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508Y1 -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508Y1
KR860003508Y1 KR2019860011660U KR860011660U KR860003508Y1 KR 860003508 Y1 KR860003508 Y1 KR 860003508Y1 KR 2019860011660 U KR2019860011660 U KR 2019860011660U KR 860011660 U KR860011660 U KR 860011660U KR 860003508 Y1 KR860003508 Y1 KR 860003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drum
transverse
trolle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1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히꼬 구로끼
가오루 다테
Original Assignee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네모도 고오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377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93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6404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99281U/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20005668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2731A/ko
Application filed by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네모도 고오다로 filed Critical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11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2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10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preventing cable sl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제1도는 종래의 횡행 로프 긴장 장치의 일예를 표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프 구동장치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를 A-A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프 긴장 장치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상세도.
제6도는 제5도를 B-B 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프 2 : 가구(架構)
5 : 구동드럼 10 : 드럼지지가대(架臺)
12 : 종동드럼 13,14 : 로프홈
15 : 횡행로프 19 : 로프 긴장장치부
20 : 거더 21 : 연결핀
22 : 부움 23,24 : 고정시이브
28 : 긴장구동장치 29 : 상부 가이드 시이브
31 : 지지부재 32 : 긴장용 로프
33 : 가동시이브 34 : 고정점
35 : 트롤리
본 고안은 다리형 콘테이너 크레인등에 있어서의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로프 트롤리식 크레인등에 있어서는 트롤리 횡행용 로프의 로프단부가 구동드럼에 있고, 그 때문에 구동드럼에 트롤리의 횡행범위에 대응하여 나선상의 긴 로프홈이 필요하게 되어 구동드럼의 칫수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 콘테이너 크레인과 같이 부움, 거더의 내측을 트러스등으로 조립한 경우에는 로프를 구동드럼에 인도하는 출구가 문제로 되지만, 상기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나선상의 로프홈에 로프의 감긴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로프가 구동드럼의 출구에 있어서 트롤리의 횡행방향과 직각의 방향으로 크게 이동(요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필요한 공간 및 로프가이드가 커야 된다는 등의 문제를 가진다.
또, 로프 트롤리식의 크레인에 있어서는 드럼에 의한 구동력 전달을 위하여 횡행 로프를 긴장시켜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횡행로프(a)를 고정시이브(b,c)에 건후 가동시이브(d)에 걸어서, 이 가동 시이브(d)를 유압실린더(e)로 끌어당김으로써 횡행로프(a)의 길이를 조정하여 긴장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횡행로프(a)의 길이 조정을 유압실린더(e)만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유압실리더(e)가 고행정으로 되어 대단히 고가로 되는 문제를 가지며, 또 각 시이브(b),(d)간 및 (c),(d)간에 있어서 횡행로프(a)가 S자로 걸리기 때문에 횡행로프(a)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테이너 크레인과 같이 부움, 거더의 내측이 트러스로 조립된 경우의 횡행로프의 출구부에 있어서의 요동을 억압하여 로프 출구부의 필요한 공간의 감소와 로프가이드의 소형 간략화에 의하여 횡행로프를 부움, 거더등의 가구에 아래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구동드럽의 길이를 소형화 하고, 또 작은 작동행정으로 횡행로프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한 로프 긴장 장치를 구비한 트롤리의 횡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술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프 구동장치부(1)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거더 및 부움등의 가구(2)상의 예를들면 기계실내에 모터(3)의 구동에 의하여 감속기어(4)를 거쳐서 구동되는 구동드럼(5)을 베어링(6,7)에 의하여 지지해서 설치하고, 더우기 상기 베어링(6,7)의 하측부(가구(2)이 하측내부)에 핀(8,9)을 거쳐서 드럼 지지가대(10)를 매달아 설치하고, 이 드럼지지가대(10)의 하단부에 드럼축(11)을 거쳐서 상기 구동드럼(5)과 평행으로 종동드럼(12)을 설치한다. 상기 구동드럼(5) 및 종동드럼(12)의 외주면에 드럼축과 직각을 이루고 서로 평행하며, 또 드럼간에 있어서 반피치 어긋나게 형성한 복수개의 로프홈(13및 14)을 마련하여, 이 로프홈(13 및 14)들 사이에 횡행로프(15)를 걸어 돌려서 이 횡행로프(15)를 가구(2)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도출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중 16 및 17은 커플링, 18은 드럼지지가대(10)의 고정구를 표시한다.
상기 로프 구동장치부(1)에 있어서, 횡행로프(15)를 구동하기 위해 횡행로프(15)에 소요의 장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프 긴장장치부(19)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크레인의 거더(20)에 있어서의 연결핀(21)에 의한 부움(22)의 연결위치로부터 소요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2개의 고정시이브(23,24)를 동일축25)상에 설치하고, 또 상기 고정시이브(23,24)의 상방에 있어서의 전각(26)부상에 부착대(27)를 설치하여 이 부착대(27)의 상부에 실린더 등에 의한 긴장 구동장치(28)를 거쳐서 상부 가이드 시이브(29)를 매달아 설치하는 동시에, 부착대(27)의 중간부에 중간부 가이드 시이브(30)를 설치한다. 또 상기 고정 시이브(23,24)의 축(25)과 부착대(27)사이를 지지부재(31)로서 연결한다. 또, 상기 상부 가이드 시이브(29)에 건 긴장용 로프(32)의 일단에 가동시이브(33)를 고정하여 매다는 한편, 상기 긴장용 로프(32)의 타단을 중간부 가이드 시이브(30)를 거쳐서 상기 부움(22)의 연결핀(21)으로부터 소요의 거리를 둔 고정점(34)에 고정한다.
더우기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횡행로프(15)를 고정시이브(24)로부터 도입하여 가동 시이브(33)에 걸어 돌린후 고정시이브(23)로부터 도출되도록 링형으로 걸어 돌린다.
제7도는 상기 구성을 적용한 크레인의 전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단을 트롤리(35)에 고정(36)한 횡행로프(15)를 한측의 시이브(37)를 거쳐서 상기 로프구동장치부(1)에 있어서의 종동드럼(12)의 축방향 단부에 있어서, 로프홈(14)에 감은 후 상기 종동드럼(12)과 구동드럼(5)의 로프홈(13 및 14)사이를 드럼의 축방향 내측부로부터 상기 감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아낸다. 계속하여 상기 횡행로프(15)를 상기 로프 긴장장치부(19)에 있어서의 고정시이브(24)와 가동시이브(33) 및 고정시이브(23)간에 1회 링형으로 걸어돌린 후 타방의 시이브(38)를 거쳐서 상기 트롤리(35)에 그 타단을 고정(39)한다.
도면중 참조번호 40은 스프레더(41)의 시이브(42)에 감겨져서 그 권상을 행하는 권상로프, 43은 권상로프 드럼, 44는 상하로프, 45는 상하로프 드럼을 표시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모터(3)에 의하여 구동드럼(5)을 회전시키면 로프홈(13,14)의 마찰에 의하여 횡행로프(15)를 거쳐서 종동드럼(12)이 회전하고 횡행로프(15)의 권입과 권출이 동시에 행하여져 트롤리(35)의 횡행이 행하여진다. 이때, 종동드럼(12)을 구동드럼(5)의 하측에 구비한 것에 의하여 상기 구동드럼(5)을 가구(2)상의 기계실내등에 설치한 상태에서 횡행로프(15)를 구동드럼(5)으로부터 가구(2)의 하측으로 직접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로프홈(13,14)이 드럼축에 대하여 직각으로(나선홈이 아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이 회전하더라도 횡행로프(15)가 드럼출구에서 이동(요동)하는 일이 전혀없고, 또 구동드럼(5) 및 종동드럼(12)은 마찰용으로서 작용하여 로프홈(13,14)과 횡행로프(15)의 접촉에 의해 소요의 마찰력이 얻어지면 족하기 때문에 횡행로프(15)의 필요한 권수분의 길이만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횡행로프(15)의 길이를 대폭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상기 종동드럼(12)의 위치를 드럼지지가대(10)에 의하여 변화시킴으로서 로프 출구의 높이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가 있고, 또 상기한 바와같이 로프홈(13)과 (14)를 반피치 어긋나게 형성한 것에 의해 횡행로프(15)에 대한 만곡하중등을 경감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 로프 구동장치부(1)에 의하여 횡행로프(15)의 구동을 행할때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로프 긴장장치부(19)의 긴장구동장치(28)를 신축 조정하여 횡행로프(15)의 긴장을 행한다. 이때 긴장구동장치(28)는, 횡행로프(15)를 건 가동시이브(33)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부움(22)에 고정한 긴장용 로프(32)를 상부 가이드 시이브(29)를 거쳐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횡행로프(15)의 긴장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횡행로프(15)의 장력변화에 기인하는 가동시이브(32)의 이동행정의 1/2의 행정으로 할 수가 있어 긴장구동장치(28)를 소형화 할수가 있다.
또 제4도의 실선의 상태로부터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부움(22)을 상승시킬때 횡행로프(15)를 이완할 필요가 있지만 부움(22)에 고정한 긴장용 로프(32)의 고정점(34)이 Ⅰ 위치로부터 Ⅱ 위치까지 상부 가이드 시이브(29)에 가까이 가서 가동시이브(33)를 제5도의 Ⅲ 위치로부터 Ⅳ 위치까지 내릴수가 있으므로 본 긴장장치의 설치위치와 긴장용 로프(32)의 고정점(34)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에 의하여 긴장구동장치(28)의 행정을 거의 요하지 않고 부움(22)의 상하이동을 행할수가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고정시이브(23,24)와 가동 시이브(33)의 사이에 횡행로프(15)를 링형으로 걸도록 한것에 의하여 종래와 같은 S자 걸기를 없애고 횡행 로프(15)의 수면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기할 수 있다.
(1) 콘테이너 크레인과 같이 부움, 거더의 내측을 트러스트로 조립하고 있는 경우에는 로프 트롤리식으로 하였을 때의 로프출구가 문제가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구동드럼의 아래에 종동드럼을 배설하도록 하면 횡행로프의 움직이는 장소를 부움, 거더등의 가구의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구동드럼과 종동드럼에 드럼축과 직각인 로프홈을 마련하여 마찰차로서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횡행로프가 로프 출구에서 이동(요동)하는 일이 전혀 없고, 따라서 필요한 공간 및 로프 가이드를 작게 할 수가 있다.
(3) 구동드럼 및 중동드럼은 소요의 마찰력이 얻어지면 좋으므로 종래의 로프단부를 가진 구동드럼의 경우에 비하여 그 길이치수를 대폭으로 작은 것으로 할 수가 있다.
(4) 구동장치를 트롤리 상이아닌 가구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동 하중을 작게할 수 있다.
(5) 가동 시이브를 직접 긴장구동장치로 작용시키지 않고 일단을 가동시이브에 고정하여 타단을 부움의 소요위치에 고정한 긴장용 로프를 거쳐서 긴장구동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횡행로프의 긴장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부움의 상승 및 하강시에 있어서의 가동 시이브의 이동행정의 대부분을 이 긴장용 로프로 커버할 수가 있고, 또 긴장구동장치의 행정이 장력 변화에 기인하는 가동시이브의 이동 행정의 1/2의 행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긴장구동장치를 현저하게 소형화 할 수 가 있다.
(6) 로프 긴장장치부에 있어서 횡행로프의 S자 걸기를 없애는 것에 의하여 횡행로프의 대폭적인 수명 연장을 기할수가 있다.

Claims (2)

  1.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에 있어서, 구동드럼(5)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드럼(5)으로 부터 소요의 간격을 두어 종동드럼(12)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드럼(5) 및 종동드럼(12)의 각각의 외주면상에 드럼축에 직각인 로프홈(13,14)을 형성하고, 양단을 트롤리(35)에 고정한 횡행로프(15)를 상기 종동드럼(12)을 거쳐서 상기 종동드럼(12)의 로프홈(14)과 상기 구동드럼(5)의 로프홈(13)과의 사이에 걸어서 돌린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트롤리 횡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드럼(5)은 가대(10)의 상부에, 종동드럼(12)은 가대(10)의 하부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KR2019860011660U 1981-12-24 1986-08-02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KR860003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660U KR860003508Y1 (ko) 1981-12-24 1986-08-02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77381A JPS58109381A (ja) 1981-12-24 1981-12-24 ロ−プトロリ−の横行駆動装置
JP196404 1981-12-24
JP213773 1981-12-24
JP19640481U JPS5899281U (ja) 1981-12-24 1981-12-24 横行ロ−プ繁張装置
KR1019820005668A KR840002731A (ko) 1981-12-24 1982-12-17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KR2019860011660U KR860003508Y1 (ko) 1981-12-24 1986-08-02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5668A Division KR840002731A (ko) 1981-12-24 1982-12-17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508Y1 true KR860003508Y1 (ko) 1986-12-11

Family

ID=2747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1660U KR860003508Y1 (ko) 1981-12-24 1986-08-02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5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4619B2 (ja) 駆動綱車エレベータ
EP0806703B1 (en) Boom crane for a cameraman
US4778121A (en) Guiding on device for winchdrum
CA1169365A (en) Drive system for wire rope hoists
JPH0616369A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エレベータ
US5368124A (en) Device suspending a working cage
US3065861A (en) Rope crane
JPH06206677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装置
KR860003508Y1 (ko) 로프 트롤리의 횡행장치
US4183440A (en) Extensible boom
US3072265A (en) Boom rigging
GB2183212A (en) Apparatus for handling loads
KR20010021248A (ko) 크레인 장치
US3083932A (en) Automatic oscillating angle and offcenter compensator shaft and floating sheave combination apparatus
WO2002038481A1 (fr) Dispositif de compensation d'allongement de cable principal pour ascenseur
EP0980920A1 (en) Device for sensing snapped thread of a divided thread warper having a yarn tension controller and a divided thread guider
US11932522B2 (en) Rope guiding device of rope hoist
US3557540A (en) Stranding machine
JPS6190995A (ja) ケーブルクレーン
JPH1059700A (ja) 吊荷が揺動しない昇降装置
SU1386029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нат жени ленты конвейера
SU1440855A1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мещени грузовой каретки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JPH068994Y2 (ja) 竪型炉用剛体式垂直ゾンデ
US4809954A (en) Loop carriage
SU1216133A1 (ru) Стреловой к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