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428B1 -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428B1
KR870000428B1 KR1019840001124A KR840001124A KR870000428B1 KR 870000428 B1 KR870000428 B1 KR 870000428B1 KR 1019840001124 A KR1019840001124 A KR 1019840001124A KR 840001124 A KR840001124 A KR 840001124A KR 870000428 B1 KR870000428 B1 KR 87000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led line
thickness
character
rul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252A (ko
Inventor
치카후사 애노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샤켄
이시이 히로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샤켄, 이시이 히로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샤켄
Publication of KR84000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27/00Control, indicating, or safety devices or systems for composing machines of various kinds or types
    • B41B27/28Control, indicating, or safety devices for individual operations or machi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3/00Apparatus for mechanical composition using prefabricated type, i.e. without cas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
제1도는 괘선의 인자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괘선 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5도 및 제6도는 제4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어부 12 : 촬상부
13 : S/P변환회로 14 : 디지타이즈 메모리
15 : 연산부 16 : 데이터부
17 : 비교회로 18 : 에러 발생장치
23 : 버퍼 메모리 24 : 버퍼 메모리 제어부
25 : 리프레시 메모리 26 : 리프레시 메모리 제어부
27 : P/S 변환회로 28 : CRT
본 발명은 모니터용 CRT를 가진 사진식자기에 있어서, 문자반에서 채자한 괘선 형태의 굵기를 검출하고, 그 굵기에 응하여 괘선을 표시할 수 있게한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인자순서는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A),(B)사이에 괘선을 긋는 경우, 괘선의 좌표데이터(괘선 인자할때의 시발점 좌표와 종점좌표)를 기여한 좌표기억부에서 2점 (A), (B)의 좌표(X1, Y1),(X2, Y2)를 읽어낸다. 그리고 문자반에서 제2도에 나타낸 짧은 괘선(a), 모자 괘선(b), 쌍기둥 괘선(c) 및 5선 괘선(d)등의 괘선 형태를 채자하고, 양좌표 사이를 광학계로 주사하면 제1도의 감광재(1)상에 각기 바라는 괘선형태에 의한 괘선(2)이 인자된다. 또 괘표의 4구석을 제2e도와 같은 라운드 코너 괘선 형태를 사용하여 인자하면, 제1도에 나타낸 괘표(3)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도는 편의상, 양화(陽畵)로 나타내고 있다.
제3도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래의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장치는 문자반(4)에서 채자한 문자를 촬상부(5)로 촬상하고 표시제어부(6)에 의하여 촬상한 문자 데이터를 리프레시 메모리(8)에 써넣고 CRT(9)에 표시한다. 또 괘선형태의 경우, 표시제어부(6)는 괘선형태 메모리(7)에서 표시용 괘선형태를 읽어내어 괘선의 긴부분을 리프레시 메모리(8)에 써넣고 CRT(9)에 표시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장치에서는 표시용 괘선형태를 기억한 괘선형태 메모리를 필요로 하고, 괘선형태메모리(7)에는 채자한 괘선형태에 대응한 굵기의 표시용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사정에 입각하여, 문자반에서 채자된 괘선형태를 촬상부에서 먼저 촬상하고 촬상된 괘선형태의 굵기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굵기의 데이터와 별도로 산출한 길이의 테이터에 기초를 둔 괘선 데이터를 리프레시 메모리에 써 넣음으로써 어떠한 굵기의 괘선이라도 표시할 수 있게한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를 제공코저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보면서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부호(10)은 괘선이나 문자의 인자지령, 이송량, 렌즈 배율등의 조판조건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이고, (11)은 데이터의 전송, 기타 각종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이며, (12)는 문자반에서 채자한 문자 또는 기호등을 촬상하는 촬상부, (13)은 직렬-병렬(S/P)변환회로, (14)는, 상기한 촬상부(12)에서 촬상한 문자 데이터를 기억하는 디지타이즈 메모리부, (15)는 각종의 연산 및 상기한 디지타이즈 메모리부(14)에 기억시켜둔 괘선형태의 굵기를 검출하는 연산부, (16)은 상기한 입력부(10)에서의 조판 조건등의 데이터 및 상기한 연산부(15)에서 검출한 괘선형태의 굵기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부, (17)은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를 사용한 경우에 상기한 데이터부(16)에 기억한 라운드코너 괘선형태의 굵기와 상기 연산부(15)에서 검출한 괘선형태의 굵기를 비교하는 비교회로, (18)은 상기한 비교회로(17)에 있어서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조작자에게 경고하는 에러발생장치, (19)는 전송제어
다음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괘표를 작성하는 경우 우선 데이터부(16)로부터 입력부에서 입력하여 기억시킨 시발점좌표 A(X1,Y1)와 종점좌표 B(X2, Y2)을 읽어낸다. 제어부(11)는 시발점 좌표(A)의 좌표 데이터를 연산부(15)를 통하여 전송 제어부(19)에 보낸다. 전송 제어부(19)는 그 데이터에 따라 X축, Y축용 구동원을 구동하고 트래블 렌즈계(38)와 드럼(41)을 시발점 좌표 A(X1,Y1)에 이동한다. 그리고 문자반(32)에서 제2e도에 나타낸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Ⅰ)을 채자한다. 채자한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Ⅰ)는 촬상부(12)로 촬상되어 S/P변환회로(13)를 통하여 디지타이즈 메모리부(14)에 기억된다. 제어부(11)는 RM제어부(26)에 시발점 """"
시발점 좌표(A)에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Ⅰ)가 인자되면, 다음에 제2도(a)에 나타낸 가로 괘선 형태(Ⅱ)을 문자반(32)에서 채자한다.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Ⅰ)과 같이, 가로 괘선형태(Ⅱ)은 촬상부(12), S/P변환회로(13)를 통하여 디지타이즈 메모리부(14)에 기억된다. 연산부(15)는 그 디지타이즈 메모리부(14)의 가로 괘선형태에 대하여 그 굵기(n)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굵기의 검출방법으로서, 제6(a),(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디지타이즈 메모리부(14)에 기억된 괘선형태의 중심을 순차로 주사(가로 괘선(a), 세로 괘선(b)에 의하여 주사방향을 지시)하여 "1" "0"을 검출함에 따라 그 굵기를 검출하게 하였다. 그러나, 그외의 것에도 (c)와 같이 미리 문자반(32)의 각 문자 또는 기호등을 X,Y좌표로 대응하게 하고, 괘선형태의 채자와 동시에 그 좌표를 검출하여 별도로 설치한 기억부에서 그 좌표에 대응한 괘선형태의 굵기를 읽어내는 방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검출된 가로 괘선형태(Ⅱ)의 굵기 데이터(n)는 데이터부(16)에 기억된다. 비교회로(17)에서는 데이터부(16)에 기억시키고 있는 상기한 바와같이 인자한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Ⅰ)의 굵기 데이터(m)와 연산부(15)에서 검출한 상기한 가로 괘선형태(Ⅱ)의 굵기 데이터(n)을 읽어내어 비교를 한다. 여기에서 예를들면 인자한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Ⅰ)의 렌즈 배율과, 채자한 가로 괘선형태(Ⅱ)의 렌즈 배율이 틀리거나, 부적합한 괘선형태를 채자하는 등에 의하여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Ⅰ)의 굵기 데이터(m)와 가로 괘선형태(Ⅱ)의 굵기 데이터(n)가 일치되지 않으면, 비교회로(17)는 제어부(11)를 통하여 굵기가 부적합하다는 뜻의 신호를 에러발생장치(18)에 보낸다. 에러발생장치(18)는 그 신호에 의하여 굵기가 다르다는 것을 조작자에게 경고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올바른 가로 괘선형태가 채자된것을 확인한 후, 인자를 행한다. 연산부(15)는 시발점 좌표(A)와 종점좌표(B) 및 렌즈 배율등의 데이터에 따라 괘선의 길이 데이터(l)를 연산하고, 데이터부(16)에 써 넣는다. 또 연산부(15)는 가로 괘선형태(Ⅱ)의 굵기 데이터(n)와 괘선의 길이 데이터(l)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n'),(l')에 각기 변환되어 데이터부(16)에 기억한다. 제어부(11)는 가로 괘선형태(Ⅱ)의 표시용 굵기 데이터(n')와 괘선의 길이 데이터(l')의 데이터를 RM제어부(26)에 보낸다. RM제어부(26)는 그 데이터에 따라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인자와 표시를 거의 동시에 행하도록 하였으나, 바라는 괘표를 CRT상에 표시한 다음 상기한 인자 순서에 따라 인자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부(16)에 기억시키고 있는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의 굵기 데이터에 따라 가로 및 세로 괘선을 자동 발생할 수 있으므로, 라운드 코너 괘선형태를 화면상에 먼저 설정하는 것만으로 가로 및 세로 괘선형태를 채자하지 않고 괘표를 표시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인자할때에 표시되고 있는 괘선형태와 다른 굵기의 괘선형태를 채자한 경우에도 비교회로(17)에 의하여 굵기의 비교를 할 수 있으므로 조작하는 안심하고 인자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제4도는 일실시예로서, 사진식자기의 광학계나 구성 요소등은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래블 렌즈계를 폐지하여 드럼(42)이 이동되게 하거나, CRT디스프레이 대신에 프라즈마 디스프레이, 액정 디스프레이로 하는 것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된다. 또, 제5도는 인자 방법과 표시방법을 주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와 같은 예뿐 아니라 각종의 괘표 작성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채자한 괘선형태의 굵기를 검출하고, 굵기에 대응한 괘선 데이터를 리프레시 메모리에 써 넣어서 표시하는 것이므로 종래 필요로 하였던 괘선형태 메모리가 필요없게 되고 여러가지의 괘선을 표시할 수 있게된다.

Claims (2)

  1. 문자반에서 선택한 문자 또는 기호등을 CRT에 모니터 표시하게한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에 있어서, 문자반에서 선택한 괘선형태를 촬영하여 디지타이즈 메모리부에 기억하고, 그 디지타이즈 메모리부의 괘선형태의 굵기를 검출하고, 그 괘선형태의 굵기와, 별도로 입력한 괘선의 시발점 좌표와 종점좌표 및 렌즈 배율등에 의해 연산부에서 산출한 괘선 길이에 따라 상기 촬영한 괘선형태와의 굵기에 상응한 괘선을 상기 CRT에 표시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2. 문자반에서 선택한 문자 또는 기호등을 CRT에 모니터 표시하게한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장치에 있어서, 문자반(32)상의 문자 또는 기호등을 촬상하는 촬상부(12)와, 상기 촬상한 문자 또는 기호등을 기억시키는 디지타이즈 메모리부(14)와, 상기한 디지타이즈 메모리부(14)에 기억시킨 괘선형태의 굵기를 검출함과 아울러 괘선의 시발점 좌표와 종점좌표 및 렌즈 배율등에 의하여 바라는 괘선의 길이를 연산하는 연산부(15)와, 상기한 괘선형태의 굵기와, 괘선길이의 데이터에 따라 괘선 데이터를 리프레시 메모리(25)에 써넣은 리프레시 메모리 제어부(26)와, 상기 써넣은 리프레시 메모리(25)의 내용을 표시하는 CRT(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장치.
KR1019840001124A 1983-05-17 1984-03-06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 KR870000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085007A JPS59212266A (ja) 1983-05-17 1983-05-17 写真植字機における罫線表示方法及び装置
JP??58-85007 1983-05-17
JP85007 1983-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252A KR840009252A (ko) 1984-12-26
KR870000428B1 true KR870000428B1 (ko) 1987-03-10

Family

ID=1384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124A KR870000428B1 (ko) 1983-05-17 1984-03-06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212266A (ko)
KR (1) KR870000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3336A (ja) * 1987-02-20 1988-08-23 Photo Composing Mach Mfg Co Ltd 写真植字機
JPH02233248A (ja) * 1989-03-06 1990-09-14 Ryobi Ltd 写真植字機および写真植字機における罫表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934A (en) * 1975-07-30 1977-02-08 Hitachi Ltd Letter indication device
JPS55114567A (en) * 1979-02-28 1980-09-03 Photo Composing Mach Mf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 display at photo- typesetting machine
JPS55128459A (en) * 1979-03-29 1980-10-04 Fujitsu Ltd Recording method for rule mark
JPS5636431U (ko) * 1979-08-29 1981-04-08
JPS57165260A (en) * 1981-04-07 1982-10-12 Morisawa:Kk Self-ruling device for phototypese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212266A (ja) 1984-12-01
KR840009252A (ko) 1984-12-26
JPH0432741B2 (ko) 199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395A (e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apparatus
KR870000428B1 (ko) 사진식자기에서의 괘선 표시방법 및 장치
JPS5958430A (ja) 印刷製版における自動トリミングレイアウト方法
JPS59220365A (ja) 写真植字機の表示装置
KR870000427B1 (ko) 사진식자기
JPH0560583B2 (ko)
JPH0564789B2 (ko)
KR870000434B1 (ko) 사진 식자기
JPH0222655A (ja) スキャナ用原稿貼付シートの作成装置
KR950009527B1 (ko) 엔씨 드릴데이타 보정장치
JPH0572709A (ja) 切り抜きパターン作成方法
JPS63316970A (ja) 画像入力装置用原稿位置合わせ方法
JPS61206031A (ja) 表示画像のハ−ドコピ−方式
JPS6120948A (ja) 印刷製版における自動トリミング法
JPH04157876A (ja) 領域指定方法及び装置
JPH0562980B2 (ko)
JPH0562978B2 (ko)
JPH0232346A (ja) スキャナ用原稿貼付シートの作成装置
JPS59135177A (ja) 印字装置
JPH02297463A (ja) 印字装置
JPS61231628A (ja) Crt画面のコピ−装置
JPS645864A (en) Image reproducer
JPS61170870A (ja) 楕円描画方式
JPH0781293A (ja) X−yプロッタ
JPH11127283A (ja) 電子白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