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41B1 - 인돌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인돌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41B1
KR860001741B1 KR8204543A KR820004543A KR860001741B1 KR 860001741 B1 KR860001741 B1 KR 860001741B1 KR 8204543 A KR8204543 A KR 8204543A KR 820004543 A KR820004543 A KR 820004543A KR 860001741 B1 KR860001741 B1 KR 86000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le
alkali metal
reaction solution
basic
ani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953A (ko
Inventor
다다도시 혼다
Original Assignee
요시오까 시로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오까 시로,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오까 시로
Publication of KR84000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0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substitution of functional groups by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돌의 분리방법
본 발명은 출발물질로서 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사용하거나 또는 아닐린 및 에틸렌 글리콜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인돌-함유 반응액을 증류함으로써 인돌을 개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돌은 화학산업에 사용되는 중요한 물질로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향료 및 아미노산의 합성에 필수적으로 되어왔다.
과거에, 인들을 합성하기 위하여 많은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많은 방법들이 고안되었으나 다량의 부생물이 생성되며, 출발물질로서 고가의 화합물이 요구되고, 긴 단계를 통하여 인돌이 제조되며 그리고/또는 조작상의 문제점을 수반하는 것과 같은 불리한 점이 있었다. 그러는동안, 값싼 화합물로부터 인돌을 제조하는 2 -단계방법이 최근 제안되었는데,출발물지로서 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사용하는 하나와 출발물질로서 아닐린 및 에틸렌 글리콘을 사용하는 하나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두 방법에서 인돌을 양호한 수율로 얻기 위하여 반응계에 다량의 아닐린이 존재하여야 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들 방법에 의한 인돌의 제조에 있어, 생성된 반응액에 포함된 다량의 아닐린을 반드시 분리 및 회수하여야 한다. 더구나, 이들 두 방법으로부터 생성된 반응액은 또한 극소량의 부생물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아닐린 만을 분리함으로써 수득된 인돌은 아직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향료 및 아미노산 합성을 위한 출발물질로서 직접 사용될 수 없다.
이와 같은 반응액을 증류에 의하여 분리하려고 시도한다 할지라도, 반응액중에 함유된 인돌의 일부가 증류도중에 질이 저하하여(즉, 타르상의 물질로 전환됨) 상당한 인들의 손실이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이와같이 수득된 인돌의 양은 반응액중에 존재하는 초기의 인돌의 양보다 휠씬적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혀 인돌의 질이 저하됨이 없이 증류에 의하여 인돌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증류과정 동안 질의 저하로 인하여 일어나는 인돌의 손실은 증류에 사용된 총압력이 낮아지며 증류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더 적어진다. 그러나, 후에 비교예에서 설명되듯이, 산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온화한 증류조건하에서 조차도 상당량의 인돌이 손실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 인돌 - 함유 반응액을 염기성 물질과 증류전 또는 도중에 접촉시킴으로써 증류 과정동안 이와 같은 인돌의 질의 저하가 상당히 방지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아닐린 및 에틸렌 글리콜의 반응 또는 -N-(β -히드록시에틸) 아닐린의 반응에 의하여 수득된 인돌 -함유 반응액을 증류시킴으로써 인돌을 분리하는 방법에서, 증류 전 또는 증류 도중에 반응액을 염기성물질과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출발물질로서 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사용하거나 또는 출발물질로서 아닐린 및 에틸렌글리콘을 사용함으로써 인돌을 제조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한가지는 출발물질로서 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사용하여 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구리-또는 은-함유촉매와 같은 촉매 존재하 200~500°C 의 온도에서 기상으로,용매로서 사용된 등 몰량 이상의 아닐린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다른 한가지는 출발물지로서 아닐린 및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1몰의 에틸렌글리콜과 2몰이상의 아닐린을 기상, 기체-액체의 혼합상 또는 액상으로 고체산촉매 또는 금속염과 같은 촉매 존재하 200-500°C의 온도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방법이다.
출발물질로서 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사용하거나 또는 출발물지로서 아닐린과 에글렌 틸리콜을 사용하여 인돌을 제조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하기의 참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출발물질로서 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사용하는 방법은, 예를들어, 일본 특허 공개 보 제 105663/80 및 108850/80호에 기재되어 있다. 출발물질로서 아닐린과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방법은, 예를들어,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36451/81, 46865/81, 53652/81, 55366/81, 63968/81, 86154/81, 110672/81, 150062/81 및 169668/8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인돌-함유 반응액을 염기성 물질과 접촉시키는 방법은 사용된 염기성 물질의 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 접촉은, 예를 들어 (a)염기성 물질을 직접 반응액에 가하고 전자를 후자에 용해 또는 현탁시킴으로써 (b)수용성 염기성 물질의 수용액을 반응액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원하는 온도에서 교반 시킴으로써 또는 (c)반응액을 염기성 물질을 채운 컬럼을통과 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응액이 염기성 물질과 접촉하게 되는 방법은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염기성 물질의 예로는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및 수소화물, 알칼리금속탄산염, 알칼리금속 아미드류, 알칼리금속 알콕시드류, 4차 암모늄 수산화물 3차 아인, 이온 교환수지 및 기타 이온 교환제등이 속한다. 특히, 산화나트륨, 산화칼륨, 산화리륨, 산화루비듐 및 산화세슘같은 알칼리 금속산화물 : 산화베릴륨,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스트론튬 및 산화바륨 같은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루비듐 및 수산화세슘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 수산화베릴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스트론튬 및 수산화바륨 같은 알칼리토금속수산화물 ;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리튬, 탄산루비듐 및 탄산세슘, 같은 알칼리 금속 탄산염 :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및 수소화리튬 같은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 및 수소화 베릴륨, 수소화 마그네슘, 같은 알칼리토금속 수소화물 등이 속한다. 알칼리 금속아미드류는 수소를 알칼리금속으로 치환함으로써 암모니아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인데, 그들의 특정한 예는 소디움아미드, 포라슘아미드, 리튬아미드등이다. 알칼리금속 알콕시드는 히드록실수소를 알칼리 금속으로 치환함으로써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인데, 이들의 특정예는 메톡시화나트륨, 에톡시화나트륨, t-부톡시화나트륨, 메톡시화칼륨, 에톡시화칼륨, t-부톡시화칼륨이다. 4차 암모늄 수산화물의 특정에는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물, 테트라에틸암모늄 수산화물, 테트라-n-프로필암모늄 수산화물, 테트라-n-부틸암모늄 수산화물, 트리에틸벤질암모늄 수산화물, 트리카프릴암모 늄 수산화물, 트리메틸라우릴암모늄 수산화물 등이며, 3차 아민의 특정에는 트리메틸아민, 디카프릴메틸아 민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카프릴메틸암모늄 수산화물, 디에틸벤질아 민, 디메틸라우릴아민, N,N-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도-Δ'-피롤린, 1,5-디아자-비식클로[4,3,0]노넨-5,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켄-7등이다. 첨언하면, 유용한 이온 교환 수지에는 유리 또는 수산화물 형태의 강한 염기성수지가 속하며, 유용한 이온 교환제에는 음이온 교환 셀룰로오즈, 새파덱스의 음이온교환형, 음이온/교환액, 염기성돌로마이트, 수산화된 산화철, 수화된 산화지르코늄 같은 음이온 교환 현상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물질이 속한다.
전술한 염기성 물질중에서,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산화물 및 수산화물, 알칼리금속 탄산염, 4차 암모늄 수산화물, 3차 아민, 이온교환 수지, 및 기타 이온교환제가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염기성 물질은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의 산화물 및 수산화물뿐 아니라 알칼리 금속 탄산염이다.
인돌-함유 반응액에 염기성 물질을 가하여 접촉을 행하는 경우, 염기성 물질은 보통 만족스런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응에 존재하는 인돌의 몰당 0.001~0.02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범위 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한다면, 염기성 물질은 어떤 다른 양으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염기성 물질로 처리된 인돌-함유 반응액은 증류된다. 증류에 앞서, 염기성 물질은 액상-액상 분리 또는 여과에 의하여 반응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달리, 염기성 물질을 함유하는 반응액은 직접 증류될 수 있다. 더구나, 염기성 물질은 증류 도중에 반응액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증류는 대기압 또는 대기압이하의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인돌이 대기압으로 증류하는 동안에 더 질이 저하되기 쉬우므로 대기압이하의 압력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는 배취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인돌-함유 반응액의 제조 :
내부 직경이 25mm인 스레인레스제 반응기에 직경이 3~4mm의 입자인 촉매를 500ml채운다. 공침에 의하여 제조된 이 촉매는 30몰%의 CuO, 15%몰의 MgO, 5몰%의 MnO2, 및 50몰%의 SiO2로 이루어져 있으며200m2/g의 BET표면적을 갖는다.
0.1부의 수소 및 0.9부의 질소로 이루어진 기체 혼합물을 10ℓ분의 속도로 반응기를 통하여 통과시키는 동안, 촉매층의 온도는 실온에서 300°C까지 서서히 상승된다. 그의 온도를 300°C로 1시간동안 유지한 다음 촉매를 환원 시키기 위하여 330°C에서 1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0.5부의 수소 및 0.5부의 질소로 이루어진 기체 혼합물을 5ℓ/분의 속도로 반응기를 통과시킨다. 그런다음, 그의15%(W/W)아닐린 용액을 700mℓ/hr의 속도로 기화기에 도입함으로써N-(β-히드록시에틸)아닐린을 반응시킨다.
이 반응도중에 촉매의 온도를 350°C로 유지한다.
반응이 시작된 후 4시간과 24시간 사이의 기간동안 수집된 반응액(이하 A액이라 칭함)을 증류에 의하여 인돌을 분리하는 후속 실험에 사용한다. 분석하면, A액은 9.89중량%의 인돌 및 0.40중량%의 인돌린을 함유하는 아닐린 용액임이 밝허진다. A액을 물로 추출할 경우, 추출용매로 사용된 물의 pH는 8%이다.
증류에 의한 인돌의 분리 :
1ℓ용적의 증류 플라스크에 내부 직경이 50mm이며 맥마흔 패킹(McMahon packing)으로 채워진 정류탑을 장치한다. 이 증류 플라스크에 500g의 A액 및 0.7g의 무수탄산 칼륨을 채운다. 그런다음, 5mmHg의 감압하 A액을 증류함으로써 인돌의 분리 실험을 행한다.
증류 플라스크를 오일욕중에 침지시키고 아닐린 획분을 얻기 위하여 그의 온도를 3시간에 걸쳐 60°C에서 100°C로 서서히 올린다. 계속해서, 인돌 획분을 얻기 위하여 오일욕의 온도를 1시간에 걸쳐 100°C에서 180°C로 서서히 울린다.
증류가 완료된 후, 정류탑의 내부를 메탄올로 세척한다. 메탄올 세척액을 증류 플라스크내의 잔류액과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증류 잔류물이라 한다. 증류과정동안 인돌의 손실 퍼센트는 아닐린 획분, 인돌 획분 및 증류 잔류물의 각 아닐린 함량을 측정한 다음 500g의 A액 중에 초기에 존재하는 인돌의 양으로부터 이들 합을 뺌으로써 계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증류 과정동안 인돌의 손실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A액을 다음의 방법으로 3가지의 상이한 염기성 물질로 처리한다 :
(a) 500g의 A액에 0.7g의 트리부틸아민을 가한다.
(b) 500g의 A액에 수산화물형의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LEVATIT MP-500 ; Bayer사제품)5밀리당량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다음 여과하여 음이온 교환수지를 제거한다.
(c) 500g의 A액에 500mℓ의 0.1N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다음 수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액상-액상 분리를 행한다. 인돌의 분리는 이들 처리된 A액돌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류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와같이 하여, 증류 과정동안 인돌의 손실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인돌-함유 반용액의 제조 :
15mm의 내부 직경을 갖는 파이렉스 유리 반응기를 실시예 1에 기재된 촉매(입자 직경 1~2mm) 각각 50ℓm씩을 채운다음 실시예 1에 나타난 바의 반응 온도로 유지한다. 수소를 30mℓ/분의 비율로 반응기를 통과시키는 동안 에틸렌글리콜의 6.3%(W/W) 아닐린 용액 및 물을 각각 70mℓ/시 및 9mℓ/시의 비율로 동시에 반응기에 공급한다. 생성된 반응액은 수층 및 유층으로 이루어진다. 수층의 pH는 7.5내지 8.3의 범위이다.
반응을 시작한 후 0내지 10시간 사이의 기간동안 수집된 반응액의 유층(이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B액, C액 및 D액이라 함)을 사용하여, 증류에 의한 인돌의 분리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증류 과정동안 인돌의 손실은 없음이 밟허졌다.
[표 1]
Figure kpo00001
[실시예 4]
인돌-함유 반응액은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CdSO4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여기에 표 3에 있는 각 염기성 물질을 가한다. 그런다음,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증류에 의한 인돌의 분리를 행한다.
[표 2]
Figure kpo00002
[실시예 5]
내부 직경이 15mm이고 길이가 300mm인 유리관에 수산화 나트륨형의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LEVITIT MP-500)를 높이 200mm까지 채운다음 수직으로 매단다.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CdS 촉매를 사용하여)된 인돌-함유 반응액을 100mℓ/분의 비율로 통과 시킨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이로부터 인돌을 분리하기 위하여 처리된 반응액을 증류 시킨다. 증류과정동안 인돌의 손실은 없는 것으로 밟혀졌다.
[비교예 1]
무수탄산칼륨의 첨가만 생략하고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A, B, C및 D액을 증류함으로써 인돌의 분리를 행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증류 과정동안 상당량의 인돌이 손실됨을 알 수 있다. 인돌의 손실량(%)은 표4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4]
Figure kpo00003

Claims (10)

  1. 아닐린과 에틸렌글리콜의 반응 또는 N-(β-히드록시에틸) 아닐린의 반응에 의하여 수득된 인돌-함유 반응액을 증류시킴으로써 인돌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응액을 증류전 또는 증류하는 동안에 염기성 물질과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염기성물질이 알칼리 금속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알칼리금속수산화물,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수소화물, 알칼리 토금속 수소화물,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알칼리금속 아미드, 알칼리금 알콕시드. 4차 암모늄 수산화물, 3차 아민, 이온 교환수지 또는 음이온 교환셀룰로오즈, 세파덱스의 음이온 교환형, 음이온 교환액, 염기성 돌로마이트, 수산화 산화철 또는 수화된 산화지르코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염기성 물질이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금속수 산화물.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탄산염, 4차 암모늄 수산화물, 3차 아민, 이온 교환수지 또는 음이온 교환 셀룰로오즈, 세파덱스의 음이온 교환형, 음이온 교환액, 염기성 돌로마이트, 수화된 산화철 또는 수화된 산화지르코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염기성물질이 알칼리 금속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있어서, 염기성 물질을 반응액 중에 존재하는 인돌의 몰당 0.001~0.02몰의 양으로 반응액에 첨가함으로써 접촉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반응액을 고상형태의 염기성물질과 접촉시킨 다음 증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염기성 물질을 반응액에 가하고, 염기성물질을 반응액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반응액을 증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염기성 물질을 반응액에 가한 다음 이 반응액을 직접 증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염기성 물질이 고상이며 반응액을 염기성 물질의 충전층을 통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 또는 8항에 있어서, 염기성 물질이 수용성이고 이 염기성 물질의 수용액을 반응액에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8204543A 1981-10-08 1982-10-08 인돌의 분리방법 KR860001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59441 1981-10-08
JP159441 1981-10-08
JP56159441A JPS5862160A (ja) 1981-10-08 1981-10-08 インド−ルの分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953A KR840001953A (ko) 1984-06-07
KR860001741B1 true KR860001741B1 (ko) 1986-10-20

Family

ID=1569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543A KR860001741B1 (ko) 1981-10-08 1982-10-08 인돌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404063A (ko)
JP (1) JPS5862160A (ko)
KR (1) KR860001741B1 (ko)
CA (1) CA1182424A (ko)
CH (1) CH649762A5 (ko)
DE (1) DE3236765C2 (ko)
FR (1) FR2514351A1 (ko)
GB (1) GB2108496B (ko)
NL (1) NL1892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841A (en) * 1984-07-10 1987-04-21 Research Association For Utilization Of Light Oi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ndoles
JPS61151171A (ja) * 1984-12-26 1986-07-09 Mitsui Toatsu Chem Inc インド−ルの製造方法
US5284552A (en) * 1991-06-11 1994-02-08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refining methylnaphthalene-containing oil
IL98520A (en) * 1991-06-16 1996-10-31 Bromine Compounds Ltd Process for purifying diaminodiphenyl compounds
US5180485A (en) * 1991-09-10 1993-01-19 Phillips Petroleum Company Separation of indole from hydrocarbo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2651A (en) * 1946-12-17 Process of separating j-picoline
US2409676A (en) * 1944-09-20 1946-10-22 Du Pont Preparation of indole
US2708653A (en) * 1954-02-18 1955-05-17 American Cyanamid Co Purification of pyridine bases by distillation
US2916496A (en) * 1955-05-09 1959-12-08 Union Carbide Corp Indole recovery process
US2916497A (en) * 1955-05-09 1959-12-08 Union Carbide Corp Recovery of indoles
US3255205A (en) * 1963-12-23 1966-06-07 Ethyl Corp Production of indoles
FR2187780B1 (ko) * 1972-06-07 1974-07-26 Erap Elf Entr Rech Activ Petro
US4357276A (en) * 1979-11-02 1982-11-02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separation of indole using X and Y type zeolites
JPS5673060A (en) * 1979-11-20 1981-06-17 Mitsui Toatsu Chem Inc Preparation of indoel or indole derivative
JPS56110672A (en) * 1980-02-05 1981-09-01 Mitsui Toatsu Chem Inc Preparation of indole or indole derivative
JPS56113761A (en) * 1980-02-13 1981-09-07 Mitsui Toatsu Chem Inc Preparation of indole or indole deriv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62160A (ja) 1983-04-13
DE3236765A1 (de) 1983-04-14
GB2108496B (en) 1985-07-03
GB2108496A (en) 1983-05-18
KR840001953A (ko) 1984-06-07
CH649762A5 (de) 1985-06-14
US4404063A (en) 1983-09-13
DE3236765C2 (de) 1985-05-15
FR2514351B1 (ko) 1985-01-18
NL189254B (nl) 1992-09-16
FR2514351A1 (fr) 1983-04-15
JPS6150945B2 (ko) 1986-11-06
NL8203895A (nl) 1983-05-02
NL189254C (nl) 1993-02-16
CA1182424A (en) 198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184B1 (ko) 알킬렌글리콜의제조방법
US2860146A (en) Manufacture of epihalohydrins
US4769492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2,3,4,5-tetrafluorobenzoic acid
KR860001741B1 (ko) 인돌의 분리방법
CA1294987C (en) Process of reduction of aldehydes and ketones
KR20050044406A (ko) Mg, al 혼합 (수)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알킬렌탄산염의 접촉 변환 방법
US5840994A (en) Process for producing ditrimethylolpropane
JPS5879941A (ja) メチルフェノ−ルの調製方法
US3956405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fluoroalkyl propanols
US4180687A (en) Reaction of formaldehyde in butynediol
JP2955866B2 (ja) ジアルキル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JP3952577B2 (ja) メチルイソブチルケトンおよび/またはメチルイソブチルカルビノールの製造方法
KR880001051B1 (ko) 2, 3-디하이드로-2, 2-디메틸벤조푸란-7-올의 제조방법
US3992452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lkoxycyclohexanones
JPH0522696B2 (ko)
CA1064007A (en) Process for preparing cyclohexanone
JP4609613B2 (ja) 一酸化炭素の製造方法
USRE29200E (en) Production of alkoxy phenolic compounds
USRE29201E (en) Production of alkoxy phenolic compounds
US3970705A (en) Preparation of unsaturated ethers
GB2086894A (en) Production of alkylene glycols
JPH1059892A (ja) α,β−不飽和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JP2684406B2 (ja) 1,2,4―トリメチルピペラジンの製造方法
RU208652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нзилового спирта
JP3870635B2 (ja) 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類の製造方法