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742Y1 -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742Y1
KR860002742Y1 KR2019840012185U KR840012185U KR860002742Y1 KR 860002742 Y1 KR860002742 Y1 KR 860002742Y1 KR 2019840012185 U KR2019840012185 U KR 2019840012185U KR 840012185 U KR840012185 U KR 840012185U KR 860002742 Y1 KR860002742 Y1 KR 860002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guide rail
component
groov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076U (ko
Inventor
곽순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2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742Y1/ko
Publication of KR860006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베이스 2 : 가이드레일
3 : 부품운반구 3' : 부품장입홈
4 : 회전체의 방향전환구 4' : 부품장입홈
5 : 중심축 6 : 피니언
7 : 래크 8 : 인장스프링
9 : 부품적치편 9' : 부품 적치홈
본 고안은 PCB 삽입용 핀(PIN)을 자동적으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부품 자동 이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임센서로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고 공기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부품을 이송하면서 이송도중 부품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품을 이송 공급하는 장치들이 부품을 이송함에 있어서 부품공급함으로 부터 부품이 요구되는 위치로 단순히 이송하여 줄 뿐이고,
부품의 소요 특성에 따라 방향 전환등이 필요될 시에 부품의 방향을 전환치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코저 부품을 이송하는 도중에 회전체의 방향전환구에 의하여 부품의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 베이스(1)상면에 일정길이 가이드 레일(2)을 착설하여 그 내측에서 왕복작동하도록 부품장입홈(3')을 중앙부에 갖인 부품운반구(3)를 장착하고, 동 가이드레일(2) 상측에는 부품방향전환부(A)를 형성하여 그 내부 중앙에다가 일측면부에 부품장입홈(4')을 갖고 180°회동하는 회전체의 방향전환구(4)를 장착하고 동 방향전환구(4)의 중심축(5) 일단에는 피니언(6)을 장착하여서 래크(7)와 연동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게끔 하였다. 가이드 레일(2)일단부 상측에는 부품적치부(B)를 형성하여 동 적치부(B) 양측에 힌지되고 인장스프링(8)에 의하여 인장되며 중앙부에 부품적치홈(9')를 가진 부품적치편(9)을 착설하고 동 부품적치부(B)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2) 하측에는 푸쉬핀(10)을 상하 작동토록 장착하여서 되는 부품 자동 이송 공급장치이다.
첨부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은 부품 12,15는 부품이송홈 13,14,16,17은 공기 실린더, 18은 비임센서이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부품공급하므로 부터 공급되는 부품(11)이 부품이송홈(12)을 따라 이송하여서 부품방향전환부(A)의 방향전환구(4)에 형성된 부품장입홈(4')에 삽입되면 도시되지 않은 비임센서에 의하여 감지되어서 공기실린더(13)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부픔을 부품장입홈(4')에 꽉 삽입시키고 공기실린더(14)로 공기를 공급시켜서 래크(7)와 피니언(6)이 작동하게 하므로서 회전체의 방향전환구(4)가 180°회전하고 따라서 부품은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부품이송홈(15)을 통하여 부품운반구(3)의 부품장입홈(3')에 이송 삽입된다.
이때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비임센서가 부품을 감지하여서 공기실린더(16)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부품운반구(3)는 공기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하여 가이드레일(2)을 타고 부품적치부(B)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비임센서가 부품을 감지하여서 공기실린더(17)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푸쉬핀(10)이 상승하여 부품운반구(3)의 부품장입홈(3')에 삽입되어 있는 부품을 밀어올려서 부품 적치편(9)의 부품 적치홈(9')에 적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적치부(B)의 부품적치홈(9')에 적치된 부품은 비임센서(18)에 의하여 감지되어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소요되는 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부품의 위치를 비임센서에 의하여 감지하여 부품을 이송 공급할 뿐만 아니라 회전체의 방향전환구(4)에 의하여 부품의 방향을 180°전환시켜 이송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부품을 신속 정확히 이송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특성에 따라서 방향 전환이 필요한 핀 등의 부품을, 방향전환시켜서 자동 이송 공급 하는데,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Claims (1)

  1. 본체 베이스(1)상면에 일정길이 가이드 레일(2)을 착설하여 그 내측에서 왕복작동 하도록 부품장입홈(3')을 중앙부에 갖인 부품운반구(3)를 장착하고, 동 가이드레일(2) 상측에는 부품방향전환부(A)를 형성하여 그 내부 중앙에다가 일측면부에 부품장입홈(4')을 갖고 180°회동하는 회전체의 방향전환구(4)를 장착하고 동 방향전환구(4)의 중심축(5) 일단에는 피니언(6)을 장착하여서 래크(7)와 연동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게끔 하였다.
    가이드 레일(2)일단부 상측에는 부품적치부(B)를 형성하여 동 적치부(B)양측에 힌지되고 인장스프링(8)에 의하여 인장되며 중앙부에 부품적치홈(9')를 가진 부품적치편(9)을 착설하고 동 부품적치부(B)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2)하측에는 푸쉬핀(10)을 상하 작동토록 장착하여서 되는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KR2019840012185U 1984-11-25 1984-11-25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KR860002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185U KR860002742Y1 (ko) 1984-11-25 1984-11-25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185U KR860002742Y1 (ko) 1984-11-25 1984-11-25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076U KR860006076U (ko) 1986-06-18
KR860002742Y1 true KR860002742Y1 (ko) 1986-10-17

Family

ID=7015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185U KR860002742Y1 (ko) 1984-11-25 1984-11-25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7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076U (ko) 1986-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6935A (en)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KR960005539B1 (ko) 부품 공급 장치
JPH05235587A (ja) トレイおよび電子部品の供給装置
KR860002742Y1 (ko) 부품 자동 이송 공급 장치
KR860006915A (ko) 전자부품 삽입장치
KR920022461A (ko) To-220 반도체 제조기의 리드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KR940005216Y1 (ko) 전자 부품 이송 장치
US47699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eaded and leadless surface mountable components
JPH0228999A (ja) 部品供給装置
KR20010105137A (ko) 워크 반송 장치
JPH1070398A (ja) 部品実装装置
KR950000693Y1 (ko) 용기뚜껑용 금박인쇄기의 인쇄물 공급장치
KR0140257Y1 (ko) 판넬용 스터드 핀 공급장치
KR200143294Y1 (ko) 단추 자동이송장치의 단추위치 결정장치
KR920004041B1 (ko) 이형부품의 수직공급용 이송기장치
KR0125896Y1 (ko) 표면실장기용 전자부품 피더
KR0141386B1 (ko) 단추 자동이송장치의 중심 이동장치
JPS6360599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910004927Y1 (ko) 반도체 부품 테이핑기의 부품 정렬 공급장치
JPH0897600A (ja) プリント基板位置決め装置
KR900001746Y1 (ko) 이앙기의 묘 세로 이송 장치
KR0140643Y1 (ko) 회로기판 고정 및 이송장치
KR910006470B1 (ko) 칩 부품연 배열 장치
KR890005369Y1 (ko) 캠(cam)을 이용한 부품 이송장치
JPH02132895A (ja) 部品供給装置の段取り替え方法及び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