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910Y1 - 건물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물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910Y1
KR860002910Y1 KR2019830006915U KR830006915U KR860002910Y1 KR 860002910 Y1 KR860002910 Y1 KR 860002910Y1 KR 2019830006915 U KR2019830006915 U KR 2019830006915U KR 830006915 U KR830006915 U KR 830006915U KR 860002910 Y1 KR860002910 Y1 KR 860002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frame member
vertical frame
window unit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79U (ko
Inventor
가르트너 카알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06B1/363Bay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79Specific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disposition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06B2003/26385Specific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disposition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with strips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9/00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 Y10S49/01Thermal breaks f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Bay Windows, Entrances, And Structural Adjustmen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물벽 구조물
제1도는 건물에 부착된 조립식 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창 유니트의 부분적인 수평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철각(凸角) 및 요각(凹角)의 모서를 창 유니트들의 확대된 부분 수평 단면도.
제5도는 건물 개구부의 정위치에 설치된 창 유니트의 수직 단면도.
제6도는 모서리 창 유니트가 정위치에 설치된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수평 평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모서리 창 유니트가 수직으로 위치 조정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창 유니트 (13, 95) : 모서리 창 유니트
(14) : 모서리 부착구 (15, 16), (32, 53) : 수직 프레임 부재
(34, 37), (110, 115) : 연결연구 (60, 61), (84, 85) : 홈
(70, 71), (79, 80) : 부착돌기 (96) : L형 모서리 수직 프레임 부재
(94) : 개구부 (41), (118, 119) : 누름대
(176) : 조정가능한 부착구 (122, 123), (127, 128) : 유리판
본 고안은 다중창 또는 창문벽과 같은 건물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서리 유니트를 포함하는 그러한 건물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다중창 및 창벽으로 알려진 몇가지 건물벽 구조물은 90°및 135°의 모난 요각 및 철각 모서리나 둥근 요각 및 철각 모서리와 같은 여러가지 모서리를 포함한다. 그러한 모서리들을 건조하려면, 우선 문설주가 앵커와 같은 것에 의해 외부 건물벽의 모서리 지역에 고정된 다음 수직 프레임 부재들이 문설주에 부착된다. 모서리 지역에 어떤 기둥이 있는 경우에 문설주와 수직 프레임 부재들과, 그 문설주에 인접한 창벽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기가 곤란한 일이었다. 또한 문설주 둘레에 절연물을 설치하기가 복잡한 일이었다. 따라서 구조물측에 종래의 건물벽 모서리들을 조합하는 것은 지루하고 시간이 드는 작업이었다.
공지된 건물 모서리 구조물에 있어서 문제점은, 창 프레임들과 같은 열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조물들이 인접한 부분에 고정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서리 배치는 가해진 하중을 견디는데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부분 조립될 수 없다. 종래 모서리들의 문설주는 모서리들을 대형화시키고 외관상 볼품없게 만든다. 건물벽 모서리들을 조립하는데 있어 난점은, 원하는 기밀도 및 절연도가 달성되지 않는게 빈번하고, 모서리 문설주가 인접한 부재들에 고정 연결될 수 없다는 그러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벽 구조물은, 모서리의 건물 개구에 설치되고 건물개구에 위치된 인접 창 유니트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창 유니트를 포함한다. 모서리 창 유니트는 건물 모서리의 각과 같은 모서리 각을 갖는다. 모서리 창 유니트는, 홈들에 변위가능하게 맞추어진 부착 돌기에 의해 인접한 창 유니트들에 위치 조정가능하게 연결된다. 모서리 창 유니트는 철각 혹은 철각의 모서리 각을 제공한다. 철각의 모서리 창 유니트는 외측 수직 모서리 부착구, 모서리 부착구에 고정된 1조의 측 수직 프레임 부재들, 열절연구들에 의해 측 수직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된 1조의 내측 수직 프레임 부재들, 각각 수직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된 1조의 누름대들과, 각 축 수직 프레임 부재와 각 누름대에 의해 대략 직각구조로 지지된 1조의 유리판들로 구성된다. 요각의 모서리 창유니트는 내측 ㄴ형 수직 프레임 부재, 열절연구들에 의해 내측 ㄴ형 수직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외측 수직 프레임 부재와, 내측 ㄴ형 수직 프레임 부재에 부착된 1조의 누름대, 그리고 외측 프레임 부재와 각누름대에 의해 대략 직각 구조로 지지되는 1조의 유리판들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장 용이하게 건물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결합된 건물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기밀도, 열절연도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결합된 건물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전에 부분 조립될 수 있고 그래서 정확한 철각이나 요각의 모서리각을 갖을 수 있는 결합된 모서리 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접한 창 유니트들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모서리창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잇점 및 특징들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를 통하여 내측, 외측, 내항 및 외항과 같은 용어는 건물벽 구조물이 설치되는 건물의 도심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10)은 각 측연부들에서 서로 조립된 다수의 창 유니트들(12)와 모서리창 유니트들(13)을 포함하는 복합 벽구조물(11)을 갖는다. 창 유니트들(12) 및 모서리 창 유니트들(13)은, 번호(1)에서 (8)로 표시된 순서로 연속적으로 건물(10)에 설치됨으로써 함께 조립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 창 유니트들(13)은, 정사각형 단면의 속이 빈 모서리 부착구(14)와, 볼트(17, 18)에 의해 대략 직각 구조로 모서리 부착구(14)에 각각 연결된 1조의 속이 빈 측수직 프레임 부재들(15, 16)으로 구성된다. 측 수직 프레임 부재(15)는 볼트(17)에 의해 모서리 부착구(14)의 측벽(20)에 고정된 단부벽(19)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 가스켓(21)이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측 수직 프레임 부재(16)은 볼트(18)에 의해 모서리 부착구(14)의 측벽(23)에 고정된 단부벽(22)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 가스켓(24)가 삽입된다. 측 수직 프레임 부재(15)는 또한 1조의 외측 및 내측 측벽(25, 27)을 포함하고, 측 수직 프레임 부재(16)도 1조의 외측 및 내측 측벽(26, 28)을 포함한다. 외측 측벽(25, 26)은 각각 연장부(30, 30)을 갖는다. 측 수직 프레임 부재(15)의 내측 측벽(27)은 1조의 리테이너(31, 31)을 갖는다. ㄴ형 수직 프레임 부재(32)는, 1조의 리테이너(33, 33)을 갖는다. 측 수직 프레임 부재(15)는, 리테이너(31, 33)에 의해 측연부들이 보유된 1조의 열 절연구(34, 34)에 의해 ㄴ형 수직 프레임 부재(32)에 연결된다. 측 수직 프레임 부재(16)의 내측 측벽(28)은 1조의 리테이너(35, 35)를 갖는다. 정사각형 단면의 내측 중공 기동(53)은 모서리 부착구(14)와 대각선으로 대향한채 ㄴ형 수직 프레임 부재(32)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1조의 리테이너(36, 36)을 갖는다. 측 수직 프레임 부재(16)은, 리테이너(35, 36)에 의해 측연부들이 보유된 1조의 열절연구(37, 37)에 의해 내측 수직 프레임 부재(53)에 연결된다. ㄴ형 수직 프레임부재(32)는 볼트(40)(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내측 수직프레임부재(53)의 측벽(39)에 고정된 측벽(38)을 포함한다.
ㄴ형 수직 프레임 부재(32)는, 내측 프레임 부재(53)과 동일한 중공 프레임 부재의 두 측벽들을 절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중공 프레임 부재는, 창 유니트(12) 및 모서리 창 유니트(13)의 여러가지 수직 및 수평 프레임 부재들로 사용할 프레임 유니트로 작용한다.
1조의 수직 누름대(41, 41)은 ㄴ형 프레임 부재(32) 및 내측 프레임부재(53)에 부착된다. 각 수직 누름대(41, 41)은, 성형 프레임 부재(32) 및 프레임 부재(53)에 각각 고정계합하는 갈고리단부(44, 45)를 갖는 1조의 다리(42, 43)으로 구성된다. 조형 프레임 부재(32)에 부착된 누름대(41), 하나의 열 절연구(34) 및 측 수직 프레임 부재(15)는 함께, 사이에 삽입된 스페이서(49)로 일정간격을 이루는 1조의 유리판(47, 48)의 주연부들을 수용하는 부착공간 혹은 홈(46)을 형성한다. 유리판(47, 48)은, 수직 프레임 부재(15)의 연장부(30)상의 리테이너(52) 및 수직 누름대(41)로 각각 보유되는 가스켓(50, 51)에 의해 정위치에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수직 프레임 부재(53)에 부착된 누름대(41), 하나의 열절연구(37), 그리고 측 수직 프레임 부재(16)은 함께, 사이에 삽입된 스페이서(49)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른 1조의 유리판(47, 48)의 주연부들을 그안에 수용하는 부착공간 혹은 홈(46)을 형성한다. 유리판(47, 48)은, 수직 프레임 부재(16)의 연장부(30)상의 리테이너(52) 및 누름대(41)에 의해 각각 보유된 가스켓(50, 51)에 의해 정위치에 지지된다.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 부재(55)는, 외측 프레임 부재(56)과, 가스켓(50, 51)을 통해 그 사이에 유리판(47, 48)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 부재 혹은 누름대(57)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 부재(55)는 또한, 내측 프레임 부재(57)이 고정되는 다른 내측 프레임 부재(58)을 갖는다. 외측 및 내측 프레임 부재(56, 58)은 1조의 열절연구(59)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각각 1조의 공간 또는 홈(60, 61)을 제공한다. 수직 프레임 부재(55)에 인접한 창 유니트(12)는 외측 프레임 부재(62)와 내측 프레임 부재 또는 누름대(63)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1조의 유리판(64, 65)가 가스켓(66, 67)을 통해 지지되며, 유리판(64, 65)는 스페이서(54)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한다. 창 유니트(12)는 또한, 1조의 열절연구(69, 69)에 의해 내측 프레임 부재(63) 및 외측 프레임 부재(62)에 연결되는 다른 내측 프레임 부재(68)을 포함한다. 외측 및 내측 프레임 부재(92, 68)은, 수직 프레임 부재(55)의 홈(60, 61)에 각각 가동조립된 1조의 부착돌기(70, 71)을 갖는다. 열절연구(72)는 외측 및 내측 프레임 부재(62, 68)사이에 배치되고 수직 프레임부재(55)내로 뻗어있다.
모서리 창 유니트(13)은 또한, 가스켓(50, 51)을 통해 유리판(47, 48)을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부재(75)와 내측 프레임 부재 혹은 누름대(76)로 구성된, 다른 수직 프레임 부재(74)를 갖는다. 수직 프레임 부재(74) 또한, 내측 프레임 부재(76)에 이어지고 1조의 열 절연구(78, 78)에 의해 외측 프레임 부재(75)에 연결된 다른 내측 프레임 부재(77)을 갖는다. 외측 및 내측 프레임 부재(75, 77)은 부착돌기(79, 80)을 갖는다. 수직 프레임 부재(74)에 인접한 창 유니트(12)는, 1조의 열절연구(83, 8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각각 1조의 공간 혹은 홈(84, 85)를 갖는 외측 프레임 부재(81) 및 내측 프레임 부재(82)를 갖고, 그 홈들 사이에 부착돌기(79, 80)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열 절연구(86)은 그 외측 및 내측 프레임 부재(75, 77)사이의 수직 프레임 부재(74)에 배치되고, 일단부를 홈(84, 85)사이에 위치시킨다. 또한 창 유니트(12)는, 내측 프레임 부재(82)와 고정 계합하여 지지되는 다른 내측 프레임 부재 혹은 누름대(87)을 포함한다. 외측 및 내측 프레임 부재(81, 87)은 그 사이에 각스켓(90, 91)을 통해 1조의 유리판(88, 89)를 지지하고, 유리판(88, 89)는 스페이서(92)에 의해 간격 유지된다.
모서리 창 유니트(13)은 그 하연부를 따라 외향 신장하는 물내림판(185)을 갖고, 모서리 창 유니트(13)에 인접한 각 창 유니트(12)도 역시 그 하연부를 따라 외향 신장하는 물내림판(184)를 갖는다. 모서리 창 유니트(13)과 각 인접한 창 유니트들(12)사이에는, 물내림판(185, 184) 아래로 신장하고 그 일단부가 모서리 창 유니트 혹은 창 유니트(12)에 이어진 연결판(73)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창 유니트(95)를 나타낸다. 모서리 창 유니트(95)는 요각 모서리에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모서리 창 유니트(95)는 1조의 내측벽(97, 98)과, 1조의 단부벽(101, 102)에 의해 각각 그 내측벽(97, 98)에 상호 연결된 1조의 외측벽(99, 100)으로 구성된 ㄴ형 내측 중공 수직 프레임 부재(96)을 포함한다. 정사각형 단면의 외측 중공수직 프레임 부재(103)은 외측 수직 프레임 부재(96)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고, 1조의 내측벽(104, 105)를 포함한다. 그 외측벽(99)는 1조의 리테이너(106, 107)을 갖고, 마찬가지로 내측벽(104)는 1조의 리테이너(108, 109)를 갖는다. 외측벽(99) 및 내측벽(104)는 1조의 열절연구(110, 110)에 의해 이어진다. 마찬가지로, 외측벽(100)은 1조의 리테이너(111, 112)를 갖고, 또 내측벽(105)는 1조의 리테이너(113, 114)를 갖는다. 외측벽(100) 및 내측벽(105)는 1조의 열절연구(115, 115)에 의해 이어진다.
외측 수직 프레임 부재(103)은 1조의 플랜지(116, 117)을 갖는다. 모서리 창 유니트(95)는 내측 수직 프레임 부재(96)의 단부벽(101)에 장착된 누름대 또는 내측 수직 프레임 부재(118)을 역시 포함한다. 누름대(118)과 플랜지(116)이 연합하여, 가스켓(124, 125)를 통해 내측 수직 프레임 부재(118) 및 플랜지(116)에 의해 지지되는 1조의 유리판(122, 123)의 연부를 안에 수용하는 공간 또는 홈(120)을 제공한다. 유리판(122, 123)은 사이에 삽입된 스페이서(126)에 의해 간격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누름대 또는 내측 프레임 부재(119)는 내측 수직 프레임 부재(96)의 단부벽(102)에 장착된다. 누름대(119)와 플랜지(117)이 연합하여, 가스켓(129, 130)을 통해 내측 수직 프레임 부재(119) 및 플랜지(117)에 의해 지지된 1조의 유리판(127, 128)의 연부를 안에 수용하는 공간 또는 홈(121)을 제공한다. 유리판(127, 128)은 사이에 삽입된 스페이서(131)에 의해 간격 유지된다. 유리판(122, 123) 및 (127, 128)의 대향 연부들은, 제2도에 예시된 수직 프레임 부재(55, 74)와 구조상 동일한 수직 프레임 부재들(도시안됨)에 의해 지지된다.
제5도는 건물(10)에 부착된 수직단면의 창 유니트(12)의 하나를 나타낸다. 건물(10)은, 상하 연부(132, 133)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94)를 갖는 건물벽(93)을 포함한다. 부착판(134)가 상연부(132)에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고, ㄴ형 각부재(135)는 부착판(134)에 용접되거나 고정된 내향 플랜지(136)을 갖는다. 각부재(角部材)(135)는 개구부(94)내로 하향 신장하는 수직 플랜지(137)을 또한 갖는다. 상부 프레임(138)은 내측 ㄴ형 프레임 부재(139) 및 외측 ㄴ형 프레임 부재(140)을 포함한다. 내측 프레임 부재(139)는 수직측벽(141) 및 외향신장하는 수평 측벽(142)로 구성된다. 외측 프레임 부재(140)은 수직 측벽(143) 및 내향 신장하는 수평 측벽(144)로 구성된다. 수평 측벽(142, 144)는 파스너(145)로 상호 연결되고 그 사이에 열 절연구(146)이 삽입된다. 유리섬유나 암면과 같은 열절연구(147)은 부착판(134) 및 수평측벽(142, 144)사이에 삽입되고, 코킹재(148)은 상연부(132) 및 수평측벽(144)사이에 배치된다.
ㄴ형 브라켓(149)는, 수직 플랜지(137) 및 수직 측벽(141)사이에 삽입되고 거기에 볼트(152)로 고정된 수직 부재(150)을 갖는다. 브라켓(149)는 리테이너(155)로 천장벽널(153)에 부착된 내측 수평 부재(151)을 포함하고, 리테이너(155)는 볼트(154)에 의해 천장벽널(153)에 고정된다.
창 유니트(12)는, 외측 중공 프레임 부재(157)과 1조의 열절연구(159)에 의해 상호 연결된 내측 중공 프레임 부재(158)로 구성된 상부 수평 프레임(156)을 포함한다. ㄴ형 브라켓(160)은 내측 중공 프레임 부재(158)에 볼트(161)로 고정된다. 외측 중공 프레임 부재(157)과 브라켓(160)은 상부 프레임(138)에 부분 수용되고, 밀봉재(162)가 수직측벽(141, 143)상에 지지되고 프레임 부재(157) 및 브라켓(160)에 대해 지탱된다.
외측 프레임 부재(157)은 하향돌기(163)을 포함한다. 누름대 혹은 내측 수평 프레임 부재(164)는 내측 프레임 부재(158)아래에 배치되고, 거기에 고정된다. 하향 돌기(163)과 누름대(164)가 연합하여, 그 사이에 가스켓(173, 174)를 통해 1조의 유리판(171, 172)의 상연부들을 지지하고, 유리판(171, 172)는 스페이서(175)에 의해 간격 유지된다.
다수의 조정가능한 앵커나 부착구(176)(제5도에 하나만 도시)이 하부 수평 프레임(165)아래에 배치된다. 각 조정가능한 부착구(176)은 내측 프레임 부재(167)에 고정되고 나사진 구멍(178)을 갖는 조정 블록(177)과, 나사진 구멍(178)에 나착되고, 건물벽(93)의 상연부(133)에 장착된 부착판(181)에 각각 용접되거나 이어진 볼트 머리(180)을 갖는 볼트(179)로 구성된다. 물내림판(184)는 외측 프레임 부재(166)에 고정되고, 하향 경사지게 신장한다. 유리 섬유나 암면같은 열절연구(182)가 하부 수평 프레임(165) 및 상연부(133)사이에 배치되고, 코킹재(183)이 물내림판(184) 및 건물벽(93)사이에 놓인다.
내부 벽판(185)가 상연부(133)아래로 건물벽(93)의 내측표면에 적용되고, 하부 수평 프레임(165)와 상연부(133)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그 위로 신장한다. 상부 프레임(138) 및 창 유니트(12)의 상부 수평 프레임(156)이 연합하여, 유리섬유나 암면과 같은 열절연구(187)이 삽입되는 공간(186)을 제공한다.
창 유니트(12)가 건물개구부(94)에 설치되는 방식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열절연구(187)이 상부 프레임(138)의 공간(186)에 삽입되고, 창 유니트(12)가 개구부(94)내에 배치되면서 상부 수평 프레임(156)이 상부 프레임(138)에 삽입된다. 조정가능한 부착구(176)이 각각 부착판(181)에 배치된다. 조정가능한 부착구(176)의 볼트(179)를 돌려 창유니트(12)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고 인접한 창 유니트(12)나 모서리 창 유니트(13)과 수평으로 일치시킨다. 창 유니트(12)는 소망의 수직 평면상에 위치될 때까지 부착판(181)위에서 내향 혹은 외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부착구(176)이 조정된 다음, 볼트(179)의 머리(180)이 부착판(181)에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된다. 그리고 열절연구(182) 및 코킹재(183)이 정위치에 배치되고 내부벽판(185)가 적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서리 창 유니트(13)은 창 유니트(12)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단면을 갖고,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6도에 예시한 대로, 상부 프레임(140)은 모서리에서 45°로 연귀이음된 대향 단부들을 갖는다. 열절연구(187)이 상부 프레임(140)에 배치되면, 모서리 창 유니트(13)은 화살표(188)방향으로 건물 개구부(94)내로 삽입된다. 설치되면 모서리 창 유니트(13)의 부착돌기(79, 80)이 인접 창 유니트(12)의 하나에 홈(84, 8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인접한 창 유니트(12)의 부착돌기(70, 71)이 모서리 창 유니트(13)의 홈(60, 6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모서리 창 유니트(13)은 인접한 창 유니트(12, 12)에 대해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배열에 의하면, 건물벽 구조물은, 건축 부지에 최대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결합된 창 유니트들과 모서리 창 유니트들로 구성된다. 창 유니트들 및 모서리 창 유니트들은 용이하고 부드럽게 상호연결될 수 있도록 소망의 치수 정확도로 부분 조립된다. 미리 제작된 모서리 창 유니트들은, 정확한 모서리각과 외양이 산뜻한 건물벽 모서리 및 증가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한다. 창 유니트들 및 모서리 창 유니트들에 설치된 다양한 열절연구들은 소망의 열절연도를 제공한다.
중공 수직 프레임 부재(53) 및 중공 수평 프레임 부재(158, 167)은 동일한 단면을 갖음으로, 동일한 단면의 중공 구조부재를 결단하여 비면될 수 있다.
본 기술에 능숙한 사람들에 의해 여러가지 가벼운 변형이 제안될 수 있지만, 본 기술에 기여하는 범주내에서 합리적이고 적절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실시하기를 바란다.

Claims (10)

  1. 개구부(94) 및 모서리를 갖는 건물(10)에 부착되는 건물벽 구조물에 있어서, (a) 개구부(94)에 장착하기 적합한 다수의 연속으로 이어진 창유니트(12); (b) 인접한 2개의 창유니트(12)사이에 배치되고 모서리에서 개구부(94)에 장착되기 적합한 모서리 창유니트(13, 95);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창 유니트(13, 95)가 건물(10)의 모서리 각과 동일한 모서리 각을 갖는, 건물벽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창유니트(13)은 조정가능한 상호 맞춤결합에 의해 상기 2개의 창유니트들(12)에 이어지는 건물벽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창유니트(13)은 측연부에 부착돌기(79, 80)과, 모서리 창유니트(12)의 부착돌기(79, 80)이 각각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는 홈(84, 85)를 갖고, 다른 창 유니트(12)는 상기 모서리 창유니트(13)의 상기 홈(60, 61)각각에 변위가능하게 조립된 부착돌기(70, 71)을 갖는, 건물벽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창유니트(13)의 모서리각이 철각인, 건물벽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창유니트(13)의 모서리 각이 요각인, 건물벽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창유니트(13)은 수직 모서리부착구(14)와, 대략 직각구조로 상기 모서리 부착구(14)에 연결된 1조의 측 수직 프레임 부재(15, 16)과, 상기 수직 모서리 부착구(14)와 대각선으로 대향하게 배치된 1조의 수직 프레임 부재(32, 53)과,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15, 16)과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53)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열절연구(34, 37)과, 대략 직각배치로 각 누름대(41)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32, 53) 각각에 부착된 1조의 누름대(41, 41)로 구성되는, 건물벽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 모서리 부착구(14), 상기 측 수직 프레임 부재(15, 16)과,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들(32, 53)의 하나가 중공의 구조로 된, 건물벽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창유니트(95)는 ㄴ형 모서리 수직 프레임 부재(96)과, 상기 ㄴ형 모서리 수직 프레임 부재(96)과 대각선으로 대향하게 위치된 수직 프레임 부재(103)과, 상기 ㄴ형 모서리 수직 프레임 부재(96)및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103)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열절연구(110, 115)와, 상기 ㄴ형 모서리 수직 프레임 부재(96)에 부착된 1조의 누름대(118, 119)와, 대략 수직배치로 상기 각 누름대(118, 119)과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103)에 의해 지지된 1조의 유리판(122, 123, 127, 128)로 구성되는, 건물벽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ㄴ형 모서리 수직 프레임 부재(96)과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103)이 중공구조로 된, 건물벽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창 유니트(13, 95)가, 건물개구부(94)에서 수직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조정가능한 부착구(176)을 갖는, 건물벽 구조물.
KR2019830006915U 1982-08-09 1983-08-05 건물벽 구조물 KR86000291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20890 1982-08-09
JP1982120890U JPS5924878U (ja) 1982-08-09 1982-08-09 建物の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79U KR840006179U (ko) 1984-11-30
KR860002910Y1 true KR860002910Y1 (ko) 1986-10-23

Family

ID=1479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915U KR860002910Y1 (ko) 1982-08-09 1983-08-05 건물벽 구조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98513A (ko)
JP (1) JPS5924878U (ko)
KR (1) KR860002910Y1 (ko)
CA (1) CA1253396A (ko)
GB (1) GB2126272B (ko)
HK (1) HK78888A (ko)
MY (1) MY8700886A (ko)
PH (1) PH24695A (ko)
SG (1) SG867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8586U (ko) * 1985-05-31 1986-12-11
US5046293A (en) * 1988-04-08 1991-09-10 Yoshida Kogyo K. K. Arrangement for mounting a window unit to a building frame
DE3906566A1 (de) * 1989-03-02 1990-09-06 Gerhard Mische Bausatz fuer ein bauwerk
GB9416325D0 (en) * 1994-08-12 1994-10-05 P B Systems Ltd Extension device for an extruded window frame
MY114896A (en) * 1994-10-28 2003-02-28 Ykk Architectural Partitioning sash
JP2829570B2 (ja) * 1994-12-13 1998-11-25 トステム株式会社 断熱出窓
US6393778B1 (en) * 1997-07-03 2002-05-28 Raymond M. L. Ting Airloop window system
BR0017237A (pt) * 2000-04-26 2003-11-04 Advanced Building Systems Inc Sistema de parede, processo para instalar um conjunto de painel sobre uma construção e conjunto de painel
US6591562B2 (en) 2001-08-20 2003-07-15 Raymond M. L. Ting Apparatus for securing curtain wall supports
US6598361B2 (en) 2001-08-20 2003-07-29 Raymond M. L. Ting Mullion splice joint design
PT1956174E (pt) * 2007-02-07 2009-07-16 Alcoa Aluminium Deutschland In Guia perfilada para posicionar um elemento de fixação e processo de fabrico de uma unidade de vidraça múltipla
DE102009045443A1 (de) 2009-10-07 2011-04-14 Evonik Röhm Gmbh Flächiger, gewinkelter Formkörper aus Kunststoff und dessen Verwendung als Bauelement in Gebäuden und an Fassaden, vorzugsweise als Eckfenster
US9611642B2 (en) * 2013-04-05 2017-04-04 Advanced Building Systems, Inc. Exterior opaque hidden frame wall unit
US9328549B1 (en) 2015-04-02 2016-05-03 Special-Lite, Inc. Frame with thermal barrier
US11512521B2 (en) * 2020-06-23 2022-11-29 Peerless Products, Inc. Dry install receptor system
US20230067129A1 (en) * 2021-08-30 2023-03-02 Seth Poundstone Window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91564A (en) * 1932-02-06 1933-05-04 Henry Morga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shop fronts, show cases and like structures or frames
GB582857A (en) * 1944-07-07 1946-11-29 Horace Hems Improvements in building construction
FR1249034A (fr) * 1959-02-24 1960-12-23 Cloison démontable pour le bâtiment et agrafe pour sa fixation
FR1307857A (fr) * 1961-12-12 1962-10-26 Aubourg Freres Et Cie Procédé de construction rapide de bâtiments divers à l'aide de panneaux composésusinés d'avance
BE637777A (ko) * 1964-08-18
US3559356A (en) * 1968-04-19 1971-02-02 Specialties Const Resilient corner bead
US3579939A (en) * 1969-10-17 1971-05-25 Ellis V Eichman Frame structure for glass or solid panel walls
US3751868A (en) * 1970-07-27 1973-08-14 A Mascioletti Structure for the assembly of fixtures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JPS5514706Y2 (ko) * 1975-09-22 1980-04-03
JPS5575173A (en) * 1978-11-30 1980-06-06 Sato Zenjirou Drying or fomenting apparatus utilizing solar heat
DE2937454C2 (de) * 1979-09-15 1985-08-08 SCHÜCO Heinz Schürmann GmbH & Co, 4800 Bielefeld Verbundprofil, insbesondere für Fenster, Türen und Fassaden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Verbundprof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8700886A (en) 1987-12-31
CA1253396A (en) 1989-05-02
GB8321110D0 (en) 1983-09-07
HK78888A (en) 1988-10-07
GB2126272B (en) 1985-10-23
KR840006179U (ko) 1984-11-30
SG86787G (en) 1988-05-20
JPS5924878U (ja) 1984-02-16
US4598513A (en) 1986-07-08
PH24695A (en) 1990-10-01
GB2126272A (en) 198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910Y1 (ko) 건물벽 구조물
US4038796A (en) Wall panel assembly
US3706169A (en) Building-frame structure
US3052330A (en) Curtain wall assembly
US4742665A (en) Metallic spatial framework structure composed of single elements for erecting buildings
US3999351A (en) Structural frame
KR20190016060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US3292325A (en)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wall and roof
US4567702A (en) Heat insulator assembly for curtain wall
JPH06495Y2 (ja) 天窓における枠体の枠組み装置
JP2512358B2 (ja) 建築物の壁構造
GB2243854A (en) Curtain wall
JPH0960145A (ja) 建築用外装材及び建築用外装材を使用した建築用外装パネル
EP0554203B1 (en) Modular system for building facades
KR102283702B1 (ko) 커튼월 유니트
SU1617113A1 (ru) Ограждающа конструкци
KR200430415Y1 (ko) 조립식 벽체
JP2540396B2 (ja) 建築物の排水縦樋を有する壁構造
JP2024044083A (ja) 下地材の製造方法、下地材
RU2126877C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JPS6219777Y2 (ko)
JPH06299600A (ja) 家屋の構造
JPH07576Y2 (ja) 立体トラス式建造物用のルーフパネルサッシ
JPH0459432B2 (ko)
JP3128493B2 (ja) パネル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