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547B1 - 과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547B1
KR870000547B1 KR8205452A KR820005452A KR870000547B1 KR 870000547 B1 KR870000547 B1 KR 870000547B1 KR 8205452 A KR8205452 A KR 8205452A KR 820005452 A KR820005452 A KR 820005452A KR 870000547 B1 KR870000547 B1 KR 87000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cid
catalyst
hydrogen peroxide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806A (ko
Inventor
프랄루 미셀
레코크 쟝-클로드
셔망 쟝-피에르
Original Assignee
쟝후씽
피씨유케이 프로뒤 쉬미퀴 유징쿨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쟝후씽, 피씨유케이 프로뒤 쉬미퀴 유징쿨망 filed Critical 쟝후씽
Publication of KR84000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7/00Preparation of pe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9/00Peroxy compounds
    • C07C409/02Peroxy compounds the —O—O— group being bound between a carbon atom, not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and hydrogen, i.e. hydroperoxides
    • C07C409/04Peroxy compounds the —O—O— group being bound between a carbon atom, not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and hydrogen, i.e. hydroperoxides the carbon atom being acyclic
    • C07C409/08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409/10Cumene hydrope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7/00Preparation of peroxy compounds
    • C07C407/003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의 수용액을 수혼화성의 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과카르복실산의 무수유기용액을 제조하는 개량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때 촉매의 존재하에서 조작을 수행하고 과산화수소와 함께 도입된 물 및 반응중에 생성된 물은 물과함께 헤테로 공비물(heteroazeotrope)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용매에 의해 공비증류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과산화수소와 카르복실산의 반응은 평형반응으로 다음식으로 표기된다.
Figure kpo00001
일반적으로 이 반응은 생성되는 과카르복실산이 불안정하므로 온화한 온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촉매를 사용하며, 촉매로는 통상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 예컨데 인산, 황산, 염산, 알킬 또는 아릴술폰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또는 산성의 양이온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반응(1)의 평형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예컨데 미국특허 제2877266호 및 제2814641호 명세서에서 물을 공비증류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자는 이 경우에 강산촉매 대신에 메탈로이드 옥사이드(유럽특허출원 제22396호) 또는 붕산(유럽특허 제25381호)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반응의 진행중에 물의 헤테로 공비증류를 사용하여 과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이들 방법은 인정될 수 있는 양의 과산화물의 산소가 증류된 수상(水相)에 연행 수반되는 큰 결점을 갖고 있다. 수반되는 과산화물의 산소는 미전화 과산화수소 및/ 또는 과카르복실산의 형태이다. 증류한 수상중에 과산화물의 산소가 수반되는 현상은 사용한 촉매가 어떤것이라도 발생한다. 수반에 의해 생기는 손실은 비. 필립등[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3, 1823(1958)] 및 엠. 흐르소브스키(Chemical Abstracts, 78 12393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된 과산화수소양의 4%까지 이른다.
증류한 수상중에 연행 수반되는 것에 의한 이들 손실 이외에 공비증류 컬럼에서 분해에 의해 생기는 과산화수소의 상당한 손실이 있다.
이 증류컬럼에서 물과 유기용매와의 헤테로 공비물과 함께 수반된 과산화수소는 특히 그들이 반응 혼합물에 최초부터 가해진 안정제의 보호효과를 잃어버릴 때에는 실제상 그 분해에 아주 바람직한 조건을 받는다.
증류한 수상중에서 수반 및 공비증류컬럼에서 분해에 의해 생긴 과산화물의 산소의 손실은 과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이들 방법에서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한다.
종래 사용된 모든 방법에서, 과산화수소를 촉매 및 공비물의 수반체로서 역활하는 유기용매의 존재하에 카르복실산과 반응시키는 반응기는 콘덴서와 데칸터를 갖춘 증류컬럼 의해 설치된다. 단지 유기상만이 컬럼에서 환류되는 반면 수상은 연속적으로 경사배출된다.
본 발명자가 공비증류컬럼중 과산화물의 산소의 손실은 액체환류물이 물과 유기용매의 헤테로 공비물의 증기의 조성과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하는 양의 물을 이 증류컬럼의 두부(頭部)로부터 주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방법을 불연속적으로 실시할 때에는 물의 주입은 반응시간의 대부분에 걸쳐 유지된다. 다음에 물의 주입을 정지하고, 반응기중의 과카르복실산의 용액이 실제상 무수로 될때까지 헤테로 공비물의 증기의 응축에서 얻어진 유기상만을 환류시킴으로써 공비증류를 계속한다.
공비증류컬럼의 두부로 부터 주입되는 물의 유속 비율은 헤테로 공비물의 조성의 관수(function)이므로 공비물의 수반체로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필수적으로 결정되나, 보다 적은 정도에서는 증류컬럼의 조작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이 주입수의 유속비율은 콘덴서로부터 배출된 물의 양보다도 항상 적어야 한다. 이 유속비율은 배출되는 수상의 유속비율의 반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0.3중량%이하의 물을 함유하는 유기과카르복실산이 얻어진다.
주입되는 물은 순수한 물이어도 좋고 또한 응축한 헤테로 공비물을 경사시켜 생성된 수상의 일부일 수도 있다.
반응시간의 상당한 연장이 예측되기 때문에 반응매질을 탈수하기 위해 의도한 컬럼에 물을 재주입하는 잇점은 결코 자명하지 않다. 이러한 연장은 일어나지 않았고, 본 발명자는 황상에 의해 촉진되는 반응에 본 발명에 따른 개량을 응용함으로써 동일한 반응시간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통상 사용되는 양보다도 훨씬 적은 정도로 촉매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즉 종래 기술에 개시된 것보다 적어도 10배 많은 양 대신에 과산화수소 1몰당 0.0005~0.010몰 범위의 황산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과산화물의 산소의 손실을 대폭감소시키는 것은 증류컬럼의 하부로 강제로 강하시키는 과산화수소를 더 좋게 이용할 수 있게하여 거의 정량적으로 과카르복실산으로 전화시킬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황산 또는 붕산에 의해 촉진되는 과카르복실산의 제조반응에 본 발명의 방법의 응용을 예시하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세트산 또는 부틸산 또는 강산성의 양이온수지 또는 메탈로이드옥사이드와 같은 다른 촉매로 사용하여도 비슷한 결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1]
올더샤(OLDERSHAW) 15매의 플레이트 증류컬럼과 경사장치를 갖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1ℓ의 유리반응기에 다음 조성을 갖는 630g의 용액을 넣는다.
1, 2-디클로로에탄 20중량%
프로피온산 79.95중량%
황산 0.05중량%
이 혼합물을 100mmHg(13.3KPa)의 압력하 환류하면서 비점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20분에 걸쳐 69.6중량%의 과산화수소와 안정제로서 작용하는 0.8중량%의 디피콜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92g을 반응기에 넣는다.
동시에 25g/시의 물을 2시간 동안 증류컬럼의 두부로부터 주입한다. 반응기의 온도는 66℃이다. 응축한 유기상을 증류컬럼의 두부에 재순환시켜 환류시킨다. 응축한 수상은 경사시켜 분리하여 연속적으로 배출한다.
반응은 2시간 30분후에 정지한다. 18g을 칭량한 수상은 0.05중량%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하고, 이것은 반응에 사용한 과산화수소의 양의 0.084%를 나타낸다.
얻어진 유기 과카르복실산 용액은 24.9중량%의 과프로 피온산과 0.2중량%의 과산화수소와 0.11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과산화수소의 과프로피온산으로의 전화도는 95.9%에 달한다. 과산화수소의 총손실량은 단지 1.8%이다.
[실시예 2]
1, 2-디클로로에탄 19.8중량%
프로피온산 79.2중량%
올토붕산 1.0중량%
을 함유하는 용액 636g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반응기에 넣었다.
100mmHg(13.3KPa)의 압력하 환류시키면서 용액을 비점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20분에 걸쳐, 70중량%의 과산화수소와 0.7중량%의 디피콜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92g을 반응기에 넣는다. 증류컬럼의 두부에서 21g/시의 물을 2시간 30분간 연속적으로 주입한다. 반응기의 온도는 69℃이다. 1, 2-디클로로에탄과 물의 헤테로 공비물의 증기를 응축시켜 경사시킨다. 1, 2-디클로로에탄을 증류컬럼의 두부에 환류시키고 수상을 연속적으로 꺼낸다.
반응은 3시간 후에 정지한다. 얻어진 유기과산용액은 23.7중량%의 과프로피온산을 함유하며, 이것을 넣은 과산화수소의 92%의 전화도를 나타낸다. 증류에서 수반에 의해 생긴 과산화수소의 손실은 0.12%이며, 분해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손실은 5.4%이다.
[실시예 3]
다음의 조성 :
1, 2-디클로로에탄 50.7중량%
프로피온산 48.3중량%
올토붕산 1.0중량%
을 갖는 용액 636g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반응기에 넣는다.
250mmHg(33.3KPa)의 압력에서 환류하면서 이 용액을 비점에서 가열한다. 15분 동안 69.5중량%의 과산화수소의 0.8중량%의 디피콜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60g을 반응기에 넣는다. 또한 2시간에 걸쳐 총 42g의 물을 컬럼의 두부에서 주입한다. 반응기의 온도는 66℃이다.
반응은 3시간 후에 정지한다. 헤테로 공비물의 증기의 응축후에 분리한 수상은 86g이며, 1중량%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하여 최초에 넣은 과산화수소 양의 약 2%에 달한다. 얻어진 유기과산 용액은 15.4중량%의 과프로피온산과 0.2중량%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한다.
과산화수소에 대한 과산의 수율은 90.5%이다. 분해 및 수반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총손실량은 6%이다.
[실시예 4](비교예)
증류컬럼의 두부에서 물을 주입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정확히 동일하게 반복했다. 이들 조건하에서는 과산화수소에 대해서 84.9%의 수율의 과프로피온산이 얻어졌다. 분해 및 수반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총손실량은 10.7%에 달한다.

Claims (8)

  1. 공비증류에 의해 반응촉매로부터 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기용매와 촉매의 존재하에서, 과산화수소의 수용액을 수혼화성의 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과카르복실산의 실질적 무수 유기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응의 대부분에 걸쳐 액체 환류물이 물과 유기용매의 헤테로 공비혼합물의 증기의 조성을 갖도록 하는 양의 물을 공비증류컬럼의 두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카르복실산의 무수유기용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주입한 물이 순수한 물인 것이 특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주입한 물이 헤테로 공비물의 증기의 응축후에 분리한 수상에서 얻어진 것이 특징인 방법.
  4.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주입한 물의 유속비율은 헤테로 공비물의 증기의 응축후에 분리한 물의 유속비율의 약 반인것이 특징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과카르복실산 형성용의 반응촉매는 강산인 것이 특징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강산촉매가 과산화수소의 1몰당 0.0005~0.010몰의 양으로 사용한 황산인 것이 특징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과카르복실산 형성용 촉매가 메탈로이드 옥사이드인 것이 특징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과카르복실산 형성용 촉매가 붕산인 것이 특징인 방법.
KR8205452A 1982-01-13 1982-12-06 과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870000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200407A FR2519634B1 (fr) 1982-01-13 1982-01-13 Perfectionnement aux procedes de synthese des acides percaboxyliques
FR82-00407 1982-01-13
FR00407 1982-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806A KR840002806A (ko) 1984-07-21
KR870000547B1 true KR870000547B1 (ko) 1987-03-18

Family

ID=926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452A KR870000547B1 (ko) 1982-01-13 1982-12-06 과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459240A (ko)
EP (1) EP0083894B1 (ko)
JP (1) JPS58113173A (ko)
KR (1) KR870000547B1 (ko)
AU (1) AU556244B2 (ko)
BR (1) BR8300114A (ko)
CA (1) CA1186329A (ko)
DE (1) DE3262728D1 (ko)
ES (1) ES8400399A1 (ko)
FR (1) FR2519634B1 (ko)
MX (1) MX162207A (ko)
ZA (1) ZA83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4507B1 (fr) * 1987-12-11 1990-06-15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aromatiques hydroxyles par la reaction de baeyer-villiger
US5206425A (en) * 1990-03-20 1993-04-27 Ube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eparing perpropionic acid solution
GB9100216D0 (en) * 1991-01-05 1991-02-20 Bp Chem Int Ltd Process
CN1034500C (zh) * 1991-09-20 1997-04-09 艾尔夫·阿托彻姆公司 过丙酸的制备方法
FR2800291B1 (fr) * 1999-10-29 2004-07-09 Atofina Composition et procede pour la destruction de polluants organophosphores et/ou organosoufres
FR2930449B1 (fr) 2008-04-29 2010-04-23 Arkema France Composition d'acide perpropionique stable en milieu basiqu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4641A (en) * 1956-07-31 1957-11-26 Union Carbide Corp Process for producing peracids from aliphatic carboxylic acids
GB803159A (en) * 1956-07-31 1958-10-22 Union Carbide Corp Process for producing peracids from aliphatic carboxylic acids
FR1390068A (fr) * 1963-07-05 1965-02-19 Pittsburgh Plate Glass Co Procédé perfectionné de préparation d'acides percarboxyliques
FR2421168A1 (fr) * 1978-03-28 1979-10-26 Propylox Sa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 peracides carboxyliques
FR2460927A1 (fr) * 1979-07-09 1981-01-30 Ugine Kuhlmann Nouveau procede de preparation d'acides percarboxyliques
FR2464947A1 (fr) * 1979-09-07 1981-03-20 Ugine Kuhlmann Procede de fabrication d'acides percarboxyl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19634A1 (fr) 1983-07-18
FR2519634B1 (fr) 1986-09-12
US4459240A (en) 1984-07-10
JPS58113173A (ja) 1983-07-05
AU1036183A (en) 1983-07-21
EP0083894B1 (fr) 1985-03-20
JPH0150227B2 (ko) 1989-10-27
KR840002806A (ko) 1984-07-21
ES518941A0 (es) 1983-10-16
MX162207A (es) 1991-04-08
ES8400399A1 (es) 1983-10-16
BR8300114A (pt) 1983-10-04
DE3262728D1 (en) 1985-04-25
EP0083894A1 (fr) 1983-07-20
CA1186329A (fr) 1985-04-30
ZA83195B (en) 1983-10-26
AU556244B2 (en) 198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0707A (en) Process for preparing ε-caprolactone
US4918244A (en) Preparation of MTBE from TBA and methanol
USRE31010E (en) 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with BF3 complex catalyst
CA1226550A (en) Process for recovery of methacrylic acid
CA1182122A (fr) Procede continu de preparation de l'oxyde de propylene
KR870000547B1 (ko) 과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JPS6364426B2 (ko)
US477544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2,2-dimethoxypropane
US4260813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JPH0333718B2 (ko)
US4262138A (en) 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with BF3 complex catalyst
EP0673935B1 (en) Process for recovering propylene oxide
US2078534A (en) Cyclic acetal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474060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ε-caprolactone
EP0370706B1 (en) Purification of tertiary hydroperoxides containing primary and secondary hydroperoxide contaminants
EP0140866A1 (en) Production of high purity alkyl glyoxylate
US3492356A (en) Method of recovering aldehydes and ketones
JPH0751526B2 (ja) ヘミアセタ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2544745B2 (ja) α−メチルスチレンの製造方法
US6512138B1 (en) Preparation of (meth)acrylates
JP2834436B2 (ja) アクリル酸とブテン異性体との反応によるsec−ブチルアクリレートの製造方法
EP0017441A1 (en) Preparation of esters
JPS5833207B2 (ja) ニカフエノ−ルノセイゾウホウホウ
JPH0730015B2 (ja) 過プロピオン酸の製造方法
KR0175309B1 (ko) ε-카프로락톤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