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777Y1 - 전원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플러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777Y1
KR0117777Y1 KR92018944U KR920018944U KR0117777Y1 KR 0117777 Y1 KR0117777 Y1 KR 0117777Y1 KR 92018944 U KR92018944 U KR 92018944U KR 920018944 U KR920018944 U KR 920018944U KR 0117777 Y1 KR0117777 Y1 KR 0117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outlet
adapt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162U (ko
Inventor
천연봉
김성섭
박철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92018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777Y1/ko
Publication of KR940011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콘센트에 접속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트랜스의 중간텝에 접속되는 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는 아답터에는 상기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의 어느 하나와의 접속되지 않게 단자를 길게 연장시켜 외부전원이 110V일 경우에 상기 아답터에 의하여 간단히 110V로 절환되고, 220V의 경우에는 플러그를 그대로 상기 콘센트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히 콘센트의 전원전압을 별도의 절환 조작없이 절환하게 되어, 간혹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과전압 입력으로 인한 전자기기의 회로 및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 것임.

Description

전원플러그
제 1도는 종래의 전원전압 절환에 대한 회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원플러그의 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원 전압 절환에 대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2 : 플러그
3 : 아답터4 : 절환스위치
5 : 트랜스6 : 플러그단자
7,7' : 접속구8 : 아답터단자
본 고안은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에 전원전압을 입력시키는 전원플러그에 아답터 접속만으로 전자기기에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자동절환 되도록 한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110V전용, 220V전용 또는 110V/220V겸용 기기가 있는바, 상기 110V 전용기기의 경우 입력되는 전압이 110V 이외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며, 상기 220V의 경우에도 입력전압이 220V이외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110V/220V겸용 기기의 경우에는 입력되는 전압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절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기들의 경우, 대부분이 전원플러그가 220V 콘센트에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110V 콘센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110V에 사용하려면 반듯이 아답터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10V/220V겸용 기기에서 콘센트(1)가 110V인 경우, 제 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7)에 아답터(3)를 접속하고, 절환스위치(4) 역시 트랜스(5)의 중간텝 단자로 절환하여 110V로 출력되게 하며, 콘센트(1)가 220V인 경우 제 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2)를 그대로 접속하고 절환스위치(4)를 트랜스(5)로 절환접속시켜 상기 트랜스(5)의 중간텝 단자로부터 110V로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도록 되어 있으나, 간혹 사용자의 부주의로 제 1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20V 콘센트(1)에 플러그(2) 를 그대로 접속하고 절환스위치(4)를 절환하지 않게 되면 220V 전원전압이 그대로 전자기기로 입력되므로 회로 및 부품을 파괴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플러그에 아답터의 접속만으로 콘센트의 전압이 자동 절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절환 조작 없이 전원전압을 간단히 절환하도록 하여 부주의로 인한 회로 및 부품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기기에 콘센트의 전원을 입력시키는 플러그에 트랜스의 중간텝을 연결하는 플러그 단자를 형성시키고,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아답터의 양단자중 어느 하나의 아답터 단자를 길게 연장시켜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원플러그의 단면도로서 전자기기에 콘센트(1)의 전원전압을 입력시키는 플러그(2)와, 상기 플러그(2)에 접속되는 아답터(3)로 구성되는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에 트랜스(5)의 중간텝을 연결하여 하나의 플러그단자(6)를 구비시키고, 상기 콘센트(1)에 삽입 접속되는 두개의 단자와, 상기 두개의 단자와 접속되면서 플러그(2)의 단자가 삽입 접속되도록 접속구(7)(7')가 구비된 아답터(3)에는 상기 두개의 단자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접속구(7)(7')의 어느 하나와 연결 접속되지 않은 채 길게 연장시켜 상기 아답터단자(8)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센트(1)로부터 110V의 전원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즉 콘센트(1)가 110V전용인 경우, 전자기기의 플러그(2)는 220V 전용이기 때문에 아답터(3)를 접속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2)의 단자에 제 2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답터(3)의 접속구(7)(7')를 삽입 접속시키게 되면, 상기 아답터(3)의 단자중 길게 연장된 아답터단자(8)는 상기 플러그(2)에 형성된 플러그단자(6)와 접속되는 반면에, 상기 플러그(2)의 어느 한 단자와는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아답터(3)를 상기 콘센트(1)에 삽입하였을 경우, 상기 콘센트(1)로부터의 110V 입력전원은 상기 아답터(3)의 단자와, 길게 연장된 아답터단자(8)를 통해서 상기 플러그(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단자와, 하나의 플러그단자(6)를 통해서 제 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접속이 되어, 상기 트랜스(5)의 중간텝 단자를 통해 별도의 절환조작 없이 110V의 입력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센트(1)로부터 220V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2)를 제 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 접속시키게 되면, 상기 콘센트(1)의 전원전압은 상기 플러그(2)의 양단자를 통해서 그대로 유입되고 상기 플러그(2)를 통해서 유입된 220V의 전원전압은 상기 트랜스(5)에 인가되지만 상기 트랜스(5)의 중간텝 단자에 의하여 별도의 절환조작없이 110V 절환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입력하게 되는 플러그에 별도의 트랜스의 중간텝과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아답터에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의 어느 하나와 접속되지 않게 길게 연장되는 아답터 단자를 구성하여 상기 콘센트의 전원전압에 따라 상기 아답터를 삽탈하면서 입력되는 전원전압을 절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절환장치 및 조작없이도 간단히 전원전압을 절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조작에서 야기되는 기기의 회로 및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자기기에 콘센트(1)의 전원을 입력시키는 플러그(2)와, 상기 플러그(2)에 접속되는 아답터(3)로 구성되는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에는 트랜스(5)의 중간텝을 연결하여 하나의 플러그단자(6)를 별도로 구비시키고, 상기 콘센트(1)에 삽입 접속되는 두개의 단자와, 상기 두개의 단자와 접속되면서 플러그(2)의 단자가 삽입 접속되도록 접속구(7)(7')가 구비된 아답터(3)에는 상기 두개의 단자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접속구(7)(7')의 어느 하나와 접속되지 않은 채 길게 연장되는 아답터단자(8)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KR92018944U 1992-10-05 1992-10-05 전원플러그 KR0117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944U KR0117777Y1 (ko) 1992-10-05 1992-10-05 전원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944U KR0117777Y1 (ko) 1992-10-05 1992-10-05 전원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162U KR940011162U (ko) 1994-05-27
KR0117777Y1 true KR0117777Y1 (ko) 1998-06-01

Family

ID=1934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944U KR0117777Y1 (ko) 1992-10-05 1992-10-05 전원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7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162U (ko) 199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1805A (en) Touch-responsive socket
KR0117777Y1 (ko) 전원플러그
US5753982A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peripheral device from computer system
US6587902B1 (en) I/O port assembly of notebook computer connectable to monitor or TV as needed
ES2110352B1 (es) Placa de terminales, en particular para aparatos electrodomesticos.
JP2002504743A (ja) 幹線電圧を低電圧に変換する変換装置
JP2004229331A (ja) 携帯用通信機器の充電器用コネクタ及び充電器
KR940000758Y1 (ko) 110v/220v겸용 플러그 및 콘센트
KR960001312Y1 (ko) 100v/220v 전압절환장치
KR860000539Y1 (ko) 110v/220v 절환장치
KR890000057Y1 (ko) Dc용 접속구
KR100387291B1 (ko) 외부적으로 리셋 가능한 모니터
JPS63101770A (ja) 半導体電力回路の無負荷検出回路
KR880001121Y1 (ko) 샤시의 콜드회로
KR200183103Y1 (ko)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KR960007308Y1 (ko) Pcb용 터미널블럭
JPH04248318A (ja) 電源切断回路
KR200149676Y1 (ko) 모니터의 마이크 회로
KR0127541Y1 (ko) 전화기의 파워리세트 회로
KR790002051Y1 (ko) 콘덴서 유도 전동기의 스테타 권선회로
KR950003902Y1 (ko) 겸용 포트 인테페이스 회로
KR910002750Y1 (ko) 전원공급 스위칭 장치
KR900008043Y1 (ko) 모니터의 컴퓨터 보호회로
JPH0584620B2 (ko)
KR19980021669U (ko) 전기포트용 파워코드 빠짐방지 및 전원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