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537Y1 - 유니트식 장막벽 - Google Patents

유니트식 장막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537Y1
KR870000537Y1 KR2019830007110U KR830007110U KR870000537Y1 KR 870000537 Y1 KR870000537 Y1 KR 870000537Y1 KR 2019830007110 U KR2019830007110 U KR 2019830007110U KR 830007110 U KR830007110 U KR 830007110U KR 870000537 Y1 KR870000537 Y1 KR 870000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wall
space
groov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7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80U (ko
Inventor
히로미츠 가미나가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9/00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 Y10S49/01Thermal breaks f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니트식 장막벽
제 1 도는 여러개의 장막벽 유니트들이 함께 결합되어 구성되는 장막벽의 정면도.
제 1a 도는 제 1 도에 보인 장막벽 프레임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형재(形材) 2, 3 : 수직 및 수평부재
5 : 장착홈 7, 7a, 7b : 밀봉재
9, 9' : 홈 10 : 돌출부
13 : 받침대 15, 21 : 밀봉재
23, 26, 40 : 공간 24 : 단열벽널
25 : 커버 27, 29 : 구멍
35, 36 : 분할 스트립 43 : 방수판
이 고안은 일반적으로 장막벽에 관한 것이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니트식 장막벽에서 이웃한 유니트들 사이의 방수 및 단열 이음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유니트식 장막벽에서 이웃한 유니트들 사이의 이음매 구조물은 폭풍우때와 같이 빗방울이 장막벽의 바깥면에 세차게 몰아치더라도 실내에 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효과적으로 방수시킬 필요가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82-12654호는 유니트식 장막벽에서 이웃한 유니트들 사이의 이음매 구조물을 기술하고 있다. 이 구조물에서는 장막벽의 안쪽과 바깥쪽 사이에 하나의 공기 공간이 설정되어 있다. 공기 공간은 외부 대기와 연통하는 부분을 가지며, 이 공간에서 실내에 가까운 쪽과, 연통부분을 제외한 실내에서 먼쪽이 밀봉된다. 이러한 구조물을 하면 유니트식 장막벽의 바깥면으로부터 실외쪽에 있는 밀봉부분 속으로 물이 들어가려고 해도, 공기 공간의 압력이 대기의 압력과 같기 때문에 물이공기 공간속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공기 공간으로 물이 좀 들어오는 경우라도, 공기 공간과 실내 사이에 있는 밑봉부분에 부딪칠 만큼 충분한 운동략은 이미 상실되고 없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에서는, 공기 공간이 바깥 대기와 통해 있으므로 공기 공간에 들어 있는 공기의 온도가 대기중의 공기 온도와 같다. 이웃한 장막벽 유니트들의 프레임들이 이음매에서 공기 공간속의 공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구조는 뛰어난 단열효과를 가질 수가 없다.
이 고안의 목적은 방수 못지않게 단열 성능이 우수한 유니트들 상호간의 이음매 구조물을 가지는 유니트식 장막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고안은 여러개의 장막벽 유니트들이 옆으로 또한 위아래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유니트식 장막벽의 이웃한 유니트들 사이의 이음매 구조물을 개량하려고 했는데, 각 유니트는 각기 함께 연결되어 장방형 유니트 프레임을 형성하는 기다란 수직및 수평 부재들과 이 기다란 부재들이 만들어 놓은 구멍을 막기 위해 설치된 단열벽널로 구성된다.
이 고안에서는, 기다란 수직 및 수평 부재가 프레임 평면과 나란한 방향이며 밖으로 열린 홈들을 갖는 형재(形材)들로 구성된다. 홈들은 이웃한 프레임들의 홈끼리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한쪽 변을 따라서 홈이 나 있는 받침대가 형재의 실외쪽 측면에 설치되고 그곳에서 단열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고정된다. 각 형재와 관련 받침대 사이에 홈이 설정되어서 단열 벽널이 이곳에 끼워진다. 받침대의 홈은 이웃한 프레임에 설치된 받침대의 홈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내부 밀봉재가 프레임에 형성된 마주보는 홈에 끼워지고, 외부 밀봉재는 마주보는 받침대 속의 마주보는 홈에 끼워진다. 이웃한 프레임은 내부 및 외부 밀봉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장막벽 유니트의 형제 끝에서 바깥대기와 통해있는 공기 공간이 내부 및 외부 밀봉재와 단열 연결부재에 의해 설정된다. 공기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열 연결부재는 내부 밀봉재와 접촉해 있으므로 형재는 공기 공간속의 공기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를 참조하여 보면, 여러개의 장막벽 유니트(A)가 함께 연결되어 구성되는 장막벽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열 벽널(24)과 방수판(43)이 표시되어 있고, 장막벽 유니트(A)는 각기 높이(H)와 나비(W)를 가진다. 제1(A)도에 보인대로 장방형 프레임(F)은 적당한 장치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기다란 수직부재 (2)와 기다란 수평부재(3)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프레임(F)은 가로를(47)을 가진다. 유니트(A)는 겹유리(22)와 단열 벽널(24)을 프레임(F)에 부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제 2 도와 제 3 도는 각기 제 1 도의 Ⅱ-Ⅱ선가 Ⅲ-Ⅲ선 단면도이다. 지금부터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장막벽 유니트 이음매 부분의 단열 구조물을 설명하겠다.
먼저 제 2 도를 참조하면, 기다란 수직부재(2)를 구성하는 형재(1)가 마주서 있다. 이들 형재(1)는 각기 그의 실내쪽 측면에 가깝게 원통형 단면의 열매체 통로(4)를 가진다. 또한 그들은 각기 열매체 통로(4)를 따라 뻗어 있는 장착홈(5)을 가진다.
게다가 형재(1)는 각기 그것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방형 단면의 공기통로(6)를 가진다.
두개의 형재(1)는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홈(5)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단열 밀봉재(7)가 보조부품(8)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장착홈(5)에 끼워지며 그 사이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마주보는 형재(1)사이 공간의 실내쪽 끝은 밀봉재(7)로 밀폐된다.
온수나 냉수 같은 열매체가 이미 설명했던바 형재(1)에 형성된 열매체 통로(4))를 지나흐를 수 있고, 열매체 통로(4)를 따라 뻗어있는 공기통로(6)를 지나 흐르는 공기가 열전도를 받으면서 실내 공기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 고안은 특정한 이들 형재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주보는 형재(1)는 각기 실외쪽 측면에 이웃해서 프레임 평면에 나란한 방향이며 밖으로 열리도록 형성된 홈(9)을 가진다. 이들 홈(9)의 구멍은 서로 마주본다. 단열 밀봉재(7b)가 홈(9)에 끼워지며 그 사이로 연장된다.
형재(1)는 각기 홈(9)에 이웃해서 형성되며 직사각형에 가까운 돌출부(10)를 가진다. 돌출부(10)는 각기 속이 비었으며 내부 공간을 설정한다. 다리(11)가 달린 대략 장방형의 단열 연결부재(12)가 돌출부(10)에 끼워 맞추어진다. 두개의 받침대(13)가 단열 연결부재(12)의 실외쪽 측면에 각각 끼워 맞추어진다. 그들은 각기 연결부재(12)를 사이에 두고 나사(14)로 형재(1) 각각의 돌출부(10)에 고정된다.
밀봉재(15)가 돌출부(10)의 프레임 안쪽 측면에 끼워진다. 연결부재(12)의 다리(11) 가운데 하나가 밀봉재(15)의 결합면(16)을 누르는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이 부분을 기밀 및 방수 시켜준다.
받침대(13)는 또한 단열판(17)을 거쳐서 관련 형재(1)에 연결된다. 단열관(17)은 받침대(13)와 형재(1)사이의 열전도를 막아준다.
두개의 받침대(13)는 각기 연장부(31)와 연장부(32)로 되어있다. 홈(9')이 받침대(13)의 연장부(32)에 의해 프레임 평면에 나란하며 바깥쪽으로 열리고 또 서로 마주 보도록 설정된다. 외부 단열 밀봉재(7a)가 마주보는 홈(9')에 끼워지며 그 사이로 연장된다. 마주보는 형재(1)사이 공간의 실외쪽 끝은 단열 밀봉재(7a)로 밀폐된다. 내부 및 외부 단열 밀봉재(7b,7a)와 두개의 단열판(17)은 공간(40)을 이룬다. 공간(40)은 장막벽 유니트(a)의 끝에서, 즉 기다란 수직 및 수평부재(2,3)의 끝에서 바깥대기와 통해 있으며, 따라서 그의 내부 압력은 대기 압력과 평형을 이룬다.
받침대(13)와 형재(1)를 연결시키는 단열판(17)은 각기 단열 밀봉재(7b)와 협력하여 공간(40)에 이웃한 형재 부분(42)을 덮어주는 싸개(41)를 가진다. 싸개(41)의 한쪽 끝은 밀봉재(7b)와 접촉하므로, 형재(1)가 바깥 대기와 통해 있는 공간(40)속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같은 배치는 공간(40)으로부터 실내쪽에 가까운 형재(1)로의 열전도를 완전히 막을 수 있다.
형재(1), 연결부재(12)및 받침대(13)는 각기 밀봉이 되는 측면에서 프레임(F)안쪽으로 열려있고 그 둘레에 걸쳐 이어지는 홈(18,19)을 설정한다. 단열 벽널(24)이 밀봉재(15,21)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F)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엇밀릴 수 있도록 홈(18)에 끼워진다.
홈(18)에는 벽널(24), 받침대(13), 연결부재(12)및, 형재(1)에 끼워진 밀봉재(15)사이에 공간(23)이 설정된다. 다른 단열 벽널(24)도 비슷한 식으로 밀봉재(15,21)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F)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엇밀릴 수 있도록 홈(19)에 끼워진다. 공간(23) 역시 벽널(24)의 엇밀림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홈(19)에 설정된다.
두장의 커버(25)가 표시되어 있는데, 그들은 각기 공간(26)을 형성하도록 받침대(13)각각에 끼워 맞추어지며, 그 내면에서 튀어나온 분할 스트립(36)을 가진다.
커버(25)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 구멍(27)을 각기 가진다. 받침대(13)는 각기 공간(26)과 공간(23)을연결시키는 구멍(29)을 가진다. 따라서 공간(26,23)의 내부압은 대기압과 같게 유지된다.
제 3 도를 참조하여 보면, 서로 마주하여 기다란 수평부재(2)를 구성하는 형재(1')가 도시되어 있다. 형재(1)와 마찬가지로 형재(1')는 각기 실내쪽 측면에 가깝게 원동형 단면의 열매체 통로(4)와 , 이 열매체 통로(4)를 따라 뻗어있는 장착 홈(5)을 가진다.
더우기 형재(1')는 각기 그것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공기통로(6)를 가진다. 두개의 형재(1')는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홈(5)이 서로 수직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밀봉재(7)가 보조부품(8)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장착홈(5)에 끼워져서 그 사이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마주보는 형재(1')사이 공간의 실내쪽 끝은 밀봉재(7)로 밀폐된다.
열매체 통로(4)를 따라 뻗어있는 공기통로(6)를 지나 흐르는 공기에 열전도를 허용하면서 실내 공기를 조절시키기 위해, 온수나 냉수 따위의 열매체가 위에 설명했듯이 형재(1')에 형성된 열매체 통로(4)를 지나흐를 수 있다. 그러나 형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고안은 이들 형재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주보는 형재(1')는 각기 그의 실외쪽 측면에 이웃해서 프레임 평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밖으로 열리도록 형성된 홈(9)을 가진다. 이들 홈(9)의 구멍은 서로 수직으로 마주본다. 단열 밀봉재(7b)가 홈(9)에 끼워져서 그 사이로 연장된다.
서로 마주보는 형재(1')는 각기 홈(9)에 이웃해서 형성되는 대략 장방형 돌출부(10)를 가진다.
돌출부(10)는 각기 속이 비어서 내부 공간을 설정한다. 다리(11)가 달린 거의 직사형 단열 연결부재(12)가 돌출부(10)에 끼워 맞추어 진다. 두개의 받침대(13)는 단열 연결부재(12)의 실외쪽 측면에 각각 끼워맞추어 진다. 그들은 각기 연결부재(12)를 사이에 두고 나사(14)로 형재(1') 각각의 돌출부(10)에공정된다
밀봉재(15)가 돌출부(10)의 프레임 안쪽 측면에 끼워진다. 연결부재(12)의 다리(11)가운데 하나가 밀봉재(15)의 결합면(16)을 누르는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이 부분을 기밀 및 방수시켜 준다. 또 받침대(13)가 단열 연결부재(17)를 거쳐서 관던 형재(1')에 연결된다. 단열판(17)은 받침대(13)와 형재(1')사이의 열전도를 막아준다.
두개의 받침대(13)는 각기 연장부(31)와 연장부(32)로 되어있다. 홈(9')이 프레임 평면에 나라히 바깥쪽으로 열리고 또 서로 마주보도록 받침대(13)의 연장부(32)에 설정된다. 외부 단열 밀봉재(7a)가 마주보는 홈(9')에 끼워져서 그 사이로 연장된다. 마주보는 형재(1')의 사이에 있는 공간의 실외쪽 끝은 단열 밀봉재(7a)로 밀폐된다. 따라서 기다란 수직부재(2)의 사이에 있는 공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부 및 외부 단열 밀봉재(7b, 7a)와 두개의 단열판(17)은 기다란 수평부재(3) 사이에 공간(40)을 설정한다.
공간(40)은 장막벽 유니트(A)의 끝에서, 즉 기다란 수직 및 수평부재(2.3)의 끝에서 바깥 대기와 통해 있으며, 따라서 그의 내부압은 대기압과 평형을 이룬다.
받침대(13)와 형재(1')를 연결시키는 단열판(17)은 각기 단열 밀봉재(7b)와 협력하여 공간(40)에 이웃한 형재부분(42)을 덮어주는 싸개(42)를 가진다. 싸개(41)의 한쪽 끝은 밀봉재(7b)와 접촉하므로, 형재(1')가 바깥대기와 통해 있는 공간(40)속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같은 배치는 공간(40)으로부터 실내쪽에 가까운 형재(1)로의 열전도를 완전히 막을 수 있다.
형재(1'), 연결부재(12)및 받침대(13)는 각기 밀폐가 되는 측면에서 프레임(F)안쪽으로 열려있고 그 둘레에 걸쳐 이어지는 홈(18,19)을 설정한다. 판으로 된 겹유리(22)가 간격재(20)및 밀봉재(15,21)를 사이에 두고 홈(18)에 끼워진다.
홈(18)에는 겹유리(22), 받침대(13), 연결부재(12), 및 간격재(20)에 끼워진 밀봉재(15)의 협력으로 공간(23)이 설정된다. 이와 비슷한 식으로 단열 벽널(24)은 밀봉재(15,21)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F)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엇밀릴 수 있도록 남은 홈(19)에 끼워진다. 홈(19)에도 벽널(24)의 엇밀림을 받아 들이는 공간(23)이 설정된다.
방수판(43)이 받침대(13)와의 사이에 공간(26)을 형성하도록 상부 받침대에 끼워진다. 방수판(43)의 주요 부분은 하부 받침대(13)도 덮고 있다. 방수판(43)은 그의 내면에서 빠져나온 분할 스트립(35)을 가진다. 방수판(43)의 맨 아래는 입구(45)를 설정한다. 구멍(29)이 받침대(13)각각의 연장부(31)에 형성된다. 방수판(43)은 그의 내면으로부터 튀어나온 장착부(46)와 구멍(27)을 가진다. 따라서 공간(23,26)은 바깥 대기와 통해 있으며, 그들의 내부압은 대기압과 같게 유지된다.
지금까지 설명했던 대로, 기다란 수직부재(2)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와 기다란 수평부재(3)가 마주보는 사이의 이음매는 각기, 실외쪽에 있는 밀봉재(21,7a)와 비교적 실내쪽에 가까운 밀봉재(15,7b)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3,40)으로 하여금 바깥 대기와 통하고 대기압과 같은 압력하의 공기를 포함하게 하면서, 이중으로 밀폐되어 있다. 세찬바람 때문에 밀봉재(21,7a)와 이들 밀봉재를 지지하는 표면 사이로 침입할지도 모르는 물은, 공간(23,40)의 압력과 대기압력 사이에 아무런 압력 차이도 없으므로 이들 공간에 거의 들어가지 못한다.
혹시 언급된 공간에 물이 조금 들어가더라도, 실내쪽에 있는 밀봉재(15,7b)를 뚫고 실내로 들어가려는 모든 경향은 센힘으로 외벽을 때리던 물의 작용에 비해 훨씬 약하다. 그러므로 물이 실내로 들어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간(23,40)은 바깥 대기와 통해있기 때문에, 이들 공간에 들어있는 공기는대기중의 공기와 같은 온도를 가진다. 그러나 밀봉재(15,7b)및 단열 연결부재(12), 단열판(17) 때문에 형재(1,1')와 접촉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효과와 더불어 뛰어난 단열 효과를 갖는 건물벽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함께 연결되어 장방형 유니트 프레임(F)을 형성하는 기다란 수직부재(2)및 수평부재(3)와 이부재들이 만들어 놓은 구멍을 막기 위해 장착된 단열 벽널(24)로 각각 이루어진 여러개의 장막벽 유니트들(A)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니트식 장막벽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수직부재(2)및 수평부재(3)는 각기 그의 실외쪽 측면에 이웃해서 프레임 평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밖으로 열리며 서로 마주보도록 된 흠들(9)을 각각 가지는 형재들(1,1')로 구성된 것과, 상기 장막벽이, 프레임(F)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밖으로 열려진 홈(9')이 한쪽변을 따라 있는 받침대(13)들로서 실외쪽에서 단열판(17)을 사이에 두고 관련 형제(1,1')에 결합되어 형재(1,1')와 받침대(13) 사이에 벽널(24)을 보유하는 홈(18,19)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한 프레임(F)들에 결합된 받침대(13)의 홈(9')들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받침대(13), 상기 프레임의 상기 대향 홈들(9)에 각각 끼워지는 내부 밀봉재(7b)및 상기 받침대(13)에 형성된 상기 대향 홈들(9')에 끼워지는 외부 밀봉재(7a)로 구성된 것과, 상기 내부 및 외부 밀봉재(7a,7b)는 이웃한 프레임(F)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단열판(17)과 협력하여 바깥대기와 통하는 공간(40)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단열판(17)은 상기 형재(1,1')가 상기 공간(40)속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내부 밀봉재(7b)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식 장막벽.
  2. 제 1 항에 있어서, 바깥대기와 통하는 또 다른 공간(23)이, 끼워져 있는 단열 벽널(24)과 상기 단열 벽널(24)과 관련 받침대(13)사이에 있는 빌봉재(21)와, 상기 단열벽널(24)과 관련 형재(1,1')사이에 있는 밀봉재(15)및 상기 단열판(17)에 의해 상기 홈(18,19)의 각각에 형성되는 유니트식 장막벽.
KR2019830007110U 1982-08-16 1983-08-12 유니트식 장막벽 KR8700005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123946U JPS5928109U (ja) 1982-08-16 1982-08-16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連結部の断熱構造
JP???57-123946 1982-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80U KR840006180U (ko) 1984-11-30
KR870000537Y1 true KR870000537Y1 (ko) 1987-02-19

Family

ID=1487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7110U KR870000537Y1 (ko) 1982-08-16 1983-08-12 유니트식 장막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25482A (ko)
JP (1) JPS5928109U (ko)
KR (1) KR870000537Y1 (ko)
CA (1) CA1189673A (ko)
GB (1) GB2127878B (ko)
HK (1) HK82288A (ko)
PH (1) PH208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049A (ja) * 1982-08-02 1984-02-0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建築用形材
CA1228708A (en) * 1983-04-21 1987-11-03 Hiromitsu Kaminaga Heat-insulating frame assembly for use in curtain wall construction
US4590725A (en) * 1983-04-26 1986-05-27 Yoshida Kogyo K. K. System for sealing cross joint of four adjacent curtain wall units
GB2172911B (en) * 1985-03-30 1988-09-01 James Alan Macey Curtain walling
DE3540385A1 (de) * 1985-11-14 1987-05-21 Eltreva Ag Fassadenkonstruktion aus metallprofilen
DE3621942A1 (de) * 1986-05-22 1987-11-26 Gartner & Co J Rahmenlose verglasung
FR2704883B1 (fr) * 1993-05-07 1995-07-28 Rinaldi Structal Système d'étanchéité entre cadres d'un ossature pour façade du type mur-rideau.
DE4422863C2 (de) * 1994-06-30 1997-07-10 Wicona Bausysteme Gmbh Fassadenelement in Form einer Rahmenkonstruktion
US6393778B1 (en) * 1997-07-03 2002-05-28 Raymond M. L. Ting Airloop window system
CA2227687A1 (en) 1998-02-23 1999-08-23 Raynald Doyon Exterior wall system
DE202007001653U1 (de) * 2007-01-31 2007-04-26 Sälzer Sicherheitstechnik GmbH Gebäudeabschluss in sprengwirkungshemmender Ausführung
US8578671B2 (en) * 2009-05-19 2013-11-12 Groupe Lessard Inc. Pressure plate assembly for curtain wall panels
CN102296729B (zh) * 2011-05-19 2013-03-20 广东金刚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曲面钢结构的光伏幕墙系统
US10443234B2 (en) * 2015-02-18 2019-10-15 Erie Architectual Products Inc. Curtain wall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JP6831070B2 (ja) * 2017-03-22 2021-02-17 株式会社Lixil 建具
US10407902B2 (en) * 2017-10-02 2019-09-10 Gestion Raynald Doyon Inc. Building facade system and related assemblies including a bypass insulating profi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3217A (en) * 1960-07-13 1963-06-11 Marmet Corp Insulating unit for curtain wall
FR1515240A (fr) * 1967-01-20 1968-03-01 Profilé pour encadrement de fenêtres et portes et moyens de mise en oeuvre
GB1245748A (en) * 1968-01-05 1971-09-08 Astralite Window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nel constructions
DE2158129C3 (de) * 1971-11-24 1975-08-07 Wieland-Werke Ag, 7900 Ulm Fassadenwand mit tragenden Stützen
GB1406537A (en) * 1973-01-20 1975-09-17 Eltreva Ag Glazed window or door frame assemblies
US3978629A (en) * 1975-04-16 1976-09-07 The William L. Bonnell Company Thermal barrier curtain wall
GB2016566B (en) * 1978-01-30 1982-04-15 Alcan Booth Ind Ltd Windows
US4207717A (en) * 1978-10-18 1980-06-17 Kawneer Company, Inc. System for improving heat insulating characteristics of existing curtain walls and the like
US4276729A (en) * 1979-08-09 1981-07-07 Nippon Light Metal Company Limited Flashing construction for a curtain wall
JPS5676816U (ko) * 1979-11-21 1981-06-23
JPS5691805U (ko) * 1979-12-17 1981-07-22
US4418506A (en) * 1980-09-02 1983-12-06 Wausau Metals Corporation Glazed wall constru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321946D0 (en) 1983-09-14
JPS5928109U (ja) 1984-02-21
JPS6326493Y2 (ko) 1988-07-19
GB2127878B (en) 1985-11-20
GB2127878A (en) 1984-04-18
KR840006180U (ko) 1984-11-30
HK82288A (en) 1988-10-21
PH20865A (en) 1987-05-25
US4625482A (en) 1986-12-02
CA1189673A (en) 198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537Y1 (ko) 유니트식 장막벽
JPH024175Y2 (ko)
KR870000249B1 (ko) 장막벽의 벽널 지지부
CA1194667A (en) Mullion portion in a unit type curtain wall
US4324232A (en) Solar panel, particularly for facades of buildings
US4590725A (en) System for sealing cross joint of four adjacent curtain wall units
KR870000536Y1 (ko) 장막벽 벽널 지지장치
CA1249485A (en) Joint structure for adjacent two thermally-insulated window units
KR860002907Y1 (ko) 장막벽 유니트용 단열형재
KR100538761B1 (ko) 2중 열교차단재를 이용한 단열창호
CA1244722A (en) Thermal insulating window for application in curtain walls
US4033087A (en) Thermal glass structural method and device
KR860002909Y1 (ko) 장막벽의 모서리 구조체
JPH11324156A (ja) 断熱パネル間の仕舞い金具及び仕舞い構造
CN214447239U (zh) 混凝土的恒温恒湿养护室
US3364642A (en) Temperature controlled environmental enclosure with modular panels
JPH0122831Y2 (ko)
CN213359907U (zh) 一种幕墙开启窗的封边结构
CN216043314U (zh) 一种保温隔热防积水的外开窗框
JPH0427927Y2 (ko)
KR20170099825A (ko) 폴딩도어의 단열구조
KR950006573B1 (ko) 유리 빌딩 블럭을 구비한 벽의 조립을 위한 프레임 구조물
JP2630705B2 (ja) 断熱障子
CN208073243U (zh) 一种扇料及窗户
JPH07286404A (ja) 外側断熱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