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296B1 - 차량용 확성 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확성 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296B1
KR870000296B1 KR1019840004189A KR840004189A KR870000296B1 KR 870000296 B1 KR870000296 B1 KR 870000296B1 KR 1019840004189 A KR1019840004189 A KR 1019840004189A KR 840004189 A KR840004189 A KR 840004189A KR 870000296 B1 KR870000296 B1 KR 87000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headset
telephon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649A (ko
Inventor
히로시 야수다
쿠니요시 마루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101984000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296B1/ko
Publication of KR86000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확성 전화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한 도면.
제2도는 종래의 무선 전화기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전화기 장치의 제1의 실시예를 표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3도의 무선 전화기 장치에 있어 고주파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5도는 제3도의 무선 전화기 장치에서 제어부에 대한 간략한 회로도.
제6도∼7도는 제5도에 있어 각 부분의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전화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간략한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한 제3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라우드 스피커 32 : 전화기 핸드셋
33 : 전화기 헤드셋 34, 35, 36 : 음성통로 스위치
37 : 소음 스위치 38 : 측음회로
43 : 조작키 45 : 제어부
44 : 훅크스위치 46 : 고주파신호제어부
459, 468 : 미분회로 460 : 지연회로
본 발명은 차량 탑재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어비스 구역내에서 이동하는 차량이나 다른 운반체에서 전화 호출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전화 시스템을 논의하면, 제1도에서 보인 것과 같이 차량 탑재 무선전화기(1)가 무선신호로써 기지국(2)과 통신하고 있다. 기지국(2)은 전화 선로를 통해 교환대(3)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무선 전화기(1)와 일반 전화 가입자(4)사이에 통화를 가능케 한다. 무선 전화기(1)와 기지국(2)사이의 통신에는 다수의 주파수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데, 적어도 그중의 하나는 제어를 위해 할당되고 그 나머지는 전화 통화에 할당되어 있다. 전화통화는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개시되고이어서 통화채널로 전환하여 통화가 이루어진다.
제2도는 종래의 무선 전화기 장치의 간단한 설명도로서, 음향 전송장치, 훅크스위치(21)와 고주파 제어부(19)를 포함한다. 음향 전송장치는 전화기 핸드셋(10), 마이크로폰(11), 스피커(12), 제1의 스위치(13), 제2의 스위치(14), 음성조절회로(15), 측음회로(16), 수신선(17), 송신선(18), 조작키(20)와 제어부(22)로 구성된다.
전화기 핸드셋(10)은 통상 통화중에 수신선(17)과 제2스위치(14) 및 측음회로(16)를 통해 고주파 제어부(19)로 부터의 가청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가청신호는 전화기 핸드셋(10)에서 측음회로(16), 제1스위치(13)와 송신선(18)을 통해 고주파 제어부(19)로 전송된다. 전화기 핸드셋(10)없이 통화하는 핸드-프리통화를 원할때 마이크로폰(11)과 스피커(12)를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폰(11)은 음성 조절회로(15), 제1스위치(13)및 송신선(18)을 통해 고주파 제어부(19)로 가칭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스피커(12)는 수신선(17), 제2스위치(14), 음성 조절회로(15)를 거쳐 고주파 제어부(19)로부터의 가청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릴레이 스위치 또는 송신기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제1스위치(13) 및 제2스위치(14)는 제어부(22)에서 발생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수신선(17) 및 송신선(18)을 측음회로(16) 또는 음성 조절회로(15)로 연결시켜 준다.
음성 조절회로(15)는 마이크로폰(11)에서 검출되는 가청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스피커 볼륨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핸드-프리 통화중에는 음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스피커(12)에서 나오는 소리는 적어지게 된다. 측음회로(16)는 측음 발생의 이득을 조절한다. 조작키(20)는 다이얼링 또는 숫자키와 송신(SEND)키, 종료(END)키, 변환(CHANGE)키로 구성된다. 송신키는 호출을 개시하고저 할때 사용하고, 변환키는 핸드셋 통화 또는 핸드-프리 통화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제어부(22)는 변환키의 조작에 따라, 또는 고주파 신호제어부(1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스위치(13)와 제2스위치(14)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2)는 또한 조작키(20)로부터 다양한 키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를 통해 고주파신호 제어부(19)로 전송한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19)는 무선 전화기 장치와 원격의 기지국 사이간의 통신을 제어한다. 이 고주파 신호 제어부(19)는 전화기 핸드셋(10) 또는 마이크(11)에서 취출한 음성 신호를 받아서 기지국(2)으로 송신되어지는 고주파 신호를 변조시킨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19)는 또한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변조된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시켜서 제어 신호나 음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무선 전화기 장치로 호출을 시작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12개의 숫자키를 조작하고 그 다음 송신키를 조작한다. 여기서 발생한 호출 개시 신호와 다이얼링 신호는 고주파 신호제어부(19)에 의해서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2)으로 송신되고, 기지국(2)으로부터 전송된 명령 신호에 따라 고주파 신호제어부(19)는 무선 전화기 장치가 여분의 통화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도록 만든다. 이어서 무선 전화기 장치와 기지국(2)를 통한 원격의 전화가입자 사이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무선 전화 장치에 있어서 전화 통화는 변환키의 동작에 의해 핸드셋(10) 또는 스피커폰(1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제1스위치(13) 및 제2스위치(14)가 변환키의 동작에 따라 수신선(17) 및 송신선(18)을 측음회로(16)에 연결시키면 핸드셋(10)이 사용되어 지고, 수신선(17) 및 송신선(18)을 음성조절회로(15)에 연결시키면 마이크(11) 및 스피커(12)가 사용된다.
만일 무선 전화기 장치가 다른 전화기의 호출을 받으면, 기지국(2)은 적절한 통신 주파수 채널로써의 제어 채널을 통해 호출 접수 확인신호를 전송한다. 호출 확인 신호와 통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받으면 고주파 신호 제어부(19)는 무선 전화기 장치가 할당된 통화채널로 통신할 수 있게 만든다. 더우기,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때 제1스위치(13) 및 제2스위치(14)는 수신선(17) 및 송신선(18)을 제어부(2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음성 조절회로(15)에 연결시킨다. 제어부(22)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고주파 신호 제어부(19)에서 인입되는 제어 데이타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만일 무선 전화기 장치가 다른 전화기의 호출을 받으면 고주파 신호 제어부(19)는 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보신호는 무선 전화기의 사용자가 송신키 또는 훅크 스위치(21)를 조작할 때까지 또는 고주파 신호 제어부(19)가 기지국(2)으로부터 해제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 발생된다. 경보신호는 고주파 신호 제어부(19)로부터 수신선(17), 제2스위치(14) 및 음성 조절회로(15)를 통해 스피커(12)로 전송되어 스피커(12)를 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선전화기 장치는 많은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화기가 핸드-프리 통화 모우드로 되어 있을 때, 즉 마이크와 스피커를 사용할 때 마이크로 검출된 음성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동 스피커 볼륨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값비싸고 복잡한 음성 조절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핸드-프리 통화에 있어, 마이크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신의 비밀을 지키기 어렵다. 더우기, 핸드-프리 통화중에 주위의 소리가 커지게 됨에 따라 스피커의 음량이 적어지게 되어 전화통화는 듣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프리 통화에 있어서도 개인의 비밀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무선 전화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핸드-프리 통화에 있어 종래의 무선 전화기 장치에서 필요했던 값비싸고 복잡한 음성 조절회로를 제거한 무선 전화기 장치를 위한 음성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프리 통화중에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전환시킬 수 있게 하는 무선 전화기장치를 위한 음성 전송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핸드-프리 통화에서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양상의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채용한 음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핸드-프리 통화에 사용하기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대신에 전화기 헤드 셋(headset)을 채택한 음향 전송 장치를 설치하였고, 이 음향 전송장치는 각각 전화기 핸드셋과 헤드셋을 포함하며, 이중 전화기 헤드셋은 헤드셋 또는 선택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신택되어 진다. 통상 통화중에, 음향 전송장치의 제어부는 무선 전화기 장치의 고주파 신호 제어부로 음성 신호를 입출력시키는 송신선 및 수신선으로 전화기 핸드셋을 연결시킨다. 반면에 사용자가 전화기 핸드셋 대신에 전화기 헤드셋을 사용하고자 했을 때, 헤드셋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어부는 자동적으로 전화기 헤드셋을 송신선 및 수신선에 연결시켜주며 이때 통화의 중단은 없다. 또한 제어부는 통화의 중단없이 사용자가 단순히 전화기 핸드셋을 들어올림에 의해 다시 전화기 핸드셋을 통해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한다. 또 장치내에는 전화기 핸드셋 또는 전화기 헤드셋중에 어느것이 송신선 및 수신선에 연결되었는가를 표시해 주는 시각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 장치가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음향 전송 장치는 고음스피커(31), 전화기 핸드셋(32), 전화기 헤드셋(33), 제1의 음성 통로 스위치(34), 제2의 음성 통로 스위치(35), 제3의 음성 통로 스위치(36), 소음스위치(37), 측음회로(38), 수신선 및 송신선(39,40), 헤드셋스위치 또는 선택스위치(41), 표시램프(42), 조작키(43), 핸드셋 스위치 또는 훅크스위치(44)와 제어부(45)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서와 같이 고주파 신호제어부(46)는 무선 전화기 장치와 원격의 기지국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상기 음향 전송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음향 전송 장치인 핸드셋(32)파 헤드셋(33)은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부터 수신선(39), 제3음성통로스위치(36), 측음회로(38) 및 제1음성통로 스위치(34)를 거쳐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음성 신호는 핸드셋(32)및 헤드셋(33)으로부터 제2음성 통로스위치(35), 측음회로(38), 소음스위치(37), 송신선(40)을 통해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 전송되어 진다. 여기서 핸드셋(32)은 무선 전화기 장치의 통상 통화중에 사용자의 손이 들려져 사용되고, 헤드셋(33)은 핸드-프리 통화중에 사용자의 머리위에 씌워져서 사용된다. 타우드 스피커(31)는 호출신호가 고주파 신호 제어부(46)에 유입될 때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부터 수신선(39)과 제3음성통로 스위치(36)를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음스피커(31)는 제3의 음성통로 스위치(36)의 접점 A에 연결되어 있다. 핸드셋(32)과 헤드셋(33)의 수화기는 제l의 음성통로 스위치(34) 및 제2의 음성통로 스위치(35)의 접점 A에 연결되고, 핸드셋(32)고 헤드셋(33)의 송화기는 제1음성 통로 스위치(34) 및 제2음성통로 스위치(35)의 접점 B이 각각 연결된다. 제1음성통로 스위치(34)와 제2음성 통로 스위치(35)의 접점 C와, 제3음성통로 스위치(36)의 접점 B와 소음스위치(37)의 접점 A는 모두 측음회로(38)에 연결되어 있다. 소음스위치(37)의 접점 R는 접지단자에 연결된다. 수신선(39)은 제3의 음성통로스위치(36)의 접점 C에 연결되고, 송신선(40)은 소음스위치(37)의 접점 C에 연결되어 있다.
헤드셋 스위치 또는 선택스위치(41)는 제어부(45)로 하여금 헤드셋(33)을 핸드셋(32) 대신에 스위치(34),(35),(36),(37) 및 측음회로(38)를 거쳐 수신선(39)과 송신선(40)에 연결시키게 한다. 헤드셋 스위치(41)는 헤드셋(33)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제어부(45)로 공급되는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램프(42)는 헤드셋(33)이 사용될 때 표시된다.
조작 키(43)는 12개의 숫자키, 송신(SEND)키, 종료(END)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키는 호출을 개시하고자 할때 사용하고, 종료키는 전화 통화를 종료시키고자 할때 사용한다. 제5-7도에 관련된 다음을 설명에서 더 상세히 나타나게 될 제어부(45)는 조작키(43), 헤드셋 스위치(41)와 훅훅크스위치(44)에 반응하여 음성통로 스위치(34),(35),(36)와 소음스위치(37)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5)는 또한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부터의 제어 데이타에 반응하고 또 조작 키(43)의 다양한 키 데이타와 핸드셋스위치 또는 훅크 스위치(44)의 온-오프 데이타를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 전송한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핸드셋(32) 또는 헤드셋(33)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 전송되어지는 고주파 신호를 변조시킨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또한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변조 주파수를 수신하여 이들 신호를 복조하고 수신선(39)으로 전송되어지는 제어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발생시킨다. 고주파 신호제어부(46)는 또한 제4도의 플로우 챠트에 연관된 이하의 동작 설명에 따른 경보신호 a, 사용신호 b, 해제신호 c를 발생한다. 전원을 무선 전화기 장치에 인가할 때,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플래그의 리세트 동작을 포함한 미리 지정된 개시 동작을 실행한다. 이것은 무선 전화기 장치가 대기 상태로 있게 됨을 뜻한다.
대기(스탠 바이) 상태로 있게 되는 동안 다른 전화기의 호출이 있게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즉, 고주파 신호 제어부(46)가 기지국(2)으로 부터의 호출확인신호를 수신하면,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제어부(45)로부터의 훅크 신호 P가 고레벨 신호로 변화할 때까지 또는 해제 신호(c)가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될때까지 경보신호(a)를 발생한다. 여기서 만일 해제 신호(c)가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되면 무선 전화기장치는 그 대기 상태로 다시 되돌아가며, 만일 훅크 신호 P가 고레벨 신호로 변화하면 사용신호 b가 발생되고 경보신호 a가 중지되어 전화 통화가 시작하게 된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46)가 기지국(2)으로부터 호출 확인신호를 받지 못했을 지라도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제어부(45)로부터의 송신키 데이타 및 다이얼 데이타에 반응하여 사용신호 b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신호 b가 발생될 때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호출 개시신호 및 다이얼링 신호를 기지국(2)으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전화 통화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45)로부터의 훅크신호 P가 저레벨신호로 변화되거나 종료키 데이타가 고주파 신호 제어부(46)에서 수신되면,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사용신호 b의 발생을 중지하며 무선 전화기 장치를 다시 대기상태로 만든다. 전화 통화중에 기지국(2)으로부터 해제신호(c)가 수신되면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해제신호 C를 전화기 장치로 전송하고, 사용신호 b의 발생을 중지시켜 다시 전화기 장치를 대기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 장치의 사용자가 호출을 개시하고자하면, 사용자는 먼저 조작키(43)의 12개의 다이얼링 또는 숫자키를 조작하고 나서 송신키(SEND)를 조작시킨다. 키 데이타는 제어부(45)에서 수신되어 데이타 버스를 통해 고주파 신호 제어 제어부(46)로 전송된다. 이러한 키 데이타에 반응하여 호출개시 신호 및 다이얼링 신호는 제어채널을 통해 고주파 신호 제어부(46)에서 기지국(2)으로 전송되며, 기지국(2)에서 다시 되돌아오는 명령신호에 따라서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사용 가능한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그 채널로 전화통화가 이루어 지게 한다.
대기 상태로 있을 때 제어부(4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제1 및 제2음성 통로스위치(34),(35)는 핸드셋(32)을 측음회로(38)에 연결시키고, 제3음성 통로 스위치(36)는 라우드스피커(31)를 수신선(39)에 연결시키고, 소음스위치(37)는 송신선(40)을 접지 단자로 연결시킨다. 전화 호출을 주고 받고하는 동안에 송신키 또는 훅크스위치(44)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제3음성 통로스위치(36) 및 소음스위치(37)는 제어회로(45)로부터의 또다른 제어신호에 따라서 측음회로(38)를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핸드셋(32)은 사용자가 송신키를 조작하어 호출을 개시할 때 음성통로스위치(34),(35) 및 (36), 소음스위치(37), 측음회로(38)를 통해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핸드셋(32)을 사용한 것이고 램프(42)는 꺼져 있다. 그러나 사용 신호 b가 제어부(45)에서 수신되고 있을 동안에 사용자가 헤드셋스위치(41)를 작동시키면 헤드셋(33)은 음성통로 스위치(34),(35),(36) 소음스위치(37), 측음회로(38)를 통해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사용자가 핸드셋(32) 대신에 헤드셋(33)을 사용하는 것이고 램프(42)가 켜지게 된다.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 장치가 다른 전화기의 호출을 받으면 기지국(2)은 제어채널을 통해 통신 채널의 적절한 주파수로 호출 확인신호를 전송한다. 이 신호를 수신하면,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할당된 통신채널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경보신호 a를 발생시킨다. 이 경보신호 a는 수신선(39) 및 제3음성 통로스위치(45)를 통해 제어부(36)와 라우드스피커(31)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라우드 스피커(31)의 경보음에 반응하여 훅크스위치(44)를 작동(오프-훅크동작)시키거나 송신키를 작동시키면, 핸드셋(32)이 음성통로 스위치(34),(35),(36)와 소음스위치(37)와 측음회로(38)를 통해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되어 진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핸드셋(32)을 사용한 것이고 램프(42)는 작동되지 않는다. 만일 경보신호 a가 수신되어 사용자가 헤드셋스위치(41)를 작동시키면, 헤드셋(33)이 음성통로 스위치(34),(35),(36), 소음스위치(37)와 측음회로(38)를 통하여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된다. 따라서, 헤드셋(33)이 작동하게 된다.
전화 통화중에라도 사용자는 헤드셋스위치(41)를 작동시켜 핸드셋(32) 대신에 헤드셋(33)으로 통화할수 있다. 헤드셋(33)은 제어부(45)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헤드셋(33)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헤드셋(33)의 사용중에 헤드셋스위치(41)를 작동시킨 다음 훅키스위치(44)를 동작(오프-훅크동작)시키면 핸드셋(32)이 제어부(45)의 또다른 제어신호에 따라서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어부(45)에 대한 상세한 회로를 나타낸다. 램프(42)는 발광다이오드(421)와 저항(422)을 포함한다. 제어부(45)는 저항(450), (465), 인버터 (451),(457),(458),(466), AND게이트(461),OR게이트(454),(462),(464), D형 플립플롭(452),(453),RS플립플롭(456),미분회로(459),지연회로(460)와 CPU(463)를 포함하고 있다. 제6∼7도는 제5도의 각 부분에서 발생한 신호를 나타낸다. 제6도는 전화 호출을 받았을 때 발생되는 신호를 나타내고 제7도는 전화호출을 전송했을때 발생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제6-7도에 관련된 동작단계는 이하의 설명에서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중앙처리장치(CPU : 463)는 고주파신호 제어부(46)로 부터의 경보신호 a와 사용신호 b에 따라서 경보신호 a'와 사용신호 b'를 발생한다. 전화호출을 수신할때에 CPU(463)는 경보신호 a를 수신하고 고레벨의 경보신호 a'를 발생시켜 D형 플립플롭(453)의 단자 D로 공급한다. 동시에 저레벨의 사용신호 b'는 D형플립플롭(452)의 단자 D로 공급된다. 사용자가 핸드셋(32)을 들어올리면 훅크스위치(44)가 폐쇄되어 인버터(466)와 OR게이트(464)가 고레벨신호 P를 출력하게 만든다. 고주파신호 제어부(46)는 경보신호 a의 전송을 중지하고 고레벨신호 P(오프-훅크신호)를 수신하자마자 사용신호b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46)는 또한 CPU(463)로 제어데이터를 공급하고 이것은 측음회로(38)를 수신선(39)과 송신선(40)에 연결시키는데 사용한다. CPU(463)가 상기 제어 데이타를 수신할 때 CPU(463)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측음회로(38)를 제3음성 통로스위치(36)와 소음스위치(37)를 통해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 시키게 한다. CPU(463)가 사용신호 b를 수신했을 때 CPU는 고레벨의 사용신호 b′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D형 플립플롭(452)의 단자 D로 공급한다. 동시에, 저레벨의 경보신호 a'가 D형 플립플롭(453)의 단자 D에 인가되어 진다.
만일 사용자가 핸드셋(32)의 사용중에 헤드셋스위치(41)를 동작시키면(이 스위치는 순간접촉 스위치이다, 인버터(451)의 입력신호 d는 로우신호로 변화되고 인버터(451)는 일시적으로 하이신호 e를 출력시킨다. 하이신호 e는 D형 플립플롭(452),(453)의 클록단자에 공급된다. 플립플롭(452)과 OR게이트(454)는 일시적으로 하이신호 g를 출력시켜 RS플립플롭(456)의 단자 S로 공급하고 RS플립플롭(456)은 다시 하이신호 h를 출력시킨다. 이때, 인버터(458)는 헤드셋(33)을 측음회로(38)에 연결시켜주는 저레벨의 제어신호 i를 출력시키고, 인버터(457)는 발광다이오드(421)를 작동시키는 저레벨신호 j를 출력시키고 OR게이트(464)는 하이신호 P(오프-훅크신호)를 출력한다.
헤드셋(33)의 사용중에 사용자가 조작키(43)의 종료키(END)를 조작하면 CPU(463)는 RS플립플롭(456)의 리세트 단자에 연결된 OR게이트(462)로 폭이 좁은 펄스 m을 전송한다. 이것은 RS플립플롭(456)을 리세트시키고 출력에 저레벨신호 h를 제공한다. 이때, 인버터(458)는 핸드셋(32)을 측음회로(38)에 연결시키게 하는 고레벨제어신호 i를 출력하고, 인버터(457)는 발광다이오드(421)를 소등시키게 하는 하이 신호 j를 출력시키고 OR게이트(464)는 로우신호 P(온-훅크신호)를 출력한다. 고주파신호 제어부(46)는 로우신호 p를 수신하자마자 사용신호 b의 전송을 중지시킨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CPU(463)로 제어데이타를 전송한다. CPU(463)는 이 제어데이타를 사용하여 라우드 스피커(31)를 수신선(39)에 연결시키고 또한 접지 단자를 음성통로 스위치(36) 및 소음스위치(37)를 통하여 송신선(40)에 연결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전화호출을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CPU(463)는 사용신호 b를 수신하고, 고레벨의 사용신호 b'를 발생하여 이것을 D형 플립플롭(452)의 단자 D로 인가한다. 이에 저레벨의 경보신호 a'는 D형 플립플롭(453)의 단자 D로 인가된다. 사용자가 헤드셋 스위치(41)를 폐쇄하면 발광다이오드(421)가 작동되며 OR게이트(464)는 하이신호 p(오프-훅크신호)를 출력하여 헤드셋(33)이 음성통로 스위치(34) 및 (35)를 통해 측음회로(38)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헤드셋(33)을 사용중에 다시 헤드셋스위치(41)를 작동시키면(오프-훅크동작) OR게이트(454)는 하이신호 g를 출력시킨다. 반면에 하이신호 g가 미분회로(459)에 인가된다. 미분회로(459)는 좁은 펄스 f를 출력하고 지연회로(460)는 하이신호 k를 출력시킨다. AND게이트(461) 및 OR게이트(462)가 RS플립플롭(456)의 리세트단자에 인가되는 좁은 펄스 l을 출력하기 때문에 RS플립플롭(456)은 리세트되고 로우신호 h를 출력시킨다. 그러면 인버터(458)는 고레벨신호 i를 출력시켜 이것은 핸드셋(32)을 음성통로스위치(34),(35)를 거쳐 측음회로(38)에 연결시키게 하며, 인버터(457)는 발광다이오드(421)를 소등케 하는 하이신호 j를 출력시킨다. 훅크스위치(44)는 이제 폐쇄되고 하이신호 p(오프-훅크신호)가 발생되어 사용자가 핸드셋(33) 대신에 헤드셋(33)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핸드셋(32)를 제자리에 내려 놓게되면 훅크 스위치(44)가 개방되고,OR게이트(464)가 로우신호 p(오프-훅크신호)를 출력시킨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로우신호 p를 수신하자마자 사용신호 b의 전송을 중지한다.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는 이때 제어데이타를 CPU(463)로 전송한다. CPU(463)는 이 데이타 신호를 사용하여 라우드 스피커(31)를 수신선(39)에 연결하고 접지단자를 송신선(40)에 연결시키게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CPU(463)가 고주파신호 제어부(46)로부터 해제신호 c를 수신하면, CPU(463)는 좁은펄스 n을 발생하여 RS플립플롭(456)을 리세트시킨다. 그다음 CPU(463)는 라우드 스피커(31)를 수신선(39)에 연결시키고 접지단자를 송신선(40)에 연결시킨다. 이것은 전화 통화가 종료됨을 뜻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45)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도와 8도 사이의 차이점은 제8도에 미분회로(468)와 OR게이트(467)의 기능을 추가시킨 것이다. 여기서 미분회로(468)는 훅크스위치(44)로부터 신호 O를 수신하고, 이 신호가 하이일 때 좁은 펄스신호 q를 발생한다. 좁은 펄스신호 q는 RS플립플롭(456)을 리세트 시키기 위해 OR게이트(467)를 거쳐 RS플립플롭(456)에 인가된다. 사용자가 헤드셋(33)의 사용중에 핸드셋(32)을 들게되면, 미분회로(468)는 좁은 펄스신호 q를 발생시켜 RS플립플롭(456)을 리세트 시킨다. 그 다음 RS플립플롭(456)의 출력신호 h는 로우신호로 변환되며 인버터(457) 및 (458)은 하이신호 j 및 i를 출력시킨다. 동시에,OR게이트(464)는 하이신호 p(오프-훅크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측음회로(38)가 고레벨제어신호 j이 반응하여 헤드셋(33) 대신에 핸드셋(32)과 연결됨으로서 사용자는 핸드셋(32)으로 사용전환할 수 있다.
제8도의 제어부(45)에 있어서 사용자는 헤드셋(33)의 사용중에 핸드셋(32)을 들어 올림에 의해서 헤드셋 대신에 핸드셋으로 전환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제9도는 제어부(45)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여기서 제5도의 제어부에 있는 개별소자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설명을 위해 삭제되었다. 전원을 연결하면, 제어부(45)는 미리 지정된 초기 동작을 수행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이것은 핸드셋(32)을 측음회로(38)에 연결하고, 스피커(31)를 수신선(39)에 연결하고, 송신선(40)을 접지 단자에 연결하고, 램프(42)를 소등하고 핸드-프리모우드로 동작하는 시스템을 리세트 시킨다.
그 다음 단계는 경보신호 a 또는 사용신호 b중에 어느것을 제어부(45)로 전송하느냐를 결정하는 것이다. 고주파 신호제어부(46)에서 사용신호 b가 전송되고 이 신호가 접수되지 않았다면(스위치(41)가 폐쇄되지 않았을때), 제어부(45)는 핸드셋(32)이 오프-훅크 되었는지에 의해 훅크 스위치(44)의 상태를 조사한다. 훅크스위치(44)의 상태가 오프-훅크 상태로 변화되었다면 제어부(45)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측음회로(38)를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시키게 한다. 오프-훅크 상태에 있어서 종료키로부터의 데이타가 입력되었는지 또 해제신호 c가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이 이루어 진다. 상기 입력이나 수신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측음회로(38)는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되고, 오프-훅크 신호가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 전송되어 신호 a와 b중이 어느것이 전송될 것인가 하는 결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온-훅크 상태어서, 스피커(31)는 수신선(39)에 인결되고 신호 a와 b중의 어느 것이 전송될 것인가 하는 결정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신호 a 또는 b가 전송되어 졌다면, 제어부(45)는 먼저 헤드셋스위치(41)의 상태를 파악한다. 스위치(41)가 '온'되었다면 제어부(45)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헤드셋(33)을 측음회로(38)에 연결시키고 또 측음회로(38)를 수신선(39) 및 송신선(40)에 연결시키게 한다. 제어부(45)는 또한 램프(42)를 점등시키고, 핸드-프리 통화를 설정하여, 오프-훅크 신호를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 전송한다. 제어부(45)가 상기 동작을 수행한 후에 헤드셋 스위치(41)가 동작되었다거나 또는 종료키 데이타가 입력되었다면, 또는 해제신호 c가 고주파 신호 제어부(46)로부터 수신되었다면, 제어부(45)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이는 핸드셋(32)을 측음회로(38)에 연결시키게 만든다. 제어부(45)는 또한 램프(42)를 소등시키고 본 장치를 핸드-프리통화 상태로 리세트 시킨다. 이때 핸드셋(32)이 오프-훅크 되었는가 하는 검사 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고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게서 가능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0)

  1. 전화 호출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화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기 장치는 고주파신호 제어부와, 이것에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발생하고 수신하기 위한 음향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음향 전송장치는, 전화기 핸드셋과, 전화기 헤드셋과, 상기 음향 전송장치를 고주파 신호 제어부에 연결하기 위한 송신선 및 수신선과, 전화기 헤드셋으로 전환키 위해 선택신호를 밭생하는 해드셋 스위치와,상기 헤드셋 스위치가 선택신호를 발생시켰을때 전화가 헤드셋을 접속시키는 제1의 제어신호와, 상기 선택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 핸드셋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의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헤드셋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전화기 헤드셋을 상기 송신 및 수신선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제어신호에 반응하고 상기전화기 핸드셋을 송신 및 수신선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반응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화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직 경보음이 울리는 시간을 포함한 전화 호출의 개시 및 종료에 요하는 기간동안 상기 헤드셋을 접속시키게 하는 제1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무선 전화기장치.
  3.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셋이 사용중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선택신호를 상기 헤드셋스위치가 발생할 때라도 상기 무선 전화기 장치가 전화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하도록 오프-훅크 데이타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화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제1의 제어신호가 발생된 후 또는 상기 헤드셋의 사용중에, 상기제어부는 사용자가 통화중단 없이 상기 핸드셋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2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헤드셋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화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전송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핸드셋을 사용할 때에 오프-훅크 신호를 발생하도록한 핸드셋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의 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후 오프-훅크 신호에 반응하고, 상기 헤드셋의 사용중에 사용자가 전화 통화의 중단없이 상기 전화기 핸드셋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2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화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전송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핸드셋을 사용할 때에 오프-훅크 신호를 발생키 위한 핸드셋,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셋 스위치 수단 및 상기 헤드셋 스위치 수단에 반응하여 상기 핸드셋 또는 헤드셋이 사용중에 있을 지라도 오프-훅크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화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전송 장치는 경보음 전달장치와, 상기 경보 전달 장치를 상기 수신선에 연결하고 상기 송신선을 접지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2의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의 스위치 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반응하여 상기 무선 전화기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스위치를 구동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전송 장치는 경보음 전달장치와, 상기 경보전달 장치를 수신선에 연결하고 상기 송신선을 접지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2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 전화기 장치가 대기 상태나 무응답 호출을 수신할 때에 상기 제2스위치를 구동 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화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전송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지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기 헤드셋이 사용중에 있을 때 표시를 위해 상기 제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화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제1의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전화기 헤드셋이 작동중일 동안, 상기 제어부는 전화 호출의 종료 또는 제2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또 다른 전화기에 모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화기 장치.
KR1019840004189A 1984-07-16 1984-07-16 차량용 확성 전화장치 KR87000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189A KR870000296B1 (ko) 1984-07-16 1984-07-16 차량용 확성 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189A KR870000296B1 (ko) 1984-07-16 1984-07-16 차량용 확성 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649A KR860001649A (ko) 1986-03-20
KR870000296B1 true KR870000296B1 (ko) 1987-02-25

Family

ID=1923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189A KR870000296B1 (ko) 1984-07-16 1984-07-16 차량용 확성 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5211A (en) * 1996-12-19 2000-03-07 Ericsson Inc. Dual use speaker for both voice communication and signalling
KR100331462B1 (ko) * 1999-12-30 2002-04-09 신승근 고열응력 저항성용 마그네시아-카본질 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649A (ko) 198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8178A (en) Wireless telephone apparatus including both a telephone handset and a telephone headset
JPS6182560A (ja) 電話装置
GB1166283A (en) Telephone Extension System with at Least One Remote Extension Station.
IL44474A (en) Battery saving system for duplex radio system
KR870000296B1 (ko) 차량용 확성 전화장치
JPH03213022A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60897B1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JPS6226938A (ja) 自動車電話装置
KR200225418Y1 (ko) 전화기용 이어폰
JPH05153035A (ja) 自動車用電話装置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JPH04324720A (ja) 車両無線通信システム用通話装置
KR20000043005A (ko) 차량용 단말기의 스위치를 이용한 통화/종료 키 온오프제어 방법
KR200209961Y1 (ko) 무선수신정보의 음성출력이 가능한 핸드프리
KR200240708Y1 (ko) 음성전송 단축다이얼 장치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200249938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JPH09181812A (ja) トーン信号自動切替機能付電話機
KR20030089135A (ko) 재발신 설정시간의 변환이 가능한 핸즈프리 시스템
JPH01179527A (ja) 無線式電話装置
JPH0731277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20033710A (ko) 음성 다이얼링 핸즈프리
JPH0629243U (ja) 電話システム
JPS62122426A (ja) セルラ−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