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11B1 -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11B1
KR870001011B1 KR1019840008285A KR840008285A KR870001011B1 KR 870001011 B1 KR870001011 B1 KR 870001011B1 KR 1019840008285 A KR1019840008285 A KR 1019840008285A KR 840008285 A KR840008285 A KR 840008285A KR 870001011 B1 KR870001011 B1 KR 87000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head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56A (ko
Inventor
우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4000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011B1/ko
Publication of KR86000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위상검출장치의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 각부의 파형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장치의 블록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장치의 상세회로도.
제 5 도는 제 4 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펄스증폭회로 2 : 플러스펄스검출회로
3 : 마이너스 펄스검출회로 4, 5, 18 :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6 : 기록신호증폭회로 7, 11 : 기록/재생 절환스위칭회로
8, 9 : 재생신호증폭회로 10 : 헤드절환스위칭회로
12 : 헤드위상검출회로 13 : 기록/재생선택신호발생회로
14, 15 : 저역필터 16, 17 : 파형정형회로
19 : 적분기 20, 21 : 미분기
FF1-FF4: 플립플롭 HD : 회전헤드드럼
CH1, CH2: 영상헤드 M : 마그네트
SW1-SW5: 전자스위치 OR1: 오아게이트
AND1: 앤드게이트 NOR1: 노아게이트
본 발명은 회전헤드드럼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회전헤드드럼에 설치된 영상헤드의 위상을 검출하는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로 회전되는 영구자석 및 영상헤드의 위상검출용 헤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헤드로부터 직접 영상헤드의 위상을 검출하게 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헤드드럼을 갖는 헬리컬 스캔(Helical Scan) 방식의 비디오 레코오더는 비디오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정확히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하여 회전헤드드럼에 설치된 영상헤드의 위상을 정해진 기준신호에 정확히 동기시켜야 되고, 이와같이 영상헤드의 위상을 기준신호에 동기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헤드드럼(HD)에 영상헤드(CH1)(CH2)와 직교되게 설치한 영구자석(N)(S)의 회전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용헤드(CH3)와, 그 위상검출용 헤드(CH3)의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펄스증폭회로(1)와, 상기 펄스증폭회로(1)의 출력신호에서 플러스 및 마이너스 펄스신호를 각기 검출하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펄스검출회로(2)(3)와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 펄스검출회로(2)(3)의 출력신호에 따라 각기 일정폭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5)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5)의 출력신호에 따라 헤드절환신호를 출력하여 헤드절환스위칭회로(10)가 두개의 재생신호를 합치게 제어하는 플립플롭(FF1)으로 위상검출장치를 구성하였다.
제 1 도의 도면 설명중 미설명 부호 6은 기록신호 증폭회로이고, 7은 기록/재생 절환스위칭 회로이며, 8, 9는 재생신호 증폭회로이며, A는 기록신호 입력단자이며, B는 재생신호 출력단자이며, C는 헤드절환 신호 출력단자이며, D는 기록/재생 선택신호 입력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위상검출장치는 기록시킬 경우에 기록/재생 선택신호 입력단자(D)로 입력되는 기록/재생 선택신호에 따라 기록/재생절환 스위칭회로(7)가 영상헤드(CH1)(CH2)를 기록상태로 만들고, 기록신호입력단자(A)로 기록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기록신호는 기록신호증폭회로(6)를 통해 증폭된 후 기록/재생절환 스위칭회로(7)를 통해 영상헤드(CH1)(CH2)에 인가되어 영상헤드(CH1)(CH2)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trace)하면서 기록신호를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한 신호를 재생할 경우에는 기록/재생 선택신호에 따라 기록/재생절환 스위칭회로(7)가 영상헤드(CH1)(CH2)를 재생상태로 만들고 영상헤드(CH1)(CH2)가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한 재생신호는 기록/재생절환 스위칭회로 (7)를 통해 재생신호증폭회로(8)(9)에 각기 입력되어 증폭된 후 헤드절환 스위칭회로 (10)에 입력된다.
이때, 회전헤드드럼(HD)이 회전함에 따라 위상검출용 헤드(CH3)는 영구자석 (N)(S)의 위상을 검출하여 펄스증폭회로(1)에 입력하므로 펄스증폭회로(1)에서는 제 2 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은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그 출력된 펄스신호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펄스검출회로(2)(3)에 입력되어 플러스 및 마이너스펄스신호가 검출되며, 그 검출된 플러스 및 마이너스 펄스신호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5)에 입력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5)의 출력단자에는 제 2 도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폭(T1)(T2)의 펄스신호가 출력되어 플립플롭(FF1)의 리세트단자(RE1)및 세트단자(SE1)에 각기 인가되고 이에따라 플립플롭(FF1)은 리세트 및 세트되면서 그의 출력단자(Q1)로 제 2 도의 (d)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절환신호가 출력되어 헤드절환 스위칭회로(10)의 제어단자에 인가되므로 헤드절환 스위칭회로(10)는 헤드절환신호에 따라 재생신호증폭회로(8)(9)에서 출력되는 두개의 재생신호를 스위칭하여 합친후 재생신호 출력단자(B)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위상검출회로는 회전헤드드럼에 별도로 영구자석을 설치해야 됨은 물론 그 영구자석의 위상을 검출하기 위한 위상검출을 헤드를 설치해야 되고 또한, 영구자석의 설치위치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두개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시정수를 각기 조정해야 되므로 그 조정이 매우 어려운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회전되는 영구자석 및 별도의 위상검출용 헤드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두개의 영상헤드중에서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하지 않는 하나의 영상헤드가 회전헤드드럼의 주위에 고정한 영구자석의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신호로 두개의 영상헤드의 위상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켜 정확한 시간에 영상헤드를 절환시키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 3 도 내지 제 5 도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헤드(CH1)(CH2)가 설치된 회전헤드드럼(HD) 및 기록신호증폭회로(6), 재생신호증폭회로(8)(9), 헤드절환스위칭회로(10), 기록/재생 절환스위칭회로(11)로 구성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를 스캐닝하지 않는 상기 영상헤드(CH1) (CH2)가 자계를 검출하게 회전헤드드럼(HD)의 주위에 고정한 마그네트(M)와, 상기 영상헤드(CH1)(CH2)가 검출하여 상기 재생신호증폭회로(8,9)에서 출력되는 마그네트 (M)의 자계신호에 따라 헤드절환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헤드절환스위칭회로(10)를 제어하는 헤드위상 검출회로(12)와, 상기 헤드위상검출회로(12)의 출력신호 및 기록/재생선택신호입력단자(D)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재생 절환스위칭회로(11)를 제어하는 기록/재생 선택신호 발생회로(13)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 4 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장치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신호증폭회로(8)(9)의 출력단자를 저역필터(14)(15)를 통해 파형정형회로 (16)(17)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파형정형회로(16)(17)의 출력단자를 오아게이트 (OR1)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의 출력단자는 플립플롭(FF2)의 입력단자(T2)에 접속하여 플립플롭 (FF2)의 리세트단자(RST2)에는 상기 파형정형회로(17)의 출력단자를 접속하고, 출력단자(Q2)는 헤드절환스위칭회로(10)의 전자스위치(SW5)의 제어단자에 접속하여 헤드위상검출회로(12)를 구성하는 한편,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2)를 앤드게이트 (AND1)및 노아게이트(NOR1)의 일측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R1) 및 콘덴서(C1)로 된 적분기(19)를 통해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 (NOR1)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콘덴서(C2) 및 저항(R2)과, 콘덴서(C3) 및 저항(R3)으로 된 미분기(20)(21)를 통해 플립플롭(FF3)(FF4)의 입력단자 (SE3)(SE4)에 각기 접속하고, 그 플립플롭(FF3)(FF4)의 입력단자(RE3)(RE4)에는 상기 파형정형회로(16)(17)의 출력단자를 각기 접속하며, 세트단자(SET3)(SET4)에는 기록/재생선택신호 입력단자(D)를 접속하며, 그의 출력단자(Q3)(Q4)를 기록/재생 절환스위칭회로(11)의 전자스위치(SW1, SW2)(SW3, SW4)의 제어단자에 접속하여 기록/재생 선택신호 발생회로(13)를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기록/재생 선택신호 입력단자 (D)에는 비디오 테이프레코어더의 재생동작시 고전위가 입력되게 하고, 전자스위치 (SW1-SW5)는 제어단자에 고전위가 인가될때 가동단자가 그의 일측고정단자(a1-a5)에 각기 단락되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위상검출장치의 작용효과를 제 5 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5 도의 파형도에서 절단선의 좌측부분은 재생시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재생시에는 기록/재생선택신호 입력단자(D)로 제 5 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가 입력되어 플립플롭(FF3)(FF4)의 세트단자(SE3)(SE4)에 인가되므로 플립플롭(FF3)(FF4)는 그의 입력단자(SET3)(SET4) 및 입력단자(RE3)(RE4)에 인가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계속세트상태를 유지하여 그의 출력단자(Q3)(Q4)로 제 5 도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같이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고, 그 출력된 고전위는 전자스위치 (SW1,SW2),(SW3,SW4)의 제어단자에 인가되어 그의 가동단자가 일측고정단자 (a1,a2)(a3,a4)에 각기 단락되므로 영상헤드(CH1)(CH2)는 재생상태로 되고, 그 재생상태로 된 영상헤드(CH1)(CH2)가 비디오테이프를 트레이스하면서 재생한 재생신호 및 영구자석(M)의 자계신호는 재생신호 증폭회로(8)(9)에 입력되어 재생신호 증폭회로 (8)(9)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e) 및 (f)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제 5 도의 (e) 및 (f)에 도시한 파형에서 조밀한 파형은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한 영상신호의 고주파신호이고, 그 고주파신호의 사이에 있는 펄스신호는 영구자석의 자계를 검출한 저주파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재생신호증폭회로(8)(9)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고주파신호 및 자계를 검출한 저주파신호가 출력되면, 그 출력된 신호는 전자스위치(SW5)의 타측 및 일측(b5)(a5)에 인가됨과 아울러 저역필터(14)(15)에 입력되어 저역필터(14)(15)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f) 및 (g)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신호의 고주파신호는 제거되고, 자계를 검출한 저주파신호만 출력되며, 그 출력된 저주파신호는 파형정형회로 (16)(17)를 통해 제 5 도의 (h) 및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형되고, 오아게이트 (OR1)를 통해 제 5 도의 (j)에 도시한 바와같이 합쳐진 후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18)에 입력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k)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어 플립플롭(FF2)의 입력단자(T2)에 인가되고, 플립플롭(FF2)의 리세트단자(RST2)에는 상기의 파형정형회로(17)에서 출력된 펄스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플립플롭(FF1)은 파형정형회로(17)에서 출력된 제 5 도의 (i)에 도시한 펄스신호에 의해 티세트된 후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에서 출력된 제 5도의 (k)에 도시한 펄스신호에 따라 그의 출력단자(Q2)로 제 5 도의 (d)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주기로 고전위 및 저전위를 반복하여 출력하고, 그 출력단자(Q2)에서 출력된 펄스신호는 전자스위치(SW5)의 제어단자에 인가되어 그의 가동단자가 일정주기로 일측 및 타측 고정단자(a5)(b5)에 단락되므로 재생신호증폭회로(8)(9)에서 출력된 재생신호가 전자스위치(SW5)를 통해 제 5 도의 (l)에 도시한 바와같이 합쳐진 후 재생신호출력단자(B)로 출력된다.
즉, 영상헤드(CH1)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하여 재생신호증폭회로(8)의 출력단자로 제 5 도의 (l)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신호가 출력될 경우에는 그 영상헤드 (CH1)가 바로전에 검출한 자계신호 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의 시정수에 의해 제 5 도의 (l)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2)에서 저전위가 출력되어 전자스위치(SW5)의 가동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5)에 단락되므로 재생신호증폭회로 (8)에서 출력된 재생신호가 전자스위치(SW5)를 통해 재생신호출력단자(B)로 출력되고, 영상헤드(CH2)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하여 재생신호증폭회로(9)에서 제 5 도의 (e)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신호가 출력될 경우에는 그 영상헤드(CH2)가 바로전에 검출한 자계신호 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의 시정수에 의해 플립플롭( FF2)의 출력단자(Q2)에서 고전위가 출력되어 전자스위치(SW5)의 가동단자가 일측고정단자 (a5)에 단락되므로 재생신호증폭회로(9)에서 출력된 재생신호가 전자스위치 ( SW5)를 통해 재생신호출력단자(a5)에 단락되므로 재생신호증폭회로(9)에서 출력된 재생신호가 전자스위치(SW5)를 통해 재생신호출력단자(B)로 출력되어 재생신호출력단자(B)에는 제 5 도의 (m)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헤드(CH1)(CH2)가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한 재생신호가 연속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파형정형회로(16)(17)의 출력신호가 플립플롭(FF3)(FF4)의 입력단자(RE3)(RE4)에 인가되고, 또한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2)에서 출력된 펄스신호가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일축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전분기(19)를 통해 제 5 도의 (n)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분된 후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어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 (NOR1)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o) 및 (p)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그 출력된 펄스신호는 미분기(20)(21)를 통해 제 5 도의 (q) 및 (r)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분되어 플립플롭(FF3)(FF4)의 입력단자(SE3)(SE4)에 인가되나, 상기에서와 같이 재생시 플립플롭(FF3)(FF4)의 세트단자(SET3)(SET4)에는 기록/재생 선택신호 입력단자(D)로 입력되는 고전위의 기록/재생 선택신호가 인가되어 입력단자(SE3) (SE4)(RE3)(RE4)에 인가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계속 세트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플립플롭(FF3)(FF4)의 출력단자(Q3)(Q4)에는 계속 고전위가 출력되어 전자스위치(SW1, SW2),(SW3, SW4)의 가동단자는 일측고정단자(a1,a2)(a3,a4)에 계속 단락되게 된다.
한편,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할 경우에는 기록/재생 선택신호 입력단자(D)로 제 5 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가 입력되어 플립플롭(FF3)(FF4)의 세트단자(SET3)(SET4)에 인가되므로 상기의 재생시와는 반대로 플립플롭(FF3) (FF4)이 세트되지 않고, 그의 입력단자(SE3)(SE4)(RE3)(RE4)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세트 및 리세트되면서 전자스위치(SW1, SW2),(SW3, SW4)를 제어하여 두개의 영상헤드(CH1)(CH2)를 재생 및 기록상태로 만드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은 영상신호의 기록시 영상헤드(CH1)(CH2)가 계속기록상태로 있게되면, 영상헤드(CH1)(CH2)가 회전헤드드럼(HD)의 주위에 설치된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영상헤드(CH1)(CH2)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하지 않을 경우에 그 영상헤드(CH1)(CH2)를 재생상태로 만들어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시간(t1)에 플립플롭(FF3)(FF4)이 모두 세트되어 그의 출력단자(Q3) (Q4)로 제 5 도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두 고전위가 출력되고, 그 출력된 고전위에 전자스위치(SW1, SW2)(SW3, SW4)의 가동단자가 그의 일측 고정단자( a1, a2) (a3, a4)에 단락되어 영상헤드(CH1)(CH2)가 재생상태로 있다고 가정하고, 시간( t2)에 영상헤드(CH1)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하지 않고 영구자석(M)을 지나면서 그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여 재생신호증폭회로(8)의 출력단자에서 제 5 도의 (l)에 도시한 바와같이 검출된 자계신호가 출력되면, 그 출력된 자계신호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저역필터(14) 및 파형정형회로(16)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f) 및 (h)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파형정형회로(16)에서 출력된 펄스신호는 플립플롭 (FF3)의 입력단자(RE3)에 인가되어 그가 리세트되므로 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 (Q3)에는 제 5 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가 출력되어 전자스위치(SW1, SW2)의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전자스위치(SW1, SW2)의 가동단자가 그의타측 고정단자(b1,b2)에 각기 단락되므로 영상헤드(CH1)는 기록상태로 되고, 기록신호입력단자(A)로 입력되어 기록신호증폭회로(6)에서 증폭된 영상신호는 전자스위치 (SW1)를 통해 영상헤드(CH1)에 인가되어 영상헤드(CH1)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할때 그 영상신호를 기록하게 된다.
이때, 플립플롭(FF4)은 상기와 같이 세트되어 전자스위치(SW3, SW4)의 가동단자가 일측고정단자(a3, a4)에 단락되어 있고, 시간(t3)에 영상헤드(CH2)가 영구자석 (M)을 지나면서 자계를 검출하여 재생신호증폭회로(9)의 출력단자로 제 5 도의 (e)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면, 저역필터(15) 및 파형정형회로(17)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g) 및 (i)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파형정형회로 (17)에서 출력된 펄스신호는 플립플롭(FF4)의 입력단자(RE4)에 인가되어 그가 리세트되므로 플립플롭(FF4)의 출력단자(Q4)에는 제 5 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가 출력되어 전자스위치(SW3, SW4)의 가동단자가 그의 타측고정단자(b3,b4)에 각기 단락되고, 기록신호증폭회로(6)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전자스위치(SW3)를 통해 영상헤드(CH2)에 인가되어 영상헤드(CH2)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할 때 그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게 된다.
이와같이 시간(t2)에 플립플롭(FF3)이 리세트되어 영상헤드(CH1)가 기록상태로 되고, 시간(t3)에 플립플롭(FF4)이 리세트되어 영상헤드(CH2)가 기록상태로 된 상태에서 그 시간(t3)에 파형정형회로(17)에서 출력된 펄스신호가 제 5 도의 (j)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아게이트(OR1)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에 입력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k)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폭의 펄스신호가 출력되어 플립플롭(FF2)의 입력단자(T2)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시간 (t4)에 제 5 도의 (l)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2)에는 고전위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적분기(19)를 통해 제 5 도의 (n)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분되어 앤드게이트 (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o)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를 출력하고, 그 고전위는 미분기(20)를 통해 제 5 도의 (q)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분된 후 플립플롭(FF3)의 입력단자(SE3)에 인가되어 그가 세트되므로 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Q3)에는 제 5 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가 출력되어 전자스위치(SW1)(SW2)의 가동단자가 그의 일측고정단자(a1, a2)에 각기 단락되면서 영상헤드(CH1)가 재생상태로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시간(t5)에 영상헤드(CH1)가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여 재생신호증폭회로(8) 및 저역필터(14), 파형정형회로(16)에서 제5도의 (d) 및 (f), (h)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면, 파형정형회로(16)에서 출력된 펄스신호는 플립플롭(FF3)의 입력단자(RE3)에 인가되어 그가 리세트되므로 플립플롭 (FF3)의 출력단자(Q2)에는 제 5 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가 출력되어 전자스위치 (SW1, SW2)의 가동단자가 다시 그의 타측고정단자(b1, b2)에 단락되고, 영상헤드( CH1)는 기록상태로 되며, 또한 그 파형정형회로(16)에서 출력된 펄스 신호가 오아게이트 (OR1)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에 입력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18)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k)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어 플립플롭(FF2)의 입력단자(T2)에 인가되므로 시간(t6)에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 (Q2)에서 저전위호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적분기(19)를 통해 제 5 도의 (n)에 도시한 바와같이 되어 앤드게이트 (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제 5 도의 (p)에 도시한 바와같이 노아게이트(NOR1)의 출력단자에는 고전위가 출력되어 미분기 (21)를 통해 제 5 도의 (r)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분된 후 플립플롭(FF4)은 세트되어 그의 출력단자(Q4)로 고전위가 출력되고, 전자스위치(SW3, SW4)의 가동단자는 그의 타측 고정단자(b3, b4)에 단락되어 영상헤드(CH2)가 재생상태로 된다.
그리고, 시간(t7)에 영상헤드(CH2)가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여 재생신호증폭회로(9) 및 저역필터(15), 파형정형회로(17)에서 제 5 도의 (e) 및 (g), (i)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면, 상기와 같이 플립플롭(FF4)이 리세트되면서 전자스위치(SW3, SW4)의 가동단자가 타측고정단자(b3, b4)에 단락되어 영상헤드( CH2)는 기록상태로 되고, 또한 파형정형회로(17)에서 출력된 펄스신호가 오아게이트 (OR1)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에 입력되어 그의 출력단자로 일정폭의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상기에서와 같이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2)에서 고전위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ND1)에서 고전위가 출력되므로 플립플롭(FF3)은 세트되어 전자스위치(SW1, SW2)의 가동단자가 그의 일측고정단자(a1, a2)에 단락되고, 영상헤드 (CH1)는 다시 재생상태로 된다.
즉, 시간(t2)에 영상헤드(CH1)가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면서 기록상태로 되어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는 상태에서 시간(t3)에 영상헤드(CH2)가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면, 그 검출된 자계가 신호에 의해 영상헤드(CH2)가 기록상태로 되어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함과 아울러 일정시간(t4) 후 비디오 테이프의 트레이스가 끝난 영상헤드(CH1)를 재생상태로 만들고, 재생상태로 된 영상헤드 (CH1)가 시간(t5)에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면, 그 검출된 자계신호에 의해 영상헤드(CH1)가 기록상태로 되어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함과 아울러 일정시간 (t6)후 비디오 테이프의 트레이스가 끝난 영상헤드(CH2)를 재생상태로 만들고, 재생상태로 된 영상헤드(CH2)가 시간(t7)에 영구자석(M)의 자계를 검출하면, 그 검출된 자계신호에 의해 영상헤드(CH2)가 다시 기록상태로 되어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함과 아울러 일정시간후 영상헤드(CH1)를 재생상태로 만드는 것을 반복하여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할 경우에는 영상헤드(CH1, CH2)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할 동안에 기록상태로 되어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게 되고, 영상헤드(CH1, CH2)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하지 않는 동안에는 재생상태로 되어 영구자석의 자계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영구자석(M)은 비디오 테이프가 접촉되지 않는 회전헤드드럼(HD)의 주위에 설치하고, 영상헤드(CH1, CH2)가 비디오 테이프를 트레이스하는 동안에는 그 영상헤드(CH1, CH2)가 재생상태로 되지않게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8)의 시정수로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두개의 영상헤드(CH1, CH2)가 일정시간 동안 같이 기록상태로 있게 하는 이유는 비디오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기록할 경우에 두개의 영상헤드 (CH1, CH2)가 영상신호를 약간 중첩되게 기록해야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가 접촉되지 않는 회전헤드드럼의 주위에 하나의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영상헤드가 영구자석을 지나면서 검출하는 자계신호로 영상헤드의 위상을 검출하는 것으로 영상신호의 재생시는 물론 기록시에도 영상헤드의 위상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시정수만 조정하면 되어 그 조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를 재생기능만 가지게 구성할 경우에는 기록/재생 선택신호 발생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헤드위상검출회로만 구성해도 되어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영상헤드(CH1, CH2)가 설치된 회전헤드드럼(HD) 및 기록신호증폭회로(6), 재생신호증폭회로(8, 9),헤드절환스위칭회로(10), 기록/재생 절환스위칭회로(11)로 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를 스캐닝하지 않는 상기 영상헤드 (CH1, CH2)가 자계를 검출하게 회전헤드드럼(HD)의 주위에 고정한 마그네트(M)와, 상기 영상헤드(CH1, CH2)가 검출하여 상기 재생신호증폭회로(8, 9)에서 출력되는 마그네트(M)의 자계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절환스위칭회로(10)를 제어하는 헤드위상검출회로(12)와, 상기헤드위상검출회로(12)의 출력신호 및 기록/재생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재생 절환스위칭회로(11)를 제어하는 기록/재생 선택신호 발생회로(1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재생신호증폭회로(8),(9)의 출력단자를 저역필터(14),(15)및 파형정형회로(16, 17)를 통하고 오아게이트(OR1)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18)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플립플롭(FF2)의 입력단자(T2)에 접속하고, 플립플롭(FF2)의 리세트단자(RST2)에는 파형정형회로(17)의 출력단자를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Q2)를 헤드절환스위칭회로(10)의 제어단자에 접속하여 헤드위상검출회로(12)를 구성하는 한편,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2)를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적분기(19)를 통해 앤드게이트(AND1) 및 노아게이트(NOR1)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미분기(20)(21)를 통해 플립플롭(FF3)(FF4)의 입력단자(SE3)(SE4)에 접속하고, 플립플롭(FF3)(FF4)의 입력단자(RE3)(RE4)에는 파형정형회로(16)(17)의 출력단자를 접속하며, 세트단자(SET3)(SET4)에는 기록/재생선택신호 출력단자(D)를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기록/재생 절환스위칭회로(11)의 전자스위치(SW1, SW2)(SW3, SW4)의 제어단자에 접속하여 기록//재생선택신호 발생회로(1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KR1019840008285A 1984-12-24 1984-12-24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KR87000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8285A KR870001011B1 (ko) 1984-12-24 1984-12-24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8285A KR870001011B1 (ko) 1984-12-24 1984-12-24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56A KR860005356A (ko) 1986-07-21
KR870001011B1 true KR870001011B1 (ko) 1987-05-18

Family

ID=1923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285A KR870001011B1 (ko) 1984-12-24 1984-12-24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0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56A (ko) 198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011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영상헤드 위상검출장치
JPH0748723B2 (ja) デ−タクロツク発生回路
KR930001595Y1 (ko) 2개의 파이로트 신호를 이용한 자동 트래킹화인(atf)회로
JPH0519204B2 (ko)
KR900000631B1 (ko) 연속 기록 제어 회로
KR0121171B1 (ko) 동시녹화 · 재생장치
KR860001842B1 (ko) 자성막을 부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드럼 및 그 제어 장치
SU609054A1 (ru) Регист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920009099B1 (ko) 타코 펄스발생회로
SU6101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частотно-модулированного сигнала
KR0165276B1 (ko) 데이타재생장치
JP2714142B2 (ja) コントロール信号波形整形回路
KR940003504Y1 (ko) 영상자기기록 재생장치
KR870000047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제어신호기록 및 재생시스템
KR91000472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음성헤드 스위칭회로
JP267830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検出装置
JPH075558Y2 (ja) 長時間記録用ビデオテ−プレコ−ダ
KR0183667B1 (ko) 헤드 스위칭 제어회로
SU5855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двоичных сигналов
JPH0411121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231446A (ja)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の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H05316474A (ja) ジッタ測定システム
JPS61196453A (ja) 情報信号再生装置
JPS61204803A (ja) 記録装置
JPH03125361A (ja) 信号記録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