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279Y1 - 후로크 전사지 - Google Patents

후로크 전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279Y1
KR860003279Y1 KR2019840007367U KR840007367U KR860003279Y1 KR 860003279 Y1 KR860003279 Y1 KR 860003279Y1 KR 2019840007367 U KR2019840007367 U KR 2019840007367U KR 840007367 U KR840007367 U KR 840007367U KR 860003279 Y1 KR860003279 Y1 KR 860003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layer
melting point
transparent film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476U (ko
Inventor
김정남
Original Assignee
미농상사주식회사
이규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농상사주식회사, 이규갑 filed Critical 미농상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7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279Y1/ko
Publication of KR860001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28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thermochromic compounds or layers containing liquid crystals, microcapsules, bleachable dyes or heat- decomposable compounds, e.g. gas- liber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후로크 전사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사전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사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융점의 무색투명한 필름 3 : 후로크층
4 : 도안부 5 : 접착제층
본 고안은 고융점의 무색 투명한 필름상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상면에합성섬유를 세절한 후로크층을 전착식모한 다음, 전착식모된 후로크층상에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하여 도형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다양한 다색의 도안부를 형성한 다음, 이 도안부 상면에 다시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로 된 강력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상부에 열가소성수지분말을 살포건조시켜서 된 후로크전사지(flock 轉寫紙)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합성섬유를 세절한 후로크를 전착식모하는 기지(基紙)를 고융점의 무색투명한 필름으로 형성하여 의류나 직포등에 후로크전사지에 인쇄된 도안이나 문자등을 전사시킬때 고융점의 무색투명한 필름상에 그대로 표현되어 나타나게 되므로서 작업자가 도안이나 문자의 위치나 상태를 관찰할 수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정착(定着)시킬 수 있게 되어 잔사작업을 원할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전사시의 위치 정착 미비로 인한 불량 발생사례를 방지하여 전사코져 하는 피전사체예로서, 고가의 직물이나 의류등의 외관 손상등을 방지할 수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색도로 스크린 인쇄할때 기지인 고융점의 무색투명한 필름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색상의 핀트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선명하고 미려한 색상의 모양을 얻을 수 있는 후로크전사지를 제공함에 목적을 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본원인의 선특허(특허공고 75-214호) 후로크전사지는 대지를 종이로 하여 전사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서 제작 공정시나 사용시 다음에서 열거되는 바와 같은 여러가지 결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수 있는 바, 제작시에는 대지상에 전착식모된 후로크상에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하여 모양을 다색도 인쇄할때 대지가 수축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색상의 핀트가 틀려지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불량품 발생율이 높아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이 까다로워 작업능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시에는 대지자체가 불투명한 종이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의류나 직물들에 전사할때 도안이나 문자등의 무늬의 정착작업(定着作業)이 어려워 정확하게 무늬대로 재단한 다음, 전사시키게 되어 전사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할 뿐만아니라, 전사작업시 정위치에 무늬를 전사시키기 어려운 관계로 전사 불량사례가 발생될 염려가 있어 고가의 의류등을 손상시키는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대지면을 가열하여 전사시 후로크무늬부 상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수지로 된 접착제나 열가소성 합성수지 세분말자체가 종이로된 대지상에 용융 접착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종이가 접착된 상태로 전사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전사불량의 염려가 있는 등의 여러가지 제작, 사용시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이와 같은 제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지를 고융점의 무색 투명한 필름으로 하므로서 제작시 다색도로 스크린 인쇄할때 대지의 수축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핀트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선명하고 미려한 색상을 지닌 도안부가 형성된 전사지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시에는 고융점의 무색 투명한 필름이면에 표현된 무늬나 모양이 그대로 표출되게 되어 작업자가 무늬나 모양을 직시 관찰하는 상태에서 전사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정착시킬 수 있게 되어 전사작업을 누구나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사 작업 불량의 염려가 전혀없게 되어 고가의 의류나 직물에 누구나 손쉽게 전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고융점의 무색 투명한 필름(1) 상에 수용성 접착제층(2)을 도포하고, 이에 합성섬유를 세절한 후로크층(3)을 전기식모기에 의하여 전착식모하고, 직립되어 식모된 후로크층(3)에 소망하는 무늬나 도형 또는 문자등의 도안부(4)를 공지한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하여 소망하는 색상으로 인쇄한 다음, 도안부(4)상부에 아크릴에멀죤과 같은 열경화성수지 접착제(5)를 도안부(4) 인쇄 방법과 같은 스크린인쇄법에 의하여 도포한 다음, 열경화성수지 접착제(5) 건조전에 열가소성 합성수지 세분말층(6)을 살포건조 한다.
본 고안은 강력수지 접착제(5) 및 열가소성 합성수지 세분말층(6)은 대체로 저융점(약 100-140℃내외)의 수지를 사용하고 무색투명한 필름(1)은 고융점(약 180℃이상)의 필름을 사용하여 가열전사에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7은 의류나 직포 또는 금속특등과 같은 피전사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융점의 무색 투명한 필름(1)상에 전착식모된 후로크층(3)상에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하여 다색도로 무늬나 도형 또는 문자등의 도안부(4)를 형성할때 무색 투명한 필름(1)의 수축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서 색의 핀트를 일치시켜 선명한 다색도의 도안부(4)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색도 도안부(4)상에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하여 액상의 열경화성수지 접착제(5)을 도포할때 정확히 도안부(4)에만 도포시킬 수 있게 되어 전사시 선명한 색상의 도안부(4)만 정확히 전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하여 인쇄된 후로크층(3)의 도안부(4)가 무색투명한 필름(1)을 통하여 외부로 표출되게 됨으로써 다수의 도안부(4)가 인쇄된 1장의 무색 투명한 필름(1)상에서 1개의 도안부(4)를 재단하여 의류나 직포등과 같은 피전사체(7)상에 필름(1)이 상면으로 위치되게 하여 전사시 도안부(4)의 위치나 접착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투시, 관찰할 수 있게 됨으로서 도안부(4)를 정확히 소망하는 피전사체(7)부위에 정착시킬 수 있게 되어 전사작업을 누구나 불량 전자사례 없이 능률적이며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수축이 거의 없는 고융점의 무색 투명한 필름상에 후로킹 가공하여 후로크 전사지를 형성함으로서 도안부의 인쇄상태가 선명하고 양호한 전사지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색투명한 필름을 통하여 도안부의 위치나 접촉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게되어 불량전사를 방지하여 고가의 피전사체에 정확히 전사시킬 수 있으며, 전사 과정을 육안으로 파악하게 됨으로서 누구나 용이하고 간편하게 전사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고융점의 무색 투명한 필름(1) 전면(全面)에 후로크 층(3)을 전착식모하고, 후로크층(3)상에 다수의 도안부(4)를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하여 배열, 인쇄한 다음, 도안부(4) 상부에 스크린 인쇄방법에 의해 열경화성수지 접착제층(5)을 도포하고 이 상면에 공지한 열가소성 수지분말(6)을 살포,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후로크 전사지.
  2. 제1항에 있어서, 무색 투명한 필름(1)은 융점이 180℃이상이고 열경화성 수지접착제층(5)와 열가소성합성 수지분말(6)은 융점 100-140℃임을 특징으로 하는 후로크 전사지.
KR2019840007367U 1984-07-30 1984-07-30 후로크 전사지 KR860003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67U KR860003279Y1 (ko) 1984-07-30 1984-07-30 후로크 전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67U KR860003279Y1 (ko) 1984-07-30 1984-07-30 후로크 전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476U KR860001476U (ko) 1986-02-28
KR860003279Y1 true KR860003279Y1 (ko) 1986-11-22

Family

ID=1923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367U KR860003279Y1 (ko) 1984-07-30 1984-07-30 후로크 전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2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57B1 (ko) * 2001-04-04 2004-04-13 이근무 식모 인쇄장치 및 방법
KR100464136B1 (ko) * 2002-01-24 2005-01-03 이보건 플록을 직물지에 식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57B1 (ko) * 2001-04-04 2004-04-13 이근무 식모 인쇄장치 및 방법
KR100464136B1 (ko) * 2002-01-24 2005-01-03 이보건 플록을 직물지에 식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476U (ko) 198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8956A (en) Method of making a differentially shrunk flocked fabric, and flocked fabric product
US4810549A (en) Plush textured multicolored flock transfer
US8546279B2 (en) Cloth material for marking
KR870000886A (ko) 표면형 파스너의 전면에 기호를 넣는 방법
US5306374A (en) Tacky pattern craft transfer process
KR860003279Y1 (ko) 후로크 전사지
CA2075597A1 (en) Method of printing on natural fiber fabrics
US4439202A (en) Embroidered transf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056648A (en) Transfers
JPH05214681A (ja) 合成樹脂織布又は不織布の両面染色方法
JP2572925B2 (ja) 刺しゅうの染色方法
KR950002716B1 (ko) 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890004739B1 (ko) 전사날염 자수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160536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corative stenciling
GB1604034A (en) Decoration of articles of clothing and the like
US2769723A (en) Needlework canvas carrying a stitchwork pattern and method of stencilling said pattern thereon
JPH02171276A (ja) 多品種少量用昇華転写方法
KR100841174B1 (ko) 다색 및 복합문양의 섬유식모전사지와 그의 제조방법
KR200176072Y1 (ko) 승화 열전사용 전사지
US1168747A (en) Ornamental flocked design.
JP3006738U (ja) 装飾タオル
US1044322A (en) Wall-covering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S6392789A (ja) カ−ペツトの製造方法
JPS5928186B2 (ja) 布帛の色付立体柄の形成方法
JPS62231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