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425B1 -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의 마스터 홀더에의 부착수단 - Google Patents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의 마스터 홀더에의 부착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425B1
KR870000425B1 KR1019840002391A KR840002391A KR870000425B1 KR 870000425 B1 KR870000425 B1 KR 870000425B1 KR 1019840002391 A KR1019840002391 A KR 1019840002391A KR 840002391 A KR840002391 A KR 840002391A KR 870000425 B1 KR870000425 B1 KR 87000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oles
hole
correction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915A (ko
Inventor
밀러 써닌 로버트
워커 월첸 듀언
Original Assignee
써니 프로덕츠 캄파니
밀러 써닌 로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니 프로덕츠 캄파니, 밀러 써닌 로버트 filed Critical 써니 프로덕츠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8Honing tools
    • B24B33/086Abrading blocks for ho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8Hon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8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sheets or plates mutually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의 마스터 홀더에의 부착수단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호닝스톤 조립체 및 그 마스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상기 부재들이 부착상태에 있는 제1도의 스톤 조립체와 그 마스터 홀더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구조의 우단 정면도.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마스터 홀더만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마스터 홀더의 평면도.
제6도는 호닝스톤을 설치하는 교체식 스톤 조립체중 지지부재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지지부재의 좌단 입면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한 지지부재의 정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선 9-9에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지지부재의 저면도.
제11도는 교체식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는데 사용하는 스웨이징 공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할 위치에 스웨이징 공구가 있는 교체식 스톤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제13도는 교체식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는 특수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4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스웨이징 공구와 유사한 스웨이징 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마스터 홀더로부터 스톤 조립체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제14도의 스웨이징 공구를 도시한 단면도.
제16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톤 조립체를 그 마스터 홀더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공구를 집어넣게끔 형성된 노치를 가진 실시예의 사시도.
제17도는 노치가 스톤 조립체와 마스터 홀더 사이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6도와 유사한 사시도.
제18도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노치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교체식 작업 연결 안내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한 변경된 스톤 조립체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21도는 마스터 홀더상에 설치된 조립체의 제20도 선 21-21에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86, 100, 122 : 마스터 홀더 14, 88, 98, 104, 114 : 스톤 조립체
16 : 사각판 24, 120 : 구멍
25 : 테이퍼부 26, 108 : 지지부재
42, 112, 118 : 관형 돌출부 44, 113 : 구멍
46 : 슬롯 48 : 측벽
50, 64, 72 : 공구 52, 73 : 핸들
54, 68, 74 : 작업 연결단부 57 : 중간 가장자리부
58, 77 : 캠부 60, 76 : 여유부
78 : 나사단부 80 : 카운터 보어
90 : 노치 106 : 작업 연결 안내부재
본 발명은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는 수단, 특히 각 스톤 및 안내 조립체가 관련 마스터 홀더를 통하여 연장하는 대응 구멍속에 정합되어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서 그 한 표면상에 형성된 이격된 관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돌출부는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그 각각은 이를 통하여 연장하면서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적어도 일부분을 가지는 구멍을 포함하게 되어 있는 신규의 부착수단에 관한 것이다. 간단한 신규의 스웨이징 공구는 가단성 재료나 연성재료를 그 부착되는 마스터 홀더의 해당 구멍속으로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관형 돌출부의 불규칙 형상부와 관련된 가단성 재료 또는 연성재료를 영구 소성적으로 단압하여 확장시키는데 이용한다. 스웨이징 공구의 회전으로 인하여 생기는 캠작용으로 관형 돌출부의 각 표면과 마스터 홀더를 통한 구멍이 서로 캠화하여 그 사이에 견고하게 박는 연결을 제공한다. 착탈 가능한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그 마스터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간단한 제거수단도 기술되어 있다.
스톤 및 안내 조립체가 설치된 호닝 심봉과 기타 유사한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수년전부터 사용하고 있다. 각종 심봉과 유사장치는 스톤 및 안내 조립체가 호닝될 공작물의 표면과 압력하에서 접촉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끔 설계되고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심봉 구조의 전형적인 것으로는 방사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스톤 조립체를 이용하는 장치를 들 수 있고, 다른 장치로는 원주상으로 이격된 다수의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이용하는데, 이 조립체중 1개 이상은 호닝작업중 스톤 및 안내 조립체가 호닝될 공작물 표면과 압력하에서 접촉유지되도록 방사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공지된 많은 스톤 및 안내 조립체와 스톤 및 안내 조립체 이동수단이 창안되고 사용되어 왔으며 써닌 프로덕츠 캄파니의 미합중국 재특허 제 18,763호, 미합중국 특허 제 1,902,194호, 제 1,904,336호, 제 1,946,041호, 제 1,982,836호, 제 2,040,281호, 제 2,815,615호, 제 3,378,962호 그리고 동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 314,865호(1981.10.26) 및 동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 415,488호(1982.9.7)에 기술되어 있다. 몇가지 공지된 구조는 스톤 및 안내 부재를 홀더부재에 고정시키고 홀더부재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호닝심봉이나 호닝 헤드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에 조립하고 있다. 이와같은 공지된 구성에 있어서는 스톤과 안내부가 마모되면 통상적으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버리거나, 낡은 스톤 및 안내부를 조립체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부재를 부착한다. 이러한 절차는 특히, 스톤 및 안내 조립체에 고가의 금속 지지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낭비적이고 비용을 많이 소요되게 한다.
동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314,856호(1981.10.26)에 기술된 부착수단에서는 새로운 교체식 호닝스톤 조립체의 구성 및 부착에 의하여 이러한 낭비와 지출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으나, 몇가지 단점이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 예를들면, 상기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314,856호에는 교식 스톤 조립체와 재사용할 수 있는 마스터 스톤 홀더가 포함된 호닝 심봉이나 유사장치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연결 스톤 조립체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 스톤 조립체에는 마스터 스톤 홀더에 형성된 각각의 이격된 구멍속으로 정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서 그 한 표면상에 이격되어 형성된 관형 돌출부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관형 돌출부가 마스터 스톤 홀더에 이격되어 형성된 구멍속으로 연장하여 위치할 때 각 관형 돌출부속에 나사홈을 파기 위하여 나사체결부재 또는 특수 나사공구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나사홈이 파이면, 체결부재나 나사공구는 스톤 조립체의 관형 돌출부속에서 나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형 돌출부를 마스터 스톤 홀더에 있는 구멍속으로 외측으로 확장시켜서 홀더와 단단히 연결되게 한다. 상기 출원에서 기술되어 있는 교체식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스톤 홀더에 부착시키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면, 스톤 조립체와 관련된 연성재료가 마스터 스톤 홀더의 벽면에 적당히 퍼져서 영구 소성 변형되도록 스톤 조립체의 관형 돌출부를 통해 상기 부재를 충분히 나사체결하기 위해서 여러번 회전되는 나사부재나 나사공구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나사체결부재나 특수나사공구의 회전은 여러번 거듭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낭비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작업은 상당히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스톤 조립체를 그 대응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거나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나사부재나 삽입공구를 다루는 데에는 어느 정도의 손재주와 체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는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나사체결부재를 사용하거나 나사부재를 조립체에 남겨둠이 없이, 마스터 홀더에 박아서 부착시키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구조의 단점을 극복하고 있다. 대신에, 본 발명의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에는 마스터 홀더에 뚫려 있는 대응구멍에 맞추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대개는 2개 이상의 이격된 관형 돌출부가 그 한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각 돌출부에는 여러가지 모양의 측벽부로 한정된 단면이 불규칙하거나 비원형 단면 형상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구멍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는 간단한 신규의 스웨이징 공구의 사용에 의하여 마스터 홀더에 부착되고, 이 스웨이징 공구는 그 한쪽 끝에 돌출부의 구멍과 결합할 수 있는 캠면을 포함하며, 회전이 되면, 관형 돌출부 구멍의 불규칙 형상부와 관련된 가단성재료 또는 연성재료를 영구적으로 단압하여 소성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이 재료를 외측으로 또는 옆으로 가압하여 마스터 홀더의 각 구멍과 결합하여 마스터 홀더와 단단히 연결되게 한다. 스웨이징 공구를 약 180
Figure kpo00001
정도로 간단히 회전시키면, 관형 돌출부의 상대표면과 마스터 홀더의 구멍이 서로 캠작용을 하여 영구히 변형되며, 이러한 부착에 있어서는 상기 출원에서 기술된 나사부재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스웨이징 공구의 캠면은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의 관형 돌출부와 관련된 가단성재료 또는 연성재료를 압축하여 재성형하면 되고 상기 출원에서 기술된 특수공구를 요하는 것과 같이 물리적으로 나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웨이징 공구를 회전시키는 것이 상당히 쉽고 시간이 적게 소비되며, 보통의 손재주를 가진 사용자나 훈련이 부족하거나 능력이 적은 자도 편리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빠르고 쉽게 실시될 뿐 아니라, 압력하에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그 마스터 홀더에 단단히 박아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톤이 마모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신속히 그 마스터 홀더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유사한 스톤 및 안내 조립체로 교체할 수 있다. 이것은 소비자에게 낭비를 적게해 주고 또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는 값싼 것이기 때문에 스톤이나 안내부를 기존 지지부재에 재설치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특수한 장비와 재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스톤이나 안내부가 부착되는 지지부재는 비교적 값이 싸고 사용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손상되는 것이기 때문에, 낡은 스톤이나 슈우를 제거하고 새것으로 교체하여 다시 사용하려고 하기 보다는 이를 버리는 것이 손실이 적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부재들을 함께 부착시키는 개선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터 홀더에 설치하는 비교적 값싼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로서, 나사부재를 필요로 하거나 사용함이 없이 각 마스터 홀더에 박아서 연결시킬 수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탈식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스톤 홀더에 부착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체식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안내 홀더에 부착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닝장치를 새로운 조작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호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홀더장치에 설치하는데 필요한 노력과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신규의 스웨이징 공구를 사용하여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는데 사용하는 간단한 신규의 스웨이징 공구로서, 스톤 및 안내 조립체내에 형성된 관형 돌출부에 뚫려 있는 구멍에서 쉽게 신속히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스톤 및 안내 조립체와 각 마스터 홀더를 단단히 박아서 연결시킬 수 있는 스웨이징 공구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웨이징 공구를 약 180
Figure kpo00002
의 예정된 각도로 1 회전시킴으로써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잘못된 위치로 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닝 조립체 전체를 심봉이나 호닝 헤드에서 제거하지 않고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재사용 가능한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고 또 이로부터 분리시키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닝 심봉을 작동 조건으로 유지하는 비용을 감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탈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각 마스터 홀더로부터 제거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톤이나 안내부를 기존 홀더장치에 재설치하는 것을 비경제적인 것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응용에 이용할 수 있는 신규의 부착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된 재사용할 수 있는 마스터 홀더(12)와 그 위에 설치하기 위한 교체식 스톤 조립체(14)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10)를 도시한 것이다. 마스터 홀더(12)에는 스톤 조립체(14)를 설치하는 긴 사각판(16)이 포함되어 있고, 이 사각판에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랙기어부재(18,20)로서 도시되어 있는 설치부재가 그 반대쪽 끝부분 근방에 부착되어 있다. 기어부재(18,20)는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판(16)에 부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자간을 단단히 연결하기 위하여 부위(21)에서 스테이킹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부재(18,20)에는 호닝 심봉이나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내에 있는 피니언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도록 대응측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톱니(22)(제3도)도 포함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는 호닝작업중 스톤 조립체(14)를 방사상으로 이동시켜서, 심봉을 공작물에서 후퇴시키거나 공작물속으로 삽입할 때에는 이것과 결합되어 있는 스톤이 압력하에 공작물과 결합되게 하고 또 스톤을 뒤로 후퇴시킬 수 있게 한다. 마스터 홀더(12)의 판(16)에는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비슷한 구멍(24)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24)은 교체식 스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에 설치하는데 이용된다. 이 구멍(24)은 그 길이 중 일부가 원통형으로 되고 그중 적어도 일부(25)가 외측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이러한 부분의 교차부에는 제4도에 잘 도시한 바와같은 립 또는 가장자리(27)가 형성되어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판(16)의 앞 가장자리부(23)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앞쪽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하여 홀더판(16)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렇게 할 필요는 없으며, 이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교체식 스톤 조립체(14)에는, 아연,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교적 값싼 재료나 기타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로 구성되고, 1개 이상의 호닝스톤(28)이 그 위에 설치되는 스톤 설치부재 또는 지지부재(26)가 포함된다. 스톤(28)은 여러가지 수단으로 설치부재(26)에 부착할 수 있으나, 지그, 위치결정 돌출부,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수단을 이용하여 이러한 부재를 그 접합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이 부재(26)에 접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제6도 내지 제10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설치부재(26)에는 스톤(28)이 부착되는 표면(30)과, 설치하였을때 판(16)의 상부면과 접하는 반대면(32)(제9도 및 제10도 참조)이 포함된다. 표면(30)은 실제적으로 편평하며, 그 길이는 부재(26)의 전장과 같다. 위로 돌출한 스톤 위치 결정 돌출부(34)는 표면(30)의 양단 근방의 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있고 스톤(28)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돌출부에 맞대어 놓인다. 돌출부(34)와 대향하는 표면(30)의 가장자리는 경사면(36)에 인접하는 지점까지 뻗어 있고, 표면(36)은 여기에서 부재(26)의 앞 가장자리(38)에 인접하는 지점까지 연장한다(제9도). 경사면(36)에 앞 가장자리(38)에 인접한 경사부(40)도 포함되어 있다(제9도).
지지부재(26)의 표면(32)에는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기에 부착되어 연장하는 2개의 일체적인 관형 돌출부(42)가 포함되어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이 관형 돌출부(42)가 홀더판(16)을 통하여 또 그 넘어에까지 연장하나, 표면(32)으로부터 판부재(16)의 두께보다 약간 짧은 거리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돌출부(42)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조립체(12,14)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때 각 구멍(24)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제1도 및 제2도). 각 돌출부(42)에는 그 안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통로 또는 구멍(44)이 있고, 각 통로(44)는 부재(26)의 몸체를 통하여 연장한다(제9도). 각 관형 돌출부(42)에는 그 자유단의 일부에 형성된 한쌍의 대향 슬롯 또는 노치(46)가 포함되어 있다(제8도 내지 제10도). 서로 이격된 한쌍의 이 공동(47)이 부재(26)의 표면(32)으로부터 몸체속으로 연장하고 있다(제8도 및 제10도). 이 공동(47)은 스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위에 조립할때, 스테이킹 돌출부(21)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위치되고 치수가 정해진다.
관형 돌출부(42)를 통하여 연장하는 각 구멍(44)의 적어도 일부는, 그 중심에서 외측으로 제9도에 도시한 측벽부(48)와 같은 다른 측벽보다 더 길게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1개 이상의 측벽부로 규정된 불규칙한 단면을 가진다. 이것은 돌출부(42)의 두께가 이 부분(48)에서는 다르게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규칙 부분(48)은 조립체(14)와 마스터 홀더판(16)의 구멍(24)이 옆으로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관형 돌출부(42)가 구멍(24) 속으로 들어가면, 다음에 설명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측벽부(48)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돌출부(42)내에 있는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를 단압 및 확장시켜 이 재료를 옆으로 구멍(24)과 소성적으로 결합한다. 구멍(24)과 결합하는 측벽부(48)와 관련된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를 효과적으로 단압, 확장 및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하여 제11도,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공구(50,64,72)와 같은 간단한 스웨이징 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측벽부(48)가 옆으로 구멍(24)과 억지로 결합되면서 이것과 관련된 재료의 일부가 나머지 재료보다 더 외측으로 밀려나가서 직경이 큰 테이퍼부(25) 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스톤 조립체(14)와 마스터 홀더(12)를 떨어지지 아니하게 더 밀착시키고,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쉽게 신속히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구멍(24)도 윗쪽을 더 넓게 만들 수 있으며, 이와같이 하면 실질적으로 앞에서 말한 바와같이, 구멍(24)을 테이퍼지게 만드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된다. 그 외에도, 일부 응용에서는 측벽부(48)가 확대되어 구멍(24)과 결합할때, 측벽(48)과 관련된 가단성 재료중 일부가 외측 및 측면으로 구멍(24)의 말단부를 넘어 그 후면에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42)를 마스터 홀더판(16)을 통하여 그 후면 넘어에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것은 스톤 조립체(14)와 마스터 홀더(12) 사이를 더 단단히 연결시켜 준다.
구멍(44)의 불규칙한 부분(48)을 설명상 계란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부분(48)은 예를들면 3각형, 타원형, 6각형 또는 기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 둥글지 아니한 단면 등으로 만들 수 있다. 판(16)의 구멍(24)을 통하여 연장하는 부분에서는 구멍(44)의 윤곽을 외측으로 소성 변형시켜 필요한 연결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1도는 스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에 부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스웨이징 공구(5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공구(50)는 L자형으로 되어 있고 핸들부(52)와 작업 연결단부(54)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54)에는 전이부(56)와 스웨이징 또는 캠부(58)가 포함되어 있다. 전이부(56)는 공구의 끝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점점 좁아지고, 계란형으로 도시되어 있는 중간 가장자리(57) 극방까지 연장한다. 중간 가장자리(57)는 구멍(44)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되도록 횡방향으로 치수가 정해져서 공구(50)의 단부(54)가 구멍(44) 속으로 삽입될때, 이 가장자리(57)가 부재(26)의 표면(36)과 접하게 됨으로써 단부(54)가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공구(50)가 돌출부(42)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제어하고 부재(26,16)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할때 그 적절한 위치를 정하여 준다.
공구(5)의 캠부(58)는 단면이 계란형이거나 길게 되어 있으며, 여유부(60)와 가공 또는 캠 면부(62)를 포함하고 있다. 여유부(60)는 제11도에서 또는 바와같이, 가장자리(57)에 인접한 그 단부가 더 작게 역으로 테이퍼져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캠부(58)는 한 방향으로만 구멍(44)의 불규칙한 부분(48)과 양립할 수 있고 그 속으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부(58)를 회전시키면 측벽부(48)가 외측으로 밀려서 구멍(24)과 결합하게 된다. 여유부(60)가 이와같이 테이퍼지고 위에서 말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은 공구부(58)가 부착작업중 스톤 조립체(14)가 마스터 홀더(12)위에 병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하고, 통상적인 주의만으로서도 공구를 구멍(44)에 직각으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이 공구 구조상으로는 매우 중요하다. 이것에 의하여 공구를 구멍(44)속으로 삽입할 때 공구와 구멍을 일렬로 하는 것이 쉽게 된다. 이와같은 형상은 공구를 사용후 구멍을 꼭 메우거나 구멍에 달라붙어 움직이지 아니하거나 구멍의 측벽을 손상시킴이 없이, 구멍(44)에서 쉽게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공구부(54)는 일체구조로 하고, 강철이나 이와 유사한 재료와 같이 비교적 단단한 경질재료로 만들어 최소의 마모로 반복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0 바람직하다.
제12도는 사용할 수 있게 준비된 공구(5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관형 돌출부(42)가 마스터 홀더(12)의 각 구멍(24)에 있으면, 공구(50)의 작업단부를 접근할 수 있는 측면쪽의 구멍(44)으로 삽입하고, 위에서 말한 바와같이 불규칙한 구멍부(48) 속으로 집어 넣는다. 이와같이 삽입되면, 가장자리(57)가 표면(36)(제9도 및 제12도)에 닿게 되어 더 이상 삽입할 수 없게 되고, 공구는 사용할 준비가 된다. 공구(50)가 이러한 위치에 있는 때에 캠 면(62)이 구멍(44)의 불규칙한 부분(48)과 인접하게 되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점에 있어서, 캠 면(62)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불규칙한 표면부(48)를 완전히 가로지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표면부(48)는 공구(50)의 작업부(58)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부위(49)(제9도)와 같이 절결하거나 여유를 줄 수 있다. 슬롯이나 노치(46)는 공구부(54)가 구멍(44)속에 삽입되었을 때, 공구부(58)의 반대단부가 슬롯(46)과 일렬이 되도록 돌출부(42)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46)은 캠동작중 돌출부(42)의 비교적 유연한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가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공구(50)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 삽입되면, 핸들부(52)를 사용하여 공구를 통상적으로 약 180
Figure kpo00003
정도 회전시켜서 캠 면부(62)로 하여금 부재(26)를 형성하는 비교적 유연한 재료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영구소성 팽창시킬 수 있다. 일단 각 돌출부(42)에 대한 캠동작이 끝나면 공구(50)를 쉽게 빼내어 나머지 구멍(44)에 삽입함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구멍과 마스터 홀더(12)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관형 돌출부(42)의 구멍(44)과 관련된 불규칙한 부분(48)이 전부 마스터 홀더(12)와 결합때까지 반복한다. 구멍(44)의 불규칙한 부분(48)이 계란형이 아닌 다른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구(50)의 작업 연결단부(54)의 모양을 다시 고치고, 치수도 이에 맞도록 하여야 한다.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314,856호에 기술된 특수공구와는 달리, 공구(50)의 스웨이징 또는 캠부(62)는 불규칙하게 생긴 구멍부(48)속에서 약 180
Figure kpo00004
정도만 회전시키면 되기 때문에, 적은 노력으로 부착을 완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공구부(58)는 불규칙한 부분(48)내에 있는 금속에만 힘을 부가하고 또 나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구(5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의 부착은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터 홀더(12)와 교체식 스톤 조립체(14)간을 단단히 박아서 연결할 수 있다.
공구부(58)의 크기는 관형 돌출부(42)의 자유단부 넘어에까지 돌출하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마스터 홀더를 호닝 심봉에 부착된 채로 놓아 두면서 공구를 사용하여 부착을 하는 경우에, 어떤 심봉의 몸체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그외에도, 돌출부(42)에 슬롯이나 노치(46)가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공구부(58)의 크기를 구멍(44)의 불규칙한 부분(48)에 삽입할 수 있고, 구멍안에서 회전시켜 필요한 캠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한, 슬롯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와같은 이유로 노치(46)의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제13도는 스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에 부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공구(6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공구(64)는 가늘고 긴 원통형 몸체(66)와 작업 연결단부(68)를 가지는 펀치형 스웨이징 공구이다. 작업 연결부(68)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그 직경은 삽입될 구멍(44)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다. 그 외에도, 작업 연결부(68)는, 공구(64)가 각 구멍(44)을 통과할때, 경사지거나 둥근 단부(70)를 포함하는 공구부(68)가 불규칙한 구멍부(48)와 접촉하고 또 망치 또는 프레스와 같은 도구로 부재(64)에 축방향력을 가하면 상기 부분을 외측으로 팽창시켜 마스터 홀더(12)의 구멍(24)과 결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과 치수를 가져야 한다. 공구(64)의 몸체부(66)는 구멍(44)보다 작기 때문에 불규칙한 부분(48)과 관련된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가 일단 확장되어 마스터 홀더(12)와 결합하게 되면, 공구 몸체(66)는 구멍에서 자유로이 빠질 수 있다. 이러한 부착방법은 공구(64)를 사용할때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구멍(44)의 불규칙한 부분(48)으로 쉽게 신속히 박아넘어 마스터 홀더(12)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이와같은 공구는 부착을 실시할때, 마스터 홀더가 심봉상에 있으면 부착을 실시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4도는 스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에 부착하거나 마스터 홀더에서 분리할때 사용할 수 있는 공구(7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공구(72)는 L자형으로 되어 있고, 핸들부(73), 작업 연결부(74), 여유부(76), 캠부(77) 및 나사단부(78)를 포함한다. 단부(74)는 공구(50)의 단부(54)와 비슷하고, 교체식 스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나사부(78)가 제공된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관형 돌출부(42)와, 호닝 스톤(28)에서 이격된 위치에 1개 이상의 카운터 보어(80)(제1도, 6도, 7도 및 제15도)와 같은 공동이 스톤 조립체에 구비된다. 카운터 보어(80)에는 필요한 경우에는 나사를 만들 수 있으나, 나사를 만들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어의 크기는 공구(72)의 나사단부(78)를 수용해서 나사체결할 수 있을 정도로 한다. 공구가 카운터 보어(80)중 한 보어속에서 들어가면, 구멍을 통하여 속으로 진행하여 감에 따라 구멍벽에 그 자체의 나사를 형성하고 카운터 보어(80)의 폐쇄된 바닥(82)에 도달하면 이를 자유로이 펀칭하고, 마스터 홀더(12) 쪽으로 눌러 부재(12,14)를 떨어지게 한다. 공구부(78)의 자유단부에 있는 나사를 다소 테이퍼지게 하여 이 부분이 카운터 보어(80) 속으로 쉽게 들어가 할 수 있다.
카운터 보어 또는 공동(80)은 지지부재(26)를 관통하지 아니하고, 저면부(82)와 같은 좁은 바닥이나 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공구(72)의 나사단부(78)가 각 카운터 보어(80) 속에서 회전할때, 단부(78)는 마스터 홀더(12)가 아닌 이 저면부(82)에 대하여 움직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단단한 공구에 의하여 가하여 지는 힘을 연한 막을 거쳐 마스터 홀드판(16)에 전이시킴으로써, 마스터 홀드판(16)을 마모시키거나 홈을 내는 것과 같은 마스터 홀더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킨다. 카운터 보어(80)가 부재(26)의 반대쪽으로부터 0.254 내지 0.381mm(0.010 내지 0.015인치) 정도 짧게 하면, 공구부(78)가 각 카운터 보어(80)내에서 회전할때, 저면부(82)가 부재에서 쉽게 분리되어 마스터 홀더에 가하여지는 힘을 쿠션화 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카운터 보어 또는 공동(80)은 어떤 경우에는 중앙에 단일 카운터 보어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관형 돌출부(42)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위에서 말한 수단은 여러가지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그 마스터 홀더에서 분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26)를 완전히 관통하는 카운터 보어나 공동(80)의 사용도 예상할 수 있지만, 반복사용하면 마스터 홀더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마스터 홀더(12)가 비교적 단단한 강철로 만들어지고, 비교적 비싼 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교체할 수 있는 유일한 부분은 스톤 조립체(14)이며, 여기에는 비교적 값싸고 주조되거나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된 지지부재(26)와, 공작물의 표면과 맞물리어 마모되는 스톤(28)이 포함되어 있다. 스톤 조립체(14)는 비교적 값싼 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26)는 파괴됨이 없이 단압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로 되어 있다. 조립체(14)를 마스터 홀더(12)로부터 분리시킬때, 스톤 조립체상의 관형 돌출부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이 것이 동일한 스톤 조립체(14)를 반복하여 재부착할 수 있는 것을 제한한다. 비록 어떤 경우에는 스톤 조립체를 한 두번 재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런지 모르나, 통상적으로는 그렇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경우 스톤 조립체(14)를 일단 마스터 홀더(12)에 부착하였으면, 동일한 스톤 조립체를 동일한 또는 다른 마스터 홀더에 다시 부착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못하다.
구멍(24)과 관형 돌출부(42)의 크기, 간격 및 위치는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적당하게 조립하거나, 잘못된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관형돌출부(42)와 이에 대응하는 구멍(24)의 위치를 한쪽 끝이나 한 측면쪽으로 벗어나면 조작자는 사고로 또는 무심히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의 뒷쪽으로 조립하는 실수를 방지하게 될 것이다.
제16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구조(10)의 또 다른 실시예(8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84)에는 재사용할 수 있는 마스터 홀더(86)와 그 위에 설치하는 교체식 스톤 조립체(88)를 포함하고 있고, 양자는 본 발명에 의하여 박아서 서로 부착된다. 마스터 홀더(86)는 구조와 조작면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마스터 홀더(12)와 동일하고, 스톤 조립체(88)는 스톤 조립체(14)와 매우 비슷하나, 마스터 홀더(86)에 인접한 그 표면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노치(90)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노치(90)는 스톤 조립체(88)의 스톤 뒤에 있는 측면(89)에 인접하여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노치(90)에는 인접한 마스터 홀더(86)와 함께 폭이 다른 2개의 슬롯 또는 노치부(92,94)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계단이 있다. 폭이 넓은 슬롯부(92)의 크기는 공구(50 또는 72)의 단부(58 또는 77)를 그 속으로 삽입하여 부재를 들어올려 떼어놓을 수 있을 정도로 한다. 슬롯부(94)는 폭이 넓은 슬롯부(92)와 통하고 있고, 공구의 단부(58 또는 77)를 받아들여 부재(86,88)가 처음에 부분적으로 분리된 것을 더 들어올려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노치(90)를 각 관형 돌출부 가까이에 있는 스톤 조립체(88)의 측면(89)을 따라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16도). 노치(90)를 이와같은 모양으로, 이러한 위치에 놓으면, 각 부착점 근방에 충분한 힘을 가하여 부재(86,88)를 쉽게 들어올려서 분리시킬 수 있다.
제17도 및 제18도는 교체식 스톤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로부터 들어올려 느슨하게 하는데 이용하는 노치(90)의 다른 위치가 포함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7도는 노치(90)가 스톤 조립체(98)의 측면이 아니라 그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84)(제16도)와 거의 같은 실시예(96)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모든점에 있어서, 스톤 조립체(98)의 구조와 조작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제18도는 스톤 조립체(104)를 들어올려 분리시키는데 어느 노치를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톤 조립체(104)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와 한쪽 측면에 노치(90)가 위치한 스톤 조립체(104)의 실시예(102)를 도시한 것이다. 스톤 조립체(104)에는 1개 이상의 카운터 보어 또는 공동(80)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102)는 스톤 조립체를 그 마스터 홀더에서 분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위에서 설명한 수단들을 모두 포함시키고 있다.
제19도는 스톤 조립체를 부착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홀더(12,86,100)와 같은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고 또 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교체 및 착탈 가능한 작업 연결 안내부재(106)를 도시한 것이다. 안내부재(106)에는 한 표면에서 돌출하고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은 후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비연삭 직립작업 연결부(110)가 있는 길다란 지지부(108)가 포함되어 있다. 안내부(110)와 대향하는 지지부재(108)의 표면(111)은 스톤 조립체(26)의 표면(32)과 마찬가지로 그 조립될 마스터 홀더판의 인접표면과 정합할 수 있는 모양과 크기로 되어 있고, 부재(108)의 반대면(109) 윤곽은 도면에 도시된대로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윤곽을 사용할 수 있다.
안내부재(106)에는 스톤 조립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말한 바와같이 마스터 홀더내의 구멍과 협력할 수 있도록 안내부재에서 연장하는 2개 이상의 관형 돌출부(112)가 포함되어 있고, 구멍(113)등이 구비되어 있어 위에서 설명한 공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팽창시켜 부착을 실현할 수 있다. 부재(106)를 그 마스터 홀더로부터 제거하는 것도 앞에서 말한 제거방법에 의한다.
부재(106)상에 있는 직립의 작업 연결 안내부(110)는 설명상 파형구조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구조를 약화시킴이 없이 안내부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내부(110)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 평행 측면이 있는 긴 부재와 같이, 다른 형태로도 할 수 있다. 안내부재(106)는 스톤 조립체(14)의 지지부재(26)와 마찬가지로, 아연이나 아연 합금과 같이 비교적 값이 싸고, 비연마적이며, 공작물의 표면을 연마하기 보다는 미끄러지기 잘하는 가단성 또는 연성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은 주조하기가 비교적 쉬워서 청동, 황동,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과 같은 다른 비연마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아연을 많이 사용한다.
제20도 및 제21도는 본 발명의 구성방법에 따라 마스터 홀더에 조립할 수 있는 호닝스톤 조립체(11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조립체(114)에는 이격되어 그 위에 설치되는 2개의 평행한 스톤이 포함되어 있다. 스톤 조립체(114)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2개의 관형 돌출부(118)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는 마스터 홀더판(122)에 있는 구멍(120)과 협력한다. 관형 돌출부(118)의 구조 및 조작과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부착 또는 분리할 때 구멍(120)과 협력하는 방법등은 앞에서 설명한 돌출부(42)와 구멍(24)의 구조 및 조작과 실제로 동일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나사체결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보조부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부착 및 분리수단은 호닝 심봉을 분해하거나, 마스터 홀더를 심봉에서 제거하지 아니하고 서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작시간을 크게 절약할 뿐 아니라 호닝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마모된 스톤 및 안내 조립체를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히 교체하는 간단한 수단을 제공할 뿐 아니라, 조립체와 이를 부착하는 마스터 홀더 사이에 견고하게 박는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설치수단은 착탈 가능한 각종 기계 공구부품을 포함한 여러가지 장치를 부착 및 분해하는 이용할 수 있고, 호닝 조립체와 안내 조립체를 마스터 홀더에 부착시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9)

  1. (정정) 제1부재(12,86,100,122)를 제2부재(26,88,98,104,108,114)에 부착하는 수단에 있어서, 제1부재는 대향하는 표면과 이러한 표면을 통하여 뚫려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24, 120)을 가지고,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내의 구멍(24,120)과 결합되고 그 속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2,112,118)를 포함하며, 제2부재상의 돌출부(42,112,118)의 수는 제1부재내에 뚫려 있는 구멍(24,120)의 수에 대응하고, 상기 각 돌출부(42,112,118)는 이를 통하여 연장하는 구멍(44,113)을 가지고 이 구멍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와 관련된 다른 측벽부보다 더 길게 그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측벽부(48)로 규정되는 불규칙 단면 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불규칙 형상부(48)는 상기 제1부재내의 구멍(24,120)을 통하여 연장하는 상기 구멍(44,113) 부위에 위치하며, 불규칙 형상부(48)를 방사상으로 확장시켜서 상기 제1부재내의 대응구멍(24,120)과 외측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 돌출부(42,112,118)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수단(54,68,74)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제2부재(26,88,98,104,108,114)와 이와 관련된 돌출부(42,112,118)는 가단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가능한 수단(54,68,74)은 상기 돌출부(42,112,118)를 통하여 연장하는 구멍(44,113) 속으로 뻗을 수 있도록 위치하는 부분(58,68,76,77)을 가지는 공구부재(50,64,7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공구부가 돌출부 구멍중 한 구멍속에 위치하였을때 상기 공구가 회전하여 돌출부의 불규칙 형상부(48)에 외측 압력을 가 함으로써 이 부분이 제1부재내의 구멍(24,120)과 외측으로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4.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부(54,74)는, 제1부재와 결합할 수 있게 공구부와 관련하면서 공구부가 상기 돌출부(42,112,118)내의 구멍(44,113) 속으로 들어가는 범위를 제한하는 수단(57)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5.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부(54,74)는, 돌출부(42,112,118)를 통하는 각 구멍(44,113) 속에서 공구가 일정한 각도로서만 작동할 수 있는 위치로 각각 자유로이 삽입할 수 있게 하는 단면 형상부(58,77)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6.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제1부재를 통하는 구멍(24,120)은 직경이 다른 부분(25)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7.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제1부재와 제2부재사이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부재를 떼어 놓을 수 있도록 쐐기식 공구(58,77)가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제2부재내의 슬롯(90) 형성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8.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제2부재의 돌출부(42,112,118)는 상기 제1부재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9.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돌출부(42,112,118)는 상기 제1부재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0.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제2부재내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나사부재(78)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부재와 관련된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보어(8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1. (정정) 가단성 재료로 형성된 부재(26,88,98,104,108,114)를 지지부재(12,86,100,122)에 부착시키는 수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대향면과 이 표면을 통하여 뚫려 있는 구멍(24,120)을 가지고, 상기 가단성 부재(26,88,98,104,108,114)는 상기 지지부재의 구멍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는 단면 형상의 돌출부(42,112,118)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이 돌출부가 지지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놓였을때 상기 지지부재의 구멍속으로 들어가는 구멍(44,113)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내의 구멍(44,113)은 변하는 단면 형상의 부분(48)으로 규정되는 불규칙 단면 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불규칙 구멍부(48)는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재 구멍속으로 연장할때 지지부재내의 구멍(24, 10)속에 놓일 수 있도록 위치하며, 공구(50, 72)는 상기 가단성 부재의 돌출부 내의 구멍(44,113)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제1부분(54,74)을 가지고, 상기 제1공구부는 공구가 상기 구멍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되 그 안에서 자유로이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단면 형상부(58,77)를 가지며, 상기 공구(50,72)는 공구가 회전할때 제1공구부가 상기 불규칙 구멍부(48)와 결합함으로써 이 구멍부분을 압력하에서 영구 소성적으로 팽창시켜 상기 지지부재내의 구멍(24,120)과 긴밀히 결합하게 하는 핸들부를 형성하는 제2부분(52,73)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2. (정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단성 부재의 돌출부(42,112,118)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는 대응구멍(24,120)에 긴밀히 끼워맞출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3. (정정) 제11항에 있어서, 돌출부(42,112,118)는 상기 가단성 부재에 부착되는 제1단부와, 이와 반대방향에 있는 자유단부와, 상기 공구의 제1부분이 그 안에서 회전할때 그 방사상 팽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자유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연장 노치(46)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4. (정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연장하는 구멍(24,120)은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25)에서 축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5. (정정) 제1부재(12,86,100,122)를 제2부재(26,88,98,104,108,114)에 부착하는 수단에 있어서, 관형 구조의 제1부재는 중간 위치에 뚫려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24,120)을 가지고, 상기 구멍은 그 길이 중 적어도 일부(25)에 외측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판형 구조의 제2부재는 상기 제1판형 부재내의 상기 구멍과 정합되어 그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그 중간위치에 형성된 돌출부(42,112,118)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판형 부재를 통하는 구멍의 단면 직경에 대응하는 외측 단면 직경부를 그 가장 작은 직경의 위치에서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판형 부재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부위에 위치한 비원형 부분으로 형성된 축방향 통로(44,113)를 가지며, 공구 부재는 상기 돌출부내의 통로(44,113)를 통하여 연장해서 위치하고 있는 조작단부(54,68,74)를 가지고, 상기 공구 조작단부가 상기 제2판형 부재의 돌출부를 통하여 연장해서 위치하고 있을 때 공구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조작단부를 통로(44,113)의 비원형 부분(48)에 밀어 붙여서 상기 통로의 비원형 부분을 거의 원형으로 만들고 이에 의하여 그 속에 포함된 재료의 일부를 방사상 외측으로 상기 제1판형 부재내의 구멍과 결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6.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제1판형 부재(12,86,100,122)는 비교적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7.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제2판형 부재(26,88,98,104,108,114)와 그 위에 형성된 돌출부(42,112,118)는 연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8. (정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재료에는 아연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19.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연장하는 통로(44,113)의 비원형 부분(48)은 단면이 계란형으로 되고 상기 공구의 조작단부(54,68,74)는 상기 통로내에서 일정한 각도에서만 이 부분을 조작위치로 자유로이 삽입할 수 있게 하는 단면 형상부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20.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조작단부(54,74)는 상기 제1판형 부재와 결합할수 있으면서 상기 돌출부내의 통로(44,113)속으로 더 이상 침투하는 것을 제한하는 수단(57)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21.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판형 부재는 인접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인접측 면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슬롯 형성 수단(90)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쐐기식 공구를 삽입하여 접합되어 있는 상기 부재를 분리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22.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형 부재는 상기 돌출부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그리고 돌출부의 반대쪽 측면에서 연장하여 형성된 카운터 보어(80)와, 제2판형 부재를 제1판형 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제1판형 부재에 대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카운터 보어속으로 나사체결될 수 있는 나사부재(7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23. (정정) 착탈가능한 작업 연결 조립체(14,88,98,104,106,114)를 호닝 심봉 등에서 사용하는 마스터 홀더 조립체에 부착하거나 이로부터 분리시키는 수단에 있어서, 가단성 재료로 형성된 착탈식 작업 연결 조립체는 대향면을 가진 긴 부재(26,88,98,104,108,114)와, 상기 대향면중 하나로부터 반대쪽 자유단부까지 외측으로 연장하여 부착되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관형 돌출부(42,112,118)를 포함하고, 상기 각 관형 돌출부는 원통형 외측 표면과 이를 통하여 연장하는 통로(44,113)를 가지고, 상기 통로는 상기 통로는 상기 관형 돌출부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비원형 단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48)을 가지며, 상기 마스터 홀더 조립체는 착탈식 작업 연결 조립체상의 이격된 각각의 관형 돌출부와 정합되어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서 적어도 2개의 이격된 구멍(24,120)을 가지면서 비교적 경한 재료로 형성된 긴 부재(16,86,100,122)를 포함하고, 마스터 홀더 부재상의 구멍(24,120)은 직경이 다른 적어도 몇개의 부분(25)을 가지며, 긴 공구(50,64,72)는 상기 관형 돌출부내의 통로를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제1단부(54,68,74)를 가지고, 상기 공구는 상기 제1단부가 관형 돌출부내의 통로를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놓였을 때 상기 공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단부에 연결된 핸들부(52,73)를 가지며, 상기 공구 핸들부를 회전시켜 상기 각 관형 돌출부 통로(44,113)의 비원형 부분을 원통형 부분(48)으로 만들므로써 이와 관련된 가단성 재료중 적어도 일부가 영구 소성적으로 외측으로 늘려져 상기 마스터 홀더 조립체내의 각 구멍(24,120)과 긴밀히 결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착탈식 수단.
  24. (정정)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작업 연결 조립체는 호닝 스톤 조립체(14,88,98,114)인 것이 특징인 착탈식 수단.
  25. (정정)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작업 연결 조립체는 호닝 안내 조립체(106)인 것이 특징인 착탈식 수단.
  26. (정정) 제23항에 있어서, 작업 연결 조립체와 마스터 홀더 조립체 사이에 압력을 가하여 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그 사이에 쐐기식 공구의 일부(58,77)를 삽입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노출된 슬롯(90)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착탈식 수단.
  27. (정정)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작업 연결 조립체는, 마스터 홀더 조립체로부터 상기 착탈식 작업 연결 조립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마스터 홀더 조립체에 압력을 가하는데 이용하는 나사부재(78)를 협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또 조립체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보오(8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착탈식 수단.
  28. (정정)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긴 공구(72)는 상기 핸들부(73)상의 나사단부(78)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나사단부는 상기 카운터 보어와 나사체결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착탈식 수단.
  29. (정정) 가단성 재료로 형성된 제1부재(26,88,98,104,108,114)를, 대향면과 이 대향면 사이를 통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24,120)을 가지는 제2경질 지지부재(12,86,100,12)에 부착시키는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단성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는 구멍(24,120)과 정합되어 그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또 그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돌출부(42,112,118)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이를 통하는 구멍(44,113)을 가지고 상기 구멍의 적어도 일부(48)는 상기 구멍의 다른 부분보다 단면의 크기가 작으면서 비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단면이 작은 구멍부(48)는 돌출부가 그 속에 위치하였을때 상기 지지부재내의 구멍(24,120)속에 놓일 수 있게 위치되며, 공구(50,64,2)를 포함하는 수단은 감소된 단면의 구멍부(48)와 결합하여 구멍속에 있는 가단성 재료를 영구 소정적으로 변형 및 팽창시켜서 상기 지지부재내의 구멍(24,120)과 긴밀히 결합시키게 하는 작업 연결부(54,68,74)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부착수단.
KR1019840002391A 1983-05-23 1984-05-03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의 마스터 홀더에의 부착수단 KR870000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706783A 1983-05-23 1983-05-23
US????497,067 1983-05-23
US497067 1990-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915A KR840008915A (ko) 1984-12-20
KR870000425B1 true KR870000425B1 (ko) 1987-03-10

Family

ID=2397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391A KR870000425B1 (ko) 1983-05-23 1984-05-03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의 마스터 홀더에의 부착수단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JP (1) JPS59219163A (ko)
KR (1) KR870000425B1 (ko)
AR (1) AR241874A1 (ko)
AT (1) AT393100B (ko)
AU (1) AU550386B2 (ko)
BR (1) BR8402450A (ko)
CA (1) CA1220032A (ko)
CH (1) CH671541A5 (ko)
DE (1) DE3406454A1 (ko)
ES (1) ES286508Y (ko)
FR (1) FR2546583B1 (ko)
GB (1) GB2142861B (ko)
IT (1) IT1173813B (ko)
MX (1) MX158272A (ko)
NL (1) NL189178C (ko)
SE (1) SE449062B (ko)
SU (1) SU1491325A3 (ko)
ZA (1) ZA846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2677B4 (de) * 2012-07-19 2014-05-15 Gehring Technologies Gmbh Honwerkzeug, insbesondere zum Positionshonen
CN113843704B (zh) * 2021-11-10 2022-12-23 中航动力株洲航空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珩磨油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9149E (en) * 1934-04-24 Abrasive stone holder
GB413403A (en) * 1933-02-09 1934-07-19 A T S Company Ltd Improved clip for holding sheet metal together
US2143176A (en) * 1935-12-23 1939-01-10 Eaton Mfg Co Valve tappe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641379A (en) * 1950-05-31 1953-06-09 Barbaro Joseph Method of relining brakes
US2726494A (en) * 1950-11-29 1955-12-13 Ammco Tools Inc Cylinder hone
GB740953A (en) * 1952-11-22 1955-11-23 Bernard Eugene Maurice Marie A process for fixing plates, more particularly metal plates, on a support
US3378962A (en) * 1964-03-06 1968-04-23 Sunnen Joseph Honing device
DE1502590C3 (de) * 1965-07-23 1975-03-27 Sunnen, Joseph, Clayton, Mo. (V.StA.) Honwerkzeug
US3403483A (en) * 1966-04-15 1968-10-01 Prec Hone Company Honing device for cylinders
US3641715A (en) * 1970-07-13 1972-02-15 Wedge Lock Honing Stone Co Honing apparatus
US3964011A (en) * 1974-03-18 1976-06-1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Single turn variable resistance device having a split shaft rotor
US3935786A (en) * 1974-11-01 1976-02-03 Illinois Tool Works Inc. Self-drilling rivet
FR2371252A1 (fr) * 1976-11-22 1978-06-16 Letang & Remy Ets Procede d'assemblage d'une piece sur une tole ou une plaque
US4278178A (en) * 1979-05-21 1981-07-14 Kerr Glass Manufacturing Corporation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CA1206757A (en) * 1981-10-26 1986-07-02 Sunnen Products Company Means for drivingly attaching a replaceable stone assembly to a master ston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71541A5 (ko) 1989-09-15
BR8402450A (pt) 1985-08-27
ES286508U (es) 1986-04-01
AU550386B2 (en) 1986-03-20
KR840008915A (ko) 1984-12-20
IT1173813B (it) 1987-06-24
JPS59219163A (ja) 1984-12-10
AU2456684A (en) 1984-11-29
SE8400217D0 (sv) 1984-01-18
IT8420002A0 (it) 1984-03-09
AR241874A1 (es) 1993-01-29
FR2546583A1 (fr) 1984-11-30
AT393100B (de) 1991-08-12
ATA87184A (de) 1991-01-15
ES286508Y (es) 1986-11-16
GB8412945D0 (en) 1984-06-27
DE3406454C2 (ko) 1989-09-21
CA1220032A (en) 1987-04-07
GB2142861B (en) 1986-04-09
ZA84602B (en) 1985-03-27
GB2142861A (en) 1985-01-30
NL8400303A (nl) 1984-12-17
MX158272A (es) 1989-01-18
NL189178C (nl) 1993-02-01
SU1491325A3 (ru) 1989-06-30
DE3406454A1 (de) 1984-12-20
SE8400217L (sv) 1984-11-24
FR2546583B1 (fr) 1988-06-10
NL189178B (nl) 1992-09-01
SE449062B (sv) 198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5228A (en) Nut cage and mount
US5112162A (en) Thread milling cutter assembly
US7600544B1 (en) Retainer for a rotatable tool
US4658875A (en) Knife holder
US7891084B1 (en) Extraction device for removing a quick-change tool holder from a base block mounting
US4162770A (en) Tooth breaker members
US20060238015A1 (en) Streamlining bit assemblies for road milling, mining and trenching equipment
US6261032B1 (en) Cutting tool with clamping device
US4776193A (en) Method for making flange half shells, as well as flanges formed by two flange half shells
US20060127192A1 (en) Deburring tool
US11207726B2 (en) Die for the manufacturing of elongate bodies
KR870000425B1 (ko) 교체식 스톤 및 안내 조립체의 마스터 홀더에의 부착수단
US6780116B2 (en) Wear resistant nail manufacturing tool inserts
US7331736B2 (en) Metal cutting tool
US6742735B2 (en) Tool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924051A (en) Split grip tip for mounting of electrode blanks
US20070141970A1 (en) Arbors and fasteners to afford two forms of easy/quick change mounting for abrasive discs
US4555875A (en) Means for attaching a replaceable stone and/or guide assembly to a master holder
US4505076A (en) Means for drivingly attaching a replaceable stone assembly to a master stone holder
US6997655B2 (en) Deburring tool
EP0406202B1 (en) A clamping device for making nails
CA1206757A (en) Means for drivingly attaching a replaceable stone assembly to a master stone holder
GB2083386A (en) Tool holder and edge tool bit
RU2163859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снятия фасок и заусенцев на кромках отверстий
WO1994011143A1 (en) Mount for shell type milling cut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