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373B1 - 항생물질 BMG 162-aF2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생물질 BMG 162-aF2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373B1
KR870001373B1 KR1019810003293A KR810003293A KR870001373B1 KR 870001373 B1 KR870001373 B1 KR 870001373B1 KR 1019810003293 A KR1019810003293 A KR 1019810003293A KR 810003293 A KR810003293 A KR 810003293A KR 870001373 B1 KR870001373 B1 KR 87000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mg
medium
culture
aga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834A (ko
Inventor
하마오 우메자와
도미오 다께우찌
히로시 나가나와
히로노부 이이누마
세쓰고 구니모도
Original Assignee
자이단 호오진 비세이부쓰 가가꾸 겡뀨우가이
이찌가와 도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단 호오진 비세이부쓰 가가꾸 겡뀨우가이, 이찌가와 도꾸지 filed Critical 자이단 호오진 비세이부쓰 가가꾸 겡뀨우가이
Publication of KR83000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9/00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9/04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9/14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2Amides, e.g. chloramphenicol or polyamides; Imides or polyimides; Urethanes, i.e. compounds comprising N-C=O structural element or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32Bacil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생물질 BMG 162-aF2의 제조방법
제1도는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CD3)2SO 용액 중 테트라메틸실란을 내부 기준으로 해서 측정한1H-NMR 스펙트럼도(100MHz).
제2도는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D2O 용액중에서 테트라메틸실란을 외부기준으로 해서 측정한 13C-NMR 스펙트럼도(25Mhz).
제3도는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D2O 용액중에서 15NH4NO3를 외부기준으로 해서 측정한 15N-NMR 스펙트럼도(10MHz) : 또
제4도는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으로서 KBr 정(錠)으로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생물질 BMG 162-aF2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Ⅰ)의 신규한 항생물질 BMG 162-aF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그 제조방법 및 유효성분으로서 진술한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그리고 약리적으로 유효한 량의 전술한 항생물질을 온혈동물에 투여해서 온혈동물의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BMG 162-aF2는 간균속(桿菌屬 : Bacillus)에 속하는 BMG 162-aF2 생산균주를 배지에서 배양하여 BMG 162-aF2를 생산 및 축적해서 수득된 배양액으로부터 BMG 162-aF2를 회수해서 얻을 수 있는 물질이다.
간균속에 속하는 BMG 162-aF2생산균주의 일예로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1978년 8월에 일본국 토치기(Tochigi)현의 타이헤이산(Mt. Taihei)에서 수집한 토양표본에서 단리해낸 간균 BMG 162-aF2의 균주가 있다.
BMG 162-aF2 균주의 배양 및 분류학적 특성을 다음에 설명한다.
1. 미시적 형태
BMG 162-aF2 균주는 일정치 않은 그램반응을 하고 또 통상크기가 0.6 내지 0.8×2 내지 3.5미크론으로 측정되는 포자와 간상체의 간균(桿菌)이다. 이는 또한 바깥쪽 편모를 갖고 있으며 또 능동적인 고유 운동성을 나타낸다.
이 포자는 그 우성위치가 중심부인 타원형이며, 또 크기가 0.5 내지 0.7×1.0내지 1.5 미크론이고, 그 간상체는 선명하게 팽윤된다. 포자는 그 측면부에 글러스탈 바이올렛으로서 카누우형상으로 잘 염색되는 부분(Parasporal body)을 갖고 있고, 또 내열특성이 있다. 포자는 항산성 염색으로 염색되지 않는다.
2. 각종 배지에서의 생육상태
영얄 젤라틴 천자(穿刺)배양을 제외한 모든 배양은 37℃에서 행하였다.
(1) 영향한천 평판(平板)배양 : 콜로니(colonies)등은 불투명하고, 둔하며 또 원형이었고, 또 이들 모서리는 불규칙적이며 또 갈색을 띤 백색이었다.
(2) 영양한천 사면(斜面)배양 : 사면에서 생장을 확산 증식하였고 또 그 표면은 불투명하고 건조된 것처럼 보였다. 생장체 색체는 갈색을 띤 백색이었다.
(3) 영양육즙배양 : 배지는 배양 1일째에 그 전체가 혼탁되었고, 또 제2일째에는 균막이 배지 표면에서 생장하기 시작하였다. 제3일째에는 균막이 배지표면을 덮었고 또 배지는 선명하게 되었으며 또 균체가 시험관 바닥에 침전하였다.
(4) 영양 젤라틴 천자(穿刺)배양 : 20℃에서 배양하는 경우, 배양 1일째 천자를 따라서 증식이 확인되었다. 배양 2일째에는 전술한 증식부가 함몰되기 시작하였다. 배지중의 젤라틴은 약 6일째부터 액화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30℃에서 배양하는 경우, 균막은 제2일째부터 생장하기 시작하였고, 또 배지는 4일째부터 액화하기 시작하였다. 배지중의 젤라틴 액화는 제7일째에 완료되었다.
(5) BCP 밀크 배양 : 배양 5일째부터 브롬크레졸 피이플(BCP)이 청색으로 변색되었고 또 약 12일째부터는 펩톤화가 시작되었다.
(6) 사브로오드 포도당 한천배양과 사브로오드 포도당 육즙배양 : 사브로오드 포도당 한천(10g의 펩톱, 40g의 포도당, 15g의 한천 및 10000ml의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또 pH를 조절하지 않았음)의 사면과 사브로오드 포도당 육즙(한천을 제외시킨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물질로 구성됨)을 각각 30℃ 및 37℃에서 배양할때, 액체배지에서는 생장을 볼 수 없었으나, 경사배지에서는 사면의 하위부에 미세한 생장을 볼 수 있었다.
3. 생리적 특성
이후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배양온도는 37℃이다.
(1) 질산염의 환원 : 질산염 육즙배지(10g의 고기즙, 10g의 펩톤, 5g의 NaCl, 1g의 KNO3및 1000g의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pH 7.2임)에서 배양하면, 배양 제1, 제3 및 제5일째의 모든 배양액에서 아질산염을 검출하였다. 특히 배양 제5일째에 주목할만한 반응이 관찰되었고 또 배양액에 시약을 첨가해서 적갈색침전물이 생성되었다.
(2) 탈질소반응 : 탈질소반응 시험을 고마가다 등의 방법(T. Hasegawa, 미생물의 분류와 확인, 제223면 1975년 일본 동경대학 출판회 발행)으로 행한 결과 음성이었다.
(3) MR 검정 : 5g의 글루코오스, 7g의 펩톤, 5g의 NaCl 및 1000ml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pH 7.5인 배지에서 30℃로 배양하고 제1, 제2 및 제5일째에 각각 메틸레드(MR) 검정을 하였는데, 모든 경우에 양성이 었다.
(4) VP 검정 : 5g의 글루코오스, 7g의 헵톱, 5g의 NaCl 및 1000ml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pH 7.5인 배지에서 30℃로 배양하고 제1, 제2 및 제5일째에 Voges-Proskauer(VP) 검정을 하였는데, 모든 경우에 음성이 었다.
(5) 인들의 생성 : 20g의 폴리펩톤, 5g의 NaCl 및 1000ml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pH 7.4인 배지에서 배양하면 제1 내지 제2일째에는 인들의 생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제5일째에는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황화수소의 생성 : TSI 한천(Tripe sugar iron agar : 고기추출물 3g, 이스트 추출물 3g, 펩톤 15g, 프로테오즈 펩톤 5g, 락토오즈 10g, 사카로오즈 10g, 텍스트로오즈 1g, 황산제 일철 0.2g, 염화나트륨 5g, 티오황산나트륨 0.3g, 한천 12g, 페놀레드 0.024 및 증류수 1l : pH 7.2) 배지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으나 황화수소의 생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7) 전분의 가수분해 : 0.2% 가용성 전분을 함유한 영양한천 평판에서 획선(劃線) 배양하고, 요오드-요오드 칼륨 용액에 의한 검정을 제1, 제2, 제3, 제5, 제6, 제13 및 제15일째에 행하였으나, 녹말의 다분해를 그 어느 곳에서도 확인할 수 없었다.
(8) 시트르산의 이용 : 5일동안의 koser 배지 및 시트르산염 christensen 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으나, 양쪽 배지 모두 생장을 관찰할 수 없었다.
(9) 생장을 위한 무기질소원의 이용 : 기본 배지[10g의 글루코오수, 1g의 KH2PO4, 0.5g의 MgSO4, 7H2O, 0.2g의 KCl 및 1000ml의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또 ph 7.2임]에 질소원[1g의 NaNO3, 0.78g의 (NH4)SO4또는 1.7g의 글루타민산나트륨]을 첨가해서 시험을 행한 결과 시험한 모든 질소원에서 생장을 관찰할 수 없었다.
(10) 색소의 생성 : King's A 한천배지(펩톤 20g, 염화마그네슘 1.4g, 황산암모늄 10g, 한천 15g 및 증류수 1l ; pH 7.2)에서 1야간 배양한 후 이 배양액을 실온으로 6일간 방치하고, 또 King's B 한천배지(펩톤 20g, 이 염기성 인산칼륨 1.5g, 황산마그네슘 1.5g, 한천 15g 및 증류수 1l : pH 7.2)에서 6일간 배양하였으나 두 경우 모두 가응성 색소를 관찰할 수 없었다.
(11) 요소분해효소 : 효소분해효소 배지(펩톤 2g, 요소 30g, 염화나트륨 5g, 일염기성 인산칼륨 9g,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3g, 페놀레드 0.01g 및 증류수 1l ; pH 6.2)에서 24일간 배양한 바, 결과는 요소분해효소 음성이었다.
(12) 산화효소 : 영양한천의 사면배지에서, 1야 배양한 신선한 균을 시토크롬 산화효소지(Nissui 회사제조)로 시험한 결과 양성 산화효소반응을 나타내었다.
(13) 칼탈라이제 : 영양한천의 사면배지에서 1야 배양한 신선한 균에 대해서는 3% 수성 과산화수소를 사용한 카말라아제 시험에서 기포가 생성되었으며 또 양성을 나타내었다.
(14) 생장 조건 : 살균후 pH 3.0, 4.0, 5.0, 6.0, 6.8, 7.8, 8.2 및 8.8의 영약육즙에서 24시간 시험한바, 생장은 pH 5.0 및 pH 8.2에서 관찰되었다. 생장을 위한 최적 pH는 pH 6.0-7.8이었다. 9°, 15°, 20°, 24°, 27°, 30°, 37°, 40°, 45° 및 50℃에서 각각 24시간 배양시켜 시험한바, 생장은 15℃와 40℃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생장의 최적온도는 37℃전후의 온도이었다.
(15) 산소의 효과 : 균액을 1% 글루코오스를 함유한 영양한천에 현탁시킨후 심층 한천으로 경화되게 배양하는 경우 배지표면과 그 부근에서 양호한 생장이 관찰되었따.
혐기성 조건하의 TEP 한천(식물추출물 7g, 이스트 추출물 5g, 고기추출물 3g, 펩톤 10g, 트립톤 10g, 간장(Soy) 펩톤 3g, 포도당 3g, 인산칼륨, 일염기성 2.5g, 염화나트륨 2g, L-시스테인. HCl 0.3g, 티오글리콜산 나트륨 0.3g, 한천 14g 및 증류수 1l : pH 7.2)에서 배양함으로서 생장이 관찰되었다.
(16) O-F 시험(hugh-Leifson 시험) : 호기성조건 및 혐기성조건중 어느 경우에도, 글루코오스을 분해하고 산을 생성하였다.
(17) 탄소화합물의 이용 : 탄소화합물의 이용을 Iizuka와 Komagata 방법(T. Hasegawa 저술, "미생물의 분류와 확인" 제230면, 동경대학 프레스, 1975년 발행)을 사용해서 시험하는 경우, 글루코오스, 글리세린 및 숙신산나트륨은 생장에 이용되었으나,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파라히드록시 벤조산나트륨은 이용되지 않았다.
(18) 당으로부터 산 및 가스의 생성 : BMG 162-aF2 균주를 기본 배지[1g의 (NH4)2HPO4, 0.2g의 NaCl, 0.2g의 MgSo47H2O, 0.2g의 이스트 추출물 15g의 한천, 4ml의 0.2% 브로모크레졸 피이플수용액 및 1000ml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또 pH 7.2임]에 각 당류의 최종농도가 1%가 되도록 별도로 살균시킨 각종 당류를 무균상태로 첨가하고 또 그 후에 응고시켜서 제조한 사면배지에 각각 획선배양(劃線培養)하였다. 산의 생성을 40일간 조사하였다. 산은 D-글루코오스, D-만노오수, D-프록토오스, D-만니트,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생성되었으나, D-크실토오스, L-아라비노오스, D-가락토오수, 람노오스, D-소르비트, 이노시트, 락토오스, 슈크로오스, 라피노오스 및 스타치로부터는 생성되지 않았다.
한편, 가스의 생성을 기본배지(10g의 펩톤, 5g의 NaCl, 0.008g의 브롬티몰블루우 및 1000ml의 탈이온수로 구성되며 또 pH 7.2임)에 전술한 동일방법으로 각종 당류를 첨가한 후에 2주가 Durham 튜브를 사용하여서 조사하였다. 시험한 모든 당류에서 가스가 생성되지 않았다.
(19) 글루콘산의 산화시험 : 클루콘산염 배지(인산칼륨, 일염기성 2g, 황산마그네슘 0.5g, 염화나트륨 5g, 황산암모늄 0.5g, 글루콘산칼륨 10g 및 증류수 1 : pH 6.3)를 사용 글루콘산의 산화시험을 행한 결과 음성이었다.
(20) 디히드록시아세톤의 생성 : 10g의 이이스트추출물, 20g의 클리세린, 15g의 한천 및 1000ml의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또 pH 7.0인 배지에서 3일, 5일, 10일 및 24일간 배양한 후에, 시험한 모든 경우에서 Fehling 시약에 의한 디히드록시아세톤의 생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21) 염화나트륨의 내성 : 10g의 트립티케이스(트립티케이스, BBL) 및 탈이온수 1000ml로 구성된 pH 7.0의 기본 배지에 염화나트륨을 각 배지 중의 염화나트륨 농도가 2, 5 및 7%가 되게 첨가해서 제조한 배지들에 균주를 집중한 후, 정치배양하고 표면 배지에서의 균주증식을 4일간 관찰하였다. 그 결과 2% 염화나트륨의 기본 배지에서는 균주의 증식의 관찰되었으나, 2% 이상의 염화나트륨 배지에서는 생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22) 히푸르산(Hippuric acid)의 분해시험 : 10g의 히푸르산나트륨을 100ml의 심장 침출육즙(Difco)에 첨가해서 제조한 배지(pH 7.4)에서 4일간 배양한 후에, 염화제이철 용액을 사용해서 히프르산의 분해를 관찰하였다.
(23) 페닐피루브산(PPA) 시험 : 3g의 이스트 추출물, 2g의 DL-페닐알라닌, 1g의 NaHPO4, 5g의 NaCl, 12g의 한천 및 1000ml 탈이온수로 구성되고 또 pH 7.3인 사면배지에 두텁게 집중하고 또, 24시간 배양한 후에 실시한 10% 염화제이철용액을 사용한 시험은 음성이었다.
(24) 티로신의 용해성 시험 : 티로신 한천 배지 (100ml의 영양한천 및 5g의 티로신으로 구성되고 또 pH 7.2임)에서 30℃와 37℃로 배양하는 경우, 2 내지 4일 배양후에 티로신의 용해가 관찰되었다.
전술한 특성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BMG 162-aF2 균주는 조건혐기성이며 또 그램 염색부정(染色不定)을 보이고 또 포자아포를 갖고 있는 간균(桿菌)으로 주편모(周鞭毛)를 가지고 있으며 운동성을 나타낸다. 포자아포는 중심이 있는 타원형이고 또 그 측면부에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카누우형상으로 잘 염색되는 부분(Parasporal body)을 가지고 있으며, 또 내열특성을 가지고 있다. 균체는 선명하게 팽윤되며 또 비향산성이고 그 균주는 한천 배지에서 확산 증식되고 액체 배지에서 균막을 형성한다.
또 젤라틴을 액화하고 BCP 밀크를 청새으로 변화시킨 후 펩톤화시킨다. 사브로오드 덱스트로스육즙에서는 생장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사브로오드 덱스트로 한천배지에서는 약간의 생장이 관찰되었다. 질산염을 환원시키고, 또 탈질소반응은 음성이며, 또 MR 시험은 양성이고 그리고 VP 검정은 음성이다.
인돌은 제5일째에 검출되고, 황화수소는 생성되지 않았다. 녹말을 분해하지 않고 또 시트르산을 이용하지 않았다. 요소분해효소, 산화효소 및 카탈라아제 시험결과는 각각 음성, 양성 및 음성이다.
생장은 dH 5.0와 pH 8.2사이 범위내에서 관찰되며, 또 생장의 최적 pH는 6.0-7.8이 되어야 한다. 생장은 또한 15℃와 40℃의 범위내에서 관찰되며 또 최적생장은 또는 약 37℃이다.
생장은 또한 호기성 조건하에서 관찰된다. 글루코오스를 산화성 및 발효성 조건하에서 분해시켜서 산을 생성한다. 또 D-글루코오수, D-만노오스, D-프록토오수, D-만니트,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각각 산을 생성하지만 가스는 생성하지 않는다. 글루콘산을 산화하지도 않고 또 디히드록시 아세톤을 생성하지 않는다. 히푸르산 및 페닐알라닌을 분해하지 않고 또 티로신을 용해한다. 5% 이상의 염화나트륨 함유 배지에서는 생장이 관찰되지 않는다.
균주 BMG 163-aF2의 전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기준으로 이 균주가 간균 속, 특히 공통특성을 갖는 종(種)의 군(群)인 피르무스(firmus) 간균, 라테로스포러스(laterosporus)간균, 브레비스(Brevis) 간균 또는 스피리커스(Sphaericus) 간균에 속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8판 제542면(R.E. Buchanan 및 N.E. Gibbons, The Williams & Wilkins Company, Baltimore, 197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탈라아제 양성 및 디히드록시 아세톤을 수득할 수 없었다.
전술한 4개정(種)과 대조한 균주 BMG 162-aF2의 특성을 제1표에 수록하였다.
제1표에 수록된 바와같이, 균주 BMG 162-aF2는 라테로스포러스 간균과 극히 유사하다. 균주 BMG 162-aF2와 라테로스포러스 간균 간의 차이는 사브로오드 글루로오스 한천배지에서의 생장의 외관묘사에 있어서 단지 한가지만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 뿐이다.
[제1표]( BMG 162-aF2 균주와 그 관련 종(種)과의 대조)
Figure kpo00002
a : E는 타원 또는 원통형 ; S는 구면 또는 거의 구면 ; C는 중심 ; T는 말단 또는 준말단 ; CT는 말단에 대해서 중심 ; 균주범의 또는 균주간변동 ; +는 균주의 90-100%가 양성 ; -는 균주의 90-100%가 음성 ; d는 반응이 상이하고, 균주의 11-89%가 양성 ; V는 1개 균주에서 이변성인 특징.
b : 실험결과
일본 국립 가축진료소의 Ryozo Azuma 박사가 제공한 라테포스포러스 간균의 균주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검사하고 또 이를 본 발명 균주와 대비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2개 균주가 모두, 이 간균종의 탁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카누우 형상부(카누우형상으로 염색된 부분 : 파라스포랄체)를 포자이포 측면부에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명백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술한 2개 균주들의 사브로오드-포도당 한천 배지에서의 생장이 상호 일치하였다.
이같은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 균주 BMG 162-aF2는 라테로스포러스 간균 BMG 163-aF2라고 명명하였다.
이밖에, 이 BMG 162-aF2는 1979년 10월 12일자로 일본국 치바시 이나게 소재의 공업기술원 공인 기탁소인 "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에 기탁번호 RERM-P5230으로 기탁하였으며, 또 미합중국, 메틸란드, 로크빌, 파이크로운 드라이브 소재의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번호 ATCC 31932로 1981년 7월 31일에 기탁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균주로는 전술한 균주, 그 변이주를 필두로 간균속에 속하며, BMG 162-aF2를 생산하는 모든 균주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항생물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같은 새로운 항생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으로 전술한 새로운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새로운 항종양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혈동물의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장점들이 다음의 설명에 의해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균주들을 사용해서 BMG 162-aF2를 제조하는 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BMG 162-aF2는 영양물질을 함유하는 배지중에서 간균속에 속하는 BMG 162-aF2 생산균주 또는 그 돌연변이체의 포자이포 또는 균체를 호기적으로 배양에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균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지의 영양원은 본 발명의 영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시판되는 펩톤, 육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면실분, 땅콩분, 대두분 이스트 추출물, N-Z 아민, 카세인 가수분해물,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및 그 유사체가 질소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시판되는 글리세린, 설탕, 녹말,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당밀 및 기타 탄수화물과 지방 및 기름이 탄소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밖에, 염화나트륨, 인산염,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및 기타 무기염들을 배지의 염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금속염 및 기타 물질들이 BMG 162-aF2 생산균주에 의해서 이용되고 또 BMG 162-aF2의 생산에 불리하지 않는 한, 이들 물질을 또한 극미량 첨가할 수도 있다. 세균 배양에서 공지된 영양물질은 어느 것이든지 이것이 BMG 162-aF2 생산용 BMG 162-aF2 생산균주에 의해서 동화될 수 있는 한예는 본 발명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BMG 162-aF2를 대량 생산하는 데는 액체배양이 바람직하다. BMG 162-aF2 생산균주가 생장해서 BMG 162-aF2를 생산할 수 있는 온도라면 어느 것이나 본 발명 배양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한 배양온도는 20℃ 내지 35℃의 범위이다.
배지의 pH 범위는 5.0 내지 8.2이고, 또 바람직한 pH 범위는 6.0 내지 7.8이다. 배양은 배지 또는 배양액에 충분한 량의 BMG 162-aF2가 생산 축적되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계속한다. 예컨데 2.0% 글리세린, 2.0% 글루코오스, 1.0% 펩톤, 0.3% 이스트 추출물, 0.2%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액상배지(최적 pH는 약 7.4이다)를 제조 살균한 후, BMG 162-aF2 균주의 사면배양에서 수확한 포자아포와 균체를 접종하고 또 호기성 조건하의 27℃에서 회전식 진등배양을 한 경우에 BMG 162-aF2의 생산과 축적은 1일간의 배양으로 관찰되었다.
BMG 162-aF2의 분속은 공지의 항생물질분석에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표준 컵-플레이트(cup-plate)방법에 따라 서브틸리스(subtilis) PIC 219 간균을 시험생물로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간균속의 BMG 162-aF2 생산균주의 배양에는 전술한 진등배양 방법 이외에 통기교반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지(far) 발효기 배양이나 또는 탱크배양 방법이 대량 생산용으로 사용된다. 대규모 배양인 경우에 전술한 액상배지는 20 내지 40시간의 진동배양에 의해서 배양되고 도 종자배지로서 0.5 내지 2.0%(융적)로 접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배양여과액으로부터 BMG 162-aF2 회수는 활성기로서 카르복시산을 갖는 약한 양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행하였다. 약한 양이온 교환수지로서는, 엠비라이트 IRC-50
Figure kpo00003
및 CG-50
Figure kpo00004
(활성도가 전적으로 카르복시기에서 유래하는 양이온 교환수지의 상품명, Romn & Hass Co. 제조), Lewatit CNP
Figure kpo00005
(활성도가 카르복시산 술 폰산기에서 유래하는 양이온 교환수지의 상품명 Bayer Ltd. 제조), 또는 CM-Sephadex
Figure kpo00006
(Phatmacia Fine Chemicals 제조의 양이온 교환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의 상품명)이 H-형, Na-형, NH4-형 및 이들의 혼합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수지에 흡착된 BMG 162-aF2는 염산, 아세트산 등과 같은 수산용액과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수용액으로 용리된다. 추출, 분리 및 정제방법으로서는, 수지를 사용한 전술한 방법들을 포함하는 겔 여과, 한외여과방법을 적당히 결합 또는 반복함으로서 순수한 형태의 BMG 163-aF2를 수득하는 방법이 있다.
유리염기 상태에서 불안정이기 때문에, BMG 162-aF2는 염산염으로 수득한다. 이것은 흡습성이기 때문에 수화물을 형성한다.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흡습성이 극히 크기 때문에 융점을 측정하기가 불가능하다.
[a]
Figure kpo00007
=-11°(c=1.0, 몰)을 나타낸다.
분석 : 실측치 : C 37.55, H 7.89, N 17.52, C 118.61
계산치 : (C17H37N7O4·3HCl·2H2O)
C 37.20, H 8.08, N 17.86, C 119.38
1H-NMR 스펙트럼은 제1도에 수록하였다.13C-NMR 스펙트럼은 제2도에 수록하였다.15N-NMR 스펙트럼은 제3도에 수록하였으며, 7개의 질소원자가 관측되었다(구아니딜기 중의 3개 질소원자는 2 피이크시그널로 관찰되었다). 자외선 흡스 스펙트럼은 말단(end) 흡수만을 가지고 있다. 적외선 스펙트럼은 제4도에 수록하였다.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물과 메탄올에 쉽게 용해되지 않거나 또는 불용성이다. 이는 닌히드린, 사카구치(Sakaguchi) 및 리돈-스미스(Rydon-Smith) 반응에서 양성을 나타낸다. 부탄올-피리딘-아세트산-물(6 : 4 : 1 : 3) 및 부탄올-에탄올-물(4 : 1 : 2 )로서 전개되는 Avicel
Figure kpo00008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박막 크로마토그래피에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Rf=0.14 및 Rf=0.20에서 각각 단일 반점을 나타내었다. 포름산-아세트산-물(1 : 3 : 36)을 사용하는 고압종이 전기 영동법(3,500V, 15분)에서, BMG 162-aF2는 알라닌(1.00)에 대해서 1.70 내지 1.74의 상대이동도를 나타내었다.
BMG 162-aF2의 생물학적 특성은 다음에 수록하였다. 다음에 수록된 바와같이,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그램양성 및 음성세균에 대해서 단지 약한 억제활성을 갖고 있으며, 또 백혈병 L 1210, EL-4, 에롤리치 복수종양 및 육종(Sarcoma) 180의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현저한 치료 및 생종기간 연장 효과를 나타내었고, 또 본 발명의 항생물질이 항암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명백히 입증되었다.
(1) BMG 162-aF2의 항균활성. BMG 162-aF2는 약한 항균활성을 갖고 있으며, 또 영양한천에서 각종 세균에 대한 최제억제농도를 표 2-1 내지 2-3에 수록하였다. 시험은 BMG 162-aF2를 사용해서 한천 희석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표 2-1에서와 같이, BMG 162-aF2는 그램양성과 음성세균의 발육을 약하게 억제한다.
[표 2-1]
항균활성
Figure kpo00009
사용 배지 : 영양한천
At 37℃에서
[표 2-2]
항균활성
Figure kpo00010
사용 배지 : 영양한천
At 27℃에서
[표 2-3]
항균활성
Figure kpo00011
사용 배지 : 영양한천 + 1% 글루코오스
At 27℃에서
(2) BMG 162-aF2의 항암 활성
(a) 쥐 백혈병 L1210에 대한 효과(ip-ip 시스템) 8마리의 CDG1쥐(암컷, 6 내지 7주령)로 구성된 1균의 쥐에 대해서, 105세포/0.25ml/L1210 쥐 백혈병 세포를 복강내에 접종시켰다. 24시간 후에, 식염수에 용해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9일간 계속적으로 1일 1회씩 복강내에 투여하고, 또 치사율과 생존기간 연장율을 측정하였다.
제3표에 수록한 바와 같이, BMG 162-aF2는 쥐 백염병 L1210에 대해서 치료효과와 생존기간 연장효과를 타나내었다.
[제3표]
쥐 별혈병 L1210에 대한 BMG 162-aF2의 효과(ip-ip 시스템)
Figure kpo00012
* 독성징후가 나타났다.
대조용의 평균 생존일수 : 8.2
(b) 일쥐백혈병 L1210에 대한 효과(sc-ip 시스템) 5마리의 CDF1쥐로 구성된 1군의 쥐(암컷, 6 내지 7주령)에 쥐 백혈병 세포 L1210(105세포0.25ml/쥐)울 복부에 피하주사하였다. 24시간 후에 9일간 계속적으로 1일 1회씩 식염수에 용해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복강내 투여하고, 치사율과 생존기간 연장율을 측정하였다.
제4표에 수록한 바와같이, BMG 163-aF2는 전술한 (a)의 실험과 같은 강력한 치료효과와 생존기간의 연장을 보여주었다.
[제4표]
쥐 밸혈병 L1210에 대한 BMG 162-aF2의 효과(ip-ip 시스템)
Figure kpo00013
대조용 쥐의 평균 생존일수 : 9.7일
(c) 쥐 별혈병 EL-4에 대한 효과
5마리의 C57BL/6 쥐로 구성된 1군의 쥐(암컷, 10주령)에 쥐 백혈병 세포 세포(105세포/0.25ml/쥐)를 복강내에 접종하였다. 24기간 후에 식염수에 용해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9일간 1일 1회씩 복강내에 계속적으로 투여하여 치료하고, 또 치사율과 생종기간 연장율을 측정하였다.
제5표에 수록한 바와같이, BMG 162-aF2는 EL-4에 대해서도 또한 치료효과와 생존기간의 연장을 나타내었다.
[제5표]
백혈병 EL-4에 대한 BMG 162-aF2의 효과
Figure kpo00014
대조용 쥐의 평균 생종일수 : 11.0일
(d) 쥐의 에르리히(Ehrlich) 복수종양에 대한 효과
4마리의 ICR 쥐로 구성된 1군의 쥐(암컷, 6주령)에 에르리히 복수종양 세포(2×106세포/0.25ml/쥐)를 복강내 접종하였다.
24시간 후에 식염수에 용해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9일간 계속적으로 1일 1회씩 복강내 주사하여 치료하였다.
제6표에 수록한 바와같이, BMG 162-aF2로 또한 에르리히 복수종양에 대해서도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제6표]
쥐의 에르리히 복수종양에 대한 BMG 162-aF2의 효과
Figure kpo00015
* 독성징후가 나타남.
대조용 쥐의 평균생존일수 : 13.8일
(e) 사르코마(Sarcoma) 180에 대한 효과
4마리의 ICR 쥐로 구성된 1군의 쥐(암컷, 6주령)에 쥐의 사르코마 180세포(2×106세포/0.25ml/쥐)를 복강내 접종하였다.
24시간 후에 식염수에 용해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9일간 계속적으로 1일 1회씩 복강내 주사하여 치료하였고, 또 생존기간 연장율을 시험하였다.
제7표에 수록한 바와같이, BMG 162-aF2는 사르코마 180에 대해서도 또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제7표]
쥐의 사르코마 180에 대한 BMG 162-aF2의 효과
Figure kpo00016
* 독성징후가 나타남.
대조용 쥐의 평균 생존일수 : 13.8일
(3) BMG 162-aF2의 급성독성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ICR 쥐(암컷, 4주령)의 정맥에 주사했을 때, LD50는 80mg/kg이상이었다. BMG 162-aF2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은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다. 스페르미딘(spermidine)이 분자의 공통성분이들는 사실로 부면, BMG 162-aF2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베트리실루스에 의해 생산된 브레오마이신 ; 노카르디아에 의해 생산된 LL-BM123β, γ1및 ℓ22; 바실무스 브레비스에 의해 생상된 에데니(edenine) ; 과 바실루스에 의해 생산된 라테로스포라민에 유사하다. BMG 162-aF2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같이 이미 결정되었으며, 이 BMG 162-aF2의 구조는 명브레오마이신, LL-BMβ, γ1및 γ2에덴니과는 명백하게 그 구조가 상이하다. 이밖에, 라테로스포라민[1976년 발행, The Jounal of Antibiotics 제29권, 390-393면과는 적외선 스펙트럼, 알코올에 대한 용해성, 항세균성 스펙트럼이 구별되며, 라테로스포라민의 성분인 C6H13N3O로 구성된 Sakaguchi 양성물질이 BMG 162-aF2의 분해 생성물에 함유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상이하다. 그러므로 BMG 162-aF2는 신규한 항생물질임이 확인된다.
전술한 결과로부터, BMG 162-aF2는 육종(sarcoma) 및 기타 종양류는 물론 인체를 포함한 온혈동물의 백혈병에 특유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또 비교적 낮은 독성을 갖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BMG 162-aF2는 탁월한 항종양제로 사용될 수가 있다.
항종양제로 BMG 162-aF2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제조 및 투여방법으로는, 각종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투여방법으로는 주사, 경구 및 직장투여가 가능하다. 약제의 제제형으로는 주사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좌약 등이 사용된다.
약제를 제조하는 경우에 필요하다면 고체담체, 액체담체와 같은 모든 종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안정제, 방부제, 무통제, 유화제 등이 BMG 162-aF2에 무해인 한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주사용 약제의 제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BMG 162-aF2 바람직하게는 그 염산염과 같은 수용성염과 만니톨과 같은 당류를 증류수에 용해해서 작은 용기(바이알)에 넣거나, 또는 이 용액을 동결 건조한 후 투여시에 식염수 또는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주사용 용액을 만들어 사용한다.
약제에 있어서 함량비율은 제제상태에 따라서 광벌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0.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중량%위 BMG 162-aF2를 함유시키고 또 잔여 함량, 즉 0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99.9 내지 30중량%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이다. 주사용 조성물인 경우에 함량비율은 다음과 같다.
BMG 162-aF2 0.1 내지 95.0중량%
당류 99.1 내지 5.0중량%
염화나트륨 0 내지 94.9중량%
BMG 162-aF2의 투여량은 증상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0.01-800㎎/일/성인, 바람직하게는 0.1-600㎎/일/성인이 사용된다. 계속적으로 투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일 투여량을 감소시켜야만 한다.
BMG 162-aF2의 약제에서, BMG 162-aF2는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염산염등과 같은 염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실시예 1]
2.0% 글리세린, 2.0% 덱스트린, 1.0% 간장 펩톤(Bacto Soyston, Difco 연구소 제품), 0.3% 이스트 추출물(Daigo-Eiyo-Kagaku 주식회사 제품), 황산암모늄 및 0.2%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pH 7.4의 5l의 액상배지를 500ml 용량의 Sakaguchi 플라스크에 125ml씩 넣었다. 살균후, 이 플라스크에 미리 준비한 1%의 종자배지 영양한천의 사면에서 배양한 라케로스포러스 간균 BMG 162-aF2(FERM-P5230, ATCC 31932)를 동일조성물의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함을 접종하고 또 5일동안 28℃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육즙 여과액(4,900ml)을 Amberlite IRC-50
Figure kpo00017
의 컬럼(500ml, 직경 5.2㎝)[Rohm & Hass 캄파니 제품, Na+형 및 H+형(7 : 3) 혼합물]에 주입하고, 또 활성성분을 흡착시켰다.
이 컬럼을 물로 세척하고, 또 활성성분을 2,000ml의 1.0N-HCl로 용리한 후 10N-NaOH를 사용 pH6으로 중하였다.
중화액을 4배 용적이 되게 물론 희석하고 또 CM-Sephadex C-25
Figure kpo00018
(Pharmacia Fine Chemicals, 물로 전처리해서 팽윤시킴)의 컬럼(400ml, 직경 4.3㎝)에 주입해서 여기에 활성화합물을 흡착시켰다. 활성성분을 0.3M-NaCl-H2O로 용리하였다.
활성분획을 감압하에서 건고시까지 농축하였다. 잔류물은 5ml의 메탄올로 용해한 후 여과해서 NaCl 결정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은 Sephadex LH-20
Figure kpo00019
(유기용매로 겔 여과하는 넥스트란의 상품명 Pharmcia Fine Dhemical제품, 메탄올로 전처를하여 팽윤시킴)의 컬럼(445ml, 직경 2.6㎝)에 주입하고, 또 이 칼럼을 메탄올로 전개시켰다. 활성분획을 감압하에 건조시켜서 460㎎의 순수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
2.0% 글리세린, 2.0% 덱스트린, 1.0% 간장 펩톤(Bacto Soystone
Figure kpo00020
, Difco 연구소 제품), 0.3% 이스트 추출물(Daigo-Eiyo-Kagaku 주식회사 제품), 0.2% 황산암모늄 및 0.2% 탄산칼슘으로 및 0.03% 소포용 실리콘유로 구성된 pH 7.4의 배지(10l)를 20분간 120℃로 살균한 30l 용량의 스테인레스 탱크에 장입하였다. 이어 BMG 162-aF2 생산균주, 라테로스 포러스 간균 BMG 162-aF2 FERM-P5230, ATCC 31932를 48시간 진탕 배양한 육즙 125ml를 냉각시킨 전술한 탱크에 무균상태하에서 접종하였다.
호기성 배양과 28℃ 교반(15L/분의 통기율과 350r.p.m의 교반기 속도로 출발했으며, 16시간 후에는 10L/분 및 350r.p.m.를 유지하였다)을 진행하였으며, 또 40시간 후에 수득된 9,500ml의 육즙여과액을 실시예 1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Amberlite IRC-50
Figure kpo00021
및 CM-Sephadex C-25
Figure kpo00022
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였다.
CN-Sephadex C-25
Figure kpo00023
의 컬을 4l의 0.3M-NaCl-H2O로 전개시켰다. 또 290적의 용리액을 1개부분으로 수집하고, 2개의 활성분획 : I(부분번호 14-93), Ⅱ(부분번호 64-154)로 분리하였다.
280nm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활성분획 Ⅱ, 1,660ml에 활성성분을 흡착하도록 33g의 활성탄을 첨가하였다. 활성탄을 수세한후, BMG 162-aF2를 80% 메탄올-물중의 0.5N-HCl 500ml로 용리하였다. 이 용리액을 Amberlite IR-50
Figure kpo00024
(Rohm & Hass 캄파니, OH-형)으로 중화하고, 또 감압하에 건조시켜 305g의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280nm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활성분획 I을 농축건조시키고 메탄올로 추출한 후 1l의 탈이온수로 용해하고, 또 O-1M-NaCl(4)을 사용하는 경사용리(傾斜溶離)를 수반하는 CM-Sephadex C-25
Figure kpo00025
의 컬럼(400ml, 직경 4.3㎝)으로 재차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행해서 활성분획을 수득하고, 또 이를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은 메탄올로 추출하고 또 Sephadex LH-20
Figure kpo00026
의 컬럼(780ml, 직경 2.8㎝)에 주입하였다. 이 컬럼을 메탄올로 전개하여 NaCl을 유리시켜서 670mg의 순수한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전체적으로, 975mg의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실시예 3.]
1ml의 메탄올로 용해한 실시예 2에서 수득한 150mg의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용액에 1ml의 포화 피크산-메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또 가열 비등시켰다. 농축후에, 잔류물을 벤제과 에탄올로 세척해서 과잉 피크르산을 제거하고 62mg의 BMG 162-aF2 피크레이트 결정을 물-에탄올 혼합물 용액으로부터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주사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30 중량부의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정제수 970부로 용해하고 또 Millipore 여과기 GS 형을 사용 여과해서 세균유리용액을 만들었다. 이 여과액(1g)을 10ml 용량의 바이알에 옮기고, 또 동결 건조해서 30mg의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동결 건조 주사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과립제
실시에 1에서 수득한 50 중량부의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 600 중량부의 락토오스, 330 중량부의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20 중량부의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충분히 혼합하고 회전압축기(Roler-compactor
Figure kpo00027
)를 사용하여 압축하고 또 분쇄하여 과립을 만들고 16 메시 내지 60 메시 크기로 사별하였다.
[실시예 6.] 정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30 중량부의 BMG 162-aF2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0 중량부의 크리스탈린 락토오스, 147 중량부의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3 중량부의 스테아린산 마그세슘을 V-형상 혼합기를 사용해서 혼합하고 또 300mg의 BMG 162-aF2를 함유하는 정제를 수득하였다.

Claims (10)

  1. 래터로스포러스 간균속(Bacillus Laterosporus)의 BMG -aF2(FERM-P5230, ATCC 31932)를 배양해서 BMG 162-aF2를 생산 축적하고 이 배양물로부터 구조식(Ⅰ)의 항생물질 BMG 162-aF2를 회수하는, 항생물질 BMG 162-aF2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8
  2. 제1항에 있어서 배지가 질원소, 탄소원 및 무기염을 함유하는 항생물질 BMG 162-aF2를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배양을 충분한 양의 BMG 162-aF2를 축적하는데 충분한 시간 PH 5.0 내지 8.2, 15° 내지 40℃의 액상 배양액 중에서 호기적으로 진행시키는 항생물질 BMG 162-aF2를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배지로부터의 BMG 162-aF2의 회수를 활성기로서 카르복시산을 갖는 약한 양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칼럼크로마토그라피 처리로 진행시키는 항생물질 BMG 162-aF2를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수지에 흡착된 BMG 162-aF2를 산수용액 또는 염수용액으로 용리시키는 항생물질 BMG 162-aF2를 제조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19810003293A 1980-09-08 1981-09-04 항생물질 BMG 162-aF2의 제조방법 KR870001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123585 1980-09-08
JP55123585A JPS5748957A (en) 1980-09-08 1980-09-08 Novel antibiotic bmg 162-af2, its preparation and carcinostatic agent comprising it as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834A KR830007834A (ko) 1983-11-07
KR870001373B1 true KR870001373B1 (ko) 1987-07-24

Family

ID=1486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293A KR870001373B1 (ko) 1980-09-08 1981-09-04 항생물질 BMG 162-aF2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4416899A (ko)
JP (1) JPS5748957A (ko)
KR (1) KR870001373B1 (ko)
AT (1) AT376239B (ko)
AU (1) AU523222B2 (ko)
BE (1) BE890229A (ko)
CA (1) CA1175763A (ko)
CH (1) CH655498B (ko)
CS (1) CS226036B2 (ko)
DE (1) DE3134353C2 (ko)
DK (1) DK157890C (ko)
ES (1) ES8302090A1 (ko)
FR (1) FR2489819A1 (ko)
GB (1) GB2084999B (ko)
HU (1) HU188077B (ko)
IT (1) IT1209896B (ko)
NL (1) NL8104069A (ko)
SE (1) SE4508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254A (en) 1981-05-11 1982-11-15 Microbial Chem Res Found Novel carcinostatic substances and their preparation
JPS57192347A (en) * 1981-05-18 1982-11-26 Microbial Chem Res Found N-(4-(3-aminopropyl)aminobutyl)-2,2-dihydroxyethanamide and its synthesis
JPS5862152A (ja) * 1981-10-08 1983-04-13 Microbial Chem Res Found N−〔4−(3−アミノプロピル)アミノブチル〕−2−(ω−グアニジノ脂肪酸アミド)−2−ヒドロキシエタンアミドおよびその誘導体ならびにその製造法
JPS5942356A (ja) * 1982-09-02 1984-03-08 Microbial Chem Res Found スパガリン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S60185758A (ja) * 1984-03-02 1985-09-21 Microbial Chem Res Found フエニレン基を有するスパガリン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4851446A (en) * 1984-11-13 1989-07-25 Zaidan Hojin Biseibutsu Kagaku Kenkyu Kai Immunosuppressing method
JPS61134312A (ja) * 1984-12-06 1986-06-21 Microbial Chem Res Found 移植免疫抑制剤並びに抗アレルギ−剤
JPS61165322A (ja) * 1985-01-14 1986-07-26 Microbial Chem Res Found スパガリン類の注射用凍結乾燥製剤
ATE64378T1 (de) * 1986-04-04 1991-06-15 Microbial Chem Res Found Spergualinaehnliche verbindungen und ihr herstellungsverfahren.
JP2873340B2 (ja) * 1988-04-29 1999-03-24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抗生物質tan―1057,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JPH0776204B2 (ja) * 1988-07-01 1995-08-16 寳酒造株式会社 スパガリン類の精製法
JPH0263181U (ko) * 1988-10-27 1990-05-11
US4990536A (en) * 1989-04-03 1991-02-0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Immunopotentiator and spergualin-related compound therefor
US5162581A (en) * 1989-05-29 1992-11-10 Takaru Shuzo Co., Ltd. Crystalline deoxyspergualin,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suppository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8438A (en) * 1958-03-31 1961-08-29 Merck & Co Inc Eulicin and process for production
US3617448A (en) * 1967-10-03 1971-11-02 Research Corp Antibiotic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it
US3743580A (en) * 1970-04-28 1973-07-03 Microbial Chem Res Found Antibiotic,negamycin,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4163796A (en) * 1977-12-14 1979-08-07 The Dow Chemical Company Stabilized aqueous amide antimicrobial composition
US4328229A (en) * 1978-03-29 1982-05-04 Taiho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Anti-cancer composition for delivering 5-fluorouracil to cancer tissues
US4226808A (en) * 1979-08-17 1980-10-07 Schering Corporation 1-Aryl-2-dihalogenodeuterioalkanoylamido-1,3-propanediol antibacterial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94281A (da) 1982-03-09
CH655498B (ko) 1986-04-30
IT1209896B (it) 1989-08-30
CS226036B2 (en) 1984-03-19
AU523222B2 (en) 1982-07-15
DK157890C (da) 1990-07-23
GB2084999B (en) 1984-06-13
DK157890B (da) 1990-02-26
ES505256A0 (es) 1983-01-01
GB2084999A (en) 1982-04-21
AU7489281A (en) 1982-03-18
KR830007834A (ko) 1983-11-07
ATA386081A (de) 1984-03-15
FR2489819B1 (ko) 1985-02-15
DE3134353C2 (de) 1986-03-13
CA1175763A (en) 1984-10-09
HU188077B (en) 1986-03-28
US4474880A (en) 1984-10-02
ES8302090A1 (es) 1983-01-01
IT8149237A0 (it) 1981-09-04
SE8105079L (sv) 1982-03-09
FR2489819A1 (fr) 1982-03-12
DE3134353A1 (de) 1982-04-22
JPS6316380B2 (ko) 1988-04-08
SE450836B (sv) 1987-08-03
BE890229A (fr) 1982-01-04
AT376239B (de) 1984-10-25
US4416899A (en) 1983-11-22
JPS5748957A (en) 1982-03-20
NL8104069A (nl) 198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5069B1 (en) Derivatives of actaplanin
EP0063456B1 (en) Pseudo-aminosugars, their production and use
EP0055070B1 (en) Antibiotic a-4696 factors b1,b2,b3,c1a,c3 and e1
KR870001373B1 (ko) 항생물질 BMG 162-aF2의 제조방법
EP0182315B1 (en) Novel antibiotic nk84-0218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DE2905649A1 (de) Neue aminozucker-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mylasehemmende mittel
US4546079A (en) Streptomyces species and process for producing antibiotic
US4595698A (e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rphamenine and production thereof
US4271067A (en) Glycopeptide
KR920001448B1 (ko) Bbm-2478 항생제 착화합물
US3824305A (en) Antibiotic a-287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U597340B2 (en) Efomycin G, its preparation and its use as a yield promoter in animals
US3912811A (en) Antibiotic pholipomycin and its preparation
US5073369A (en) Efomycins as performance promoters in animals
EP0053025A2 (en) Antibiotic and its preparation from a streptomyces microorganism
US4950605A (en) FR-900493 substance,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4661352A (en) WS 7739 substanc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830002817B1 (ko)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fr-900156물질의 제조방법
US4298599A (en) Novel antibiotic BN-235 substance,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0024206A2 (en) Antitumor substance,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process for preparing said substance
JPH0623165B2 (ja) 新規抗生物質ジエタシン類およびその製造法
JPH01290673A (ja) 新規物質k3543r1、その使用および製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