄용기(82)의 한 쌍의 하부커버 기어(89) 중 하나와 맞물리는 구동기어(22)와 구동기어(22)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모터(미도시)가 배치된다.
분쇄용기(82)가 분쇄용기 수용부(20)에 장착될 때, 분쇄용기(82)의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가 분쇄연통홀(26)의 상측에 배치된다. 분쇄용기(82)가 분쇄용기 수용부(20)에 장착될 때, 한 쌍의 하부커버 기어(89) 중 하나와 하부커버 기어모터(미도시)가 맞물린다.
분쇄장치 수용부(28)는, 이하에서 설명할 분쇄모터(94)를 고정하는 고정부재(98)와, 고정부재(98)의 상측에 배치되고, 분쇄용기(82)에서 낙하되는 대상물을 그라인더(9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분쇄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분쇄가이드부(30)는, 분쇄용기 연통홀(16)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줄어드는 축소가이드부(32), 축소가이드부(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유지되는 유지가이드부(34), 및 유지가이드부(34)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커지는 확장가이드부(36)를 포함한다. 분쇄가이드부(30)는, 분쇄모터(94)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된다.
본체바디(10)는, 분쇄장치 수용부(28) 하측에 배치되어, 분쇄장치(91)를 통해 분쇄된 식재료를 배출용기(122)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부(40)를 포함한다. 배출가이드부(40)는, 분쇄장치 수용부(28)의 하측에 배치된다. 배출가이드부(40)는, 분쇄장치(91)를 통해 분쇄된 식자재가 배출용기(122)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분쇄가이드부(30)는, 분쇄장치(91) 하측으로 낙하되는 식자재가 배출용기(122)로 낙하되도록 경사면(4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1)는, 사용자가 식재료 처리기(1)를 조작하도록 버튼 등으로 구성된 입력부(110), 입력부(110)로 전달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분쇄부(80) 또는 건조부(5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식재료 처리기(1)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본체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된다.
<건조부>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건조부(50)를 설명한다.
건조부(50)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용기(52)와, 건조용기(52)의 하측에 배치되고, 건조용기(52)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팅장치(66)를 포함한다.
건조용기(52)는 상측이 개방되는 원기둥형상을 가진다. 건조용기(52)는, 하부면이 메쉬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하측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건조용기(52)의 상측은 개구되고, 개구된 상측에는 상부커버(58)가 장착된다.
건조용기(52)는, 대상물이 거치되도록 메쉬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건조용기 하부판(44)과, 건조용기 하부판(44)의 테두리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건조용기 둘레판(56)을 포함한다. 상부커버(58)는, 건조용기 둘레판(56)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건조용기 하부판(44) 연통홀(16)의 상측에 배치되고, 건조용기(52) 내부와 하측에 배치되는 히팅장치 수용부(14)를 연통하도록, 메쉬형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건조용기 둘레판(56)은, 내부가 중공이고, 원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건조용기 둘레판(56)의 반경은, 건조용기 수용부(12)의 반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건조용기 둘레판(56)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하부둘레판(56a)과, 하부둘레판(56a)의 상단에서 형성되고, 직경이 증가하는 상부둘레판(56b)을 포함한다.
건조용기 둘레판(56)은, 주로 하부둘레판(56a)으로 구성되고, 상단부에서 상부둘레판(56b)이 형성된다. 상부둘레판(56b)의 상측으로는, 상부커버(58)가 장착된다.
상부커버(58)는, 건조용기 둘레판(56)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부커버(58)는, 상부둘레판(56b)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부커버(58)는, 원판형상의 상부면(60)과 상부면(60)의 외둘레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커버둘레면(62)을 포함한다.
상부커버둘레면(62)에는, 히팅장치(66)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홀(62a)이 형성된다. 복수의 배출홀(62a)은, 상부커버둘레면(62)을 따라 형성된다.
히팅장치(66)는, 건조용기(52) 하측에 배치되어, 건조용기(52)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한다. 히팅장치(66)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0)와, 히터(7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용기(52)로 보내는 송풍팬(68)과, 송풍팬(68)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69)를 포함한다. 히팅장치(66)는 건조용기(52) 하측에 배치되는 본체바디(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히터(70)는 PTC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건조용기(52) 내부에 식자재를 넣고, 상부커버(58)를 상측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부커버(58)가 건조용기(52) 상측으로 장착되더라도, 상부커버둘레면(62)에 형성되는 배출홀(62a)로 공기가 외부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건조용기 하부판(44)은,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공기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건조용기(52)를 본체바디(10)의 건조용기 수용부(12)에 장착하면, 건조용기 둘레판(56)의 상부둘레판(56b)이 건조용기(5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건조용기(52)가 본체바디(10)의 건조용기 수용부(12)에 장착될 때, 건조용기 하부판(44)이 건조용기 수용부(12)의 연통홀(16)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66)가 작동하면, 히터(70)와 송풍팬(68)이 작동하여, 건조용기(52)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 가열된 공기는, 건조용기 하부판(44)을 통해 건조용기(52) 내부로 공급되고, 상부커버둘레면(62)에 형성된 배출홀(62a)로 배출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가 건조용기(52)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건조용기(52) 내부에 수용되는 식자재가 건조될 수 있다.
<분쇄부>
이하에서는, 도 3,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분쇄부(80)를 설명한다.
분쇄부(80)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82)와, 분쇄용기(82) 하측에 배치되어, 분쇄용기(82)에서 낙하되는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91)를 포함한다.
분쇄용기(82)는 상측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진다. 분쇄부(80)는, 분쇄용기(82)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분쇄용기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쇄용기(82)는,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면의 반경이 줄어드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쇄용기(82)는, 상측이 개방된다. 분쇄용기(82)의 상측에는,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는 분쇄용기커버(90)가 배치된다. 분쇄용기커버(90)는, 분쇄용기(82)의 상측에서 개폐가능하게 배치된다.
분쇄용기(82)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둘레면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둘레면(84)과, 분쇄용기 둘레면(84)의 개방된 하측을 커버하는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와, 분쇄용기 둘레면(84)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상부커버(58)를 포함한다.
분쇄용기 둘레면(84)은,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반경이 증가하는 가이드둘레면(84a)과, 가이드둘레면(84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반경이 유지되는 고정둘레면(84b)을 포함한다. 고정둘레면(84b)은, 분쇄용기 수용부(20)로 삽입되는 분쇄용기(82)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둘레면(84a)은, 분쇄용기(82)에 수용되는 식자재를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는, 분쇄용기 둘레면(8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 각각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88)이 분쇄용기 둘레면(84)에 삽입되고, 분쇄용기 둘레면(84) 외측으로 한 쌍의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하부커버 기어(89)가 배치된다. 한 쌍의 하부커버 기어(89)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어, 서로 대칭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한 쌍의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는, 대칭되게 회전하여, 분쇄용기 둘레면(84)의 개구된 하부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커버 기어(89)에는, 판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판스프링에 의해 한 쌍의 하부커버 기어(89)는, 한 쌍의 분쇄용기 하부커버(86a, 86b)가 분쇄용기 둘레면(84)의 하측면을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분쇄장치(91)는, 분쇄용기(82)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으로 분쇄용기(82)에서 낙하되는 대상물을 분쇄하는 그라인더(92), 그라인더(92)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94)를 포함한다.
분쇄장치(91)는, 분쇄모터(94)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더(92)가 연결되는 회전봉(96)을 포함한다. 회전봉(96)은, 분쇄모터(94)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더(92)가 연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분쇄모터(94)에 연결되는 회전봉(96)에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3개의 그라인더(92)가 연결될 수 있다.
그라인더(92)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회전봉(96)의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하측에 배치될수록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큰 크기는, 반경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분쇄모터(94)에서 상측으로 가장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1그라인더(92a), 제1그라인더(92a)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1그라인더(92a)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2그라인더(92b), 및 제2그라인더(92b)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2그라인더(92b)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3그라인더(92c)를 포함한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분쇄가이드부(30)에 배치된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확장가이드부(36)에 배치된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확장가이드부(36)에 배치된다. 복수의 그라인더(92)는, 큰 크기를 가질수록 하측방향으로 배치된다.
분쇄장치(91)는, 분쇄모터(94)를 분쇄가이드부(3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98)를 포함한다. 고정부재(98)는, 바형태를 가지고, 분쇄모터(94)를 분쇄장치 수용부(28)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98)는, 분쇄모터(94)의 배치를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분쇄용기(82)로부터 낙하되는 식자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4개의 고정부재(98)를 포함할 수 있다.
<시즈닝보관부>
이하에서는, 도 3,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시즈닝보관부(100)를 설명한다.
시즈닝보관부(100)는, 양념을 저장하는 보관용기(102)와, 보관용기(102) 하측에 배치되어, 보관용기(102)에 저장된 양념을 하측으로 보내는 시즈닝밸브(106), 보관용기(102)에서 낙하되는 양념을 배출용기(122)로 안내하는 시즈닝 가이드부(46)를 포함한다.
보관용기(102)는, 본체바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분쇄용기(82)의 일측에 배치된다. 보관용기(102)는, 본체바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출용기(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보관용기(102)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상측커버(104)를 포함한다. 보관용기(102)는, 본체바디(10)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관용기(102)는, 본체바디(10)로부터 인출될 때, 상측커버(104)가 개방되거나, 본체바디(10)로 인입될 때, 상측커버(104)가 폐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관용기(102)의 하측에는, 보관용기(102)에 저장되는 양념을 하측으로 보내는 시즈닝밸브(106)가 배치된다. 시즈닝밸브(106)는, 보관용기(102)의 바닥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시즈닝밸브(106)는,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108a, 108b, 108c, 108d)을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즈닝밸브(106)는, 원심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베인(108a, 108b, 108c, 108d)을 포함한다. 시즈닝밸브(106)는, 90도 간격으로 회전하며, 보관용기(102)에 배치된 양념의 일정양을 하측으로 보낸다. 시즈닝밸브(106)는,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의 범위를 조절하여 일정양의 양념을 배출용기(122)로 보낼 수 있다.
시즈닝밸브(106)의 일측에는, 시즈닝밸브(106)와 함께 회전하는, 시즈닝밸브 기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바디(10)에는, 보관용기(102)가 완전히 인입될 때, 시즈닝밸브 기어와 맞물리는, 시즈닝밸브 구동기어(미도시)와, 시즈닝밸브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시즈닝밸브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시즈닝 가이드부(46)는, 본체바디(10)에 배치되고, 보관용기(102)의 하측에 배치된다. 시즈닝 가이드부(46)는, 본체바디(10)에 배치되고, 배출용기(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시즈닝 가이드부(46)는, 보관용기(102)의 하측에서 배출용기(122)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배출용기>
배출용기(122)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분쇄 및 건조된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배출용기(122)는, 본체바디(10)의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체바디(10)에 장착된 배출용기(122)는, 시즈닝보관부(1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체바디(10)에 장착된 배출용기(122)는, 분쇄용기(82)와 보관용기(102)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배출용기(122)는, 상부면에 분쇄용기(82)에서 낙하된 식자재가 유입되는 제1홀(126)이 형성된다. 배출용기(122)는, 상부면(60)에 보관용기(102)에서 낙하된 양념이 유입되는 제2홀(128)이 형성된다.
제1홀(126)은, 배출가이드부(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홀(126)은, 제2홀(128)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홀(128)은, 시즈닝 가이드부(46)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식재료 처리기 10 : 본체바디
12 : 건조용기 수용부 14 : 히팅장치 수용부
20 : 분쇄용기 수용부 26 : 분쇄연통홀
28 : 분쇄장치 수용부 30 : 분쇄가이드부
32 : 축소가이드부 34 : 유지가이드부
36 : 확장가이드부 52 : 건조용기
66 : 히팅장치 82 : 분쇄용기
84 : 분쇄용기 둘레면 86a, 86b : 분쇄용기 하부커버
91 : 분쇄장치 92a : 제1그라인더
92b : 제2그라인더 92c : 제3그라인더
94 : 분쇄모터 96 : 회전봉
102 : 보관용기 106 : 시즈닝밸브
120 : 배출용기

Claims (18)

  1. 본체바디;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식자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분쇄하도록 회전하는 그라인더;
    상기 그라인더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
    본체바디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용기;
    상기 배출용기 상측에 배치되고, 양념을 저장하는 보관용기;
    상기 보관용기에 저장된 양념의 일정량을 상기 배출용기로 보내는 시즈닝밸브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는,
    하측으로 개구되고, 둘레면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둘레면과,
    상기 분쇄용기 둘레면의 개방된 하측을 커버하는 분쇄용기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분쇄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상기 그라인더 상측에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 둘레면은,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반경이 증가하는 가이드둘레면과,
    상기 가이드둘레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반경이 유지되는 고정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둘레면은, 분쇄용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상기 분쇄용기의 배치를 고정하는 식자재 처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 하부커버는, 상기 분쇄용기 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식자재 처리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 하부커버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는 식자재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개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하측에 배치될수록 큰 크기를 가지는 식자재 처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상기 분쇄모터에서 상측으로 가장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1그라인더,
    상기 제1그라인더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인더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2그라인더, 및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3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디는,
    상기 분쇄용기를 수용하는 분쇄용기 수용부와, 상기 분쇄용기 수용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와 상기 분쇄모터가 배치되는 분쇄장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 수용부는, 상기 분쇄모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용기에서 낙하되는 식자재를 상기 그라인더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분쇄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분쇄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이드부는,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줄어드는 축소가이드부
    상기 축소가이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유지되는 유지가이드부, 및
    상기 유지가이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반경이 커지는 확장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상기 확장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상기 유지가이드부에 하측에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본체바디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관용기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상측커버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즈닝밸브는, 상기 보관용기의 바닥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즈닝밸브는,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즈닝밸브는, 원심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베인을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즈닝밸브의 일측에는, 상기 시즈닝밸브와 함께 회전하는 시즈닝밸브 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보관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인입될 때, 상기 시즈닝밸브 기어와 맞물리는 시즈닝밸브 구동기어와, 상기 시즈닝밸브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시즈닝밸브 모터가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용기와, 상기 건조용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용기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팅장치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KR1020200015158A 2020-02-07 2020-02-07 식자재 처리기 KR20210101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58A KR20210101033A (ko) 2020-02-07 2020-02-07 식자재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58A KR20210101033A (ko) 2020-02-07 2020-02-07 식자재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33A true KR20210101033A (ko) 2021-08-18

Family

ID=7746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58A KR20210101033A (ko) 2020-02-07 2020-02-07 식자재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0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62B1 (ko) 2022-06-07 2023-01-10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식자재 보관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62B1 (ko) 2022-06-07 2023-01-10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식자재 보관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69136A (ja) 電動粉挽き機
CN105013562A (zh) 一种小型家用磨面机
KR101701463B1 (ko) 음식물찌꺼기 살균건조처리장치
JP5160453B2 (ja) 微粉砕装置
JP2009106266A (ja) コーヒーロースター
KR20210101033A (ko) 식자재 처리기
KR101164513B1 (ko) 식품 건조 및 분쇄장치
JP5102390B2 (ja) バルブ排出装置
JP2006346061A (ja) コーヒー沸かし器
KR100670756B1 (ko) 분쇄기
KR100743574B1 (ko) 분쇄기
KR100520634B1 (ko) 곡물 분쇄기
JP3929798B2 (ja) 調理器
KR20210079704A (ko) 식자재 처리기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JP2019072480A (ja) 調理器及び調理物の製造方法
KR200200733Y1 (ko) 회전식 건조장치
JP2006226662A (ja) 含水物処理装置
JP2012166168A (ja) 固形物粉砕機
KR20200040045A (ko) 블렌더 겸용 정미기
KR20210074068A (ko)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JP2007117975A (ja) 小型汎用回転衝撃式粉砕機
KR101578853B1 (ko) 음식물 처리장치
JP2001129422A (ja) 籾殻粉砕装置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