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704A - 식자재 처리기 - Google Patents

식자재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704A
KR20210079704A KR1020190171764A KR20190171764A KR20210079704A KR 20210079704 A KR20210079704 A KR 20210079704A KR 1020190171764 A KR1020190171764 A KR 1020190171764A KR 20190171764 A KR20190171764 A KR 20190171764A KR 20210079704 A KR20210079704 A KR 2021007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ying
drying container
grinding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최윤성
이강성
모리모토 타카시
이케다 마사코
이마니시 히로무
요코타 마사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704A/ko
Priority to US17/127,311 priority patent/US20210186063A1/en
Publication of KR2021007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working units, e.g. with a single driving-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자재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는, 본체바디와,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와,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용기와, 상기 건조용기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히팅장치와, 상기 건조용기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바디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용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용기는, 상기 건조용기를 향하는 면이 상기 건조용기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건조용기는, 일측면이 상기 배출용기를 향해 개방된다.

Description

식자재 처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식자재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자재를 분쇄 및 건조하여 장기간 보존하도록 처리하는 식자재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일부가 잘려지거나, 소량으로 남게되는 식재료가 발생한다. 이러한 식재료는, 별도로 보관을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으나, 외부의 공기나 물에 노출된 식재료는 보관기간이 짧아지게 된다. 즉, 껍질 이외의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원재료에 비해 빠르게 상하여, 보관기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식재료를 단기간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재사용이 어려워 음식쓰레기로 배출되어진다. 음식조리를 자주하지 않는 가정에서는, 이러한 식재료를 음식쓰레기로 배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등록 실용신안 제20-0475461호에서는, 남겨진 식재료를 분쇄하거나 탈수하여 보관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완전하게 건조하지 못한 식재료는, 여전히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남겨진 식재료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식자재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식재료의 보존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처리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다양한 처리과정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식자재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남겨진 식재료를 다시 사용하기 간편한 스프가루와 같은 형태로 업사이클링시키는 식자재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는, 본체바디와,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와,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용기와, 상기 건조용기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히팅장치와, 상기 건조용기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바디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용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용기는, 상기 건조용기를 향하는 면이 상기 건조용기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건조용기는, 일측면이 상기 배출용기를 향해 개방되어, 분쇄 및 건조된 대상물을 배출용기로 보낼 수 있다.
상기 분쇄용기는, 상기 그라인더와 상기 분쇄모터가 배치되는 분쇄용기 하부판와,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둘레판을 포함한다.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은, 상기 분쇄용기 둘레판의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은, 상기 분쇄용기 둘레판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건조용기가 배치된 하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대상물을 분쇄용기 내부로 저장하거나, 하측에 배치되는 건조용기로 보낼 수 있다.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의 양단에는,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이 회전하는 가상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과 함께 회전하는 분쇄용기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본체바디에 상기 분쇄용기가 장착될 때, 상기 분쇄용기기어와 맞물리는 제1바디기어와, 상기 제1바디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바디기어모터가 배치되어, 분쇄용기가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분쇄용기 하부판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분쇄용기에는, 상기 분쇄용기기어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판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되어, 분쇄용기가 본체바디에서 인출될 때, 분쇄용기 하부판이 고정될 수 있다.
내부가 중공인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분쇄용기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용기를 더 포함하여, 그라인더에 의해 분쇄되는 분쇄대상물의 분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용기는, 메쉬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건조용기 하부판과,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테두리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건조용기 둘레판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은, 상기 건조용기 둘레판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건조대상물을 건조용기 내부에 배치하거나, 배출용기로 보낼 수 있다.
상기 건조용기는,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회전축 상에서,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일단 또는 양단에 고정되는 제1건조용기기어를 포함하여, 건조용기 하부판이 제1건조용기기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건조용기 둘레판은, 상기 건조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상기 본체바디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1면과, 상기 본체바디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의 상부에는, 상기 히팅장치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건조용기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건조용기를 순환하고, 배출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면의 내측에는, 상측으로 회전하는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돌출리브가 형성되어, 건조용기 하부판의 회전이 제한되고, 건조용기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이 히팅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배치되는 상부고정면과, 상기 상부고정면 하측에서 상기 상부고정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회전면을 포함하여, 건조용기가 배출용기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회전면의 양측단에는, 상기 제1건조용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하부회전면을 회전시키는 제2건조용기기어가 배치되어, 건조용기 하부판과 하부회전면이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이 상기 건조용기 둘레판의 내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건조용기기어가 상기 제1건조용기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하부회전면은, 상기 건조용기 외측으로 회전하여, 건조용기가 배출용기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건조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상기 제2건조용기기어와 맞물리는 제2바디기어와, 상기 제2바디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바디기어모터가 배치되어, 건조용기가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건조용기가 배출용기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장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용기로 보내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용기에서 분쇄되고, 상기 건조용기에서 건조된 대상물에 추가되는 양념을 보관하는 시즈닝보관부를 더 포함하여, 분쇄용기와 건조용기를 거친 대상물에 양념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시즈닝보관부는, 복수의 양념을 구획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보관용기와,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가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를 상기 본체바디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드로워를 포함하여, 복수의 양념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보관용기 하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구부커버를 포함하여, 복수의 보관용기에 배치되는 양념이 배출용기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커버는, 상기 보관용기 하측판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개방부는 교번(alternating)하여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커버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보관용기에 저장되는 양념이 개방부를 통해 배출용기로 이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자재 처리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식자료를 분쇄, 건조 및 시즈닝 처리하여, 재활용가능한 식재료로 처리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남겨진 식재료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쓰레기로 배출되는 식재료의 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둘째, 분쇄용기, 건조용기, 및 배출용기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식자료를 처리하는 과정이 한번에 진행될 수 있어, 조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분쇄 및 건조된 식자재에 양념을 추가하는 시즈닝보관부를 포함하여, 남겨진 식자재를 업사이클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처리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용기와 제1바디기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분쇄용기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c는 도 5a에서 분쇄용기 하부판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기와 제2바디기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건조용기 하부판과, 하부회전면이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c는 도 7b의 건조용기에서 송풍팬이 회전에 따른 대상물의 이동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즈닝 보관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서 보관용기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에서 개구부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커버의 배치에 따른 시즈닝보관부의 보관용기 하측판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재료 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1)는, 대상물이 분쇄되는 분쇄부(20), 분쇄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40), 분쇄 및 건조 처리된 대상물을 수용하고,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배출부(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물은 식재료 처리기에 의해, 분쇄 및 건조되도록, 사용자가 분쇄부(20)로 투입한 식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식재료는, 사용되지 않은 식재료 또는 조리과정에서 남은 식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는, 분쇄 및 건조 처리된 대상물에 양념을 추가하도록, 양념을 보관하는 시즈닝보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1)는, 분쇄부(20), 건조부(40), 및 배출부(100)를 수용하는 본체바디(10)를 포함한다. 분쇄부(20)는 건조부(40)의 상측에서 본체바디(10)에 배치된다. 건조부(40)의 하나의 구성인 건조용기(42)는, 배출부(100)의 상측에서 본체바디(10)에 배치된다.
본체바디(10)는, 분쇄부(20)의 분쇄용기(22), 건조부(40)의 건조용기(42)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식재료 처리기(1)는, 사용자가 식재료 처리기(1)를 조작하도록 버튼 등으로 구성된 입력부(110), 입력부(110)로 전달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분쇄부(20) 또는 건조부(4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식재료 처리기(1)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본체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된다.
<분쇄부>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분쇄부(20)를 설명한다.
분쇄부(20)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22), 분쇄용기(2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으로 대상물을 분쇄하는 그라인더(34), 그라인더(34)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36)를 포함한다.
분쇄용기(22)는 상측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진다. 분쇄부(20)는, 분쇄용기(22)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분쇄용기커버(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쇄용기(22)는, 그라인더(34) 및 분쇄모터(36)가 배치되는 분쇄용기 하부판(24), 분쇄용기 하부판(24)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내측의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둘레판(28)을 포함한다.
분쇄용기 하부판(24)의 상측에는, 그라인더(34)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분쇄용기 하부판(24)의 내부에는, 그라인더(34)와 연결된 분쇄모터(36)가 배치된다. 분쇄모터(36)는, 분쇄용기 하부판(24)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분쇄용기 하부판(24)은 일측에서, 분쇄용기 둘레판(28)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쇄용기 하부판(24)은, 분쇄용기 둘레판(28)과 힌지고정될 수 있다. 분쇄용기 하부판(24)에는, 힌지축의 양단부에 분쇄용기 하부판(24)과 함께 회전하는 분쇄용기기어(26)가 배치될 수 있다. 분쇄용기기어(26)는, 판스프링과 연결되어 일방향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분쇄용기기어(26)에 판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분쇄용기 하부판(24)이 분쇄용기 둘레판(28)의 하측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분쇄용기 둘레판(28)의 하부가 분쇄용기 하부판(2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즉, 분쇄용기기어(26)에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대상물이 분쇄용기(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쇄용기 하부판(24)은, 분쇄용기 둘레판(28)과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에서, 직선면을 형성하고, 나머지면에서 대략적으로 반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쇄용기 둘레판(28)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기둥형상을 가진다. 분쇄용기 둘레판(28)은, 분쇄용기 하부판(24)의 테두리부분과 접촉하도록, 분쇄용기 하부판(24)의 둘레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한다.
분쇄부(2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분쇄용기(22)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용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용기는, 그라인더(34) 주위로 배치되고, 대상물이 분쇄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용기(3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내부용기(30)는, 원형단면의 중심에 그라인더(34)가 배치되도록, 분쇄용기(22)의 내측에 배치된다. 내부용기(30)는, 그라인더(34)를 중심으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면을 형성하여, 그라인더(34)의 의한 분쇄영향이 대상물에 고르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분쇄부(20)는, 분쇄용기(22)의 상측에 배치되고, 분쇄용기(22)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분쇄용기커버(32)를 더 포함한다. 분쇄용기커버(32)는, 분쇄용기(22)의 상측에 힌지고정될 수 있다.
본체바디(10)에는, 본체바디(10)에 분쇄용기(22)가 장착될 때, 분쇄용기기어(26)와 맞물리는 제1바디기어(12)와, 제1바디기어(12)를 회전시키는 제1바디기어모터(14)가 배치된다. 제1바디기어(12)와, 제1바디기어모터(14)는 본체바디(10)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따라서, 제1바디기어모터(14)의 회전으로 분쇄용기(22)의 하측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분쇄부(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분쇄용기(22)에 대상물을 투입하고, 분쇄용기(22)를 본체바디(10)에 삽입할 수 있다. 분쇄용기(22)가 본체바디(10)에 삽입될 때, 분쇄용기 하부판(24)은, 분쇄용기 둘레판(28)과 결합된 상태로, 대상물이 분쇄용기(22)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내부용기(30)의 내측으로 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분쇄용기 하부판(24)이 분쇄용기 둘레판(28)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라인더(34)가 회전하여, 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다. 그라인더(34)는, 분쇄모터(36)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분쇄모터(36)가 정지하여, 그라인더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후, 분쇄용기 하부판(24)이 회전할 수 있다. 본체바디(10)에 장착된 제1바디기어(12)가 회전하여, 분쇄용기기어(26)를 회전시키고, 분쇄용기 하부판(24)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분쇄용기 하부판(24)은, 건조용기 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용기(22)에 배치된 대상물이 건조용기(42)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1바디기어(12)가 제1바디기어모터(14)에 의해 반대로 회전하거나,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분쇄용기 하부판(2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분쇄용기 하부판(24)은, 분쇄용기 둘레판(28)과 접촉하여, 분쇄용기(22) 하측이 폐쇄될 수 있다.
<건조부>
이하에서는, 도 3,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분쇄부(20)를 설명한다.
건조부(40)는, 분쇄용기(22)의 하측에 배치되고,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용기(42)와, 건조용기(42)의 하측에 배치되고, 건조용기(42)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팅장치(66)를 포함한다.
건조용기(42)는 상측이 개방되는 기둥형상을 가진다. 건조용기(42)는, 하부면이 메쉬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하측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건조용기(42)는, 대상물이 거치되도록 메쉬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건조용기 하부판(44)과, 건조용기 하부판(44)의 테두리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건조용기 둘레판(48)을 포함한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건조용기 둘레판(48)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건조용기(42)에 배치되는 대상물이 배출용기(102)를 향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건조용기 둘레판(48) 후방의 하단부에서 힌지고정될 수 있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상측과 하측을 연통할 수 있는 메쉬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하측에 배치되는 히팅장치(66)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건조용기(4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용기(42)는, 건조용기 하부판(44)의 힌지축 일단 또는 양단에 고정되는 제1건조용기기어(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건조용기기어(46)는 건조용기 둘레판(48)의 일측에 배치되고, 건조용기 하부판(4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건조용기기어(46)에는 판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건조용기 하부판(44)의 배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건조용기 하부판(44)은 건조용기 둘레판(48)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대상물이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건조용기(42) 내측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별도의 외력이 존재할 때, 건조용기 둘레판(48)의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건조용기 둘레판(48)은, 건조용기(42)가 본체바디(10)에 장착될 때, 본체바디(10)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1면(50)과, 본체바디(10)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면(58)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용기 둘레판(48)의 일측에는, 히팅장치(66)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60)이 형성된다. 제2면(58)의 상부에는, 배출홀(60)이 형성된다.
제2면(58)은, 건조용기(42)가 본체바디(10)에 장착될 때, 외부로 노출된다. 제2면(58)은,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면(58)의 내측에는, 건조용기 하부판(44)이 상측으로 회전할 때,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돌출리브(64)가 형성된다. 돌출리브(64)는, 건조용기 하부판(44)이 상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건조용기 하부판(44)의 둘레와 접촉한다. 돌출리브(64)는, 건조용기 하부판(44)과 접촉할 때, 건조용기 하부판(44)과 제2면(58) 사이에서 형성되는 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면(50)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면(50)은, 건조용기 하부판(44)과 힌지고정된다. 제1면(50)은, 건조용기 하부판(44)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배치되는 상부고정면(52)과, 상부고정면(52)과 상부고정면(52) 하측에서 상부고정면(5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회전면(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고정면(52)은, 제2면(58)과 함께 고정되게 배치된다.
하부회전면(54)은, 건조용기 하부판(44)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하부회전면(54)의 양측단에는, 제1건조용기기어(46)와 맞물리는 제2건조용기기어(56)가 배치된다. 하부회전면(54)은, 건조용기 하부판(44)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건조용기 하부판(44)이 건조용기 둘레판(48)의 내측으로 회전할 때, 제2건조용기기어(56)가 제1건조용기기어(46)와 맞물려 회전하여, 하부회전면(54)은, 건조용기(42) 외측으로 회전한다.
본체바디(10)에는, 본체바디(10)에 건조용기(42)가 장착될 때, 제2건조용기기어(56)와 맞물리는 제2바디기어(16)와, 제2바디기어(16)를 회전시키는 제2바디기어모터(18)가 배치된다. 제2바디기어(16)와, 제2바디기어모터(18)는 본체바디(10)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제2바디기어모터(18)의 회전으로 제2건조용기기어(56)가 회전하여, 하부회전면(54)이 건조용기(42) 외측으로 회전한다. 제2바디기어모터(18)의 작동으로 제1건조용기기어(46)가 회전하여, 건조용기하부판(44)이 상측으로 회전한다.
히팅장치(66)는, 건조용기(42) 하측에 배치되어, 건조용기(42)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한다. 히팅장치(66)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0)와, 히터(7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용기(42)로 보내는 송풍팬(68)과, 송풍팬(68)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69)를 포함한다. 히팅장치(66)는 건조용기(42) 하측에 배치되는 본체바디(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히터(70)는 PTC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건조부(40)의 작동을 설명한다.
건조용기(42)가 본체바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분쇄용기(22)의 대상물이 건조용기(42)로 이동할 수 있다. 건조용기(42)가 본체바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건조용기 하부판(44)이 건조용기 둘레판(48)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용기(42)가 본체바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회전면(54)이 상부고정면(52)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용기(42)로 대상물이 배치된 상태에서, 히팅장치(66)가 작동하여, 건조용기(42)에 배치된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여기서, 히팅장치(66)가 작동하는 것은, 히터(70)가 작동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모터(69)가 작동하여, 송풍팬(68)을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히팅장치(66)의 작동으로 가열된 공기가 건조용기(42)로 유입되어,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히팅장치(66)의 작동으로 건조용기(42)로 유입된 가열된 공기는 건조용기(42)를 거쳐, 건조용기(42)에 형성되는 배출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대상물의 건조가 끝난 경우, 히팅장치(66)의 작동이 중지되고, 제2바디기어모터(18)가 작동한다. 제2바디기어모터(18)의 작동으로, 제2바디기어(16), 제2바디기어(16)와 맞물리는 제2건조용기기어(56), 및 제2건조용기기어(56)와 맞물리는 제1건조용기기어(46)가 회전한다.
따라서, 건조용기 하부판(44)이 건조용기(42) 내측으로 회전하고, 건조용기 둘레판(48)의 하부회전면(54)이 건조용기(42) 외측으로 회전한다. 즉, 건조용기(42)가 배출용기(102) 방향으로 개방된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건조용기 둘레판(48)의 내측으로 형성된 돌출리브(64)와 접촉한다. 건조용기 하부판(44)은, 배출용기(102)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다. 건조용기 하부판(44)과, 하부회전면(54)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용기(42)가 배출용기(102)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히팅장치(66)의 송풍모터(69)가 작동할 수 있다. 송풍팬(68)의 회전으로, 건조용기(42)에 배치된 대상물이 배출용기(102)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2바디기어(16)가 제2바디기어모터(18)에 의해 반대로 회전하거나,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건조용기 하부판(4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배출용기(102) 방향으로 개구된 건조용기(42)의 일측이 폐쇄될 수 있다. 건조용기 하부판(44)과, 하부회전면(54)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시즈닝보관부>
이하에서는, 도 3,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분쇄부(20)를 설명한다.
시즈닝보관부(80)는, 복수의 양념을 구획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를 포함한다.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는, 수평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는 상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면접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부(86)가 형성되는 보관용기 하측판(84)을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 각각에 배치된 양념은, 보관용기 하측판(84)의 개구부(86)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시즈닝보관부(80)는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가 장착되고,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를 본체바디(1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드로워(88)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88)는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를 본체바디(10)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본체바디(10) 외부로 인출되게 할 수 있다.
드로워(88)의 상측에는,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의 상측을 개폐하는 보관용기커버(83)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88)의 하부에는,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의 개구부(86)를 개폐하는 개구부커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커버(90)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개구부(86)를 폐쇄하는 커버부(92b)와, 개구부(86)를 개방하는 개방부(92a)를 포함한다. 커버부(92b)와 개방부(92a)는 교번(alternating)하여 배치된다. 개구부커버(90)는, 드로워(88)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개구부커버(90)의 일측에는 랙기어 형태의 구조(미도시)가 형성되고, 드로워(88)에는, 랙기어와 맞물려 개구부커버(9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는, 드로워(88) 일측에 고정배치되는 드로워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드로워모터가 작동하면, 개구부커버(9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 하측을 개방햐거나, 폐쇄할 수 있다.
시즈닝보관부(80)는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는 양념을 배출용기(102)로 보내는 연결관(98)과,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에서 배출되는 양념을 연결관(98)으로 보내는 가이드관(9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98)은, 배출용기(102)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통로를 형성한다. 가이드관(94)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는 양념을 연결관(98)으로 안내하는 경사면(9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 가이드관(94), 연결관(98)은 배출용기(102)의 상측에 배치된다. 연결관(98), 가이드관(94), 및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시즈닝보관부(80)의 작동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 중 적어도 하나에 양념을 저장할 수 있다. 배출용기(102)에 대상물이 배치된 경우, 드로워(88)의 드로워모터(미도시)를 작동하여, 개구부커버(9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개구부커버(90)의 개방부(92a)가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의 개구부(86)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보관용기(82a, 82b, 82c, 82d, 82e)에 저장된 양념이 가이드관(94)으로 배출된다. 가이드관(94)으로 배출된 양념은 연결관(98)을 통해 배출용기(102)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용기>
배출용기(102)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분쇄 및 건조된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배출용기(102)는, 본체바디(10)의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체바디(10)에 장착된 배출용기(102)는, 시즈닝보관부(80)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체바디(10)에 장착된 배출용기(102)는, 건조용기(42)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본체바디(10)에 장착된 배출용기(102)는, 건조용기(42)의 제1면(50)의 외측방향 하측에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식재료 처리기 10 : 본체바디
12 : 제1바디기어 16 : 제2바디기어
20 : 분쇄부 22 : 분쇄용기
24 : 분쇄용기 하부판 26 : 분쇄용기기어
28 : 분쇄용기 둘레판 30 : 내부용기
32 : 분쇄용기 커버 34 : 그라인더
36 : 분쇄모터 40 : 건조부
42 : 건조용기 44 : 건조용기하부판
46 : 제1건조용기기어 48 : 건조용기둘레판
50 : 제1면 52 : 상부고정면
54 : 하부회전면 56 : 제2건조용기기어
58 : 제2면 60 : 배출홀
64 : 돌출리브 66 : 히팅장치
68 : 송풍팬 69 : 송풍모터
70 : 히터 80 : 시즈닝보관부
82a, 82b, 82c, 82d, 82e : 보관용기
83 : 보관용기커버 84 : 하측판
86 : 개구부 88 : 드로워
90 : 개구부커버 92a : 개방부
92b : 커버부 94 : 가이드관
96 : 경사면 98 : 연결관
100 : 배출부 102 : 배출용기
110 : 입력부

Claims (20)

  1. 본체바디;
    상기 본체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그라인더;
    상기 그라인더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
    상기 분쇄용기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용기;
    상기 건조용기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히팅장치; 및
    상기 건조용기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바디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용기는, 상기 건조용기를 향하는 면이 상기 건조용기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건조용기는, 일측면이 상기 배출용기를 향해 개방되는 식자재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는,
    상기 그라인더와 상기 분쇄모터가 배치되는 분쇄용기 하부판; 및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용기 둘레판을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은, 상기 분쇄용기 둘레판의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은, 상기 분쇄용기 둘레판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건조용기가 배치된 하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식자재 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의 양단에는,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이 회전하는 가상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용기 하부판과 함께 회전하는 분쇄용기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본체바디에 상기 분쇄용기가 장착될 때, 상기 분쇄용기기어와 맞물리는 제1바디기어와, 상기 제1바디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바디기어모터가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에는, 상기 분쇄용기기어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판스프링이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인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분쇄용기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용기를 더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기는,
    메쉬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건조용기 하부판과,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테두리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건조용기 둘레판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은, 상기 건조용기 둘레판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기는,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회전축 상에서,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일단 또는 양단에 고정되는 제1건조용기기어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기 둘레판은, 상기 건조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상기 본체바디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1면과, 상기 본체바디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의 상부에는, 상기 히팅장치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식자재 처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내측에는, 상측으로 회전하는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돌출리브가 형성되는 식자재 처리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배치되는 상부고정면과, 상기 상부고정면 하측에서 상기 상부고정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회전면을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전면의 양측단에는, 상기 제1건조용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하부회전면을 회전시키는 제2건조용기기어가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기 하부판이 상기 건조용기 둘레판의 내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건조용기기어가 상기 제1건조용기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하부회전면은, 상기 건조용기 외측으로 회전하는 식자재 처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건조용기가 상기 본체바디에 장착될 때, 상기 제2건조용기기어와 맞물리는 제2바디기어와, 상기 제2바디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바디기어모터가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장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용기로 보내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에서 분쇄되고, 상기 건조용기에서 건조된 대상물에 추가되는 양념을 보관하는 시즈닝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즈닝보관부는, 복수의 양념을 구획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보관용기와,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가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를 상기 본체바디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드로워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보관용기 하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보관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구부커버를 포함하는 식자재 처리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커버는, 상기 보관용기 하측판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개방부는 교번(alternating)하여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커버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식자재 처리기.
KR1020190171764A 2019-12-20 2019-12-20 식자재 처리기 KR20210079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64A KR20210079704A (ko) 2019-12-20 2019-12-20 식자재 처리기
US17/127,311 US20210186063A1 (en) 2019-12-20 2020-12-18 Food proc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64A KR20210079704A (ko) 2019-12-20 2019-12-20 식자재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04A true KR20210079704A (ko) 2021-06-30

Family

ID=7643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764A KR20210079704A (ko) 2019-12-20 2019-12-20 식자재 처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86063A1 (ko)
KR (1) KR20210079704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418B1 (ko) * 1998-11-13 2002-02-27 남찬우 라면 자동판매장치
KR200414796Y1 (ko) * 2006-02-15 2006-04-25 정제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9029790A1 (en) * 2007-08-30 2009-03-05 Sonoco Development, Inc. Portioning dispenser
KR20090006577U (ko) * 2007-12-27 2009-07-01 김영구 가정용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KR101805033B1 (ko) * 2015-12-23 2017-12-05 정운조 식재료 분쇄 장치
CN109499701A (zh) * 2018-12-24 2019-03-22 佛山科学技术学院 具有收集功能的餐厨垃圾粉碎机
CN110340110A (zh) * 2019-07-17 2019-10-18 李星来 一种带有粉碎功能的建筑垃圾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6063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5419A (en) Confined air food heating apparatus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1003235B1 (ko) 조리용 쿠커
CN205973073U (zh) 一种厨房自动投料装置
CN209863266U (zh) 配料装置及炒菜机
US6825452B2 (en) Microwave oven to cook food with steam generated through a microwave heating operation
KR101375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A2476964A1 (en) Clothes dryer
CN209605527U (zh) 一种中药微波干燥装置
KR20210079704A (ko) 식자재 처리기
KR20210101033A (ko) 식자재 처리기
KR20140005352U (ko) 커피 로스팅 장치
KR102048872B1 (ko) 무인 취사 밥솥
CN101554295A (zh) 烤箱
KR20140081134A (ko) 바비큐 구이기
CN215686959U (zh) 烹饪器具
KR101445983B1 (ko) 커피원두 볶음장치
JP2006226662A (ja) 含水物処理装置
CN209966065U (zh) 烹饪器具
KR20210110062A (ko) 식자재 처리기
KR101207207B1 (ko) 음식폐기물 복합처리장치
KR101298002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160003168U (ko) 누드 군밤 제조장치
KR101741743B1 (ko) 전자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