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909Y1 -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909Y1
KR860002909Y1 KR2019830006731U KR830006731U KR860002909Y1 KR 860002909 Y1 KR860002909 Y1 KR 860002909Y1 KR 2019830006731 U KR2019830006731 U KR 2019830006731U KR 830006731 U KR830006731 U KR 830006731U KR 860002909 Y1 KR860002909 Y1 KR 860002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outdoor
indoor
spacer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84U (ko
Inventor
가르트너 카알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2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with angles or corners in the curtain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
제1도는 본 고안의 모서리 구조체가 장착되어 있는 방의 외부로부터 이 모서리 구조체를 바라다 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 선 단면도.
제3도는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부재 (2) : 수평부재
(3) : 판넬 (4) : 압압체
(5) : 실내편(片) (6) : 실외편
(7) : 스페이서 (8) : 나사
(10) : 단열재 (11) : 가스켓
(12) : 홈 (13)(14) : 판넬홀더
(15)(16) : 나사수용부 (18) : 밀봉재
본 고안은 단열성(斷熱性)의 장막벽(curtain wall)에 있어서의 모서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장막벽에 있어서, 이 장막벽의 열절연 특성은 이 장막벽에 있어서의 공기조절 효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만약, 이 장막벽의 판넬부분은 충분한 열절연 기능을 나타내더라도 그 판넬부분이 아닌 모서리부분 등의 열절연성이 불충분하다면, 이 장막벽의 전체적인 열절연성은 상당한 정도로 감소하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영국특허 제2,102,112호 및 제2,023,277호에는 모서리부재로로서 금속 골조열(列)을 사용한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영국특허에 의한 모서리 구조에 있어서는 실내부와 실외부 사이의 열전 연구조체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 장박멱의 전체적인 열절연성은 대단히 감소한다.
장막벽에 있어서는, 열절연에 관한 문제 이외에도, 모서리 구조체의 설치가 용이한가 하는 것과 그 외관이 우수한가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상술한 영국특허 제2,102,112호 및 제2,023,277호에서는 이러한 점들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충분한 열절연성을 갖는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며 외관이 우수한, 상술한 바와같은 모서리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을 간단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모서리 구조체는, 실내편(片)및 원호형의 실외편을 포함하는 지주(支柱)부재와, 실내편과 실외편 사이의 공간내에 배치된 단열재와, 이 단열재를 통하여 상기 실내편과 실외편 사이에 끼워진 원통형의 단열성 스페이서(spacer)와, 이 스페이서를 통과하여 상기 실내편과 실외편을 상호 연결시키는 나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편과 실외편의 각 측면 끝에는 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모서리 구조체에 있어서, 실내편과 실외편은 그 중간에 끼워진 단열재에 의해 상호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막벽이 설치되어 있는 방은 이 장막벽의 단열시스템에 영향을 미침이 없이도 효율적으로 냉각 및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재의 실내편과 실외편은 이들 실내편과 실외편의 사이에 끼워진 원통형스페이서와 나사에 의해 용이하고도 적극적으로 상호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판넬부재의 밀폐기능에 대해 전혀 악영향을 미침이 없다. 뿐만 아니라, 판넬내의 나사구멍을 통해 빗물이 모서리 구조체에 스며들더라도,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의 양측에 실내편 및 실외편이 접하여 완전히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 단열재로는 스며들지 못하며, 따라 충분한 열절연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실외편의 바깥면은 원호형으로 되어 있으며 실내편과 실외편은 최소 갯수의 나사를 이용하여 상호결합되기 때문에, 이 장막벽은 그 외관도 우수하고 설치하기도 용이하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한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그 잇점 및 기타의 목적에 대항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모서리 구조체를 포함하는 장막벽을 이 장막벽이 설치된 방의 외부로부터 들여다본 부분 사시도이다. 이 장막벽은 단위 장막벽돌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위 장막벽은 2개의 수직부재(도시예에 있어서, 이들중 하나는 지주부재(1)이며, 다른 하나는 도시되지 않았음)와, 상부 및 하부와 중간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수평부재(2)로 구성되어서 프레임을 제공한다. 수평부재(2)는 서로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지주부재(1)의 양측 면으로부터 뻗어나간다. 열절연성이 있는 장막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프레임내에는 예컨대 겹유리 혹은 단열성 판넬 등과 같은 판넬(3)이 끼워져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선 II-II를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부재(1)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 지주부재(1)에는 중공(中空)의 실내편(實內片)(5)과 원호형의 실외편(6)이 포함되며, 이들 실내편 및 실외편은 모두 예컨대 알루미늄 압출 등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이들 실내편(5)및 실외편(6)은 도시된 바와 같은 실질적인 부채꼴 단면을 갖는 지주부재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채꼴의 중심각이 90°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 각도는 본 고안의 개념을 벗어남이 없이도 여러가지로 변화될 수 있다.
판넬(3)은, 실내편(5)과 실외편(6)의 각각의 측면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판넬홀더(13)(14)에 의해 각각 형성된 홈(12)(12)내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제2도에서, 부호(4)는 압압체(押壓體)이며, 부호(11)은 판넬(3)과 실내편(5), 실외편(6)의 사이에 끼워진 가스켓(gasket)이다.
실외편(6)의 바깥면은 지주부재(1)의 바깥면으로 되는 것으로서, 이 바깥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외편(6)의 폭방향 중앙부분에는 나사구멍을 가진 나사 수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실내편(5)에도 상기 나사 수용부(15)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이 실내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나사 구멍을 가진 나사 수용부(16)가 돌출되어 있다. 예컨대 유리섬유와 같은 단열재(10)는 실내편(5)과 실외편(6)사이의 공간(17)에 배치되어 있다. 튜우브의 형태(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스페이서(7)는 단열재(10)를 통과하여 실내편(5)과 실외편(6)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충분한 강성(剛性)과, 견고하게 밀착되는 능력, 그리고 단열특성 등을 가진 물질로 성형되며, 이러에 물질의 예로서는 합성수지가 있다. 나사(8)는 스페이서(7)내에 형성된 구멍(9)으로 끼워져서 실내편(5)과 실외편(6)을 연결시킨다.
제3도는 스페이서(7)의 변형예로서, 이 경우에는 밀폐성이 높은 밀봉재(18)가 이 스페이서(7)의 양단부에 부착되어서, 나사 수용부(15)(16)의 사이를 적극적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실외편(6)의 나사 수용부(15)는 이 실외편(6)의 나머지 부분에 연속하며 이보다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8)를 조이는 도중에 이 나사 수용부에 변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나사 수용부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5)

  1. 각 측면의 단부에 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실내편(實內片)(5)과 원호형의 실외편(6)을 포함하는 지주부재(1)와, 이들 실내편과 실외편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7)내에 배치된 단열재(10)와, 이 단열재를 통하여 상기 실내편과 실외편을 사이에 끼워진 원통형의 단열성 스페이서(7)와, 이 스페이서를 통과하여 상기 실내편과 실외편을 상호 연결시키는 나사(8)로 구성되는 장막벽(curtain wall)의 모서리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편(6)에는 두께가 두꺼운 나사 수용부(15)가 포함되는 모서리 구조체.
  3.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7)가 합성수지로 형성된 모서리 구조체.
  4.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7)의 양단부에 밀봉재(18)가 위치된 모서리 구조체.
  5.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부채꼴인 모서리 구조체.
KR2019830006731U 1982-08-09 1983-07-30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 KR86000290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120889U JPS5924816U (ja) 1982-08-09 1982-08-09 コ−ナ−方立部
JP???57-120889 1982-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84U KR840006184U (ko) 1984-11-30
KR860002909Y1 true KR860002909Y1 (ko) 1986-10-23

Family

ID=1479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731U KR860002909Y1 (ko) 1982-08-09 1983-07-30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S5924816U (ko)
KR (1) KR860002909Y1 (ko)
CA (1) CA1193415A (ko)
GB (1) GB2127876B (ko)
HK (1) HK73088A (ko)
MY (1) MY8800025A (ko)
PH (1) PH25748A (ko)
SG (1) SG801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7107U (ja) * 1983-04-21 1984-11-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コ−ナ−方立
JP3855369B2 (ja) * 1997-05-26 2006-12-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ラジアントチューブの支持装置
CN102979224A (zh) * 2012-11-07 2013-03-20 安徽鑫发铝业有限公司 一种幕墙分体式转角结构
CN103510645A (zh) * 2013-10-23 2014-01-15 华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幕墙转角连接柱
CN103741850B (zh) * 2014-01-29 2015-04-15 广东银一百创新铝业有限公司 一种型材幕墙转角构架的安装方法及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30935L (en) * 1967-03-16 1968-09-16 Henry Cannon Buildings.
GB1311200A (en) * 1970-10-13 1973-03-21 Newalls Insulation Co Ltd Jointing of construction panels
JPS47283U (ko) * 1971-11-12 1972-06-26
JPS5756493Y2 (ko) * 1978-07-14 1982-12-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25748A (en) 1991-10-18
SG80187G (en) 1988-04-15
GB2127876A (en) 1984-04-18
JPS6326492Y2 (ko) 1988-07-19
KR840006184U (ko) 1984-11-30
GB8320403D0 (en) 1983-09-01
GB2127876B (en) 1986-04-16
MY8800025A (en) 1988-12-31
HK73088A (en) 1988-09-23
CA1193415A (en) 1985-09-17
JPS5924816U (ja) 198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664A (en) Interlocking skylight and roof panel assembly
US3080022A (en) Wall construction
GB2170255A (en) Insulated pillar
KR860002909Y1 (ko)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
KR870000537Y1 (ko) 유니트식 장막벽
KR860002910Y1 (ko) 건물벽 구조물
KR900004835Y1 (ko) 간막이벽 유니트 연결장치
JPS58131286A (ja) 多部分から成る断熱された金属成形体
KR870000249B1 (ko) 장막벽의 벽널 지지부
KR870000536Y1 (ko) 장막벽 벽널 지지장치
KR860002907Y1 (ko) 장막벽 유니트용 단열형재
JPH0122829Y2 (ko)
KR860002962Y1 (ko) 간막이벽용 열절연창
JPS6058390B2 (ja) 断熱板
JPH0427927Y2 (ko)
JPH0346088Y2 (ko)
JPH07286404A (ja) 外側断熱パネル
JPH0420895Y2 (ko)
JPS6125578Y2 (ko)
RU2144601C1 (ru) Комплект профил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ветопрозрач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JP2550780Y2 (ja) 断熱縦枠の連結構造
KR19990012863A (ko) 이중창틀용 이음부재 및 그를 이용한 이중창틀의 조립방법
RU6570U1 (ru) Металлическая балка
KR200261572Y1 (ko) 내차판넬
US2986243A (en) Prefabricated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