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682Y1 - 전압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전압절환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2682Y1 KR0122682Y1 KR92000232U KR920000232U KR0122682Y1 KR 0122682 Y1 KR0122682 Y1 KR 0122682Y1 KR 92000232 U KR92000232 U KR 92000232U KR 920000232 U KR920000232 U KR 920000232U KR 0122682 Y1 KR0122682 Y1 KR 01226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transformer
- voltage
- plug
- switch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기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전압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드 소켓 내에 저전압단자군과 고전압단자군을 함께 형성시켜 놓고 소켓본체 외부에 상기 저전압단자군 및 고전압단자군의 접속을 조절하도록 된 이동손잡이를 설치하여 전원코드를 잘못 연결함으로 인한 기기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전압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전압절환장치의 사용상태 전기배선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압절환장치의 전기배선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압절환장치의 외부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압절환장치의 내부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저전압단자 2:외부연결단자
3:고전압단자 4:접지단자
5:외부연결단자 6:접지단자
7,8,9:변압기단자 10:플러그본체
11,12,13:도선 20:이동손잡이
본 고안은 전기기기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전압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부 전원이 110V와 220V 두종류가 공급될 경우, 이 외부전원에 기기내부회로를 적응시키기 위한 전압절환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내에 장착되어 있었으며, 그 일실시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 전압절환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전압선택스위치(41)에 변압기(42)와 전원코드(43)를 연결하는 구조로서, 전압선택스위치(41)가 기기내부에 내장되어있고, 전압선택을 변경하려 할 경우, 기기의 외함을 열고 내부의 연결상태를 확인한 다음, 단자의 연결상태를 수동으로 바꾸어 주어야 했었다. 즉, 제1도에서 도면부호(50)은 기기의 내부부하이고, (42)는 외부전원의 변동에 따라 기기내부 부하(50)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해주는 변압기이다. 즉, 코드(43)에 연결되는 단자(45,46)를 110V용 접속단자(44,47)에 연결시켜 놓거나 혹은 220V용 접속단자(46,49)에 연결시켜 놓았었다. 제1도에서 도면부호(51)과 (52)는 각각 110V용 휴즈와 220V용 휴즈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전압절환장치는 전원절환장치는 기기동작시 실수를 범하여 많은 장치들의 불량발생확률이 높았을 뿐만아니라 생산라인 제조공정상 전원절환장치를 기기내부에 설치시키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할애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러그 자체에 전압선택스위치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다시한번 확인 후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여 전원을 잘못 연결함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기기생산시 제조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된 전압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압절환장치는, 콘센트의 단자와 직접 접속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전압의 전원을 기기 내부부하에 공급해주는 변압기 및, 상기 플러그와 상기 변압기를 연결시켜주는 도선들로 이루어지는 전압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내에,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외부연결단자군과, 상기 변압기의 저전압용 변압기단자와 접지용 변압기단자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저전압단자군과, 상기 변압기의 고전압용 변압기단자와 접지용 변압기단자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고전압단자군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외부연결단자군과 저전압단자군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거나 상기 외부연결단자군과 고전압단자군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이동손잡이가 상기 플러그의 외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1도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압절환장치의 전기배선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압절환장치의 외부정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압절환장치의 내부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전압으로 110V를 사용하고, 고전압으로 220V를 사용한다. 제2도에 있어서, 변압기(42)의 저전압용(110V용) 변압기단자(7)에 연결되는 도선은 백색으로 도색이 되며, 변압기(42)의 고전압용(220V용) 변압기단자(8)에 연결되는 도선은 적색으로 도색이 되고, 변압기(42)의 접지용 변압기단자(9)에 연결되는 도선은 흑색으로 도색이 된다.
제3도에 있어서, 플러그본체(10)의 외부에는 이동손잡이(20)가 설치되며, 이 이동손잡이(20)는 제4도에 도시된 외부연결단자(2,5)와 고정적으로 연결되어져서 상기 2개의 외부연결단자(2,5)와 이 이동손잡이(20)는 상기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이동손잡이(20)는 플러그본체(10) 위에서 플러그본체(10)의 좌우로 즉, 제3도에서의 좌우측으로 미끄럼이동되며 이 미끄럼이동되는 방향 양측에 110V와 220V와 같이 저전압과 고전압에 대한 표시가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110V 전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이동손잡이(20)를 110V 표시부분에 위치시키고, 220V 전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이동손잡이(20)를 220V 표시부분에 위치시키면 된다.
제4도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에 있어서 플러그본체(10) 내부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본체(10)내의 저전압단자(1)와 접지단자(4)가 플러그본체(10)의 진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저전압단자(1)는 변압기(42)의 저전압용 변압기단자(7)와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자(4)는 변압기(42)의 접지용 변압기단자(9)와 연결된다.
한편, 플러그본체(10)내의 고전압단자(3)와 접지단자(6)가 플러그본체(10)내에서 플러그본체(10)의 진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고전압단자(3)는 변압기(42)의 고전압용 변압기단자(8)와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자(6)는 변압기(42)의 접지용 변압기단자(9)와 연결된다.
상기 저전압단자(1)와 접지단자(4)의 그룹과 고전압단자(3)와 접지단자(6)의 그룹은 플러그본체(10) 진입방향의 법선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고, 이 저전압단자(1)와 접지단자(4)의 그룹 및 고전압단자(3)와 접지단자(6)의 그룹 사이에는 플러그본체(10)의 진입방향으로 두개의 외부연결단자(2,5)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 두개의 외부연결단자(2,5)는 플러그본체(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손잡이(20)와 상시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손잡이(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저전압단자(1)와 접지단자(4)의 그룹 혹은 상기 고전압단자(3)와 접지단자(6)의 그룹과 선택적으로 접속되어진다.
제3도와 제4도에서 보여지듯이, 플러그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손잡이(20)를 110V에 고정시키게 되면 저전압단자(1)와 외부연결단자(2)가 접속되게 되고, 접지단자(4)와 외부연결단자(5)가 접속되게 되며, 따라서 전원라인이 백색라인(110V)과 통전되게 되어 변압기(42)의 저전압용 변압기단자(7)와 전원라인이 연결되게 되어 변압기(42)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플러그본체(10)의 이동손잡이(20)를 220V에 고정시키게 되면 외부연결단자(2)와 고전압단자(3)가 접속되게 되고, 외부연결단자(5)와 접지단자(6)가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라인이 적색라인(220V)과 통전되게 되어 변압기(42)의 고전압용 변압기단자(8)과 연결되게 되어 변압기(42)가 동작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전원코드의 플러그본체내에 전압절환장치를 갖추고 그 전압절환표시를 플러그 외부에 나타냄으로써 전원을 잘못 연결함으로 인한 불상사 내지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외부전압 종류의 변동에 따른 기기의 전압 절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콘센트의 단자와 집적 접속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전압의 전원을 기기 내부부하에 공급해주는 변압기(42) 및, 상기 플러그(10)와 상기 변압기(42)를 연결시켜주는 도선들(11,12,13)로 이루어지는 전압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내에,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외부연결단자군(2,5)과, 상기 변압기(42)의 저전압용 변압기단자(7)와 접지용 변압기단자(9)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저전압단자군(1,4)과, 상기 변압기(42)의 고전압용 변압기단자(8)와 접지용 변압기단자(9)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고전압단자군(3,6)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외부연결단자군(2,5)과 저전압단자군(1,4)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거나 상기 외부연결단자군(2,5)과 고전압단자군(3,6)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이동손잡이(20)가 상기 플러그(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절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00232U KR0122682Y1 (ko) | 1992-01-10 | 1992-01-10 | 전압절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00232U KR0122682Y1 (ko) | 1992-01-10 | 1992-01-10 | 전압절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8874U KR930018874U (ko) | 1993-08-21 |
KR0122682Y1 true KR0122682Y1 (ko) | 1998-09-15 |
Family
ID=1932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00232U KR0122682Y1 (ko) | 1992-01-10 | 1992-01-10 | 전압절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2682Y1 (ko) |
-
1992
- 1992-01-10 KR KR92000232U patent/KR012268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8874U (ko) | 1993-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O118502B1 (ro) | Detector pentru monitorizarea integrităţii unei conexiuni de împământare a unui aparat electric | |
US4001527A (en) | Electrical timer-switch | |
CA2051870A1 (en) | Multiple outlet receptacle with circuit breaker and continuity switch mechanisms | |
DE60027560D1 (de) | Modul für eine elektrische spule, elektrische spule mit diesen modulen, antriebsmechanismus mit dieser spule, und schutzschalter mit diesem antriebsmechanismus | |
US5962932A (en) | Power supply apparatus with circuit load sensor | |
CA2180587A1 (en) | Bushing assembly with interrupter for electrical equipment | |
KR0122682Y1 (ko) | 전압절환장치 | |
US5581137A (en) | Motor multiple switches and circuitry | |
US4159503A (en) | Electric branch-line combiner with grounding | |
CN217507142U (zh) | 开关结构 | |
JPH0515757Y2 (ko) | ||
CN220964642U (zh) | 一种配电箱用安全性更高的开关电源 | |
CN220357237U (zh) | 一二次融合电压互感器运行时接线检测装置 | |
KR900000149Y1 (ko) | 100v/220v 전원 전압 전환 장치 | |
CA2112517A1 (en) | Safety Electrical Assembly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 |
CN219833431U (zh) | 一种便于组装拆卸的低压柜 | |
GB1530588A (en) | Electrical connectors | |
CN110768541B (zh) | 防电弧的电源转换装置 | |
US3624498A (en) | Shockproof extension box including polarity testing means | |
SU1422164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высокого напр жени на токоведущих элементах трехфазной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и | |
CN208063065U (zh) | 一种基于安全供电装置的led显示屏 | |
KR860000539Y1 (ko) | 110v/220v 절환장치 | |
KR200310900Y1 (ko) |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 |
KR870002973Y1 (ko) | 아댑터(adaptor) | |
SE8206698L (sv) | Sett att astadkomma en tidrelefunktion, jemte anordning for utovande av sett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51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