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766Y1 -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766Y1
KR860002766Y1 KR2019840013369U KR840013369U KR860002766Y1 KR 860002766 Y1 KR860002766 Y1 KR 860002766Y1 KR 2019840013369 U KR2019840013369 U KR 2019840013369U KR 840013369 U KR840013369 U KR 840013369U KR 860002766 Y1 KR860002766 Y1 KR 860002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load
terminal
exter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965U (ko
Inventor
정관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3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766Y1/ko
Publication of KR860008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9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293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current or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제1(a)도, 제1(b)도는 종래 외부 직류 전원 연결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외부 직류 전원 연결장치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하 J1, J2: 잭
D1, D2: 다이오드 B1: 내부 전원
본 고안은 라디오나 카세트 등 각종 전자 기기에 직류 전원을 연결함에 있어서, 외부 전원의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였을 때 부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외부 직류전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 기기에 외부의 직류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잭이 하나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잭의 극성에 맞는 외부 직류 전원을 사용해야만 되었다.
즉,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잭(J1)의 양측 접점(a1),(b1)이 부하(1)의 마이너스 및 플러스 전압 입력단자(c),(d)에 각각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러그(PL1)의 중간단자(e1) 및 외측단자(F1)에 외부직류전원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압을 각각 인가시켜 잭(J1)에 끼워야 되고,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잭(J2)와 접점(a2),(b2)의 부하(1)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압 입력단자(d),(c)에 각각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러그(PL2)의 중간단자(e2) 및 외측단자(f2)에 마이너스 및 플러스 전압을 각각 인가시켜 잭(J2)에 끼워야 되나, 사용자가 실수로 플러그(PL1, PL2)와 잭(J1, J2)의 극성을 반대로 하여 연결시키게 되면, 부하(1)에 외부 직류전원이 잘못 인가되어 기기가 동작되지 않음은 물론 부하(1)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기기를 손상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결함이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잭(J1,J2)과 플러그(PL1, PL2)의 극성을 일일이 확인한 후 외부의 직류전원을 연결하고, 그 극성이 틀리면, 잭(J1,J2)이나 플러그(PL1, PL2)의 극성이 맞도록 개조한 후 연결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제품에 두개의 잭을 설치하여 플러그의 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부하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그 극성이 잘못 인가되어도 부하에는 과전류가 흐르지 않게하여 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단자(S1),(S2)가 내부전원(B1)의 마이너스 및 플러스 전압에 각각 접속되는 잭(J1), (J2)의 일측 접점(a1), (a2)을 부하(1)의 마이너스 및 플러스 전압 입력단자(c),(d)에 각각 접속하여, 잭(J1)의 타측 접점(b1)은 다이오드(D1)를 통해 부하(1)의 플러스 전압 입력단자(d) 및 잭(J2)의 일측 접점(a2)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잭(J2)의 타측 접점(b2)은 내부전원(B1)의 마이너스 전압 및 잭(J1)의 스위칭단자(S1)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2)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간단자(e1) 및 외측단자(f1)에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플러그(PL1)를 사용할 경우에 그 플러그(PL1)를 잭(J1)에 끼우면, 잭(J1)의 접점(a1),(b1)에는 마이너스 및 플러그 전압이 각각 인가되어 플러스 전압은 다이오드(D1)를 통해 부하(1)의 플러스 전압 입력단자(d)에 입력되고, 마이너스 전압은 마이너스 전압 입력단자(c)에 직접 인가되므로, 부하(1)에는 정상적으로 외부 직류 전원이 입력되게 되고, 또한 중간단자(e2) 및 외측단자(f2)에 마이너스 및 플러스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플러그(PL2)를 사용할 경우에 그 플러그(PL2)를 잭(J2)에 끼우면 잭(J2)의 접점(a2), (b2)에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압이 각각 인가되어 마이너스 전압은 다이오드(D2) 및 잭(J1)의 스위칭단자(S1), 일측접점(a1)을 통해 부하(1)의 마이너스 전압 입력단자(c)에 입력되고, 플러스 전압은 플러스 전압 입력단자(d)에 직접 입력되므로, 부하(1)에는 상기와 같이 정상적으로 외부 직류전원이 입력되어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실수로 중간단자(e2)와 외측단자(f2)에 마이너스 및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플러그(PL2)를 잭(J1)에 끼우면 잭(J1)의 일측접점(a1)이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어 부하(1)의 마이너스 입력단자(c)에 플러스 전압이 입력되나, 잭(J1)의 타측접점(b1)에 인가되는 마이너스 전압은 다이오드(D1)가 오프되어 부하(1)의 플러스 입력단자(d)에 마이너스 전압이 입력되지 않게 되므로 부하(1)에는 과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또한 중간단자(e1) 및 외측단자(f1)에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플러그(PL1)를 잭(J2)에 끼웠을 경우에는 다이오드(D2)가 오프되므로, 상기와 같이 부하(1)에는 과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및 타측단자에 인가되는 외부 직류전원에 따라 플러그(PL1), (PL2)를 선택적으로 잭(J1), (J2)에 끼워 부하(1)에 외부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잭(J1, J2)을 잘못 선택하여 플러그(PL1,PL2)를 끼울 경우에는 다이오드(D1,D2)가 오프되어 부하(1)에는 과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제품을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 직류전원을 부하(1)에 공급함에 있어서, 부하(1)의 플러스 전압 입력단자(d)에는 잭(J1)의 타측접점(b1)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1) 및 잭(J2)의 일측접점(a2)을 접속하고, 마이너스 전압 입력단자(c)에는 잭(J1)의 일측접점(a1)을 접속하여, 잭(J1)의 스위칭단자(S1)를 잭(J2)의 타측접점(b2)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2) 및 내부전원(B1)의 마이너스 단자에 접속하며, 잭(J2)의 스위칭단자(S2)는 내부전원(B1)의 플러스 전압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직류 전원 연결장치.
KR2019840013369U 1984-12-17 1984-12-17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KR860002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369U KR860002766Y1 (ko) 1984-12-17 1984-12-17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369U KR860002766Y1 (ko) 1984-12-17 1984-12-17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65U KR860008965U (ko) 1986-07-31
KR860002766Y1 true KR860002766Y1 (ko) 1986-10-17

Family

ID=7016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369U KR860002766Y1 (ko) 1984-12-17 1984-12-17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7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65U (ko) 198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203162A (pt) Conector elétrico com derivação para encaixe desencaixe a quente
KR860002766Y1 (ko) 외부 직류 전원 연결 장치
KR0164525B1 (ko) 저전압 소자를 이용한 고전압 집적 회로의 정전기 보호 회로
CN213879278U (zh) 一种直流电源防反接装置
KR0117777Y1 (ko) 전원플러그
CN218099412U (zh) 插入检测电路以及储能逆变器
JPH0645031A (ja) 短絡機能付きコネクタ
CN220291869U (zh) 一种驱动电路、电池管理系统及车辆
KR920007738Y1 (ko) 배터리 극성구분이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회로
US5596470A (en) Fault 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an auxiliary device in a digital telephone system
JPH04299024A (ja) 電圧逆接続保護回路
JPS6318233Y2 (ko)
SU1403049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S6295926A (ja) 過電圧保護回路
KR800002202Y1 (ko) 직류전원 접속장치
KR200310899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JPH05276000A (ja) パワーデバイスの駆動回路
KR960007922Y1 (ko) 충전전지를 이용한 보조전원회로
KR0122682Y1 (ko) 전압절환장치
SU1711284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 жений нагрузки
JPS63101770A (ja) 半導体電力回路の無負荷検出回路
KR200157748Y1 (ko) 정전 보상회로
JPH0537328A (ja) ホトカプラを使用した入力回路
CN112350294A (zh) 一种直流电源防反接装置
SU1339526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ок и коротких замык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